KR101281087B1 -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087B1
KR101281087B1 KR1020110064060A KR20110064060A KR101281087B1 KR 101281087 B1 KR101281087 B1 KR 101281087B1 KR 1020110064060 A KR1020110064060 A KR 1020110064060A KR 20110064060 A KR20110064060 A KR 20110064060A KR 101281087 B1 KR101281087 B1 KR 10128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unk lid
plate
closing devic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851A (ko
Inventor
임효진
Original Assignee
임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진 filed Critical 임효진
Priority to KR102011006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0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curved arms fixed on the wing, rolling on a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0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Abstract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트렁크 내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트렁크를 덮어주는 트렁크 리드에 개방력을 제공하는 힌지부와, 차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와 힌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과, 회전부에 연결되고,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위해 케이블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도록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CABLE TYPE TRUNK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므로 개폐장치를 분리 설치하여 설치공간 제약을 개선하도록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 리드(Trunk Lid)는 자동차의 후방 범퍼 상측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차량 내부에 형성된 트렁크 공간 내에 짐을 싣기 위해 열어 주고, 짐을 싣고난 후 덮어주는 차량용 후방 덮개부재를 일컫는다.
이와 같이, 트렁크 리드는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으로 작동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동방식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수동방식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힌지를 보인 도면이다.
기존의 수동방식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트렁크 리드(2)의 양단에 각 고정단을 용착하여 자유단이 차체(1)의 내부에 힌지축(4)으로 고정하는 굴곡형 힌지(6)와, 차체(1)와 각 힌지(6)의 자유단 측에 각각 고정되어 트렁크 리드(2)의 열림시 자연스럽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가스스프링(8)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트렁크 리드(2)의 개폐장치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해정시켜야만 트렁크 리드(2)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
즉, 트렁크 리드(2)를 개폐시킬 때, 운전석에 설치된 해제 레버를 작동시키거나 시동키를 이용하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면 양측 힌지(6)의 자유단측에 가스스프링(8)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며, 양측 힌지(6)의 자유단 측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6)가 힌지핀(4)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면서 밀려 올라가게 되고, 힌지(6)의 각운동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2)가 열리게 된다.
힌지(6)는 트렁크 리드(2)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부(6a)와, 수평부(6a)에 연결되고 굴곡지게 형성되어 간섭을 방지하는 굴곡부(6b)와, 힌지축(4)과 결합되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6c)를 포함한다.
또한, 기존의 자동방식 크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트렁크 리드에 장착된 힌지에 연결되는 레버를 다수의 기어들을 통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므로 레버에 연결된 힌지의 회동으로 트렁크 리드를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자동방식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트렁크 내에 장착시 설치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개폐장치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구성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콤팩트하게 제작하야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제작하더라도 차종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힌지를 당기거나 풀어서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므로 개폐장치를 분리 설치하여 설치공간 제약을 개선하도록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작동하는 개폐장치의 고장시 결속해제부를 작동하여 동력연결을 해제하므로 수동으로 트렁크 리드를 작동하도록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에 의해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롤러회전부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로 당겨지게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모터 정지시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경우, 케이블에 설치된 굴곡스프링을 이용하여 길이를 보상하고, 동력모터 구동시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차단하는 경우, 케이블의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동력모터를 정지하므로 케이블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에 연동하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급속한 당김에 대해 케이블을 완충하고, 완충부가 설정영역 이상의 회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동력모터를 정지하거나 역회전하므로 과도한 충격을 방지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트렁크 내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트렁크를 덮어주는 트렁크 리드에 개방력을 제공하는 힌지부; 상기 차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힌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트렁크 내의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힌지; 상기 차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스스프링; 상기 가스스프링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스프링의 타단이 중심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스스프링 단부의 이동거리에 비해 상기 연결부재 단부의 이동거리가 1.8 ~ 2.2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감이원판; 상기 감이원판의 양측 중에 어느 일측에 상기 감이원판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원판; 상기 감이원판의 타측에 상기 감이원판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둘레 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트렁크 리드의 완전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원판 둘레에는 상기 개방감지센서를 작동하기 위한 감지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롤러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를 당겨주기 위해 지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롤러회전부는 상기 차체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사이 간격을 갖도록 한 쌍 설치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이 감기는 지지롤러;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고 이탈을 방지하는 장공이 형성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케이블이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관이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케이블 당김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블의 당김시 상기 지지부재에 급격한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왼충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축 결합되는 힌지핀;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설정치 이상 회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정지하거나 역 구동하는 회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동부가 정지한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경우, 케이블에 설치된 굴곡스프링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을 차단한 경우, 상기 회전부에서 케이블의 풀림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정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탈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모터; 상기 동력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축 고정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이탈방지원판과 상기 감이원판을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트렁크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케이블의 당김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를 회전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결속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해제부는 상기 동력모터, 상기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기어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레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플레이트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당김스프링; 및 상기 걸림레버에 원상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차단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가압 탄성력은 상기 당김스프링의 당김 탄성력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회동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원상복귀하여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의 치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힌지를 당기거나 풀어 트렁크 리드를 개폐하므로 개폐장치의 분리 설치로 인해 설치공간 제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작동하는 개폐장치의 고장시 결속해제부를 작동하여 동력연결을 해제하므로 수동으로 트렁크 리드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에 의해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롤러회전부에 의해 이탈방지된 상태로 당겨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모터 정지시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경우, 케이블에 설치된 팽창스프링을 이용하여 길이를 보상하고, 동력모터 구동시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차단하는 경우, 케이블의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동력모터를 정지하므로 케이블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 연동하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급속한 당김에 대해 케이블을 완충하고, 완충부가 설정영역 이상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동력모터를 정지하거나 역회전하므로 과도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방식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수동방식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개폐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요부 조립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롤러회전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닫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개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펼침용 굴곡스프링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와 이동감지센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요부 조립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롤러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닫힘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의 개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스프링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와 이동감지센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힌지부(20), 회전부(30), 케이블(40) 및 구동부(80)를 포함한다.
힌지부(14)는 트렁크 내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트렁크를 덮어주는 트렁크 리드(10)에 개방력을 제공한다.
힌지부(14)는 트렁크 리드(10)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트렁크 내의 차체(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힌지(22)와, 차체(1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스스프링(24)와, 가스스프링(24)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차체(1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6)와, 고정부재(26)의 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22)에 연결되며, 가스스프링(24)의 타단이 중심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8)를 포함한다.
힌지(22)는 굴곡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렁크 리드(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동한다.
가스스프링(24) 대신에 토션바,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재(26)는 길게 형성된 봉 또는 판체로 이루어지고, 차체(12)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부재(28)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28)는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스스프링(24)이 결합되는 부위와 힌지(22)가 결합되는 부위에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가스스프링(24)과 힌지(22)와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스스프링(24) 단부의 이동거리에 비해 연결부재(28) 단부의 이동거리가 1.8 ~ 2.2배의 범위를 갖는다. 특히, 2배 정도가 가장 좋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들어 2배를 가정하면, 트렁크 리드(10)의 개폐에 따라 가스스프링(24)의 단부의 이동거리가 'd'라면, 연결부재(28) 단부의 이동거리는 '2d'를 가지므로 가스스프링(24)의 스크로크(Stroke)와 설치공간이 부족하여도 트렁크 리드(10)에 충분한 개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재(28)의 중심부에 가스스프링(24)이 연결되어 이동거리가 반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스트로크 보상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트렁크 리드(10)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트렁크 내의 차체(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부(30)는 차체(12)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부(3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케이블(40)이 감기는 감이원판(32)와, 감이원판(32)의 양측 중에 어느 일측에 감이원판(32)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케이블(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원판(34)과, 감이원판(32)의 타측에 감이원판(32)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둘레 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구동부(80)와 연결되는 메인기어(36)를 포함한다.
회전부(30)는 3개의 원판이 상호 결합되어 반격이 가장 작은 감이원판(32)이 롤러의 안내홈 역할을 수행하므로 케이블(40)을 감아줄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4)에는 트렁크 리드(10)의 완전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37)를 구비한다.
이탈방지원판(34) 둘레에는 개방감지센서(37)를 작동하기 위한 감지돌출부(37)를 형성한다.
감지돌출부(37)는 개방감지센서(37)의 롤러스위치가 이탈방지원판(34)의 회전면을 따라 서서히 경사 진입하면서 원주면에 도달하여 신호를 감지하도록 경사진입면과, 이 경사진입면에 연장된 원주도달면이 각각 형성된다.
즉, 회전부(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이원판(32)에서 케이블(40)이 풀어지면, 이탈방지원판(34)의 감지돌출부(37)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개방감지센서(37)의 롤러스위치에 접촉되면서, 롤러스위치가 진입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고, 원주도달면에 닿는 순간 롤러스위치의 감지작동에 의해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80)를 정지한다.
이때, 케이블(40)의 풀림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2)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서, 트렁크 리드(10)는 힌지부(20)의 가스스프링(24)의 미는 힘에 의해 고정부재(26)에 지지된 연결부재(28)가 회동하면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케이블(40)은 차체(12)에 설치되는 롤러회전부(50)를 구비하여 힌지부(20)를 당겨주기 위해 지지력을 제공한다.
롤러회전부(50)는 차체(12)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52)와, 설치플레이트(52)에 사이 간격을 갖도록 한 쌍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4)과, 지지브라켓(54)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40)이 감기는 지지롤러(56)와, 설치플레이트(52)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케이블(40)이 통과되고 이탈을 방지하는 장공(59)이 형성된 이탈방지부재(58)를 포함한다.
지지롤러(56)의 원주 둘레면에는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형성된 브이홈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58)는 'ㄱ'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케이블(40)은 이탈방지부재(58)의 장공(59)에 구속되므로 지지롤러(56)의 브이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40)에는 케이블이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4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관(42)이 구비된다.
플렉시블관(42)은 베이스플레이트(14)에 형성된 지지부재(60)에 의해 케이블 (40) 당김시 지지된다.
지지부재(60)는 베이스플레이트(14)에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플렉시블관(42)이 볼트 결합되어 내부관로를 통하여 케이블(40)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4)에는 케이블(40)의 당김시 지지부재(60)에 급격한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부(70)를 구비한다.
왼충부(70)는 지지부재(60)가 회동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4)와 지지부재(60)의 일단부에 축 결합되는 힌지핀(72)과, 지지부재(60)의 타단부와 베이스플레이트(14)에 형성된 설치부(76)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재(60)에 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74)와, 지지부재(60)가 설정치 이상 회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80)를 정지하거나 역 구동하는 회동감지센서(78)를 포함한다.
가압부재(74)는 압축력에 대해 저항하여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도록 한다. 물론, 판스프링 또는 기타 탄성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설치부(76)는 가압부재(7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요홈 형상의 설치부재로 이루어진다.
회동감지센서(78)는 회전부(30)의 감이원판(32)에 케이블(40)이 감기면서 당기는 순간 케이블(40)을 지지하는 플렉시블관(42) 역시 함께 당겨지면서 지지부재(60)를 밀어주어 가압부재(74)를 압축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60)가 과도하게 회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지지부재(60)가 설정치 이상 회동하게 되면, 광을 조사하는 회동감지센서(78)가 이를 감지하고 구동부(80)의 동력모터(82)를 제어부를 통해 정지시키거나 역회전시켜 케이블(40)을 약간 풀어주도록 한다.
지지부재(60)는 가압부재(74)에 의해 원상복귀되고, 구동부(80)가 다시 작동하여 케이블(40)를 감아주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케이블(40)은 구동부(80)가 정지한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10)가 닫히는 경우, 케이블(40)에 설치된 굴곡스프링(44)을 이용하여 케이블(40)의 늘어짐을 방지한다.
케이블(40)은 구동부(80)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40)를 손으로 잡아 개방을 차단한 경우, 회전부(80)에서 케이블(40)의 풀림을 감지하여 구동부(80)를 정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4)에 이탈감지센서(46)를 구비한다.
즉, 구동부(40)에 구동신호를 주어 회전부(30)를 회전시키면서 케이블(40)를 감아줄 때, 사용자가 실수로 트렁크 리드(40)를 잡는 경우 롤러회전부(50)와 힌지부(20)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은 풀려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회전부(30)의 회동에의해 회전부(30)에 감긴 케이블(40)은 풀려지므로 경우에 따라 케이블(40)이 감이원판(32)을 벗어나면서 이탈방지원판(34)과 메인기어(36)에 걸리거나 아탈되므로 엉킬 위험이 있다.
이때, 감이원판(32)에 감긴 케이블이 약간 풀려지는 순간 상측으로 약간 벗어나고 이탈감지센서(46)에서 케이블(40)의 이동을 광 감지하여 구동부(80)의 구동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케이블(40)의 엉킴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구동부(80)는 회전부(30)에 연결되고, 트렁크 리드(10)의 개폐를 위해 케이블(40)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도록 회전부(30)에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80)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모터(82)와, 동력모터(8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4)와, 동력전달부(84)에 축 고정되어 메인기어(36)에 치합되어 이탈방지원판(34)과 감이원판(32)을 회전하는 구동기어(86)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84)는 동력모터(82)에 축 결합된 워엄스크류(84a)와, 상기 워엄스크류(84a)의 원주 면에 직각방향으로 치합된 웜휠(84b)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84)는 여러 기어방식 외에 벨트방식, 체인방식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플레이트(14)는 트렁크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케이블(100)의 당김 작용으로 구동부(80)를 회전하여 구동부(80)와 회전부(30)의 연결을 해제하는 결속해제부(90)를 구비한다.
결속해제부(90)는 동력모터(82), 동력전달부(84) 및 구동기어(86)를 지지하고,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92)와, 베이스플레이트(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케이블(100)의 당김에 의해 회동하여 지지플레이트(92)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레버(94)와, 지지플레이트(9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플레이트(14)에 연결되어 지지플레이트(92)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당김스프링(96)과, 걸림레버(94)에 원상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98)을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92)는 구동기어(86)에 맞물리는 메인기어(36)가 1번 판인 이탈방지원판(34) 및 2번 판인 감이원판(32)을 거쳐 상측 3번 판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기어(36)에 치합되는 구동기어(86)의 설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높이를 보상하도록 하부에 2개 판을 더 구비하여 3개 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92)는 높이를 보상할 수 있다면 1개의 두꺼운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92)는 메인기어(36)가 베이스플레이트(14)에 접한 1번 판인 경우, 구동기어(86)에 대한 높이 보상이 필요 없으므로 1개 판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92)의 외측면에는 구동기어(8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어주는 덮개판(99)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92)는 구동기어(86)가 설치되는 부위가 메인기어(36)방향으로 개방된 요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판(99)은 3개의 판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플레이트(92)의 3번 판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걸림턱(93)을 형성하며, 단지 구동기어(86)를 커버링하는 부위만 다르게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92)의 하부 1번 판은 안정적으로 회동하게 하기 위해 2, 3번판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케이블(100)은 트렁크 내부에서 트렁크 외부로 인출되어 즉, 후륜 바퀴 주변 또는 범퍼 하부 등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은닉 장소에 배치하여 구동부(80)의 동력모터(82)가 고장나거나 기타 연결부위가 손상되어 작동이 정지된 경우, 구동기어(86)를 회동하여 메인기어(36)와 구동기어(86)의 결합을 해제하므로 사용자가 크렁크 리드(1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복귀스프링(98)의 가압 탄성력은 당김스프링(96)의 당김 탄성력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회동한 지지플레이트(92)를 원상복귀하여 구동기어(86)와 메인기어(36)의 의 치합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트렁크 리드 14 : 베이스플레이트
20 : 힌지부 22 : 힌지
24 : 가스스프링 26 : 고정부재
30 : 회전부 32 : 감이원판
34 : 이탈방지원판 36 : 메인기어
37 : 개방감지센서 38 : 감지돌출부
40 : 케이블 42 : 플렉시블관
44 : 굴곡스프링 46 : 이탈감지센서
50 : 롤러회전부 52 : 설치플레이트
54 : 지지브라켓 56 : 지지롤러
58 : 이탈방지판 59 : 장공
60 : 지지부재 70 : 완충부
72 : 힌지핀 74 : 가압부재
78 : 회동감지센서 80 : 구동부
82 : 동력모터 84 : 동력전달부
86 : 구동기어 90 : 결속해제부
92 : 지지플레이트 94 : 걸림레버
93 : 걸림턱 96 : 당김스프링
98 : 복귀스프링 100 : 보조케이블

Claims (12)

  1. 트렁크 내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트렁크를 덮어주는 트렁크 리드에 개방력을 제공하는 힌지부;
    상기 차체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힌지부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회전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상기 케이블이 감기는 감이원판;
    상기 감이원판의 양측 중에 어느 일측에 상기 감이원판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원판;
    상기 감이원판의 타측에 상기 감이원판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둘레 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메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트렁크 내의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힌지;
    상기 차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스스프링;
    상기 가스스프링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스프링의 타단이 중심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스스프링 단부의 이동거리에 비해 상기 연결부재 단부의 이동거리가 1.8 ~ 2.2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트렁크 리드의 완전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원판 둘레에는 상기 개방감지센서를 작동하기 위한 감지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롤러회전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를 당겨주기 위해 지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롤러회전부는 상기 차체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사이 간격을 갖도록 한 쌍 설치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이 감기는 지지롤러;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고 이탈을 방지하는 장공이 형성된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케이블이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렉시블관이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케이블 당김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블의 당김시 지지부재에 급격한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왼충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축 결합되는 힌지핀;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설정치 이상 회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정지하거나 역 구동하는 회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동부가 정지한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경우, 케이블에 설치된 굴곡스프링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을 차단한 경우, 상기 회전부에서 케이블의 풀림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정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이탈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모터;
    상기 동력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축 고정되어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이탈방지원판과 상기 감이원판을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트렁크 외부로 인출되는 보조케이블의 당김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를 회전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결속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해제부는 상기 동력모터, 상기 동력전달부 및 상기 구동기어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레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플레이트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당김스프링; 및
    상기 걸림레버에 원상복귀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차단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가압 탄성력은 상기 당김스프링의 당김 탄성력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회동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원상복귀하여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의 치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20110064060A 2011-06-29 2011-06-29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128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60A KR101281087B1 (ko) 2011-06-29 2011-06-29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60A KR101281087B1 (ko) 2011-06-29 2011-06-29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51A KR20130002851A (ko) 2013-01-08
KR101281087B1 true KR101281087B1 (ko) 2013-07-02

Family

ID=4783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060A KR101281087B1 (ko) 2011-06-29 2011-06-29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946A (zh) * 2019-09-12 2019-12-10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行李箱盖板固定装置、行李箱及汽车
KR20230126013A (ko) 2022-02-22 2023-08-29 박정식 길이 가변형 텐트용 폴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374B2 (ja) 2002-11-27 2010-09-1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KR20110060537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374B2 (ja) 2002-11-27 2010-09-1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KR20110060537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51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88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liding door mechanism
US73253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dular sliding door mechanism
JP4560442B2 (ja)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KR102144784B1 (ko)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US8375635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verhead sectional doors
MX2007016101A (es) Puerta de tela metálica retraíble que aloja un sistema equilibrador de montura.
KR101641983B1 (ko) 후퇴 가능한 래치 범퍼
KR101281087B1 (ko)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US20180305968A1 (en) Powered garage door opener
KR101105465B1 (ko) 트렁크 리드 자동개폐장치
JP4831794B2 (ja) バックドアのドア開閉装置
CA2483356C (en) Direct transmission garage door opener
JP4832902B2 (ja) 開閉装置の戻しばね付き巻取体構造
KR10073789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JP4249656B2 (ja) ドア開閉装置
EP16088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dular sliding door mechanism
JP3403079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テンション機構
CA2458157A1 (en) Cable failure device for garage doors and the like, and door including the same
JP4623076B2 (ja) ブレーキ装置
JP5645454B2 (ja) 連動式重ね引戸装置
KR102586693B1 (ko)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JP5941265B2 (ja) 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テンション調整構造
TWI811947B (zh) 絞盤的導繩裝置
KR200401957Y1 (ko) 완충 수단을 갖는 코일 리프터 아암
EP1908905A1 (en) Ca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