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009B1 -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009B1
KR101281009B1 KR1020130006845A KR20130006845A KR101281009B1 KR 101281009 B1 KR101281009 B1 KR 101281009B1 KR 1020130006845 A KR1020130006845 A KR 1020130006845A KR 20130006845 A KR20130006845 A KR 20130006845A KR 101281009 B1 KR101281009 B1 KR 10128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ilter
carbon fiber
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환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to KR102013000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2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6Separation devices for cleaning ambient air, e.g. air along roads or air in c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및 대기오염이 많은 도로변이나 공업지대 등의 환경 특히, 통풍량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중앙 내부의 상, 하단 각각에 투명 방음판을 끼우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 하부 프레임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용 요홈부 및 돌기부를 가지는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일측 내부에 일체로 소음안내 날개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소음안내 날개 및 소음안내 날개의 끝단부를 휘어지게 형성하여 상, 하부 프레임타측 내부 방향으로 소음이 이동 유도되게 구성하되, 소음안내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측에 소음 흡입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타측 공기 체류공간부에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ACF : ACTIVATED CARBON FIBER)필터 및 헤파(HEPA)필터 로 이루어진 이중 필터를 설치하며, 상기 이중 필터측의 프레임면에 공기배출구멍을 뚫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Transparent soundproof frame structure For Eco-Friendly Exhaust Reduction}
본 발명은 소음 및 대기오염이 많은 도로변이나 공업지대 등의 환경 특히, 통풍량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 발생 되는 소음이나, 혹은 다른 각종 소음발생으로 인한 소음피해지역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방음벽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은 금속에서부터 목재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방음판은 소음을 반사 차단하는 차음형 방음판과, 소음을 반사 및 흡수시켜 소음을 감쇄하는 흡음형 방음판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도로상에 채광을 가능케 하여 도로의 결빙상태를 방지하고, 적설된 눈을 신속하게 녹여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시야 확보가 가능한 투명 방음판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상기, 차음형 방음판인 투명 방음판은 투명 방음판에 알맞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흡음형 방음판 역시 흡음형 방음판에 알맞은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로상에는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 오존(O3),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x) 등과 같은 매연(배기가스)과 함께 타이어 마찰시 발생 되는 타이어분진과 같은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s; PM)이 혼재되어 도로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도로 주변의 주거지로 전파되면서 대기를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도로에 방음벽이 설치된 경우에는 주거지로 직접 전파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으나 대기오염물질이 방음벽 안에 갇히는 꼴로 되어 해당 구간를 통행하는 운전자 및 탑승객 또는 주변 주거지 생활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뿐 만 아니라 방음벽과 도로 표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06258호에서는 고압의 전기집진장치를 방음벽의 내부에 설치하여 도로에서 발생 된 분진을 제거하도록 된 방음시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고압전원과 전극의 제작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시공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 및 고압전원 공급에 따른 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는 투명성 확보 및 소음(음파)차단을 위한 투명판을 끼워 맞추는 형태의 것만이 출현되고 있어, 투명 방음판에 충돌된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그대로 반사되어 도로변을 지나는 차량 운전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06258호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로 흡입되는 소음을 보다 신속하게 프레임 내부로 하게 유도하여 더욱 많은 소음(음파)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휘발성 탄화수소, 부유 입자상 물질 등을 포함한 오염물질인 매연을 공기의 자연적인 흐름에 의존하여 정화시키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 중앙 내부의 상, 하단 각각에 투명 방음판을 끼우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 하부 프레임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용 요홈부 및 돌기부를 가지는 투명 방음판의 상, 하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일측 내부에 일체로 소음안내 날개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소음안내 날개 및 소음안내 날개의 끝단부를 휘어지게 형성하여 상, 하부 프레임타측 내부 방향으로 소음이 이동 유도되게 구성하되, 소음안내 날개가 형성된 프레임측에 소음 흡입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타측 공기 체류공간부에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ACF : ACTIVATED CARBON FIBER)필터 및 헤파(HEPA)필터 로 이루어진 이중 필터를 설치하며, 상기 이중 필터측의 프레임면에 공기배출구멍을 뚫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일체적으로 소음안내 날개를 형성하여 소음 흡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소음을 프레임 내부 깊숙이 신속하게 안내시켜 소음을 감쇄시키게 되므로 투명 방음판의 소음 차단과 더블어 이중 소음차단효과를 가지며, 프레임 내부로 안내된 공기 중에 부유된 매연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활성 탄소섬유 필터를 통하여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시간으로 흡착 시켜 1차적으로 일부 제거하고, 활성 탄소섬유 필터를 거쳐 나온 공기중의 오염물질 중의 미세입자를 헤파 필터를 통하여 고효율로 2차적으로 여과 시켜 정화된 공기가 프레임 외부로 배출하여 도로변 주변의 거주자나 차량 운전자를 오염물질에 의한 유해성분으로부터 회피 가능하게 하므로서 건강을 지키게 할 수 있는 효과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에 의해 흡음기능도 가지게 되므로 소음(음파)을 크게 저감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투명 방음판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사시도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410)(411)중앙 내부의 상, 하단 각각에 투명 방음판(400)을 끼우는 삽입부(422)가 형성되고, 상, 하부 프레임(410)(411)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용 요홈부(410') 및 돌기부(411')를 가지는 투명 방음판(400)의 상, 하부 프레임(410)(411)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410)(411) 전방 일측 내부에 일체로 소음안내 날개(410A)(411A)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의 끝단부를 휘어지게(만곡 또는 굴곡) 형성하거나,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 각각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상, 하부 프레임(410)(411)타측 소음 체류 공간부(S)내부 방향으로 소음이 이동 유도되게 구성하되, 소음안내 날개(410A)(411A)가 형성된 상, 하부프레임(410)(411) 전방 측면에 소음 흡입구멍(410B)(411B)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공기 체류 공간부(S)에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 및 헤파 필터(520)로 이루어진 이중 필터(500)를 설치하며, 상기 상, 하부 프레임(410)(411) 후방 측면에 공기배출구멍(410C)(411C)을 뚫어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를 따라 유도 안내되는 소음(음파) 및 대기 중의 오염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상, 하부 프레임(410)(411)내부로 신속하게 안내시켜 이중 필터(500)에 의해 흡착 및 여과시킴과 동시에 이중 필터(500)의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의 섬유질에 의해 흡음기능도 수행하게 하므로서 소음 감쇄 및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더블어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의 외부면에 활성 탄소섬유 필터(600)를 접착제(610)로 접착하여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를 따라 안내 유도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인 매연을 이중 필터(500)에 의해 정화 시키기 전에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부위에서 정화시켜 이중 필터(500)측으로 안내시키게 되므로 공기정화 기능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이중 필터(500)를 구성하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는 세로 방향으로 접혀진 파형상의 주름면(510')이 형성된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성형체 또는 가로 방향으로 접혀진 주름면(510')이 형성된 파형상의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성형체(도 1의 일부 확대도면 참조)이며, 주름면(510')이 형성된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주름면(510')에 의해 오염물질의 점촉 면적을 넓게 할 뿐 아니라 공기의 흐름(오염물질 통과 시간에 따른 흐름)을 제한하게 되므로 오염물질의 흡착능력을 배가시키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 하부 프레임(410)(411)에 투명 방음판(400)을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음 흡입구멍(410B)(411B)을 통해 인입되는 소음이 상, 하부 프레임(410)(411) 일측 내부에 일체로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소음안내 날개(410A)(411A)를 따라 상, 하부 프레임(410)(411)내측 방향으로 유도되게 되고, 상기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의 끝단부가 휘어지게(만곡 또는 굴곡) 형성하거나, 소음안내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가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있어 더욱 빠른 속도로 상, 하부 프레임(410)(411) 타측 소음 체류공간부(S)내부 방향으로 소음이 이동 유도되게 되므로 외부 소음의 감쇄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소음 체류 공간부(S)내부로 진입된 소음 및 공기 중의 오염물질인 매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 필터(500)를 구성하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에 의해 흡착제거 및 헤파 필터(520)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 시키게 되므로 프레임(410)(411)타측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410C)(411C)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어지게 되며,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이 침입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의 외부면에 접착된 활성 탄소섬유 필터(600)에 의해 1차적으로 흡착 제거시키는 경우에는 이중으로 오염물질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기정화 기능을 더욱 향상 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10, 411 : 상, 하부 프레임 410', 411' : 요홈부, 돌기부
410A, 411A : 소음안내 날개 410A', 411A' : 소음안내 날개
410B, 411B: 소음 흡입구멍 410C, 411C : 소음배출구멍
S : 소음 체류 공간부 500 : 이중 필터
510, 600 : 활성 탄소섬유 필터 520 : 헤파 필터
610 : 접착제

Claims (3)

  1. 상, 하부 프레임(410)(411)중앙 내부의 상, 하단 각각에 투명 방음판(400)을 끼우는 삽입부(422)가 형성되고, 상, 하부 프레임(410)(411)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용 요홈부(410') 및 돌기부(411')를 가지는 투명 방음판(400)의 상, 하부 프레임(410)(411)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410)(411) 전방 일측 내부에 일체로 소음안내 날개(410A)(411A)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 각각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상, 하부 프레임(410)(411)타측 소음 체류 공간부(S)내부 방향으로 소음이 이동 유도되게 구성하되, 소음안내 날개(410A)(411A)가 형성된 상, 하부 프레임(410)(411) 전방 측면에 소음 흡입구멍(410B)(411B)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공기 체류 공간부(S)에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 및 헤파 필터(520)로 이루어진 이중 필터(500)를 설치하며, 상기 상, 하부 프레임(410)(411) 후방 측면에 공기배출구멍(410C)(411C)을 뚫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소음안내 날개(410A) 및 소음안내 날개 (411A)의 외부면에 활성 탄소섬유 필터(600)를 접착제(610)로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이중 필터(500)를 구성하는 활성 탄소섬유 필터(510)는 세로 방향으로 접혀진 파형상의 주름면(510')이 형성된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성형체 또는 가로 방향으로 접혀진 주름면(510')이 형성된 파형상의 통풍성을 가지는 활성 탄소섬유 성형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KR1020130006845A 2013-01-22 2013-01-22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KR10128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45A KR101281009B1 (ko) 2013-01-22 2013-01-22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45A KR101281009B1 (ko) 2013-01-22 2013-01-22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009B1 true KR101281009B1 (ko) 2013-07-17

Family

ID=4899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45A KR101281009B1 (ko) 2013-01-22 2013-01-22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8B1 (ko) * 2018-11-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표지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형 방음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11B1 (ko)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KR101051038B1 (ko) 2011-01-19 2011-07-21 신성산건 주식회사 흡음 및 방습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11B1 (ko) 2009-09-17 2010-04-02 에스에이 주식회사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KR101051038B1 (ko) 2011-01-19 2011-07-21 신성산건 주식회사 흡음 및 방습 기능을 갖는 투명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8B1 (ko) * 2018-11-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표지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형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180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
DE60305471D1 (de) Reinigung der luft in einer fahrgastzelle eines fahrzeugs durch adsorption und photokatalyse
KR101023525B1 (ko) 대기오염원 저감용 흡음재를 사용한 방음벽
KR101143134B1 (ko) 대기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구비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281009B1 (ko) 친환경적 매연 저감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JP4674364B2 (ja) 背後気流層を有する大気汚染物質除去型防音壁
JP2008175019A (ja) 排ガス浄化機能を有する浄化防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道路構造。
JP5841718B2 (ja) 浄化ユニット及び浄化ユニットを用いた浄化構造体
KR101161609B1 (ko) 환경친화형 도로용 공기정화 방음벽
JP4257471B2 (ja) 車載空気清浄機のフィルタ構造
EP3552686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20150067966A (ko)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ATE329776T1 (de) Luft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r abtrennbaren konstruktion
KR102132067B1 (ko) 차량용 미세먼지 절감장치
CN203308550U (zh) 汽车尾气过滤装置
KR101309177B1 (ko)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형 방음판
CN203253306U (zh) 隧道废气净化机
KR100697305B1 (ko)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KR102628820B1 (ko) 자연풍을 이용한 미세먼지 흡착 및 살균 바인더
CN204609680U (zh) 一种空气净化窗
JP2003003430A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を有する防音壁
KR200400469Y1 (ko)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KR102286531B1 (ko) 자동차 번호판을 이용한 물 필터 방식의 미세먼지 집진 장치 및 방법
JP2002069939A (ja) 騒音防止構造を有する道路構造
KR20150090385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