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966A -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966A
KR20150067966A KR1020130153623A KR20130153623A KR20150067966A KR 20150067966 A KR20150067966 A KR 20150067966A KR 1020130153623 A KR1020130153623 A KR 1020130153623A KR 20130153623 A KR20130153623 A KR 20130153623A KR 20150067966 A KR20150067966 A KR 2015006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sound
plat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환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to KR102013015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966A/ko
Publication of KR2015006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및 대기오염이 많은 도로변이나 공업지대 등의 환경 특히, 통풍량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흡입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중앙 외측으로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판의 내부 사이에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설치하는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내측과 흡음재 후면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용 흡음재를 개재하되, 상기 간격 유지용 흡음재와 간격 유지용 흡음재 사이에 공기 체류 공간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environmentally sound absorption sound insulation board}
본 발명은 소음 및 대기오염이 많은 도로변이나 공업지대 등의 환경 특히, 통풍량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소음을 반사 차단하는 차음형 방음판과, 소음을 반사 및 흡수시켜 소음을 감쇄하는 흡음형 방음판으로 구분되어 도로변이나 학교 주변 또는 아파트 주변 주거생활 근처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흠음형 방음판인 경우에는 오래전 부터 알려진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44018호 흡음형 방음판이 알려져 있다. 이에 의하면, 전면판과 후면판 내부 사이에 친환경적이면서도 흡음성능이 우수한 고말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스테르 흡음재를 내장하여 전면판에 형성한 흡입구멍을 통해 인입되는 소음을 상기 흡음재를 통하여 소음을 감쇄시키고 있다. 상기 흡음형 방음판의 구조를 살펴보면, 원형 흡입구멍 또는 갤러리 형상의 흡입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중앙 내측으로 돌출된 오목부를 가지는 후면판 사이에 흡음재를 내장하되, 상기 흡음재의 중앙부 일측이 상기 후면판의 오목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므로서 후면판 내측부와 흡음재 외측부 사이에 공기 체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물론, 상기 후면판의 오목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흡음형 방음판 이외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에 볼록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음판 등도 소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후면판의 오목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흡음재가 지지될 수는 있으나, 전, 후면판 사이에 상기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내장하여 조립할 시 상기 후면판의 중앙 오목부에 의해 흡음재 중앙부를 누르게 되므로 흡음재가 직선상으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 하부가 중앙을 중심으로 전면판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므로 흡입된 소음이 공기 체류 공간부로 인입되어 와류 되면서 소음을 감쇄 시켜야 하나, 방음판의 상, 하부 내측과 절곡되어 조립된 흡음재의 상, 하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 간극을 통해 인입된 소음이 전면판측으로 되돌아 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흡음기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외적 풍압 등에 의해 유동성이 발생되어 소음 감쇄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로상에는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 오존(O3),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x) 등과 같은 매연(배기가스)과 함께 타이어 마찰시 발생 되는 타이어분진과 같은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s; PM)이 혼재되어 도로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도로 주변의 주거지로 전파되면서 대기를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도로에 방음벽이 설치된 경우에는 주거지로 직접 전파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으나 대기오염물질이 방음벽 안에 갇히는 꼴로 되어 해당 구간를 통행하는 운전자 및 탑승객 또는 주변 주거지 생활인의 건강을심각하게 위협할 뿐 만 아니라 방음벽과 도로 표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등록특허 제10-1309177호를 창출한 바, 이 경우에는 흡음재 전면의 제 1공기 유통로에 활성탄소 섬유 필터를 설치하고, 방음판 상부 내부에 형성한 제 2공기 유통로에 활성탄소 섬유 필터를 설치하여 소음은 흡음재에 의해 감쇄하고, 공기중의 매연은 상기 공기 유통로에 설치한 활성탄소 섬유 필터에 의해 저감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은 공기중위 매연을 저감시키는 데에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나, 공기 유통로를 형성해야 하므로 방음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흡음재와 별도의 활성탄소 섬유 필터를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이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여 방음판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1309177호
본 발명은 흡음재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면서도 흡음기능 향상은 물론 매연저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흡입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중앙 외측으로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판의 내부 사이에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설치하는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내측과 흡음재 후면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용 흡음재를 개재하되, 상기 간격 유지용 흡음재와 간격 유지용 흡음재 사이에 공기 체류 공간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음재를 간격 유지용 흡음재로 지지시켜 전방의 흡음재가 견고한 상태로 절곡되거나 휘어지는 경우를 배제시켜 소음 감쇄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소음과 함께 인입되는 배기가스 등 매연을 활성탄소 섬유층에 의해 신속하게 흡착 제거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매연저감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잇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의한 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횡 단면도
본 발명은 다수의 흡입구멍(11)이 형성된 전면판(10)과 중앙 외측으로 볼록부(21)가 형성된 후면판(20)의 내부 사이에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흡음재(30)를 설치하는 방음판(100)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0) 내측과 흡음재(30) 후면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개재하되, 상기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와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 사이(40)에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흡음재(3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는 활성탄의 흡착성능을 좀 더 끌어올리기 위해 섬유 형태로 가공한 활성탄소 섬유(Activated Carbon Fiber-ACF)층(60), (70)을 접착제(미 도시함)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구멍(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구멍(31)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31)의 양 내측에 오목부(31A)를 형성하여 제 2 공기 체류 공간부(8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30)의 삽입구멍(31)을 경사지게 경사부(31B)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부(31B)의 내측면을 통해 소음 면접율을 증대 시켜 소음 감쇄 기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소음 통과 구멍(32)을 형성하되, 상기 소음 통과 구멍(32)에 대응 하는 위치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후면판(20)의 상부 및 하부의 요입부(22),(23) 각각에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횡 방향으로 끼운 다음 상기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흡음재(30)의 전면에 흡음재(30)의 후면을 면접시켜 상기 흡음재(30)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요입부(22),(23)에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흡음재(30) 및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활성탄소 섬유층(60), (70)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90은 측면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1 및 도2에 제시한 제 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면판(20) 내측과 흡음재(30) 후면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개재하여 구성하므로, 전면판(10) 내측으로 설치하는 흡음재(30)가 평편하게 기립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흡음재(30)의 전면부는 전면판(10) 내측면에 면접되고, 흡음재(30)의 후면부는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성 없이 견고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방음판(100)의 조립공정을 통해서 살펴보면, 종전에는 후면판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흡음재를 후면판의 바닥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끼운다음 전면판을 상기 후면판과 결합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흡음재가 방음판 내부에서 흡음재가 후면판의 내측면에 면접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게 되므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며, 특히 중앙 내측으로 돌출시킨 오목부에 의해 흡음재의 중간부가 절곡되어 흡음재의 상, 하부와 방음판 내부의 상, 하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되므로 인입되는 소음이 흡음재 이외에 간극을 통해 통과되므로 충분한 감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은 상기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일전 간격으로 후면판(20)의 내측면에 끼운 다음 상기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전면부에 흡음재(30)을 면접시키면서 끼우게 되므로 흡음재(30)가 절곡되는 경우를 배제하게 되면서 유동성을 회피하게 되므로 소음이 흡음재 이외의 부분으로 누설되는 경우를 배제하여 소음 감쇄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음재(30)에 의해 감쇄된 소음 중 나머지 소음은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와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 사이에 형성한 다수의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 각각에 인입되어 후면판(20)의 내측면과 흡음재(30)의 후면부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양 측면 사이에서 상호 충돌하면서 체류하게 되므로 더욱 소음이 감쇄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는 전방의 흡음재(30)를 받쳐주어 유동성을 배제함은 물론 흡음재(30)의 후면부와 후면판(20)의 내측면 사이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높이 여하에 따라 전방의 흡음재(30)의 두께를 가변 시킬 수 있어 방음판(100) 전체의 두께에 따라 흡음재(30)의 두께를 가변시켜 끼울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재(30)의 두께를 줄일 경우 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만일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지 않고 흡음재(30)의 후면부 전체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꽉 채워 설치할 경우에는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에 드는 비용이 과다하고, 뿐 만아니라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가 주어들게 되므로 소음 감쇄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시예에 의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흡음재(3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활성탄의 흡착성능을 좀 더 끌어올리기 위해 섬유 형태로 가공한 활성탄소 섬유층(60), (70)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면판(10)의 흡임구멍(11)을 통해 인입되는 소음 중의 매연은 상기 활성탄소 섬유층(60)에 의해 흡착 제거되거나, 흡음재(30)로 인입되는 나머지 매연은 흡음재(30)의 내부에서 일부 필터링되고 나머지 매연은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측으로 인입되면서 흡음재(30) 후면의 활성탄소 섬유층(6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설치한 활성탄소 섬유층(70)에 의해 흡착되면서 제거됨과 동시에 또 다른 나머지 매연은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설치한 활성탄소 섬유층(70)에 의해 흡착되면서 제거되므로 소음 감쇄는 물론 매연 저감이 이루어지게 되어 공기 중에 부유된 매연의 흡착 제거로 인하여 방음판(100) 주변의 공기를 크게 정화 시키게 되는 것이다. 만일, 후면판(20)의 일정 간격으로 공기배출 구멍을 뚫을 경우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시하는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구멍(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구멍(31)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끼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삽입구멍(31)에 끼워진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전면부는 전면판(10의 내측면에 면접 시키고, 후면부는 후면판(200의 내측면에 면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상태로 흡음재(3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는 활성탄소 섬유층(60)을 접착시켜 구성하거나, 흡음재(30)의 테두리에 활성탄소 섬유층(70)을 접착하여 구성하여 소음 감쇄는 물론 매연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시하는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상기 제 3 실시예의 삽입구멍(31)의 양 내측에 오목부(31A)를 형성하여 제 2 공기 체류 공간부(8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통하는 일부 양측소음을 상기 제 2 공기 체류 공간부(80)에 체류 시키면서 흡음재(30)의 오목부(31A) 양 내측면을 통해 다시 흡음재(30)측으로 인입시켜 소음을 더욱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도 매연은 활성탄소 섬유층(60), (70)에 의해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흡음재(30)의 삽입구멍(31)을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부(31B)의 내측면을 통해 소음을 안내 유도시켜 소음이 지나는 경로를 좀 더 길게 하여 소음이 충분히 감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경사부(31b)를 통해 인입하는 소음을 삽입구멍(31)의 내부 양측의 흡음재(30)측으로 소음이 인되되게 하여 소음 감쇄 기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소음 통과 구멍(32)을 형성하되, 상기 소음 통과 구멍(32)에 대응 하는 위치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좀 더 많은 매연을 신속하게 방음판(100)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음 통과 구멍(32)을 통해 인입하는 소음과 매연을 보다 신속하게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는 활성탄소 섬유층(6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측으로 유도 시켜 매연 저감 및 소음 감쇄를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후면판(20)의 상부 및 하부의 요입부(22),(23) 각각에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횡 방향으로 끼운 다음 상기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흡음재(30)의 전면에 흡음재(30)의 후면을 면접시켜 상기 흡음재(30)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요입부(22),(23)에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흡음재(30) 및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활성탄소 섬유층(60), (70)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후면판(20)의 상부 및 하부의 요입부(22),(23) 내부에서 흡음재(3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가 상호 면접된 상태에서 견고한 상태로 끼워지게 되므로 흡음재(30)의 유동성을 줄이고, 보다 면적이 넓은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를 확보 할 수 있어 인입되어 들어온 소음이 후면판(20)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흡음재(30)의 후면부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측으로 재차 인입되어 소음을 더욱 감쇄시킬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탄소 섬유층(60), (70)에 의해 매연을 흡착 제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면판 11 : 흡임구멍
20 : 후면판 21 : 볼록부
30 : 흡음재 31 : 삽임구멍
31A : 오목부 31B : 경사부
32 : 소음통과 구멍 40 :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
50 :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 60, 70 : 활성탄소 섬유층
80 : 제 2 공기 체류 공간부 100 : 방음판

Claims (6)

  1. 다수의 흡입구멍(11)이 형성된 전면판(10)과 중앙 외측으로 볼록부(21)가 형성된 후면판(20)의 내부 사이에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흡음재(30)를 설치하는 방음판(100)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0) 내측과 흡음재(30) 후면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개재하되, 상기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와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 사이(40)에 제 1 공기 체류 공간부(50)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흡음재(30) 및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활성탄소 섬유층(60), (70)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구멍(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구멍(31)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끼워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31)의 양 내측에 오목부(31A)를 형성하여 제 2 공기 체류 공간부(80)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30)의 삽입구멍(31)을 경사지게 경사부(31B)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30)에 일정 간격으로 소음 통과 구멍(32)을 형성하되, 상기 소음 통과 구멍(32)에 대응 하는 위치에 간격 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6. 제 1항에 있어서, 후면판(20)의 상부 및 하부의 요입부(22),(23) 각각에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를 횡 방향으로 끼운 다음 상기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흡음재(30)의 전면에 흡음재(30)의 후면을 면접시켜 상기 흡음재(30)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요입부(22),(23)에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흡음재(30) 및 간격유지 및 받침용 흡음재(40)의 테두리에 활성탄소 섬유층(60), (70)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KR1020130153623A 2013-12-11 2013-12-11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KR20150067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23A KR20150067966A (ko) 2013-12-11 2013-12-11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23A KR20150067966A (ko) 2013-12-11 2013-12-11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66A true KR20150067966A (ko) 2015-06-19

Family

ID=5351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23A KR20150067966A (ko) 2013-12-11 2013-12-11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79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8B1 (ko) * 2018-11-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표지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형 방음판
CN112813864A (zh) * 2020-07-03 2021-05-18 天工俐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功能的全封闭屏障
KR102287929B1 (ko) * 2021-02-18 2021-08-09 한강테크놀러지(주) 방음벽용 방음패널
CN114607060A (zh) * 2022-03-25 2022-06-10 温州理工学院 一种环保型医用隔音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88B1 (ko) * 2018-11-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표지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형 방음판
CN112813864A (zh) * 2020-07-03 2021-05-18 天工俐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功能的全封闭屏障
KR102287929B1 (ko) * 2021-02-18 2021-08-09 한강테크놀러지(주) 방음벽용 방음패널
CN114607060A (zh) * 2022-03-25 2022-06-10 温州理工学院 一种环保型医用隔音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7966A (ko) 친환경적 매연 저감 흡음 방음판
KR101360398B1 (ko) 누음 방지와 회절 및 대기오염원 저감이 가능한 방음벽
KR101354501B1 (ko) 고흡음용 방음판
JP2008175019A (ja) 排ガス浄化機能を有する浄化防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道路構造。
KR100623008B1 (ko) 흡음 투명 방음판
JP2007051505A (ja) 背後気流層を有する大気汚染物質除去型防音壁
KR100934416B1 (ko) 소음 방지용 흡음판
CN106049302B (zh) 一种高速公路用声屏障单元板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KR20200110950A (ko) 가설 방음판
KR200380479Y1 (ko) 방음터널
KR101044368B1 (ko)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JP7175734B2 (ja) 吸音パネル
KR200419648Y1 (ko) 이중 투명 방음벽
KR20130027916A (ko) 방음벽 상단에 설치되는 통풍형 소음감쇠기
KR102025689B1 (ko) 상쇄간섭홀이 구비된 흡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패널
KR101465960B1 (ko) 흡음형 방음벽
CN113417225A (zh) 一种音屏蔽装置
CN201794031U (zh) 一种声屏障的侧边密封减振结构
CN106050750A (zh) 大风量片式阻抗复合消声器
JP2005506478A (ja) 一体型防音パネル
JP2008111307A (ja) 防音壁
KR101458116B1 (ko) 연질 막형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CN109339277A (zh) 一种可消声隔音的墙壁
CN216616339U (zh) 一种用于房屋的噪声污染治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