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305B1 -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305B1
KR100697305B1 KR1020050074863A KR20050074863A KR100697305B1 KR 100697305 B1 KR100697305 B1 KR 100697305B1 KR 1020050074863 A KR1020050074863 A KR 1020050074863A KR 20050074863 A KR20050074863 A KR 20050074863A KR 100697305 B1 KR100697305 B1 KR 10069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nnel
dust collector
bypass
pur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686A (ko
Inventor
정종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to KR102005007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3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2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1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nitrous oxide (N2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터널 안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은, 메인 터널과 연통되어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패스 터널; 상기 바이패스 터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 등을 제거하는 집진장치;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 및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메인터널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메인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터널 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화되며, 따라서 터널 주변의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터널, 공기정화,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 화합물, 오존

Description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AIR PURIFICATION SYSTEM FOR THE POLLUTED AIR IN A MAIN TUNNEL}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바이패스 터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터널에 사용되는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후면 차단벽을 설명하기 위해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0 : 메인터널 100 : 바이패스터널
110 : 공기 유입구 120 : 공기 배출구
130 : 집진장치 131 : 전기 집진기
132 : 전방 필터 133 : 후방 필터
140 : 공기정화장치 141 : 하부통로
142 : 필터 베드 143 : 전방차단벽
144 : 후방차단벽 145 : 상부통로
146 : 셀 베드 150 : 공기 흡입팬
160 : NOX 가스 측정기 170 : 탁도 측정기
180 : 제어부
본원발명은 터널 안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안에서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먼지(PM10), NOX(질소산화물)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및 오존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터널의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이란 교통, 통수 등의 목적으로 산악, 지하 또는 수저 등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상당 크기의 내공 단면을 가지는 갱도를 말한다. 터널 안의 공 기는 차량 등이 내뿜는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오염되어 있으며, 특히, 산이 많은 산악지대나 고지대의 도로건설시에 필수적으로 시공하게 되는 터널의 경우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매연이나 타이어 분진 등에 의해서 내부공기의 오염도가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유해물질로는 미세먼지(PM10),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질소 산화물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 등이 있다. 미세먼지(PM10)는 주로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평균직경이 0.1 ~ 0.3㎛ 크기의 입자상 물질로서 오랫동안 대기중에 떠돌아다니며 호흡에 의해 폐 깊숙이 침착되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입자상물질의 주성분인 탄소입자는 빛의 반사와 흡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기중의 다른 입자상물질보다 3 ~ 4배 더 큰 빛의 소멸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터널 내부의 가시거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톨루엔, 자일렌, 글리콜 에테르, 원유정제 화합물, 납사 아세톤,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 화합물 등과 같은 환경 유해 규제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질 역시 인체에 치명적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해물질을 터널 내부로부터 제거하여 쾌적한 주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종래에는 제트팬을 이용한 터널 내부 공기의 환기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즉, 상,하행 터널의 천정부에 차량의 통행방향과 동일하게 송풍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제트팬을 설치하고, 상기 제트팬의 송풍작용에 의해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터널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터널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방식에 의하게 되면,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처리되지 않은 채, 터널 주변 환경으로 방출됨에 따라 주변 환경의 오염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시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 미세먼지(PM10),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과 같이 도심의 터널에서 나온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터널 환기방식의 문제점은 더욱 명확해진다. 또한, 산악터널의 경우에 터널 주변이 국립공원과 같은 환경 보전 지역이거나 휴양지, 경작지 등과 같은 곳인 경우에도 터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폐해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강화되는 추세인 대기 환경법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일반 대중이나 정부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차량 배기 가스에 의하여 생성되는 질소 화합물의 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종래의 환기방식에 의한 터널 내부의 공기정화는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원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터널 내부의 오염물질인 미세먼지(PM10),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오존과 같은 유해물질을 터널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정화시킴으로써 유해물질이 터널의 주변환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한 공 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원발명은 메인터널 내부 공기의 오염상태에 따라 공기정화방식을 제어함으로써, 필터와 집진장치의 수명 향상 및 전력절감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터널과 연통되어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패스 터널; 상기 바이패스 터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 및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메인터널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팬;을 포함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통로;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활성 탄소가 배치되는 다수의 셀 베드; 상기 하부통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셀 베드가 배치되는 필터 베드; 상기 필터 베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필터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상부통로; 상기 상부통로의 집진장치측 일단에 형성되어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상기 상부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 차단벽; 및 상기 하부통로의 공기 흡입팬측 일단에 형성되어 하부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 차단벽; 을 포함하여,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하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활성 탄소를 거친 후,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상부통로를 통해 공기 흡입팬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 차단벽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ㅡ" 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반 타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메인터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터널 내의 공기 오염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흡입팬의 작동과 상기 후면 차단벽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가 NOX 가스 측정기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NOX 가스 및 공기의 탁도에 관한 소정의 기준값이 각각 입력되고, (a) 상기 NOX 가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 차단벽을 폐쇄하고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며, (b) 상기 NOX 가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탁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차단벽을 개방하고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며, (c) NOX 가스 측정기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각각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 화 시스템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도 1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따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바이패스 터널(100)은 차량이 운행하는 메인 터널(1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 및 공기 배출구(120)가 메인터널(10)과 각각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터널(10)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이패스 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정화된 후 공기 배출구(120)를 통해 다시 메인터널(10)로 보내지게 되며, 이후, 통상의 터널 환기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바이패스 터널(100) 공기 유입구(110)의 바로 인접한 하류에는 집진장치(130)가 배치된다. 집진장치(130)는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전기 집진기(131)와, 전기 집진기(131)의 인접한 상류 및 하류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130)의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전방 필터(132) 및 후방 필터(1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진장치(130)는 메인터널(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와 연기 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0.3 ~ 0.5㎛ 크기 입자들의 약 90% 이상을 제거하게 된다.
후방 필터(133)의 하류에는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140)가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140)의 확대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140)는 바이패스 터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정화장치(140)의 하부에는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통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정화장치(140)의 상부에는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베드(filter bed)(1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필터 베드(142)는 다수의 직사각형 셀 베드(cell bed)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셀 베드(146)에는 활성 탄소가 채워지게 되며,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가 하부 통로(141)를 통해 셀 베드(146)에 배치된 활성 탄소를 지나게 되면, 활성 탄소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NOX 가스가 질소와 산소로 분해되게 된다. 실험 결과 약 90%의 NOX 가스가 제거되었으며, 또한, 활성 탄소 필터에 의하여 약 60%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특히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의 경우에는 75% 수준까지 제거되었고, 오존의 경우에는 100% 수준까지 제거가 가능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터 베드(142)는 공기정화장치(140)의 상부면을 따라 바이패스 터널(10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그 단면이 "ㅡ" 자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필터 베드(142) 상에 셀 베드(146)가 2열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참조). 따라서, 공기정화장치(14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활성 탄소 필터가 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시간당 공기정화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베드(142)의 단면을 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사다리꼴을 이루는 각각의 면에 셀 베드(146)가 위치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동일한 공기정화장치에 비하여 활성 탄소 필터가 배치되는 표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어 더욱 우수한 공기정화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가 배치되는 표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하기 위하여, 필터 베드(142)의 단면이 반 타원형 형태가 되도록 다수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각각의 면에 셀 베드(146)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공기정화장치(140)의 필터 베드(142)와 바이패스 터널(100)의 상부면 사이에는 필터를 지난 공기가 유동하는 상부통로(1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통로는 공기정화장치(140)의 단면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상부통로(145)의 집진장치(130)측 일단에는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가 공기정화장치(140)의 하부통로(141)로만 유입되고, 상부통로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면 차단벽(1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통로(141)의 타단부(후술하는 공기 흡입팬(150)측 단부)에는 집진장치(130)를 거쳐 하부통로(141)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장치(140)의 필터를 통하지 않고 곧장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 차단벽(144)이 설치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는 공기정화장치(140)의 하부통로(141)로 유입되어 셀 베드(146)에 배치된 활성 탄 소 필터를 통해 상부통로(145)로 배출되게 된다(도 5 및 도 7의 화살표).
여기서, 상기 후면차단벽(144)은 적절한 제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일종의 댐퍼로서도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차단벽(144)을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활성 탄소 필터를 통과시키지 않아도 될 정도로 공기의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 후면 차단벽(140)을 개방시킴으로써 하부통로(141)로 유입된 공기가 활성 탄소 필터를 거치지 않고 곧장 공기 흡입팬(150)으로 빨려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 탄소 필터가 사용됨으로써, 활성 탄소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공기정화장치(140)의 하류에는 메인터널(10)로부터 바이패스터널(100)로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팬(150)이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바이패스터널(100)에 의해 메인터널(10) 내부의 공기가 정화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기 흡입팬(150)의 작동에 의해 메인터널(10) 내부의 공기가 바이패스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바이패스터널(100) 내부로 빨려들어 오게 된다. 이때, 터널 안의 공기는 미세먼지(PM10),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질소 산화물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전기 집진기(130) 및 전방 필터(132), 후방 필터(133)로 이루어진 집진장치(130)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미세먼지(PM10)가 집진장치(130)에 흡착되어 1차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집진장치(130)에 의해 미세먼지(PM10)가 걸러진 공기는 공기정화장치(140)로 유입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140)의 하부터널(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면 차단벽(143)에 의해 차단되므로, 오직 하부터널(141)을 통해서만 유입되게 된다.
하부터널(141)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터널(141)의 공기흡입팬(150)측 일단이 후면 차단벽(144)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계속되는 공기흡입팬(150)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공기정화장치(140)의 상부면에 형성된 필터베드(142)에 위치하는 활성 탄소 필터를 거치게 된다. 활성 탄소 필터를 거치면서 활성 탄소의 촉매작용과 흡착작용 등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질소 산화물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이 제거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집진장치(130) 및 공기정화장치(140)를 거치면서 정화된 공기는 공기정화장치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공기흡입팬(150)의 흡입작용에 의해 다시 메인터널(10)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원발명에 따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터널에 NOX 가스 측정기나 공기의 탁도 측정기와 같은 공기의 오염상태 측정기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얻은 값에 기초하여 적절한 제어시스템을 통해 바이패스터널(1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메인터널(10) 내의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 및 공 기 배출구(120)에 인접하는 메인터널(10)에 각각 NOX 가스 측정기(160)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170)를 설치하며, 바이패스터널(100)에 제어부(18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NOX 가스 측정기(160)나 공기의 탁도 측정기(170) 및 제어부(180)는 도 2에서의 위치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으며, 메인터널(10)이나 바이패스터널(100)의 여타 적당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OX 가스 측정기(160)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170)는 각각 메인터널(10) 내의 NOX 가스량 및 미세먼지에 의한 탁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값은 제어부(180)로 전송되고, 제어부(180)에서는 측정된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 바이패스터널에 의한 공기정화를 개시하게 된다.
바이패스터널(100)에서의 공기정화 제어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즉,
(1)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이 경우는 NOX 가스 측정기(160)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170)에서 측정된 값이 모두 기준값보다 적어 메인터널(10) 내의 공기를 정화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로서, 메인터널(10) 내의 공기는 통상의 방식으로 환기되게 된다.
(2) 공기 흡입팬이 작동되고 공기정화장치의 후면 차단벽이 개방되는 경우
이는 NOX 가스 측정기(160)에서 측정된 값은 기준값보다 적으나 공기의 탁도 측정기(170)에서 측정된 값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이때는 메인터널(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장치(130)를 거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PM19)만을 제거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140)의 후면차단벽(144)을 개방시켜 집진장치(130)를 거친 공기가 활성 탄소 필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3) 공기 흡입팬이 작동되고 공기정화장치의 후면 차단벽이 폐쇄되는 경우
NOX 가스 측정기(160)에서 측정된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메인터널(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장치(130)를 거친 후 공기정화장치(140)를 통과하게 하여 기준값 이하의 수준으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터널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별도의 바이패스 터널을 설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 메인터널 내의 공기를 단순히 환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기 내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유해물질이 터널의 주변환경으로 배출되지 않아 대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2) 공기정화장치를 바이패스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우수한 공기정화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메인터널 내부 공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바이패스터널의 작동 방식을 제어함으로써 필터나 집진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삭제
  2. 메인 터널과 연통되어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패스 터널;
    상기 바이패스 터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터널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 및
    상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서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하류에 설치되어 메인터널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팬;
    을 포함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통로;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활성 탄소가 배치되는 다수의 셀 베드; 상기 하부통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셀 베드가 배치되는 필터 베드; 상기 필터 베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필터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상부통로; 상기 상부통로의 집진장치측 일단에 형성되어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상기 상부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 차단벽; 및 상기 하부통로의 공기 흡입팬측 일단에 형성되어 하부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 차단벽; 을 포함하여,
    상기 집진장치를 거친 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하부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활성 탄소를 거친 후,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상부통로를 통해 공기 흡입팬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차단벽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ㅡ" 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베드의 단면이 반 타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메인터널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터널 내의 공기 오염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
    바이패스 터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흡입팬의 작동과 상기 후면 차단벽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오염상태 측정기가 NOX 가스 측정기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NOX 가스 및 공기의 탁도에 관한 소정의 기준값이 각각 입력 되고,
    (a) 상기 NOX 가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 차단벽을 폐쇄하고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며,
    (b) 상기 NOX 가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탁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차단벽을 개방하고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며,
    (c) NOX 가스 측정기 및 공기의 탁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값이 각각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 흡입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KR1020050074863A 2005-08-16 2005-08-16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KR10069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63A KR100697305B1 (ko) 2005-08-16 2005-08-16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63A KR100697305B1 (ko) 2005-08-16 2005-08-16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37U Division KR200400469Y1 (ko) 2005-08-17 2005-08-17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86A KR20070020686A (ko) 2007-02-22
KR100697305B1 true KR100697305B1 (ko) 2007-03-23

Family

ID=4156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863A KR100697305B1 (ko) 2005-08-16 2005-08-16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7B1 (ko) * 2009-03-10 2009-08-19 주식회사 리트코 루프형 고유속 터널 공기 정화 장치
AT512656B1 (de) * 2012-07-17 2013-10-15 Thomas Dr Tschind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instaubreduktion in Ballungsgebie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381A (ja) * 1992-02-28 1993-09-1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JPH08215608A (ja) * 1995-02-17 1996-08-27 Fuji Electric Co Ltd トンネル用電気集じん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2339700A (ja) 2001-05-11 2002-11-27 Hino Motors Ltd トンネル内の集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381A (ja) * 1992-02-28 1993-09-1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JPH08215608A (ja) * 1995-02-17 1996-08-27 Fuji Electric Co Ltd トンネル用電気集じん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2339700A (ja) 2001-05-11 2002-11-27 Hino Motors Ltd トンネル内の集塵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2373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686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103B1 (ko)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508661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284893B1 (ko) 지하철 객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1965067B1 (ko) 오염농도를 조절하여 집진하는 터널출구 설치형 터널 집진 장치
KR101752180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
KR102416087B1 (ko) 흡입팬을 구비한 더스트박스 연계형 철도 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시스템
KR101800630B1 (ko) 터널 내부의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
KR101046939B1 (ko) 지하철 공기 정화장치
KR100697305B1 (ko)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CN202191819U (zh) 基于除尘和常温吸附为一体的隧道废气净化装置
CN201164785Y (zh) 城镇街道空气净化装置
KR200400469Y1 (ko)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
JP2008231731A (ja) トンネル換気制御装置
JP2005314972A (ja) トンネル坑内空気浄化装置及び坑内空気換気方法
KR101533730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구조물
KR102208241B1 (ko) 지하 터널 공간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고효율 집진 장치
JP5104552B2 (ja) 脱硝装置
KR102037998B1 (ko) 윈드 디플렉터 타입 공기정화 장치
CN206082044U (zh) 一种用于智慧城市枢纽终端的道路空气净化装置
JP3990180B2 (ja) 浮遊粒子状物質捕集装置
KR20140087354A (ko) 대기정화장치
KR20210133658A (ko) 대기 정화장치
CN205779143U (zh) 有害气体净化器
CN206478764U (zh) 一种高效过滤环保型空气净化器
JP2001090498A (ja) 道路トンネルの換気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