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464B1 -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 Google Patents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464B1
KR101280464B1 KR1020110026797A KR20110026797A KR101280464B1 KR 101280464 B1 KR101280464 B1 KR 101280464B1 KR 1020110026797 A KR1020110026797 A KR 1020110026797A KR 20110026797 A KR20110026797 A KR 20110026797A KR 101280464 B1 KR101280464 B1 KR 10128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structure
lifting device
lifting
hul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645A (ko
Inventor
박진용
김지운
이상진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4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Abstract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선체에 설치되는 타워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워구조물에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로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워구조물 탑재방법{METHOD for MOUNTING TOWER STRUCTURE}
본 발명은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다양한 타워구조물이 설치된다.
특히,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과 같은 대형 선박에는 플레어 타워(flare tower)와 같은 높이가 높은 타워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대형 타워구조물은 제작의 편의를 위해 먼저 지면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제작되며, 이렇게 제작된 타워구조물은 선박에 탑재되기 전에 지면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수평상태의 타워구조물을 수직하게 세우기 위해서, 종래에는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을 여러 대 동원하여 타워구조물을 세우거나 서비스 타워(service tower)를 추가로 설치하여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RMS puch-up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타워구조물을 선박에 탑재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으로서 실제로 선박에 탑재 시에는 해상크레인(floating crane) 등을 동원하여 타워구조물을 탑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탑재 사전 준비 작업과 본 탑재 작업으로 작업공정이 복잡하다. 특히, 탑재 사전 준비 작업에서는 서비스 타워 설치 등의 추가 작업이 발생하며, 수직으로 세워진 타워구조물을 해상크레인이 인양할 때까지 상기 타워구조물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추가로 발생한다.
또한, 본 탑재 작업에서는 해상크레인의 와이어를 타워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해 높은 위치에 인력이 배치되어 와이어 체결작업을 해야 하는 등 위험한 작업이 많았다.
따라서, 종래의 이원화된 작업을 일원화할 수 있으며 사전 준비 작업으로 인한 업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이원화된 작업을 일원화할 수 있으며 사전 준비 작업으로 인한 업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는 타워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워구조물에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로 인양하는 단계; 및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타워구조물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서로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인양장치는, 해상 크레인(floating cr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는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인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 중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를 상기 타워구조물의 무게중심 윗부분에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 중 길이가 긴 인양와이어를 상기 타워구조물의 무게중심 아랫부분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에 보조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를 이동대차에 힌지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에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워구조물과 상기 제1 힌지부 간의 힌지결합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워구조물이 설치될 상기 선체에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를 상기 제2 힌지부에 힌지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워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및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이원화된 작업을 일원화함으로써, 탑재 사전 준비 작업으로 인한 업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타워구조물에 해상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 높은 위치에 인력이 배치해야 하는 와이어 체결작업 등 위험한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해상크레인의 인양와이어와 크롤러 크레인의 인양와이어가 타워구조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타워구조물을 선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해상크레인의 인양와이어와 크롤러 크레인의 인양와이어가 타워구조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주 인양장치(20) 및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22, 32) 각각이 타워구조물(10)에 체결된 상태를 타워구조물(10)의 단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주 인양장치(20) 및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22, 32) 각각이 타워구조물(10)에 체결된 상태를 타워구조물(10)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선체에 설치되는 타워구조물(10)을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워구조물(10)에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체결하는 단계(S100); 상기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단계(S200); 상기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10)을 상기 선체로 인양하는 단계(S300); 및 상기 타워구조물(10)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타워구조물(10)에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체결할 수 있다(S100).
타워구조물(10)은, 예를 들어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와 같은 특수선박에 설치되는 플레어 타워(flare tower)와 같은 대형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타워구조물(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단위블록(12)을 서로 적층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단위체인 타워구조물(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타워구조물(10)을 작업현장에 제공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타워구조물(10)에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체결하는 단계(S100) 이전에, 복수의 단위블록(12)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서로 조립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워구조물(10)은 복수의 단위블록(12)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서로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주 인양장치(20)의 형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타워크레인과 같은 다양한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인양와이어(22a, 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체결하는 단계(S100)는,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22a, 22b) 중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22a)를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윗부분에 체결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22a, 22b) 중 길이가 긴 인양와이어(22b)를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아랫부분에 체결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22a, 22b) 중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22a)를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윗부분에 체결하는 단계(S11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을 인양 시 상기 타워구조물(10)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22a)를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윗부분에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워구조물(10) 인양 시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22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하중이 실리게 된다.
반면에, 타워구조물(10) 인양 시 길이가 긴 인양와이어(22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질 때까지(즉, 상기 두 인양와이어(22a, 22b)에 동일한 하중이 걸릴 때까지) 하중이 실리지 않는 무하중 상태가 유지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윗부분이라 함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단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타워구조물(10)의 무게중심 아랫부분이라 함은 그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하단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타워구조물(10)에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체결하는 단계(S100)에 더하여, 타워구조물(10)에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를 체결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인양장치(30)는, 타워구조물(10)을 세울 때, 주 인양장치(20)에 의해 지지되는 타워구조물(10)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거나 뒤집혀서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이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경우, 한 쌍의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a, 32b) 각각이 타워구조물(10) 하단부의 삼각형 밑변에 각각 체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보조 인양장치(30)의 형태로는, 크롤러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타워크레인과 같은 다양한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보조 인양장치(3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변형예로서 이동대차(4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구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이동대차(40)의 형태로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모듈 카(module car)와 같은 다양한 이동대차(40)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를 이동대차(40)에 힌지결합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대차(40)의 상측에는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부(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와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를 이동대차(40)에 힌지결합시킴으로써, 아래 후술하게 될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단계(S200)에서 타워구조물(10)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거나 뒤집히는 현상 없이, 제1 힌지부(4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워구조물(10)을 이동대차(40)에 대해 힌지 회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타워구조물(10)을 세울 수 있다(S200).
여기서,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타워구조물(10)을 세운다는 것은,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감아서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것뿐만 아니라, 주 인양장치(20)의 팔(24)의 각도를 조절하여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도 4의 경우는 60도)로 세워질 때까지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22a)에 타워구조물(10)의 전체하중이 실리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진 이후에는, 길이가 긴 인양와이어(22b)에도 타워구조물(10)의 하중이 분산되어 실리게 된다.
또한, 타워구조물(10) 하단부에 각각 체결된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a, 32b)는, 타워구조물(10)이 세워지는 동안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타워구조물(10)이 좌우로 흔들리거나 뒤집히지 않도록 그 하단부 양측의 균형을 잡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단계(S200) 이후에,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를 해체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타워구조물(10)에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를 체결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타워구조물(10)을 세워서 선체 측으로 옮기기 전에 타워구조물(10)에 체결되어 있는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를 해체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타워구조물(10)을 세우는 단계(S200) 이후에, 타워구조물(10)과 제1 힌지부(42) 간의 힌지결합을 해체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를 이동대차(40)에 힌지결합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타워구조물(10)을 세워서 선체 측으로 옮기기 전에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이동대차(40)의 제1 힌지부(42)를 해체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보조 인양장치(30)의 인양와이어(32)를 해체(S210)하거나 타워구조물(10)과 제1 힌지부(42) 간의 힌지결합을 해체한(S220) 다음에는,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타워구조물(10)을 선체로 인양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주 인양장치(20)를 이용하여 타워구조물(10)을 선체로 인양한다는 것은,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를 감아서 타워구조물(10)을 인양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 인양장치(20)의 팔(24)의 각도를 조절하여 타워구조물(10)을 인양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주 인양장치(20)의 인양와이어(22a, 22b) 각각에는 동일한 하중이 걸리게 되며, 이렇게 인양된 타워구조물(10)은 상기 타워구조물(10)이 설치될 선체(1)로 옮겨지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타워구조물(10)을 선체(1)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렇게 선체(1)로 옮겨진 다음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0)을 상기 선체(1)에 설치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1)에 설치하는 단계(S400)는,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를 제2 힌지부(52)에 힌지결합하는 단계(S410); 상기 제2 힌지부(5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워구조물(10)을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S420); 및 상기 타워구조물(10)을 상기 선체(1)에 고정하는 단계(S4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 인양장치(20)에 의해 선체(1)로 인양된 타워구조물(10)은,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직한 상태가 아닌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이를 선체(1) 위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타워구조물(10)이 설치될 선체(1)에는,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힌지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부(52)는, 도 7에 도시된 제1 힌지부(42)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장치로서,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된다.
타워구조물(10)의 하단부를 제2 힌지부(52)에 힌지결합시킴으로써,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워구조물(10)을 제2 힌지부(52)에 대해 힌지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힌지 회동된 타워구조물(10)을 선체(1)에 대해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이렇게 타워구조물(10)을 제2 힌지부(52)를 힌지축으로 하여 선체(1)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다음에는,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타워구조물(10)의 나머지 쪽을 선체(1)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은, 종래의 이원화된 작업을 일원화함으로써, 탑재 사전 준비 작업으로 인한 업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타워구조물 탑재방법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타워구조물에 해상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 높은 위치에 인력이 배치해야 하는 와이어 체결작업 등 위험한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선체 10 : 타워구조물
12 : 단위블록 20 : 주 인양장치
22 : 인양와이어 30 : 보조 인양장치
32 : 인양와이어 40 : 이동대차
42 : 제1 힌지부 52 : 제2 힌지부

Claims (9)

  1. 선체에 설치되는 타워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워구조물에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로 인양하는 단계;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를 이동대차에 힌지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에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구조물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서로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인양장치는,
    해상 크레인(floating cra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는,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인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 중 길이가 짧은 인양와이어를 상기 타워구조물의 무게중심 윗부분에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인양와이어 중 길이가 긴 인양와이어를 상기 타워구조물의 무게중심 아랫부분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에 보조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워구조물과 상기 제1 힌지부 간의 힌지결합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9. 선체에 설치되는 타워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워구조물에 주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세우는 단계;
    상기 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로 인양하는 단계;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구조물이 설치될 상기 선체에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타워구조물의 하단부를 상기 제2 힌지부에 힌지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2 힌지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워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및
    상기 타워구조물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KR1020110026797A 2011-03-25 2011-03-25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KR10128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797A KR101280464B1 (ko) 2011-03-25 2011-03-25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797A KR101280464B1 (ko) 2011-03-25 2011-03-25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645A KR20120108645A (ko) 2012-10-05
KR101280464B1 true KR101280464B1 (ko) 2013-07-01

Family

ID=4728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797A KR101280464B1 (ko) 2011-03-25 2011-03-25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800A (en) 1973-10-10 1978-08-29 Bj-Hughes Inc. Multi-stage well-drilling mast assembly
JPH09104390A (ja) * 1995-10-12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砂杭打船用起倒式シヤース装置
KR20100004897A (ko) * 2009-09-11 2010-01-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접철식 데릭 구조
KR20120019175A (ko) * 2010-08-25 2012-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800A (en) 1973-10-10 1978-08-29 Bj-Hughes Inc. Multi-stage well-drilling mast assembly
JPH09104390A (ja) * 1995-10-12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砂杭打船用起倒式シヤース装置
KR20100004897A (ko) * 2009-09-11 2010-01-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접철식 데릭 구조
KR20120019175A (ko) * 2010-08-25 2012-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타워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645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2940B2 (ja) 橋梁の架設装置ならびに床版の架設方法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CN102259800B (zh) 格构式桅杆起重机和格构式桅杆吊杆
KR20060105938A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CN202031029U (zh) 一种跨拱肋龙门吊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CN107531464A (zh) 起重机塔
KR101280464B1 (ko) 타워구조물 탑재방법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CN2775020Y (zh) 一种起重机小车
KR102452419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05220609A (zh) 组合梁自锚式悬索桥及其施工工艺
CN218665330U (zh) 一种利用缆索吊协助拱肋翻身的运梁装置
KR102452414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04525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404526B1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528987B1 (ko)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CN117513764B (zh) 安装位置低于滑移轨道的滑移方法
CN214783346U (zh) 主梁的配重式安装系统
JP7142584B2 (ja) 起倒式マスト構造物
CN217296917U (zh) 超长抬吊式框式吊具
CN110848089B (zh) 安装治具、安装塔筒附件和塔筒设备的方法
CN208150829U (zh) 一种内爬承重梁倒运装置
JP2023544813A (ja) Lng貨物倉の断熱作業用の足場構造物並びに足場構造物の設置方法及び解体方法
KR20220059597A (ko)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의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해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