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304B1 -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304B1
KR101280304B1 KR1020100101870A KR20100101870A KR101280304B1 KR 101280304 B1 KR101280304 B1 KR 101280304B1 KR 1020100101870 A KR1020100101870 A KR 1020100101870A KR 20100101870 A KR20100101870 A KR 20100101870A KR 101280304 B1 KR101280304 B1 KR 10128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mold
continuum
electronics hous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492A (ko
Inventor
박지권
최진환
박강열
김준명
이재원
임윤숙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80,68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59259A1/en
Priority to CN201010616524.5A priority patent/CN102118929B/zh
Publication of KR2011007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8Copolymers of styrene, e.g. AS or SAN, i.e. acrylonitrile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전자기기 하우징(housing)용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연속체를 제조하는 압출성형 단계, 및 상기 연속체를 진공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성형품을 제조하는 진공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Molded Article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갖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외장재로서 TV가 탄생한 때부터 목재가 사용되었고, 1960년대에 들어와서는 플라스틱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 플라스틱은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 LCD, LED TV가 등장하면서 TV 자체의 크기는 크지만 두께는 얇은 디자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는 2 mm 이하이지만 크기는 대형인 외장재를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할 경우에, 수지 특유의 유동성으로 인해 성형이 불가능해지며, 웰드(weld) 및 플로우 마크(flow mark) 등으로 인해 외관이 매우 불량해져서, 결과적으로 외장재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2 mm 이하의 TV 외장재로서 철판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 철판 자체의 무게로 인해 TV 자체가 무거워지게 되고, 색깔 구현을 위해 철판에 코팅하는 공정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비싸지게 되며, 철판 특유의 강성으로 인해 디자인 구현에 한계를 가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서도 두께가 2 mm 이하이며 외관이 양호하고 동시에 비중이 낮으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서도 두께가 2 mm 이하이며 외관이 양호하고 동시에 비중이 낮으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전자기기 하우징(housing)용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넓이/두께가 300,000 내지 1,500,000 mm이고 굴곡을 포함하는 판상의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넓이/두께가 500,000 내지 1,500,000 mm이고 굴곡을 포함하는 판상의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단층 또는 다층을 갖도록 압출성형된 평판을 진공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굴곡 모듈러스는 1.8 내지 20 GPa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연속체를 제조하는 압출성형 단계, 및 상기 연속체를 진공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성형품을 제조하는 진공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서 공압출성형법을 적용하여 다층을 갖는 연속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서 상기 연속체는 평판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평판의 표면에 압출성형시 사용되는 금형의 형태를 변형하여 리브(rib)를 부가하거나, 롤러의 표면을 이용하여 엠보싱(embossing)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진공성형 단계에서 상기 연속체를 가열하여 연화시킨 뒤 구멍이 다수 뚫린 금형 위에 고정시킨 뒤, 상기 구멍을 통하여 금형 내부의 공기를 급속 배출시켜 내부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성형품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펀칭(punching) 공정을 통해 상기 진공성형 단계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에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전자기기 하우징 용도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도 1은 압출성형 공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진공성형 공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55" TV용 백 커버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전자기기 하우징(housing)용 성형품을 제공한다.
한편, 전자기기 하우징과 같은 내장재 또는 외장재는 제품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감싸는 것으로 외관이 수려해야하고 내부 제품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충격강도를 갖고 있어야 하며 제품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굴곡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상기 물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낮은 비중으로 제품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
일반적으로 2 mm 이하의 두께에서 전자기기 하우징으로서의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굴곡 모듈러스가 1.8 G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0 GPa이 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이 굴곡 모듈러스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얇은 두께와 매우 넓은 면적을 갖는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상기 필름 형상으로 압출성형한 뒤 진공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압출성형법을 적용하여 단층의 평판으로 성형하거나, 공압출성형법을 적용하여 다층의 평판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넓이/두께가 300,000 내지 1,500,000 mm, 바람직하게 500,000 내지 1,500,000 mm인 필름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전자기기 하우징의 용도로 적합하다.
전자기기 하우징 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최적의 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굴곡 모듈러스는 1.8 내지 20 G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에 사용되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수지의 전형적인 예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이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에스테르,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충격보강 폴리스티렌(HIPS: high impact polystylene)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polyolefins)의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밀도 폴리에틸렌(UHDPE) 등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탄,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SAN),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AS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물성의 요구 조건에 따라 무기 충진제, 무기 섬유, 난연제, 열안정제, 이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정전기 방지제, 항균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적절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특히 LED, LCD, PDP 등의 평판 TV, 모니터, 노트북, 오락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하우징용으로 적합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하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연속체를 제조하는 압출성형 단계, 및 상기 연속체를 진공성형하는 방법에 의하여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인 성형품을 제조하는 진공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압출성형법은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금형으로부터 밀어내어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하는 성형법으로, 이 성형법으로서 공지된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법에 사용되는 압출기로는 스크루의 개수에 따라 단축식, 2축식, 3축식이 있으나, 생산성과 원료의 혼련성을 고려하여 2축식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도 1은 압출성형 공정에 관한 모식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압출성형 공정은 압출기(1), 금형(2), 롤러(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속체의 형태는 후 공정인 진공성형 공정 및 펀칭 공정(선택적)을 위해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평판의 표면에 금형의 형태를 변형하여 리브(rib)를 부가하거나, 롤러의 표면을 이용하여 엠보싱(embossing)을 부가할 수 있다.
한편, 압출성형법에서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공정 온도, 스크류 속도, 인취 속도 등의 공정 조건들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다층의 압출성형을 위해 공압출성형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공압출성형법은 원료들을 동시에 압출기의 금형으로 보내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공압출성형법은 각각의 중합체 피드 스트림(feed stream)을 압출기의 금형에 도입하여 각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말하며, 여기서 상기 각 층은 두께로 구별될 수 있다. 공압출성형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평면 구조로 성형하는 것이 선호되며,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층이 인터페이스(interface)에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혼합된 중합체들이 분리된 층들이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또한, 공압출성형법에서 서로 다른 중합체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중합체 피드 스트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서로 다른 중합체라 함은, 서로 다른 화학적 성질을 갖는 중합체 또는 화학적 성질은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중합체를 말한다. 그 예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나 HDPE와 LDPE가 2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공압출성형법에서도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공정 온도, 스크류 속도, 인취 속도 등의 공정 조건들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의 넓이/두께는 300,000 내지 1,500,000 mm, 바람직하게 500,000 내지 1,500,000 mm이다. 상기 성형품이 상기 범위 내로 제조되는 경우에, 전자기기 하우징의 용도에 적합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평판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전자기기 하우징의 용도에 적합해질 수 있다.
상기 진공성형법은 압출성형 단계에 의해서 제조된 중합체 평판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대기압을 이용하여 변형시켜, 금형의 형태에 맞게 성형하는 방법이다.
도 2는 진공성형 공정에 관한 모식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진공성형 공정은 진공성형 금형(1), 중합체 평판(2), 가열기(3)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진공성형 공정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합체 평판(2)을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이 연화된 평판을 구멍이 다수 뚫린 진공성형 금형(1) 위에 고정시키고, 상기 금형 또는 평판을 이동시켜 이들 사이를 밀폐시키고, 그리고 상기 구멍으로 금형 내부의 공기를 급속 배출시킴으로써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켜 외부의 대기압을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한다. 
중합체의 종류 및 금형의 형태에 따라 가열 온도, 가열 시간, 흡기 압력 등의 공정 조건들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 의해 제조된 연속체를 80 내지 220 ℃로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상기 금형의 내부압력이 10 내지 1000 Pa이 되도록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금형 내부와 금형 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속체의 형태를 금형의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홀(hole)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제조 방법은 진공성형 후에 추가적으로 펀칭(punching) 공정을 통해 상기 진공성형 단계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9에 대하여, 표 1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 및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55" TV용 백 커버(Back Cover)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0-11에 대하여, 표 1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 및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40" TV용 백 커버를 제조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55" TV용 백 커버를 촬영한 사진이다.
비교실시예 1-2에 대하여, 표 2에 기재된 철판(SUS 304) 및 코팅 프레싱 공정을 이용하여 55" TV용 백 커버를 제조하였으며, 비교실시예 3-5에 대하여, 표 2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 및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55" TV용 백 커버를 제조하였다.
또한, 외장재로서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께, 겉보기 비중, 굴곡 모듈러스, 외관, 광택 및 낙구 충격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A) 두께 : 외장재의 중심부에서 10 cm 떨어진 다섯 점을 선택하여 외부면과 내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값들의 평균치로 계산하였다.
B) 겉보기 비중 : ASTM D1985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외장재의 중심부에서 10 cm 떨어진 다섯 점을 선택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이들의 측정값의 평균치로 계산하였다.
C) 굴곡 모듈러스 : ASTM D790에 준하여 기저층에 대하여 측정하였으며 3개 측정값의 평균치로 계산하였다.
D) 외관 : 외장재의 외부면을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외관 평가시 weld line, flow mark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E) 광택 : ASTM D523에 준하여 60도에서 측정하였다.
F) 낙구 충격 : 외장재 성형품을 바닥에 내려놓은 뒤 지상으로부터 1 m 높이에서 3 kg의 구를 떨어뜨려 성형품이 깨지는지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외장재
구성 물질
base ABS ABS ABS HDPE/GF PC/ABS PC/ABS PC/ABS PC PC PC PC
skin   PMMA PET PMMA   PMMA PC   PMMA   PMMA
성형방법 압출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공압출
성형
진공성형
두께(mm) 1.3 1.7 1.6 1.8 1.2 1.5 1.6 1.2 1.5 1.2 1.5
넓이/두께(mm) 790,000 600,000 640,000 570,000 900,000 720,000 676,000 900,000 720,000 490,000 390,000
겉보기 비중
(g/ml)
1.04 1.06 1.08 1.31 1.10 1.13 1.14 1.20 1.18 1.20 1.18
굴곡 모듈러스
(GPa)
2 2 2 3.2 2.1 2.1 2.1 2.3 2.3 2.3 2.3
외관(개) 0 0 0 0 0 0 0 0 0 0 0
광택(60도) 92 99 97 99 90 99 94 92 99 92 99
낙구 충격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비교실시예
1 2 3 4 5
외장재
구성물질
base 철판 철판 ABS PC/ABS PC/ABS
skin          
성형방법 코팅
프레싱
광택코팅
프레싱
1.5mm
금형사출
1.5mm
금형사출
3mm
금형사출
두께(mm) 0.6 0.6 1.6 1.6 3.1
넓이/두께(mm) 180,000 180,000 676,000 676,000 350,000
겉보기 비중
(g/ml)
7.83 7.83 1.04 1.10 1.10
굴곡 모듈러스
(GPa)
170 170 2 2.1 2.1
외관(개) 0 0 15 17 0
광택(60도) 67 95 91 90 94
낙구 충격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깨짐없음
실시예 1-11을 보면,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한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시예 1-2를 보면, 철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두께는 0.6 mm 이지만 실시예에 비해 비중이 높아져서 전체 무게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실시예 3-5를 보면, 사출공정만으로는 1.5 mm의 성형품 제작시 외관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실시예 5를 보면, 사출공정만으로 외관이 양호해지기 위해서는 성형품이 3 mm의 두께로 제조되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9)

  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SAN),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AS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되고,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이며,
    넓이/두께가 300,000 내지 1,500,000 mm이고, 굴곡 모듈러스가 1.8 내지 20 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넓이/두께가 500,000 내지 1,500,000 mm이고 굴곡을 포함하는 판상의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은 단층 또는 다층을 갖도록 압출성형된 평판을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가 무기 충진제, 무기 섬유, 난연제, 열안정제, 이형제, 분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정전기 방지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평판 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1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연속체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제조된 연속체를 진공성형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제조방법으로,
    상기 성형품은 두께가 0.2 내지 2 mm이고, 겉보기 비중이 0.8 내지 2.5 g/ml이며, 넓이/두께가 300,000 내지 1,500,000 mm이고, 굴곡 모듈러스가 1.8 내지 20 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 다층의 연속체를 제조할 수 있는 공압출성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서 상기 연속체는 평판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서 상기 평판에 금형의 형태를 변형하여 리브를 부가하거나, 롤러의 표면을 이용하여 엠보싱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 단계가 상기 압출성형 단계에서 제조된 연속체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이 연화된 연속체를 구멍이 다수 뚫린 진공성형 금형 위에 고정시키고, 상기 금형또는 연속체를 이동시켜 금형과 연속체 사이를 밀폐시키고, 그리고 상기 구멍으로 금형 내부의 공기를 급속 배출시킴으로써,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 단계에서 상기 연속체를 80 내지 220 ℃로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 단계에서 상기 금형의 내부압력이 10 내지 1000 Pa이 되도록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금형 내부와 금형 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속체의 형태를 금형의 형태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펀칭 공정을 통해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의 제조방법.
  19. 제10항 내지 11항 및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KR1020100101870A 2009-12-31 2010-10-19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80,685 US20110159259A1 (en) 2009-12-31 2010-12-29 Molded Article for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201010616524.5A CN102118929B (zh) 2009-12-31 2010-12-30 用于电子装置外壳的模制品以及用于制备该模制品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5046 2009-12-31
KR1020090135046 2009-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92A KR20110079492A (ko) 2011-07-07
KR101280304B1 true KR101280304B1 (ko) 2013-07-01

Family

ID=4491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870A KR101280304B1 (ko) 2009-12-31 2010-10-19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497A (ko) * 2004-08-16 2006-05-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33440A (ko) * 2006-07-28 2009-04-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069B1 (ko) 2007-12-31 2009-06-23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497A (ko) * 2004-08-16 2006-05-1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33440A (ko) * 2006-07-28 2009-04-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069B1 (ko) 2007-12-31 2009-06-23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92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8929B (zh) 用于电子装置外壳的模制品以及用于制备该模制品的方法
KR930700590A (ko) 폴리프로필렌 폼 시이트
KR20150091461A (ko) 전자파 차폐재 및 전자파 차폐용 적층체
CN103391845A (zh) 具有卓越成型特性和光泽度的环保装饰板
KR101958883B1 (ko)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82997A1 (en) Composite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and composite doo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7849303B (zh) 聚(氯乙烯)基材及其制造方法
KR101280304B1 (ko) 전자기기 하우징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11230481A (ja) 樹脂成形体
KR101317569B1 (ko) 다중 공압출을 이용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EP1118453A1 (en) A process using single screw extruder for producing a three layer co-extrusio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synthetic paper of thickness 25-250um
CN104271349B (zh) 大尺寸聚苯乙烯面板
KR101590599B1 (ko) 트레이용 플라스틱 시트
KR101798468B1 (ko)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쉬판이 일체화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JP5159058B2 (ja) 加飾性多層共押出成形体
KR102014572B1 (ko)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pvc 타일
TW206186B (ko)
CN101618619B (zh) 热塑性聚酯和弹性体复合片材及其制备方法
JP2003236911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シート
KR101318403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이중발포체형 인너스킨재의 제조방법
JP2001071428A (ja) 自動車加飾用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9595B1 (ko) 목분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티-다이 압출제조방법
JPH11348104A (ja) フイルム一体化ブロー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ブロー成 形金型
KR20050096878A (ko) 가구 마감재의 제조 방법
CN117545632A (zh) 共挤出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