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984B1 - 접착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984B1
KR101279984B1 KR1020110019343A KR20110019343A KR101279984B1 KR 101279984 B1 KR101279984 B1 KR 101279984B1 KR 1020110019343 A KR1020110019343 A KR 1020110019343A KR 20110019343 A KR20110019343 A KR 20110019343A KR 101279984 B1 KR101279984 B1 KR 10127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opening
flow path
working fluid
clo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443A (ko
Inventor
정병영
전보원
Original Assignee
정병영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영,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filed Critical 정병영
Priority to KR102011001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9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B05C11/1028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05C5/0229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the valve being a gate valve or a sliding valv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로 입구 각각을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하고, 이 조절밸브들을 개방하여 접착제를 목적물에 공급할 때 콘트롤러와 작동유체 공급장치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개폐블록이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접착제의 선택적인 토출을 제어하는 접착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탱크(T)에서 공급된 접착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유로(11a)가 형성된 몸체(11); 상기 각 입구(11a-1)에 설치되어, 유로(11a)를 개폐하는 조절밸브(12); 상기 조절밸브(12)를 승강 가능하게 체결하는 덮개(13); 상기 각 유로(11a)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목적물로 토출되는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노즐(14); 상기 각 조절밸브(12)가 입구(11a-1)를 개방하여 접착제가 유로(11a)를 경유하여 노즐(14)로 토출될 때 유로(11a)와 연통되고 교차되는 수용공(11b)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유로(11a)를 개폐하여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하는 개폐블록(15); 상기 개폐블록(15)이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용공(11b)과 연통되게 몸체(11)에 형성된 통로(11c)에 작동유체를 공급 및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11b)에 위치한 개폐블록(15)을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유체 공급장치(16); 및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할 때 상기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착제 공급장치{Liquid glue feeder}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서 투입된 접착제를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배출시키는 접착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로 입구 각각을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하고, 이 조절밸브들을 개방하여 접착제를 목적물에 공급할 때 콘트롤러와 작동유체 공급장치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개폐블록이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접착제의 선택적인 토출을 제어하는 접착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핸드폰과 같은 전자제품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패널은 기본적으로 투명한 유리 패널 사이에 정보를 직접 나타내는 액정패널이 위치하고, 상기 액정패널 후방에는 액정의 정보가 육안으로 보일 수 있도록 빛을 제공하는 발광패널이 접합된다.
상기 액정패널과 발광패널은 자동화장치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어 제조과정에서 자동 접착제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접착제에 의해 서로 밀접하게 접착되어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제조된다.
도 1은 상기 접합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가진 목적물에 접착제를 자동 공급하는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의 개략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1)는 상,하플레이트(2)(3) 사이에 수납실(4)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실(4)과 연통된 상플레이트(2) 상부에 입구(2a)가 관통되며, 상기 입구(2a)에는 접착제를 공급하는 저장탱크(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납실(4)과 연통된 하플레이트(3)에는 복수 개의 유로(3a)가 관통되고, 상기 각 유로(3a) 단부에는 접착제 토출량을 조절하는 노즐(6)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1)는 입구(2a)를 폐쇄하고 있는 개폐부재(7)를 개방하면, 접착제는 개방된 입구(2a)를 통해 수납실(4)로 유입된 후 상기 각 유로(3a)를 경유하여 노즐(6)을 통해 목적물로 토출되고, 개폐부재(7)가 개방된 입구(2a)를 차단하면 접착제의 토출은 정지된다.
이러한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1)는 모든 유로(3a)가 수납실(4)과 연통되고, 상기 수납실(4)은 입구(2a)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결국 개폐부재(7)를 이용하여 입구(2a)를 개방하면 접착제가 모든 노즐(6)을 통해 토출되고 폐쇄하면 멈추는 구조이므로, 각 유로(3a)를 별도로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목적물이 노즐(6)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목적물과 대응하지 않은 여분의 유로(3a)는 접착제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노즐(6)을 제거한 후 별도의 밀폐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유로(3a) 출구를 폐쇄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되어 사용 중인 접착제 공급장치를 제거한 후 목적물의 면적에 맞는 새로운 접착제 공급장치를 장착하여 접착제를 공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제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로 입구 각각을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하고, 이 조절밸브들을 개방하여 접착제를 목적물에 공급할 때 콘트롤러와 작동유체 공급장치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개폐블록이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여 접착제의 선택적인 토출을 제어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는, 접착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접착제를 노즐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각 유로 입구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구를 개폐하거나 입구 개도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상기 몸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조절밸브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하는 덮개;
상기 각 유로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목적물로 토출되는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노즐;
상기 각 조절밸브가 유로의 입구를 개방하여 접착제가 유로를 경유하여 노즐로 토출될 때 유로와 연통되고 교차되는 수용공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유로를 개폐하여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하는 개폐블록;
상기 개폐블록이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용공과 연통되게 몸체에 형성된 통로에 작동유체를 공급 및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에 위치한 개폐블록을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유체 공급장치; 및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할 때 상기 개폐블록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착제가 통과하는 복수의 유로 입구를 조절밸브가 개폐하게 되므로 목적물의 면적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들을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목적물에 대응되는 유로만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목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조절밸브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접착제 공급 대상인 목적물의 크기에 맞게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목적물의 크기에 벗어난 유로 출구를 별도의 밀폐부재로 폐쇄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목적물의 면적에 따라 접착제 공급장치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및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블록이 유로를 폐쇄하여 접착제 공급을 차단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블록이 유로를 개방하여 접착제를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 상태에서 개폐블록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접착제 공급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개폐블록이 유로를 개방하여 접착제를 공급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개폐블록이 유로를 폐쇄하여 접착제 공급을 차단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접착제 공급장치(10)는 상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에서 공급된 접착제를 노즐(14)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유로(11a)가 형성된 몸체(11), 상기 각 유로(11a) 입구(11a-1)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구(11a-1)를 개폐하거나 입구(11a-1) 개도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2), 상기 몸체(11)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조절밸브(12)가 유로(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밸브(12)를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하는 덮개(13), 상기 각 유로(11a)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목적물로 토출되는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노즐(14), 상기 각 조절밸브(12)가 유로(11a)의 입구(11a-1)를 개방하여 접착제가 유로(11a)를 경유하여 노즐(14)로 토출될 때 유로(11a)와 연통되고 교차되는 수용공(11b)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유로(11a)를 개폐하여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하는 개폐블록(15), 상기 개폐블록(15)이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용공(11b)과 연통되게 몸체(11)에 형성된 통로(11c)에 작동유체를 공급 및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11b)에 위치한 개폐블록(15)을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유체 공급장치(16), 및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할 때 상기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7)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에는 접착제가 통과하는 유로(11a)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11a)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로(11a)의 입구(11a-1)들은 저장탱크(T)와 연통된 수납실(11a-2)과 연결된다. 따라서 조절밸브(12)가 개방되면 저장탱크(T)에서 공급된 접착제는 상기 수납실(11a-2) 및 유로(11a)를 경유하여 노즐(14)로 토출되어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몸체(11)에는 상기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수용공(11b)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11b)은 개폐블록(15)에 의해 유로(11a)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유로(11a)와 연통되고 교차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수용공(11b)은 몸체(11)에 형성할 때 드릴로 가공해야 하므로 양단부가 개방되는데, 상기 개방된 단부는 밀폐부재(18)를 이용하여 기밀,수밀 가능하게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부재(18)는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메꿈용 볼울트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상기 몸체(11)에는 상기 수용공(11b)에 수납된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작동유체 공급장치(16)에서 공급된 작동유체가 수용공(11b)에 공급 및 토출될 수 있도록 통로(11c)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11c)는 유로(11a)를 기준으로 수용공(11b) 양측에 형성되어 어느 일측은 공급통로(11c)가 되고, 타측은 토출통로(11c)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급통로(11c)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개폐블록(15)은 공급방향으로 이동하고, 토출통로(11c)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원위치로 복귀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유로(11a)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통로(11c)의 구조는 유,공압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통로(11c)는 드릴로 가공해야 하므로 개방된 단부는 밀폐부재(18)로 밀폐되어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절밸브(12)는 상기 유로(11a)와 대응되게 복수의 각 유로(11a) 입구(11a-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개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즉, 조절밸브(12)는 상기 덮개(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2a) 상부 헤드(12b)에는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체결홈(12b-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유로(11a) 입구(11a-1)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원추형상의 개폐부(12c)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밸브(12)는 상기 체결홈(12b-1)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덮개(13)에 체결된 나사부(12a)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되는데, 상승하면 개폐부(12c)가 상승하여 유로(11a)를 개방하게 되고, 하강하면 유로(11a)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 유로(11a) 입구(11a-1)에 체결된 조절밸브(12)는 개별적으로 조작되어 유로(1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또한 유로(11a) 입구(11a-1)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13)는 몸체(11)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조절밸브(12)를 장착하여 이 조절밸브(12)가 유로(11a) 입구(11a-1)에 장착되게 한다. 상기 덮개(13)는 상기 유로(11a)의 수납실(11a-2)을 덮어 보호한다. 상기 덮개(13)와 몸체(11)는 가스켓(미도시) 등으로 수밀가능하게 조립되어 접착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13)에는 접착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접착제가 수납실(11a-2)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실(11a-2)과 연통되게 별도의 유로(미도시)가 준비되어야 한다.
상기 노즐(14)은 유로(11a)의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토출되는 접착제 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접착제가 토출되는 구멍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노즐(14)이 유로(11a) 출구에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접착제 량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즐(14)이 유로(11a) 출구에 체결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즐(14)은 공지의 기술이기에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블록(15)은 상기 몸체(11)에 형성된 수용공(11b)에 수납되고 왕복이동하여 유로(11a)를 개방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실시예의 개폐블록(15)은 상기 수용공(11b)이 드릴로 가공되어 원형으로 구성됨을 감안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원통형의 개폐블록(15)은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횡방향 원주에 홈(15a)이 형성된다. 상기 홈(15a)은 개폐블록(15)이 작동유체 공급장치(16)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때 유로(11a)와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유로(11a)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폐블록(15)은 작동유체 공급장치(16)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홈(15a)이 유로(11a)와 일치될 때 접착제를 통과시켜 목적물에 토출되게 하고, 유로(11a)를 폐쇄할 때 접착제의 통과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개폐블록(15)은 원통형상의 수용공(11b)에 수납되어 왕복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하더라도 상기 홈(15a)이 유로(11a)와 일치될 때는 반드시 작동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폐블록(15)은 대략 중앙 부분에 외주연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연결부재(15b)가 형성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5b) 외측 둘레에 홈(15a)이 형성되는데, 이 홈(15a)은 유로(11a)와 일치되면 항상 개방되어 접착제를 흐르게 한다.
상기 개폐블록(15)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다.
상기 개폐블록(15)은 횡방향에 접착제가 통과하는 안내공(15c)이 관통되고, 상기 수용공(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평면(15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11b)은 상기 개폐블록(15)의 평면(15d)과 대응되게 평면부(11b-1)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개폐블록(15)은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의 제어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공(15c)이 유로(11a)와 일치되어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고,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공(15c)이 유로(11a)에서 벗어나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는 상기 개폐블록(15)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수용공(11b)과 연통된 통로(11c)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복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유체 공급장치(16)는 산업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된 기술이기에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작동유체는 공기 또는 액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공기압을 사용하여 개폐블록(15)을 왕복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트롤러(17)는 상기 개폐블록(15)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작동유체 공급장치(16)를 제어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접착제 공급대상인 목적물이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해서 노즐(14)에 공급되면, 콘트롤러(17)와 연결된 센서가 상기 공급된 각 목적물을 감지하고 이때마다 콘트롤러(17)는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를 일정한 시간동안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개폐블록(15)은 왕복이동을 수행하면서 콘트롤러(17)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유로(11a)를 개폐하여 공급되는 각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하게 된다.
즉, 개폐블록(15)이 이동하여 유로(11a)를 개방할 때 접착제를 노즐(14) 하부에 위치한 목적물에 공급하고, 그 목적물이 통과한 후 노즐(14) 하부에 다음 목적물이 이동할 때까지 개폐블록(15)이 유로(11a)를 폐쇄하게 되므로 접착제는 연속해서 공급되는 목적물에만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 유로(11a)에 대응되게 설치된 조절밸브(12)들을 조작하여 목적물의 면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로(11a)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 접착제 공급장치의 단점인 유로(11a)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접착제 공급장치 11 : 몸체
12 : 조절밸브 13 : 덮개
14 : 노즐 15 : 개폐블록
16 : 작동유체 공급장치 17 : 콘트롤러

Claims (5)

  1. 저장탱크(T)에서 공급된 액상의 접착제가 복수의 경로로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유로(11a)가 형성된 몸체(11);
    상기 각 유로(11a) 입구(11a-1)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로(11a) 개폐 및 유로(11a) 개도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2);
    상기 몸체(11)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조절밸브(12)가 유로(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밸브(12)를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하는 덮개(13);
    상기 각 유로(11a) 출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목적물로 토출되는 접착제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노즐(14);
    상기 각 조절밸브(12)가 유로(11a)의 입구(11a-1)를 개방하여 접착제가 유로(11a)를 경유하여 노즐(14)로 토출될 때 유로(11a)와 연통되고 교차되는 수용공(11b)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유로(11a)를 개폐하여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하는 개폐블록(15);
    상기 개폐블록(15)이 접착제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용공(11b)과 연통되게 몸체(11)에 형성된 통로(11c)에 작동유체를 공급 및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11b)에 위치한 개폐블록(15)을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유체 공급장치(16); 및
    목적물에 접착제를 공급할 때 상기 개폐블록(15)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12)는 상기 덮개(13)에 체결고정되어 승강하고, 하강할 때 하단부가 상기 유로(11a) 입구(11a-1)를 폐쇄하거나 또는 유로(11a) 개도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록(15)은 횡방향 원주에 접착제가 통과하는 홈(15a)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의 제어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홈(15a)이 유로(11a)와 일치되어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고,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홈(15a)이 유로(11a)에서 벗어나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록(15)은 횡방향에 접착제가 통과하는 안내공(15c)이 관통되고, 상기 수용공(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평면(15d)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11b)은 상기 개폐블록(15)의 평면(15d)과 대응되게 평면부(11b-1)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블록(15)은 상기 작동유체 공급장치(16)의 제어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공(15c)이 유로(11a)와 일치되어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고, 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공(15c)이 유로(11a)에서 벗어나 접착제가 유로(11a)에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공(11b) 및 통로(11c)의 개방된 단부는 밀폐부재(18)로 수밀가능하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KR1020110019343A 2011-03-04 2011-03-04 접착제 공급장치 KR10127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43A KR101279984B1 (ko) 2011-03-04 2011-03-04 접착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43A KR101279984B1 (ko) 2011-03-04 2011-03-04 접착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43A KR20120100443A (ko) 2012-09-12
KR101279984B1 true KR101279984B1 (ko) 2013-07-05

Family

ID=4711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43A KR101279984B1 (ko) 2011-03-04 2011-03-04 접착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6025A (zh) * 2014-09-10 2016-03-30 万润科技股份有限公司 液材挤出方法及装置
CN112058598A (zh) * 2020-09-22 2020-12-11 常德德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涂抹锂电池导电涂层挤压装置
CN112519477A (zh) * 2020-11-27 2021-03-19 上海南朝印刷有限公司 一种裱纸机涂胶装置和涂胶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4014B (zh) * 2017-11-28 2021-01-08 深圳市腾盛精密装备股份有限公司 应用于点胶设备的点胶阀、点胶设备
CN109653978A (zh) * 2019-01-11 2019-04-19 深圳市世椿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柱塞式打胶装置
KR102374621B1 (ko) * 2020-09-29 2022-03-14 김효만 난연 접착제용 공급노즐유닛
KR20230123468A (ko) * 2020-12-23 2023-08-23 존슨 맛쎄이 퍼블릭 리미티드 컴파니 워시코트를 이용한 기재 코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356A (ja) * 1995-12-15 1997-06-24 Tokai Rika Co Ltd 流動物定量塗布装置
JP2007307527A (ja) 2006-05-22 2007-11-29 Clean Technology Kk 薄膜塗布装置
KR20080085217A (ko) * 2006-01-12 2008-09-23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재 토출 장치
JP2008259970A (ja) 2007-04-12 2008-10-30 Ulvac Japan Ltd 液剤滴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356A (ja) * 1995-12-15 1997-06-24 Tokai Rika Co Ltd 流動物定量塗布装置
KR20080085217A (ko) * 2006-01-12 2008-09-23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재 토출 장치
JP2007307527A (ja) 2006-05-22 2007-11-29 Clean Technology Kk 薄膜塗布装置
JP2008259970A (ja) 2007-04-12 2008-10-30 Ulvac Japan Ltd 液剤滴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6025A (zh) * 2014-09-10 2016-03-30 万润科技股份有限公司 液材挤出方法及装置
CN112058598A (zh) * 2020-09-22 2020-12-11 常德德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涂抹锂电池导电涂层挤压装置
CN112519477A (zh) * 2020-11-27 2021-03-19 上海南朝印刷有限公司 一种裱纸机涂胶装置和涂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43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984B1 (ko) 접착제 공급장치
CN108698069B (zh) 含有固体颗粒的液体材料的吐出装置及吐出方法、以及涂布装置
CN105928671B (zh) 消防阀试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1316609B1 (ko) 피시브이 밸브 조립장치
US11453004B2 (en) Fluidic manifold cartridge system
EP2361750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2008259970A (ja) 液剤滴下装置
KR20110068357A (ko) 실린더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
KR101113142B1 (ko) 고점성 공압펌프 구동장치
US20140069677A1 (en) Air control device and air control method
KR101631209B1 (ko) 냉매 회수 장치
KR20120113461A (ko) 유체 제어용 멀티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에어 매트
KR102443531B1 (ko) 슬롯다이
CN214234758U (zh) 一种撞针阀
KR101471355B1 (ko) 액정 공급장치
CN218895908U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KR20150113579A (ko) 솔더 자동공급장치
CN113710369B (zh) 高压流体喷出装置
CN103187240B (zh) 半导体处理设备
KR101565077B1 (ko) 에어나이프의 공급기체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80295845A1 (en) Needle cleaning system including a needle cleaning machine and a plurality of needles for injecting fluids into meat products
KR100518457B1 (ko) 디스펜서
CN116491689A (zh) 一种多通道滤棒用宽型胶水施加装置
JP6488686B2 (ja) 空気圧工具
KR20110043910A (ko) 부양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