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022B1 -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22B1
KR101279022B1 KR1020110056407A KR20110056407A KR101279022B1 KR 101279022 B1 KR101279022 B1 KR 101279022B1 KR 1020110056407 A KR1020110056407 A KR 1020110056407A KR 20110056407 A KR20110056407 A KR 20110056407A KR 101279022 B1 KR101279022 B1 KR 10127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present
chitosan
fa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103A (ko
Inventor
권순창
황재성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프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프로넥스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13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 손상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치유성장인자들(예컨대, bFGF등)의 추가적인 첨가 없이도 손상된 피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로부터 유도된 각종피부손상치유 인자들과 흡착하여 인자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손상된 피부 표면을 코팅시킴으로써 피부손상치유 성장인자들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인자들의 활성을 통하여 손상된 피부의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피부를 성공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Wound Comprising Benzoyl Chitosan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키토산은 글루코오스아민(glucosamine)의 피라노스(pyranose) 단위체가 β-1,4 결합된 것으로서, 글루코오스아민 잔기가 5,000 개 이상 결합된 분자량이 100만 이상이고 다가의 양이온을 가진 다당류(polysaccharide) 계열의 생체고분자물질로 게 껍질이나 새우와 같은 갑각류 및 오징어를 포함하는 수산계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그 분자 구조로 볼 때 다당류의 일종인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구조로서,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여 면역 반응 시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의약 산업에 응용되고 있고, 최근 미국의 FDA에서 식품으로서 인증을 받은 후, 키토산은 21세기의 중요한 생물산업 및 생체의료용 물질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20,000-100,000 이내의 특정 분자량의 범위를 가진 키토산은 강한 생리활성 기능을 띠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 식품분야, 식ㆍ음료 분야, 화장품 분야, 보건위생 분야 및 의약품 분야에 대한 응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벤조산(Benzoic acid; C7H6O2 또는 C6H5COOH)은 무색 결정 고체이며 가장 심플한 방향족 카르복시산이다. 벤조산은 주로 E210, E211, E212 및 E213로 나타내는 방부제로서 사용되며, 백선(ringworm) 및 무좀(athlete's foot)과 같은 곰팡이성 피부 질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벤조일 클로라이드(Benzoyl chloride), 벤조산염 가소제(Benzoate plasticizers) 및 페놀(Phenol)과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현재, 키토산은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가 포함된 키토산 스캐폴드를 이용하여 고령의 마우스의 압력 궤양(pressure ulcers)을 치료하는 방법(Park et al., Accelerated wound closure of pressure ulcers in aged mice by chitosan scaffolds with and without bFGF, Acta Biomaterialia,(5):1926936(2009)), 손상된 피부를 치료에 있어서의 키틴 및 키토산의 용도(Carbohydrate Polymers (76):167182(2009)), 마우스에서 오염된 상처로부터 감염 발달을 억제시키기 위한 키토산의 용도(Biomaterials, (27):41574164(2006)) 및 열, 가수분해 및 산으로부터 FGF-2의 불활성을 억제시키는 키토산의 용도(Biomaterials, (26): 32773284(2005))에 대하여 보고 되었다.
지금까지 보고된 문헌에 따르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키토산만을 사용하는 경우 오랜 치료 기간이 소요되며, 보다 빠른 치료를 위해서는 키토산과 함께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인자들(factors)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는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각종치유성장인자들 없이 키토산을 이용하여 손상된 피부를 보다 빠르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피부 손상 치료용 물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키토산과 벤조산을 결합하여 합성된 벤조일 키토산이 손상된 피부에 키토산만을 투여하는 경우보다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피부손상치료 인자들 없이도 짧은 시간 안에 매우 효과적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43908516-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n은 2-10,0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키토산과 벤조산을 결합하여 합성된 벤조일 키토산이 손상된 피부에 키토산만을 투여하는 경우보다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피부손상치료 인자들 없이도 짧은 시간 안에 매우 효과적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서 벤조일 키토산으로 명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조일 키토산은 키토산 골격을 포함하지만 키토산과는 크게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키토산 다당류는 양이온성의 아민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런 양이온 성질로 인해 키토산 고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벤조일 키토산은 이런 양이온성 작용기를 벤조산으로 치환하여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은 전혀 다른 새로운 물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키토산이 지닌 기본적인 성질을 상실하였다고 볼 수 있다.
키토산 구조체와 완전히 다른 성질로 인해 특히 양이온성 전하의 상실로 인해 키토산이 발휘하는 치유기전과는 다른 기작으로, 벤조일 키토산은 상처 등을 치유한다. 소수성 작용기의 결합을 통해 피부상처조직에서 분비되는 피부재생인자들 특히 단백질을 벤조일 키토산 표면에 흡착시켜 분비된 피부재생인자들의 활성을 유지하고 안정화 기간을 연장시켜 피부재생 촉진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n은 2-10,00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0의 정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1,000의 정수, 가장 바람직하게는 90-2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중합체(Polymer)”는 단위체(Monomer)가 반복되어 연결된 고분자(Macromolecule)를 의미하며, 주로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동일한 단위체가 계속 반복된 형태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자들을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첨가하지 않더라도, 키토산 및 참조약물(예컨대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할 수 있는 효능을 발휘한다.
벤조산은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고되었다(Salkowski E, Berl Klin Wochenschr 12: 297298(1875), Krebs HA et 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antifungal action of benzoate". Biochem J, 214(3):657663(1983)).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벤조일 키토산이 손상된 피부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예컨대, 생체내에서 분비된 효소로 인한 분해작용)으로 인하여 키토산과 벤조산으로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벤조산의 내재된 항균력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추가적인 항균제 없이 박테리아 및 곰팡이균에 대하여 항균활성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치유성장인자 또는 치유인자”는 피부를 재생 또는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생체 내에서 발현하는 단백질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치유성장인자는 PDGF-BB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EGF (epidermal growth factor), aFGF (acid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및 TGF-ß1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의 벤조일 키토산은 벤조산결합으로 인하여 손상된 피부에서 발현 또는 유도된 각종치유성장인자들과 흡착을 통하여 인자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뿐 만 아니라, 외적으로는 손상된 피부 표면을 코팅하고 내적으로는 인자들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부위의 피부를 매우 빠른 속도로 치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벤조일 키토산은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벤조일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손상된 피부로부터 발현 또는 유도된 각종치유성장인자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포함된 방향족 고리(예컨대, 방향족 고리를 가지고 있는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티로신 또는 트립토판 아미노산)와 π-π 상호작용(interaction) 및 소수성 작용(hydrophobic interaction)을 통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결합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손상된 피부에서 발현 또는 유도된 각종치유성장인자들과 흡착을 통하여 인자들의 안정성 및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벤조일 구조 결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통하여 화장품성분과의 우수한 적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a) 피부 손상의 발전 억제; (b) 피부 손상의 경감; 및 (c) 피부 손상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물리적, 화학적, 외부로부터 침입한 균 또는 바이러스, 또는 생체 반응에 의하여 손상된 피부 치료에 유효한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또는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피부 손상에 우수한 치료 효능을 발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ⅰ) 태양, 화학적, 방사선 또는 열에 의한 화상, ⅱ) 압박 궤양(pressure ulcer), 반창고 궤양(plaster ulcer) 또는 욕창성 궤양(decubitus ulcer), ⅲ) 욕창, 압력성 궤양, 당뇨성 궤양 또는 열악한 환경 또는 ⅳ) 농가진(impetigo), 간찰진(intertrigo), 모낭염(folliculitis) 또는 습진으로 인한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화장료(cosmeceutical)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벤조일 키토산이외에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용 약제학적, 기능성화장료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또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국소투여 목적으로 개발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피부국소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01-1000 mg/cm2(피부표면적)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질소,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피부 손상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치유성장인자들(예컨대, bFGF등)들의 추가적인 첨가 없이도 손상된 피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ⅲ) 본 발명은 생체로부터 유도된 각종피부손상치유 인자들과 흡착하여 인자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손상된 피부 표면을 코팅시킴으로써 피부손상치유 성장인자들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인자들의 활성을 통하여 손상된 피부의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ⅳ) 또한,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손상된 피부의 치료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마우스 등 피부를 인위적으로 피부 손상을 유도시킨 다음, 본 발명(마우스 5마리; N=5)과 참조 약물(마우스 6마리; N=6)을 각각 투여한 후 피부 손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피부 손상 치료에 필요한 성장 인자인 bFGF가 포함된 참조약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참조약물보다 손상 부위 크기를 보다 빨리 줄여나갈 뿐 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피부 손상 치료 인자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인체에서 발현한 성장 인자만으로 동일한 피부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도 2a는 마우스 등 피부를 인위적으로 피부 손상을 유도시킨 다음, 본 발명을 투여한 후 특정 기일에서의 마우스 등 피부 손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2b는 마우스 등 피부를 인위적으로 피부 손상을 유도시킨 다음, 본 발명을 투여한 후 특정 기일에서의 마우스 등 피부 손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확대하여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각각의 이미지 안에 나타낸 숫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위적으로 손상된 마우스 등에 투여한 후 0일, 3일, 6일, 10일, 13일 및 17일을 의미한다.
도 3a는 마우스 등 피부를 인위적으로 피부 손상을 유도시킨 다음, 참조 약물을 투여한 후 특정 기일에서의 마우스 등 피부 손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3b는 마우스 등 피부를 인위적으로 피부 손상을 유도시킨 후, 손상된 마우스 등 피부에 참조 약물을 투여하 0일, 3일, 6일, 10일, 13일 및 17일째에서의 손상된 피부의 크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4는 마이크로피그를 이용한 피부 손상 치료 실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벤조일 키토산(benzoyl chitosan)
생체 적합성 고분자 물질인 키토산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였다. 접합체 제조에 사용된 키토산 규격은 탈 아세틸화가 84.5%이었고 분자량 크기는 20-50kD의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하였다(미래 바이오텍, 한국).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된 2% 수용성 키토산 용액 및 10% 벤조산(시그마) 용액을 각기 준비한 다음 별도의 용기에 키토산 최종 농도가 0.2%, 벤조산 최종농도가 30 mM이 되도록 적당량을 분주하였다. 키토산 고분자 사슬에 분포된 아민기와 벤조산을 공유 결합시키기 위해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시그마)를 사용하였다. 접합반응은 10 mM MES 완충용액(pH 5.5)조건하에서 진행하였다. 반응 용액에 첨가한 EDC는 벤조산이 충분히 접합될 수 있도록 최종 농도가 40 mM이 되게 첨가하였다. EDC 및 MES 완충용액을 첨가하기 전, 원료물질 혼합물 용액의 pH는 1 내지 5 mM 염산 또는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5.0-5.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접합 반응은 실온에서 용액을 충분히 교반해 주면서 최소 10시간 이상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벤조일 키토산 접합체 세척
상기 실시예 1의 반응과정이 완료된 직후, 탁상용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반응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침전물을 50% 에탄올 용액으로 충분히 분산하여 세척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여 반응 부산물을 상등액으로 제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반응 침전물의 세척은 동일한 용액 및 조건에서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벤조일 키토산를 회수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벤조일 키토산은 최초 반응부피가 되게 적당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빙초산 50 ㎕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4.0-4.5로 맞춘 다음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동물효력 평가 접합체 시료조제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접합체 시료 0.5 ㎖을 2 ㎖ 튜브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에 PBS 버퍼 1 ㎖을 가하여 충분히 현탁하고 재차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에 최종 혼합물 부피가 0.1 ㎖이 되게 적당량의 PBS 버퍼를 첨가하여 현탁하였다. 본 제조시료는 상처치료 개선 동물효력 평가시험에서 벤조일 키토산 고분자의 비이클(vehicle)제형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동물효력 평가 참조약물 조제
동물효력 시험의 참조약물(reference drug: positive control)로서는 국내에서 시판중인 욕창 또는 화상으로 인한 궤양 또는 하지궤양 치료제인 트라페라민(피블라스트 스프레이, fiblast spray, Kaken, Japan)을 사용하였다. 본 참조약물은 하루에 한번 처방하며 상처부위에 5회 정도 분무하여 총 30 mcg bFGF가 상처부위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허가된 욕창치료 제품이다. 본 제품의 동결건조 약물바이알에 300 mcg bFGF/㎖ PBS가 되도록 적절히 희석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무모(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한 상처치료 효력평가
실시예 3과 실시예4에서 조제된 평가시료를 대상으로 마우스 상처치유 개선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효력평가에 사용한 마우스는 HR-1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F) 마우스로서 동물실 환경에 입고 시 7주령이었고 암컷을 사용하였다. 각 마우스 개체는 케타민과 롬펀(Ketamine & Rompun)으로 마취하고 등 부위를 직경 12 ㎜가 되게 피부를 오려내어 전층 피부결손창상을 만들었다. 창상부위에 약물 또는 비클이 포함된 드레싱을 마리당 0.1 ㎖씩, 3일 단위로 처치하여 창상부위에 도포하고 테가덤 필름(Tegaderm)으로 덮어서 상처부위 오염을 차단시켰다. 상처 면적이 90% 이상 재생이 된 이후 비교평가 시험을 종료하였다. 참조 약물군은 총 6마리와 벤조일 키토산 비이클군은 총 5마리로 구성하여 효력을 평가하였다. 표 1은 마우스 등의 피부결손창상 후 17일간 동안 치료된 상처크기(mm2 ± 표준편차)를 나타낸 결과이며, 표 2는 마우스 등의 피부결손창상 후 17일간 동안 상처크기(mm2 ± 표준편차)를 나타낸 결과이고, 표 3은 마우스 등의 피부결손창상 후 17일 동안 치료된 상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이다.
일자 0 3 6 10 13 17
벤조일
키토산
0 26.61
±4.669
71.4
±2.412
113.52
±2.474
119.94
±3.737
125.62
±3.632
참조약물 0 23.33
±4.466
62.87
±7.002
100.3
±9.160
112.78
±8.340
120.57
±8.712
일자 0 3 6 10 13 17
벤조일
키토산
127.76
±3.731
101.15
±7.9
56.36
±1.34
14.24
±1.77
7.82
±0.80
2.14
±0.30
참조약물 122.71
±8.57
99.38
±7.07
59.84
±10.95
22.41
±5.10
9.93
±1.43
2.14
±0.18
일자 0 3 6 10 13 17
벤조일
키토산
0 21.22
±4.214
55.85
±0.298
88.95
±1.176
93.86
±0.638
98.32
±0.222
참조약물 0 18.71
±3.695
52.53
±7.110
81.41
±4.947
91.79
±1.249
98.17
±0.256
실시예 6: 마이크로피그를 이용한 벤조일 키토산( 벤토산 )의 피부재생 효능 실험
상기에서 조제된 평가시료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피그(미니어쳐 피그)피부재생 효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효력평가에 사용한 마이크로피그는 Sus scrofa (porcine)종으로 10개월령 암컷을 사용하였다. 각 마이크로피그 개체는 제올라이트, 나르코실(Narcosile) 및 이소플루렌(Isoflurane)으로 마취하고 미니 피그 한 마리 당 다섯 부위에 각각의 4가지 시료를 처리할 곳을 계획하여 창상을 유도하였다. 창상부위에 1번 실험군은 자연방치(무처리)하였고 2, 3, 4번에 해당하는 실험군은 경피 도포 하였으며 (표 4) 실험당일, 2, 4, 7, 9일에 해당하는 날짜에 액체 시료의 경우 1 ml을, 제형 시료의 경우 64 cm2 에 1 g을 처리하였다. 표 5를 기준으로 하여, 마이크로 피그에 있는 창상을 실험자 4인이 각각 피부 재생 등급을 판단하였다. 판단 점수는 평균을 낸 후 마이크로피그 마릿수를 표본수로 하여 전체를 구하였다. 도 4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를 이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분석하여 나타낸 결과이고 표 6은 마이크로피그의 피부결손창상 후 9일간 동안 상처 치료 등급의 평균값과 표준오차 값(n=3)을 나타낸 결과이다.
구 분 1 2 3 4
내 용 자연치유
상처방지
벤토산
(키토산유도체)
키토산
천연소재
복합마데카솔
제조회사 무처리 프로넥스 프로넥스 동국제약
Figure 112011043908516-pat00002
날짜(일)
실험군
0 2 3 4 7 9
PBS 1.00± 0.00 2.03± 0.04 2.58± 0.04 3.13± 0.09 3.93± 0.09 4.17± 0.07
마데카솔 1.00± 0.00 2.10± 0.08 2.75± 0.19 3.20± 0.29 4.15± 0.08 4.53± 0.24
키토산 1.00± 0.00 2.20± 0.08 2.77± 0.14 3.27± 0.14 4.02± 0.02 4.30± 0.08
벤토산 1.00± 0.00 2.07± 0.04 2.83± 0.11 3.18± 0.11 4.20± 0.10 4.73± 0.09
표 6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이크로피그를 이용한 피부 손상 치료 실험에서 본 발명의 벤토산이 가장 우수한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벤토산의 치료 효능은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마데카솔보다 우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다음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43908516-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n은 2-10,00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손상은 화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또는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태양, 화학적, 방사선 또는 열에 의한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궤양은 압박 궤양(pressure ulcer), 반창고 궤양(plaster ulcer) 또는 욕창성 궤양(decubitus ulc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적 상처는 욕창, 압력성 궤양 또는 당뇨성 궤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농가진(impetigo), 간찰진(intertrigo), 모낭염(folliculitis) 또는 습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국소 도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화장료(cosmeceutical)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10056407A 2010-06-22 2011-06-10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KR101279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204 2010-06-22
KR20100059204 2010-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103A KR20110139103A (ko) 2011-12-28
KR101279022B1 true KR101279022B1 (ko) 2013-07-02

Family

ID=4550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407A KR101279022B1 (ko) 2010-06-22 2011-06-10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64B1 (ko) 2004-02-24 2006-08-29 한국원자력연구소 상피세포성장인자-키토산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24203A (ko) * 2008-05-29 2009-12-03 권순창 약물전달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64B1 (ko) 2004-02-24 2006-08-29 한국원자력연구소 상피세포성장인자-키토산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24203A (ko) * 2008-05-29 2009-12-03 권순창 약물전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103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2673B1 (en) Chitosan gel for dermatological use,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use of same
US8216604B2 (en) Method of managing or treating pain
EP2775838B1 (en) Aqueous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coniferous resin acids
JPH09502185A (ja) 改良型薬理製剤
EA023208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которые содержат имидазохинолин(амины) и их производные, пригодные для местного введения
JP7229999B2 (ja) ダプトマイシン製剤
AU843669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florfenicol
AU2006250763A1 (en) Epidermal growth factor composition, a process therefor and its application
EP2528609B1 (en) Propoli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thereof and end products formed therefrom
CA1256373A (en) Laxative composition based on lactulose and its preparation process
CN102427811A (zh) 适于局部治疗皮肤和指(趾)甲真菌感染的组合物
JP2010517987A (ja) 塩基性ペプチド及びその複合型抗細菌−抗真菌剤としての使用
JP2020513016A5 (ko)
JP2012056914A (ja) タモギタケ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抗カンジダ菌剤ならびにカンジダ症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KR101279022B1 (ko) 벤조일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용 조성물
EP2717885B1 (de) Antiinfektives mittel
EP2470197A1 (en) Compositions for absorption and sustained action of leptin-related peptides
KR940011248B1 (ko) 보존성을 갖는 제산제의 제조방법
EP2337567A1 (en) Veterinary preparation
CA300021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treat urinary tract infections
RU2536266C2 (ru) Крем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фрамицетина сульфата и хитозан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811421B2 (ja) 保存効力を示す非水性油性注射用製剤
KR102608336B1 (ko) Pep27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03281B1 (ko)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0365679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엔로프록사신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