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615B1 -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615B1
KR101278615B1 KR1020110016902A KR20110016902A KR101278615B1 KR 101278615 B1 KR101278615 B1 KR 101278615B1 KR 1020110016902 A KR1020110016902 A KR 1020110016902A KR 20110016902 A KR20110016902 A KR 20110016902A KR 101278615 B1 KR101278615 B1 KR 10127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us liquid
collection
body portion
crad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600A (ko
Inventor
윤경로
Original Assignee
윤경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로 filed Critical 윤경로
Priority to KR102011001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6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11/02Funnels, e.g. for liquids without discharg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삼푸,세제, 화장품 등과 같이 점성액인 내용물을 전부 소비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잔존 점성액을 별도 용기에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된 투입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細管)으로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거용기;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충전물을 주사(注射)하는 원통형의 압축기; 및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 및 배출부가 삽입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점성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투입부의 내측 경사면 전부 또는 일부에 미끄럼방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의 하단이 마찰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Collect Device of Remained Viscous Liquid}
본 발명은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삼푸,세제, 화장품 등과 같이 점성이 강한 내용물이어서 제품통 내의 내용물을 전부 소비하기가 어려운 경우에 잔존 점성액을 별도 용기에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진적으로 산업발전이 이루어지던 20세기와 달리 현재에는 지구환경을 개선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하는 캠페인이 다수 시행되고 있는데 그 중 가정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세제나 삼푸와 같은 생활용품 남기지 않는 방법이다. 이러한 생활용품 절약 방법은 주부에게는 생활비를 감소시키는 데 직결된다는 점뿐만 아니라 자녀에게 절약정신을 교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일석다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액성을 가지는 제품과 달리 세제나 삼푸 등과 같이 점성액을 주요 내용물로 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어떠한 용기에 담더라도 내용물을 전부 사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렇게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에는 물질낭비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산업폐기물로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버려지는 잔존 점성액 내용물을 절약하여 마지막 분량까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 볼 필요성은 크다.
본 발명은 상기 지적한 개선점에 입각하여 삼푸, 세제 등의 점성액 제품에 일정잔존물을 전부 사용할 수 있는 별개의 수거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히 제품용기내의 잔존 점성액을 모을 수 있는 수거용기 형태에 특이성에 주안점을 두면서, 동시에 점성액을 내용물로 하는 제품통의 고정이 용이한 미끄럼방지재를 이용하는 잔존 점성액 수거용기를 함께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거용기의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거치대는 (1)상기 수거용기의 일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특이한 형태와 함께 (2)제품통의 무게감을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된 투입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細管)으로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거용기;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충전물을 주사(注射)하는 원통형의 압축기; 및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 및 배출부가 삽입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수거용기 내에 유입된 점성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투입부의 내측 경사면 전부 또는 일부에 미끄럼방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의 하단이 마찰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중인 제품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절약생활에 기여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용기를 거꾸로 세워서 잔존 점성액을 본 발명의 수거용기에 담는 과정에서 제품용기가 상기 수거용기의 경사면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3.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수거용기가 삽입되는 거치대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내부 빈공간을 형성하거나, 수거용기의 투입부 지름보다 긴 측면거리로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거치대가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수거용기내의 점성액이 흘러내리지 않거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마개가 부착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수거용기의 평면도 및 수거용기의 단면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압축기의 단면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평면도(a), 단면도(b), 저면도(c)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가 일면이 없는 형태인 것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내부공간이 비어있고, 상부구멍과 하부구멍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내부에 내관이 형성되어 있고, 거치대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표현한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가 특정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부가 분리되어 개폐되는 것을 표현한 실시예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식도이다.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된 투입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細管)으로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거용기;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충전물을 주사(注射)하는 원통형의 압축기; 및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 및 배출부가 삽입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수거용기 내에 유입된 점성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투입부의 내측 경사면 전부 또는 일부에 미끄럼방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의 하단이 마찰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의 좌우측면간 직선거리가 상기 투입부 상단의 지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는 입면체로서, 내부공간이 비어있고 상기 거치대의 상면 중앙 에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돌출될 수 있는 하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는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가 삽입되는 내관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는 특정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개폐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는 하부에 받침발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함께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의 기능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1. 수거용기(10)
상기 수거용기는 기본적으로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의 몸통부(11), 상기 몸통부(11)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된 투입부(12)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細管)으로 형성된 배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수거용기의 평면도 및 수거용기의 단면을 표시한 단면도인데 이를 참고하면 상기 수거용기의 평면도는 상기 투입부(12)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단면도를 통하여는 수거용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거용기(10)는 상기 몸통부(11)를 중심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몸통부(11)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11)는 폴리에틸렌수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나 유리, 도자기 등 그 재질여부는 불문한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12)는 상기 몸통부(11)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투입부(12)와 몸통부(11)의 단면은 마치 깔때기 모양과 유사하다. 상기 투입부(12)의 최장지름은 상기 수거용기에 역으로 꽂게 되는 제품통이 쉽게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원통형의 제품통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품통의 최장지름이 상기 투입부(12)의 최장지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투입부(12)의 내측 경사면 전부 또는 일부에는 미끄럼방지재(14)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수거용기(10)에 사용되는 제품통의 높이가 길거나 또는 지름이 작아서 쉽게 고정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상기 제품통의 투입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재(14)는 고무재질과 같이 마찰력이 강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투입부(12)의 내측 경사면에 원형의 띠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재(14)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내측 경사면 전체를 미끄럼방지재로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부(13)는 상기 몸통부(11)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으로 형성된다. [도 2]의 (B)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몸통부(11)와 배출부(13)만을 단면이 마치 주사기 형태와 유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압축기(20)에 의해서 압력을 받는 점성액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세관은 점성액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점성액의 점성은 일반 액성과 달리 쉽게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세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배출이 어려우나, 마개(40)를 더 부착하여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바 상기 마개(40)에 관하여는 차후 설명한다.
또한 상기 수거용기(10)는 속이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잔존 점성액량을 추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2. 압축기(20)
상기 압축기는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12)를 거쳐서 상기 몸통부(11)에 삽입되어 상기 몸통부(11)에 담겨 있는 잔존물을 상기 배출부(13)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몸통부(11)의 잔존 점성액을 남김없이 밀어내기 위하여는 상기 압축기(20)의 하단에 밀착력이 강한 마찰재(21)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압축기의 단면을 표시한 단면도인데 이를 참고하면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몸통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너비의 입면체임을 알 수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마찰재로 제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축기는 다양항 형상의 입면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몸통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입면체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압축기의 내부가 빈공간 또는 특정물질로 채워진 경우 모두 가능하다.
3. 거치대(30)
상기 거치대(30)는 상기 몸통부(11)와 배출부(13)가 삽입되어 상기 수거용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대의 제작방법은 다양한 바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 또는 배출부가 삽입되는 형태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가 일면이 없는 형태인 것을 표현한 실시예인데, 상기 거치대는 입면체가 아닌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상기 거치대(30)가 입면체로서 내부공간이 비어있고, 상기 거치대의 상면 중앙에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돌출될 수 있는 하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평면도(a), 단면도(b), 저면도(c)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내부공간이 비어있고, 상부구멍과 하부구멍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4]과 [도 6]는 상기 거치대의 내부공간에 비어있고 상부구멍과 하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상부구멍(31)은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11)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이어야 하나, 하부구멍(32)은 상기 몸통부(11)가 관통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배출부(13)의 세관이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의 빈 내부공간에 무게중심을 하부로 낮추기 위하여 특정물질로 채울 수도 있는데, 이는 하부구멍(32)으로 배출될 수 없는 고체나 반고체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내부공간에 내관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의 내부에 내관이 형성되어 있고, 거치대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표현한 사시도(A) 및 단면도(B)인 바 이하 이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거치대의 내부공간은 빈 공간으로서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관이 형성되어 있다. 수학적으로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직사각형을 회전시킨 회전체의 형태이다. 상기 내관은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11)와 배출부(13)의 형태에 맞게 직선과 곡선을 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관의 외측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은 빈 공간이므로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특정물질을 채울 수 있는데, 특히 물과 같은 유체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한 바 유체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37)를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유체를 투입하고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막음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개구부(37)와 그 위에 실시예로 표현된 막음장치의 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막음장치는 그 형태, 재질 등을 불문하고 상기 개구부를 막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내부공간에 내관이 형성된 형태를 개량하여 별도로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거치대 자체가 분리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거치대가 특정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부가 분리되어 개폐되는 것을 표현한 실시예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수평으로 설정된 절단선을 따라 분리된 거치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상부측을 분리상부(35)로, 하부를 분리하부(36)으로 구분하여 보면 상기 분리상부(35)를 뚜껑처럼 이용할 수 있어 유체를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개구부(37)가 필요없다.
4. 마개(40)
상기 마개(40)는 상기 수거장치에 담긴 잔존 점성액이 중력에 의해 하단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용되는 상기 마개(40)는 고무재질 또는 경질재료 등 그 재료는 관계없으나, 상기 수거용기에 담긴 점성액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마개간 밀착성이 높아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ㄷ자 모양으로 상기 배출부의 세관을 덮는 형태의 마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세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의 마개도 본 발명의 마개의 개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점성액의 배출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배출부의 세관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현하거나, 상기 세관의 하단에 삽입되는 물질의 지름조절을 통하는 방법이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에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는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데, [도 9]의 (A)는 점성액이 잔존하는 제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11)에 역으로 배치하여 잔존 점성액이 전부 상기 수거용기의 내부에 담겨질 때까지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과정이다. [도 9]의 (B)는 잔존 점성액이 전부 상기 수거용기에 옮겨지고 나서 제품통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도 9]의 (C)는 압축기(20)를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11)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도 9]의 (D)는 상기 마개(40)를 제거하고 상기 수거용기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압축기(20)로 잔존 점성액을 가압하여 점성액이 상기 배출부(13)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과정들에 의하여 제품통에 남아있던 점성액의 전부 사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수거용기 11 : 몸통부
12 : 투입부 13 : 배출부
14 : 미끄럼방지재 20 : 압축기
21 : 마찰재 30 : 거치대
31 : 상부구멍 32 : 하부구멍
33 : 내관 34 : 받침발
35 : 분리상부 36 : 분리하부
37 : 주입구
40 : 마개

Claims (10)

  1.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확관되도록 연결된 투입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수렴되어 하단이 세관(細管)으로 형성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입부의 내측 경사면 전부 또는 일부에 미끄럼방지재가 부착되어 있는 수거용기;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수거용기 내에 유입된 점성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마개;
    하단이 마찰재로 제작되고, 상기 몸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충전물을 주사(注射)하는 원통형의 압축기; 및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 및 배출부가 삽입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점성액이 잔존하는 물품통을 상기 수거용기의 투입부에 역으로 삽입하여 상기 점성액이 상기 몸통부에 충전되도록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거치대의 좌우측면간 직선거리가 상기 투입부 상단의 지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입면체로서, 내부공간이 비어있고 상기 거치대의 상면 중앙 에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돌출될 수 있는 하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는 상기 수거용기의 몸통부가 삽입되는 내관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특정 절단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개폐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10. 제1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거치대는 하부에 받침발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KR1020110016902A 2011-02-25 2011-02-25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KR10127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02A KR101278615B1 (ko) 2011-02-25 2011-02-25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02A KR101278615B1 (ko) 2011-02-25 2011-02-25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00A KR20120097600A (ko) 2012-09-05
KR101278615B1 true KR101278615B1 (ko) 2013-06-28

Family

ID=4710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902A KR101278615B1 (ko) 2011-02-25 2011-02-25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132A (ko) * 2016-09-19 2018-03-28 양제영 잔류 샴푸 수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66Y1 (ko) * 1985-11-21 1988-03-14 최영제 깔대기
KR200211695Y1 (ko) * 2000-08-30 2001-01-15 이유선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
KR200291952Y1 (ko) * 2002-07-22 2002-10-11 신우엔텍 주식회사 깔때기 겸용 음료수병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566Y1 (ko) * 1985-11-21 1988-03-14 최영제 깔대기
KR200211695Y1 (ko) * 2000-08-30 2001-01-15 이유선 간이 이동형 광고판 구조
KR200291952Y1 (ko) * 2002-07-22 2002-10-11 신우엔텍 주식회사 깔때기 겸용 음료수병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132A (ko) * 2016-09-19 2018-03-28 양제영 잔류 샴푸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00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7918A (zh) 食物分配系统和方法
US20140144937A1 (en) Piercing Dispensing Spout
JP2014069818A (ja) 注出器
NL2007421C2 (nl) Houder voor een vloeistof.
KR101278615B1 (ko) 잔존 점성액의 수거장치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KR20030096162A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US20170172349A1 (en) Single Use, Pliable, Foldable Gravy or Sauce Separator Container
KR101406591B1 (ko)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CN205707805U (zh) 一种防挂壁的包装瓶口
CN103818624B (zh) 一种大口陶瓷酒瓶带内密封的倒酒装置及倒酒方法
US20220339652A1 (en) Bottle for pumpable fluids
CN208994336U (zh) 一种兼具方便补给和防潮功能的洗衣粉塑料包装瓶
KR200338631Y1 (ko) 페트병에 채결하는 물조리개
CN207917553U (zh) 一种可存放漏斗的塞子
CN201597843U (zh) 可多次充填的塑料容器
JP2010023847A (ja) 容器
KR20090011087U (ko) 물통의 마개
RU75848U1 (ru) Каплеуловитель
CN205433483U (zh) 按压式油壶
RU71636U1 (ru) Канистра двуустьевая
JP2016041604A (ja) ポンプボトル
KR100986666B1 (ko) 펌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