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19B1 - 로터리 콤프레셔 - Google Patents

로터리 콤프레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19B1
KR101278319B1 KR1020110020634A KR20110020634A KR101278319B1 KR 101278319 B1 KR101278319 B1 KR 101278319B1 KR 1020110020634 A KR1020110020634 A KR 1020110020634A KR 20110020634 A KR20110020634 A KR 20110020634A KR 101278319 B1 KR101278319 B1 KR 10127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ischarge pipe
sealed container
opening
dr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741A (ko
Inventor
가즈야 사토
다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8/00Rotary expansible chamber devices
    • Y10S418/01Non-working fluid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냉매토출관의 개구와 토출구멍과의 위치를 소정 위치로 규제함으로써, 냉매토출관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저감을 도모한 로터리 콤프레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밀폐용기(12) 내에 구동요소(14)와, 이 구동요소(14)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14)의 회전축(16)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18)를 구비하고, 구동요소(14)의 상측에서의 밀폐용기(12)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12) 내로 냉매토출관(96)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축요소(18)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65)으로부터 밀폐용기(12) 내로 토출한 후, 냉매토출관(96)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토출구멍(65)의 위치를,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는 반대 측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설정했다.

Description

로터리 콤프레셔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한 로터리 콤프레셔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형(縱型) 원통 모양의 밀폐용기(112) 내의 상측 공간에 구동요소(114)를 배치하고, 이 구동요소(114)의 하측에 당해 구동요소(114)의 회전축(116)으로 구동되는 제1 회전압축요소(132)와 제2 회전압축요소(134)를 구비한 회전압축요소(1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로터리 콤프레셔(110)는 제1 회전압축요소(132)에서 냉매가스가 압축되고, 제2 회전압축요소(134)에서 냉매가스가 더 압축된 후, 밀폐용기(112) 내로 토출되는 소위 내부 고압형의 다단(多段) 압축식 콤프레셔이다.
밀폐용기(112)는 구동요소(114)와 회전압축요소(118)를 수납하는 용기본체(112A)와, 이 용기본체(1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사발 모양의 엔드캡(112B)(덮개체)으로 구성되고, 저부를 오일고임부(119)로 하고 있다. 엔드캡(112B) 상면에는 구동요소(1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120)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요소(114)는 스테이터(122)와, 이 스테이터(122)의 내측에 약간의 간격을 마련하여 삽입 설치된 로터(124)로 구성되며, 이 로터(124)는 밀폐용기(112)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16)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압축요소(118)는 중간구획판(136)을 사이에 두고, 제1 회전압축요소(132)(1단계)를 구동요소(114)와는 반대 측에 배치하며, 제2 회전압축요소(134)(2단계)를 밀폐용기(112) 내의 구동요소(114) 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압축요소(132)를 구성하는 제1 실린더(141)(하부 실린더)의 한쪽(하측)의 개구를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116)의 베어링(151A)을 가지는 지지부재로서의 제1 지지부재(151)(하부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지지부재(151)의 제1 실린더(141)와는 반대 측(하측)의 면을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이 요함부(凹陷部)를 제1 커버(159)(하부 커버)로 폐색함으로써 토출소음실(15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회전압축요소(134)를 구성하는 제2 실린더(142)의 상측 개구를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116)의 베어링(152A)을 가지는 제2 지지부재(152)(상부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지지부재(152)의 제2 실린더(142)와는 반대 측(상측)의 면을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이 요함부를 제2 커버(160)(상부 커버)로 폐색함으로써 토출소음실(15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160)에는 토출소음실(158)과 밀폐용기(112) 내를 연통하는 토출구멍(16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밀폐용기(112)의 용기본체(112A)의 측면에는 제1 실린더(141)의 구동요소(114)의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 및 제1 실린더(141)의 흡입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슬리브(193, 195)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슬리브(193) 내에는 제1 실린더(141)에 냉매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도입관(194)의 일단이 삽입 접속되어 있다. 또, 슬리브(195) 내에는 냉매토출관(196)이 삽입 접속되며, 이 냉매토출관(196)은 단부가 밀폐용기(112) 내에서 개구하고, 당해 밀폐용기(112) 내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냉매가스가 도시하지 않은 흡입포트로부터 제1 회전압축요소(132)의 저압실 측에 흡입되고, 1단계의 압축이 행해져 중간압이 되어 제1 회전압축요소(132)의 고압실 측으로부터 토출소음실(157)로 토출된다. 토출소음실(157)로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가스는 제2 회전압축요소(134)의 저압실 측으로 흡입되며, 2단계의 압축이 행해져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되고, 토출소음실(158)로 들어간 제2 커버(160)의 토출구멍(165)으로부터 위쪽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구동요소(114)의 틈새를 통과하여 밀폐용기(112) 위쪽으로 이동하고, 밀폐용기(112) 상측에 접속된 냉매토출관(196)으로부터 로터리 콤프레셔(110)의 외부로 토출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내부 고압형의 다단 압축식 로터리 콤프레셔(110)에서는 제2 회전압축요소(134)에서 압축되고, 토출구멍(165)으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에는 오일이 녹아들어 있어, 이 오일이 녹아든 냉매는 구동요소(114)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회전축(116)의 회전방향으로 비산(飛散)하게 된다. 토출된 냉매가스와 오일은 구동요소(114)의 스테이터(122)와 로터(124)의 사이나 로터(124) 내, 밀폐용기(112)와 스테이터(122)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승하여, 구동요소(114)의 상측에 이른다. 그리고, 엔드캡의 내면에 충돌하여 오일은 비산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이들 통과의 과정이나 충돌에 의해 냉매 중의 오일은 분리되며, 분리된 오일은 밀폐용기(112)의 내면에 부착하고, 이 내면을 타고 하부의 오일고임부(119)로 흘러내리지만, 일부는 냉매와 함께 구동요소(114) 위쪽의 공간에서 유동하여 떠올라, 개구로부터 냉매토출관(196) 내로 유입하여 밀폐용기(112) 밖으로 나가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구동요소(114)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는 회전축(116)이 있는 밀폐용기(112)의 중앙이 가장 적게 되므로, 종래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토출관(196)을 측방으로 개구(밀폐용기(112)의 직교방향으로 개구)시키고 있었지만, 밀폐용기(112) 밖으로 나가는 오일량은 적지는 않았다.
그리고, 오일이 냉동사이클 중에 나가면, 밀폐용기(112)의 오일이 부족하여 냉매순환을 저해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10)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매토출관(196)의 지름을 종래보다도 큰 지름으로 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해서, 냉매토출관(196)으로부터 밀폐용기(112) 밖으로 오일이 나오기 쉬워져 있었다.
그래서, 밀폐용기 내의 전동기의 고정자 상부에 링 형상을 한 차폐판을 마련하고, 또한 냉매토출관의 형상을 굽혀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 중에 녹어들어 있는 오일을 밀폐용기 내에서 분리하여, 냉매가스만을 밀폐용기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으로,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오일이 나가게 되어 버리는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336481호 공보
그렇지만,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오일이 나가 버리는 문제점을 저감시키기 위해,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조로 한 경우,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냉매토출관의 선단만을 가늘게 드로잉(drawing)가공함으로써,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오일이 나가 버리는 문제점을 저감시킬 수 있었지만, 이 냉매토출관의 선단을 가늘게 드로잉하는 것도 가공비용이 상승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냉매토출관의 개구와 토출구멍과의 위치를 소정 위치로 규제함으로써, 냉매토출관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저감을 도모한 로터리 콤프레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구동요소의 상측에서의 밀폐용기의 측면에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토출구멍의 위치를,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는 반대 측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상기에 있어서,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되고, 구동요소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회전압축요소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밀폐용기의 엔드캡 내면에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를 A2로 한 경우에,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측에서 직교하는 부분의 선 L1로부터 범위 A2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토출구멍의 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구동요소의 위쪽에서의 밀폐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토출구멍의 위치를,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 또한,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회전축의 회전방향 측에서 직교하는 선 L2와, 이 선 L2를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의 회전방향 측으로 90° 회전시킨 선 L3과의 사이에 있는 영역 A3의 아래쪽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청구한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은 회전축의 축심(軸芯)이 위치하는 밀폐용기의 수평방향에서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제1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제2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하여 토출구멍으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 청구항 6의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구동요소 상측에서의 밀폐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로터리 콤프레셔에 있어서, 토출구멍의 위치를,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는 반대 측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설정함으로써,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되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되어 상승해 온 냉매 중의 오일이 구동요소의 위쪽에 삽입된 냉매토출관의 개구로 유입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냉매토출관의 선단을 드로잉가공 등 하지 않고, 밀폐용기 밖으로 토출되는 오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게 되어, 현저한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되고, 구동요소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회전압축요소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밀폐용기의 엔드캡 내면으로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를 A2로 한 경우에,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측에서 직교하는 부분의 선 L1로부터 범위 A2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토출구멍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면, 회전압축요소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으로 회전방향으로 비산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냉매토출관의 개구로 유입하는 문제점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구동요소의 위쪽에서의 밀폐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로터리 콤프레셔에 있어서, 토출구멍의 위치를,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또한,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회전축 회전방향 측에서 직교하는 선 L2와, 이 선 L2를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의 회전방향 측으로 90° 회전시킨 선 L3과의 사이에 있는 영역 A3의 아래쪽에 설정하도록 하면, 청구항 2와 같이 비산범위를 미리 측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청구항 1보다도 더욱 확실하게 밀폐용기 밖으로의 오일토출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청구항 4와 같이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이 회전축의 축심이 위치하는 밀폐용기의 수평방향에서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한층 양호하게 밀폐용기 밖으로의 오일의 토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은 특히 청구항 5와 같은 소위 2단 압축식 내부 고압형의 로터리 콤프레셔이고, 청구항 6과 같은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의 종단 측면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동일한 도 1의 로터리 콤프레셔를 구성하는 회전압축요소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를 구성하는 냉매토출관의 개구와, 제2 커버에 형성되어 밀폐용기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를 구성하는 냉매토출관의 개구와, 제2 커버에 형성되어 밀폐용기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를 구성하는 냉매토출관의 개구와, 제2 커버에 형성되어 밀폐용기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실시예 3).
도 6은 종래의 로터리 콤프레셔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도 6의 토출구멍과 냉매토출관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콤프레셔는 엔드캡 측을 상측, 회전압축요소 측을 하측에 배치한 소위 종형의 로터리 콤프레셔로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터리 콤프레셔를 구성하는 회전압축요소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1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종형 원통 모양의 밀폐용기(12)와, 이 밀폐용기(12) 내의 상측의 공간에 배치된 구동요소(14)와, 이 구동요소(14)의 하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요소(14)의 회전축(16)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압축요소(32, 34)로 이루어지는 회전압축요소(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리 콤프레셔(10)는 제1 회전압축요소(32)에서 냉매가 압축되고, 또한 제2 회전압축요소(34)에서 냉매가 압축된 후, 밀폐용기(12) 내로 토출되는, 소위 내부 고압형의 다단 압축식 로터리 콤프레셔이다.
이 밀폐용기(12)는 구동요소(14)와 회전압축요소(18)를 수납하는 용기본체(12A)와, 이 용기본체(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사발 모양의 엔드캡(12B)(덮개)으로 구성되고, 저부를 오일고임부(19)로 하고 있다. 이 엔드캡(12B)의 상면에는 원형의 장착구멍(12C)이 형성되며, 이 장착구멍(12C)에는 구동요소(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20)(배선을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요소(14)는 밀폐용기(12)의 상부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서 환상으로 용접 고정된 스테이터(22)와, 이 스테이터(22)의 내측에 약간의 간격을 마련하여 삽입 설치된 로터(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터(24)는 밀폐용기(12)의 중심을 지나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6)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22)는 환상의 전자강판을 적층한 적층체(26)와, 이 적층체(26)의 톱니부에 직권(直卷)(집중 감김) 방식에 의해 감아 장착된 스테이터 코일(28)을 가지고 있다. 또, 로터(24)도 스테이터(22)와 마찬가지로 전자강판의 적층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압축요소(18)는 중간구획판(36)을 사이에 두고 구동요소(14)와는 반대 측에 1단계 압축이 되는 제1 회전압축요소(32)를 배치(이 경우, 로터리 콤프레셔(10)의 하부 측이 됨)하며, 밀폐용기(12) 내의 구동요소(14) 측에 2단계 압축이 되는 제2 회전압축요소(34)를 배치하고 있다(이 경우,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상부 측이 된다).
즉, 회전압축요소(1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구획판(36)을 사이에 두고, 2단계가 되는 제2 회전압축요소(34)를 밀폐용기(12) 내의 구동요소(14) 측, 1단계가 되는 제1 회전압축요소(32)를 구동요소(14)와는 반대 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 제1 회전압축요소(32)와 제2 회전압축요소(34)는 중간구획판(36)의 상하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압축요소(32, 34)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실린더(41, 42)(상하 실린더) 및 구동요소(14)의 회전축(16)에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부(43, 44)(상하 편심부)에 끼워 맞춰져 각 실린더(41, 42) 내에서 편심회전하는 제1 롤러(45) 및 제2 롤러(46)와, 각 롤러(45, 46)에 맞닿아 각 실린더(41, 42) 내를 저압실 측과 고압실 측으로 각각 구획하는 제1 및 제2 베인(47, 48)(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과, 베인(47, 48)을 상시 롤러(45, 46)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부재로서의 스프링(85, 86)과, 제1 실린더(41)(하부 실린더)의 한쪽(하측)의 개구를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16)의 베어링(51A)을 가지는 지지부재로서의 제1 지지부재(51)(하부 지지부재)와, 제2 실린더(42)(상부 실린더) 상측의 개구를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16)의 베어링(52A)을 가지는 제2 지지부재(52)(상부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즉, 제1 회전압축요소(32)를 구성하는 제1 실린더(41)의 한쪽(하측)의 개구는 제1 지지부재(51)에 의해 폐색되고, 다른 쪽(상측)의 개구는 중간구획판(36)으로 폐색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편심부(43, 44)는 각각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축(16)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지지부재(52) 및 제1 지지부재(51)에는 제1 및 제2 실린더(41, 42)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는 제1 및 제2 흡입통로(53, 54)와(도 1에서만 도시), 제2 지지부재(52)의 제2 실린더(42)와는 반대 측(상측)의 면을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이 요함부를 제2 커버(60)(상부 커버)로 폐색함으로써 형성된 토출소음실(58)과, 제1 지지부재(51)의 제1 실린더(41)와는 반대 측(하측)의 면을 오목하게 함몰시키고, 이 요함부를 제1 커버(59)(하부 커버)로 폐색함으로써 형성된 토출소음실(5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커버(60)에는 토출소음실(58)과 밀폐용기(12) 내를 연통하는 토출구멍(65)(도 1에서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출소음실(58)은 제2 커버(60)로 폐색됨과 아울러, 토출소음실(57)은 제1 커버(59)로 폐색되어 있다. 또, 제2 지지부재(52)의 중앙에는 베어링(52A)이 기립(起立)형성됨과 아울러, 제1 지지부재(51)의 중앙에는 베어링(51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커버(60)와 제2 지지부재(52)와 제2 실린더(42)가 위치결정되고, 제2 커버(60) 측(상측)으로부터 제1 커버(59) 방향(아래쪽 방향)으로 4개의 상부 볼트(82)(2개만 도시)가 삽입 통과된 후, 나사맞춤되어 고정된다.
제1 커버(59)는 도너츠 모양의 원형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부의 4개소를 제1 커버(59) 측(하측)으로부터 제2 커버(60) 방향(위쪽 방향)으로 4개의 볼트(80‥)(2개만 도시)로 제2 실린더(42)에 고정되어, 제1 회전압축요소(32)를 구성하는 제1 실린더(41)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소음실(57)의 하면 개구부를 폐색한다. 그것과는 별도로, 제1 지지부재(51)에 2개의 볼트(81)(좌측 1개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볼트(81)가 제2 지지부재(52)에 나사맞춤되며, 제1 지지부재(51)와 제2 지지부재(52)가 일체로 고정된다.
제1 실린더(41) 내에는 제1 베인(47)을 수납하는 제1 베인 슬롯(61)과, 이 제1 베인 슬롯(61)의 외측(밀폐용기(12) 측)에 위치하여, 제1 베인(47)을 상시 제1 롤러(45)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로서의 스프링(85)을 수납하는 수납부(8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85A)는 제1 베인(47) 측과 밀폐용기(12) 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 스프링(85)은 제1 베인(47)의 외측 단부에 맞닿고, 당해 제1 베인(47)을 제1 롤러(45) 측으로 상시 가압한다.
또, 제2 실린더(42) 내에도 제2 베인(48)을 수납하는 제2 베인 슬롯(62)과, 이 제2 베인 슬롯(62)의 외측(밀폐용기(12) 측)에 위치하여, 제2 베인(48)을 상시 제2 롤러(46)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로서의 스프링(86)을 수납하는 수납부(8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86A)는 제2 베인(48) 측과 밀폐용기(12) 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 스프링(86)은 제2 베인(48)의 외측 단부에 맞닿고, 당해 제2 베인(48)을 제2 롤러(48) 측으로 상시 가압한다.
그리고, 스프링(86)의 밀폐용기(12) 측에 위치하는 수납부(86A) 내에는 당해 수납부(86A)의 외측(밀폐용기(12) 측)의 개구로부터 스프링(86)의 빠짐 방지의 역할을 하는 금속제의 플러그(92)가 압입(壓入)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플러그(92)의 외경 치수는 수납부(86A)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됨과 아울러, 플러그(92)는 수납부(86A) 내에 압입 고정된다. 이 플러그(92)에는 베인(제2 베인(48))의 날아감 방지를 위해, 도시하지 않은 연통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연통부에 의해 베인 배압을 밀폐용기(12) 내의 가스압(고압)으로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밀폐용기(12)의 용기본체(12A)의 측면에는 제1 실린더(41)의 제1 흡입통로(53) 및 구동요소(14)의 상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슬리브(93, 95)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도 1에 도시). 이 슬리브(93) 내에는 제1 실린더(41)에 냉매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도입관(94)의 일단이 삽입 접속되고, 이 냉매도입관(94)의 일단은 제1 실린더(41)의 제1 흡입통로(53)에 연통되어 있다. 또, 슬리브(95) 내에는 냉매토출관(96)이 삽입 접속되며, 이 냉매토출관(96)은 구동요소(14)의 상측(구동요소(14)의 터미널(20) 측)에 위치하고, 단부는 개구하여 밀폐용기(12) 내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냉매토출관(9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여 절단되고, 그 단부를 개구하고 있다. 이 냉매토출관(96)은 구동요소(14)의 상측에서의 밀폐용기(12)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12) 내로 들어가, 중심부(P)(회전축(16)의 축심과 같은 위치)에서 측방(종형 원통 모양 밀폐용기(12)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는 방향)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냉매토출관(96)의 개구중심을 밀폐용기(12)의 수평방향에서의 중심부(P)에 위치하고, 거기서 측방을 향해서, 당해 냉매토출관(96)의 단부를 개구하며, 이 단부 개구를 개구면(97)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과, 제2 커버(60)에 형성되어 밀폐용기(12)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엔드캡(12B)을 투명수지로 만들고, 토출구멍(65)으로부터 유사 유동(流動)(부유(浮遊)) 오일(수증기 등)을 토출시켜 그 엔드캡(12B)에 부착시키는 실험으로부터, 토출구멍(65)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에서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면(예를 들면 120°의 범위의 개구방향 측), 냉매와 함께 상승해 온 오일이 그대로 개구로부터 냉매토출관(96)으로 들어가기 쉬워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밀폐용기(12)의 중심부(P)에 냉매토출관(96)의 개구를 일치시킴으로써, 냉매토출관(96)으로부터 가장 오일이 나가기 어려운 것도 실험으로부터 판명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을,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는 반대 측의 영역 A1 아래쪽(회전압축요소(18) 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상세하게는,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에 대해서, 당해 냉매토출관(96) 측의 180°의 화살표 범위(도면 중 사선(斜線)부분)의 아래쪽(밀폐용기(12)의 아래쪽)에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을 위치시키고 있다. 이 경우, 엔드캡(12B)을 투명수지로 만들고, 토출구멍(65)으로부터 유사 유동(부유) 오일(수증기 등)을 토출시켜 그 엔드캡(12B)에 부착한 부분과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미리 실험으로 측정하여 확인해 두었다.
즉, 토출구멍(65)으로부터 토출되고, 구동요소(14)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 중의 오일은 회전압축요소(18)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밀폐용기(12)의 엔드캡(12B) 내면으로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가 구해져 있다. 그래서, 그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방향으로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향하게 함과 아울러, 밀폐용기(12) 내의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곳에 냉매토출관(96)의 단부를 개구시키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다음으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냉매회로 내에 봉입(封入)되는 냉매로서는 지구 환경에 우수하고, 자연 냉매인 이산화탄소(C02)가 사용된다. 그리고, 터미널(20) 및 도시되지 않는 배선을 통하여 구동요소(14)의 스테이터 코일(28)에 통전되면, 구동요소(14)가 기동하여 로터(24)가 반시계방향(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로터(24)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6)과 일체로 마련한 제1 및 제2 편심부(43, 44)에 끼워 맞춰진 제1 및 제2 롤러(45, 46)가 각 실린더(41, 42) 내를 편심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냉매도입관(94) 및 제1 지지부재(51)에 형성된 제1 흡입통로(53)를 거쳐, 제1 실린더(41)의 저압실 측으로 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된다. 제1 실린더(41)의 저압실 측으로 흡입된 저압의 냉매가스는 제1 롤러(45)와 제1 베인(47)의 동작에 의해 1단계의 압축이 행해져 중간압이 되고, 제1 실린더(41)의 고압실 측으로부터 토출포트를 거쳐 토출소음실(57) 내로 토출된다.
토출소음실(57)로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가스는 당해 토출소음실(57) 내로부터 제2 실린더(42)의 하면 측에 형성된 제2 흡입통로(54)를 거쳐, 제2 실린더(42)의 저압실 측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제2 실린더(42) 내의 저압실 측으로 흡입된 중간압의 냉매가스는 제2 롤러(46)와 제2 베인(48)의 동작에 의해 2단계의 압축이 행해져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되고, 제2 실린더(42)의 고압실 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토출포트를 거쳐, 제2 지지부재(52)와 제2 커버(60)로 형성된 토출소음실(58) 내로 토출된다.
토출소음실(57)로 토출된 냉매가스는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을 경유하여 밀폐용기(12) 내로 토출된다. 토출구멍(65)으로부터 밀폐용기(12) 내로 토출되어 오일이 녹아든 냉매가스는 구동요소(14)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회전축(16)의 회전방향으로 비산하고, 구동요소(14)의 스테이터(22)와 로터(24)의 사이나 로터(24) 내, 밀폐용기(12)와 스테이터(22)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승하며, 구동요소(14)의 상측(밀폐용기(12) 내 상측(엔드캡(12B)과 구동요소(14)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당해 밀폐용기(12) 상측에 접속된 냉매토출관(96)의 개구로부터 당해 냉매토출관(96) 내를 지나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스테이터 코일(28)의 권선(捲線)과 슬롯의 사이나, 로터(24)와 스테이터 코일(28)의 허브와의 사이로부터 오일을 포함한 냉매가스가 냉매토출관(96) 방향으로 상승해 오게 된다. 즉, 구동요소(14)의 틈새를 통과하여 밀폐용기(12) 내 상측으로 이동하는 냉매가스는 당해 냉매가스와 함께 밀폐용기(12) 내로 유동(부유)하고 있는 오일도 상승하여, 냉매토출관(96)으로부터 토출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밀폐용기(12) 내의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밀폐용기(12) 내의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곳에 냉매토출관(96)의 단부를 개구시키고 있으므로, 냉매토출관(96)으로부터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외부로 오일이 토출되어 버리는 것을 큰 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냉매토출관(96)의 폭방향과는 반 대 측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회전압축요소(18)에서 압축되고, 토출구멍(65)으로부터 토출되어 밀폐용기(12) 내를 상승해 온 냉매 중의 오일이 구동요소(14)의 위쪽에 삽입된 냉매토출관(96)의 개구로 유입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냉매토출관(96)의 선단을 드로잉 가공 등 하지 않고, 밀폐용기(12) 밖으로 토출되는 오일의 양을 저감할 수 있게 되어, 현저한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10)를 구성하는 냉매토출관(96)의 개구와, 제2 커버(60)에 형성되어 밀폐용기(12)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터리 콤프레셔(10)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 중 점선 화살표 방향은 회전축(16)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멍(65)으로부터 토출되고, 구동요소(14)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가스 중의 오일을 회전압축요소(18)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밀폐용기(12)의 엔드캡(12B) 내면으로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를 A2로 한 경우,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회전축(16)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측에서 직교하는 부분의 선 L1로부터 범위 A2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엔드캡(12B)을 투명수지로 만들고, 토출구멍(65)으로부터 유사 유동(부유) 오일(수증기 등)을 토출시켜 그 엔드캡(12B)에 부착한 부분과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미리 실험으로 측정하여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엔드캡(12B)에 부착한 유사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방향으로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향함과 아울러, 밀폐용기(12) 내의 유동(부유) 오일이 적은 곳에 냉매토출관(96)의 단부를 개구시키고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12)의 수평방향에서의 중심부(P)로부터 토출구멍(65)을 통과하는 방사선 S1까지의 범위, 즉, 실시예 1의 A1의 사선 부분의 범위에서 선 L1로부터 선 S1까지의 범위(실선 화살표)을 제외한 부분을 영역 A1(도 4 사선 부분)으로 하고, 이 영역 A1의 아래쪽(회전압축요소(18) 측)에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밀폐용기(12)에서 비산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로 유입하는 문제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멍(65)으로부터 토출되고, 구동요소(14)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회전압축요소(18)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밀폐용기(12)의 엔드캡(12B) 내면으로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를 A2로 한 경우에,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회전축(16)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측에서 직교하는 부분의 선 L1로부터 범위 A2를 제외한 부분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면, 회전압축요소(18)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비산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개구로부터 냉매토출관(96) 내로 유입하는 문제점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로터리 콤프레셔(10)를 구성하는 냉매토출관(96)의 개구와, 제2 커버(60)에 형성되어 밀폐용기(12) 내로 연통하는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로터리 콤프레셔(10)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 중 점선 화살표 방향은 회전축(16)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술의 실시예보다 일반적인 로터리 콤프레셔로서, 토출구멍(65)으로부터 토출한 유사 유동(부유) 오일이 엔드캡(12B)에 부착하는 범위가 나눠져 있으므로, 실시예 3에서는 엔드캡(12B)을 투명수지로 만들고, 밀폐용기(12) 내의 유동(부유) 오일의 부착한 부분과 토출구멍(65)과의 위치관계를 실험에 의해 측정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멍(65)의 위치를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지나고, 또한,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회전축(16)의 회전방향 측에서 직교하는 선 L2(이 경우,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의 연장선에서 회전축(16)의 회전방향 측이 되는 연장선)와, 이 선 L2를 냉매토출관(96)의 개구중앙(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16)의 회전방향 측으로 90° 회전시킨 선 L3과의 사이에 있는 영역 A3(도 5 사선 부분)의 아래쪽(회전압축요소(18) 측)에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지나고, 또한, 당해 냉매토출관(96)의 개구방향과 회전축(16)의 회전방향 측에서 직교하는 선 L2와, 이 선 L2를 냉매토출관(96)의 개구중앙(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16)의 회전방향 측으로 90° 회전시킨 선 L3과의 사이에 있는 영역 A3의 아래쪽에 제2 커버(60)에 형성된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면, 청구항 2와 같이 비산 범위를 미리 측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청구항 1보다도 더욱 확실히 밀폐용기(12) 밖으로의 오일토출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이용한 로터리 콤프레셔(10)에 적용했지만, 이산화탄소 이외의 고압축의 냉매(예를 들면 질소가스 등)를 이용한 로터리 콤프레셔 혹은 피스톤식의 콤프레셔에 적용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기준으로 토출구멍(65)의 위치를 설정했지만, 토출구멍(65)의 위치를 기준으로 냉매토출관(96)의 개구면(97)을 설정해도 지장이 없다. 또, 로터리 콤프레셔(10)를 2단 압축으로 설명했지만, 단단(單段) 압축이라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배관 구성 등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하여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10 로터리 콤프레셔 12 밀폐용기
12A 용기본체 12B 엔드캡
14 구동요소 16 회전축
18 회전압축요소 22 스테이터
24 로터 28 스테이터 코일
32 제1 회전압축요소 34 제2 회전압축요소
36 중간구획판 41 제1 실린더
42 제2 실린더 51 제1 지지부재
52 제2 지지부재 57 토출소음실
58 토출소음실 59 제1 커버
60 제2 커버 65 토출구멍
94 냉매도입관 96 냉매토출관
97 개구면 P 개구중앙

Claims (6)

  1.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요소의 상측에서의 상기 밀폐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상기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로터리 콤프레셔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의 위치를, 상기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직교하는 선 L1로부터, 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는 반대 측의 영역 A1의 아래쪽에 설정하며,
    상기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되고, 상기 구동요소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냉매 중의 오일이 상기 회전압축요소의 회전에 수반하는 관성에 의해, 상기 밀폐용기의 엔드캡 내면으로 비산하여 부착하는 범위를 A2로 한 경우에, 상기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는 반대 측에서 직교하는 부분의 상기 선 L1로부터 상기 범위 A2를 제외한 부분의 상기 영역 A1의 아래쪽에 상기 토출구멍의 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콤프레셔.
  2. 삭제
  3. 밀폐용기 내에 구동요소와, 이 구동요소의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구동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요소의 상측에서의 상기 밀폐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당해 밀폐용기 내로 냉매토출관을 삽입하며, 측방을 향해서 개구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한 후, 상기 냉매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로터리 콤프레셔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의 위치를, 상기 냉매토출관의 개구면을 지나고, 또한, 당해 냉매토출관의 개구방향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측에서 직교하는 선 L2와, 이 선 L2를 상기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측으로 90° 회전시킨 선 L3과의 사이에 있는 영역 A3의 아래쪽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콤프레셔.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관의 개구중앙은 상기 회전축의 축심이 위치하는 상기 밀폐용기의 수평방향에서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콤프레셔.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상기 회전압축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압축요소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2 회전압축요소에서 압축하여 상기 토출구멍으로부터 상기 밀폐용기 내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콤프레셔.
  6.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콤프레셔.
KR1020110020634A 2010-03-25 2011-03-08 로터리 콤프레셔 KR101278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9778A JP5611630B2 (ja) 2010-03-25 2010-03-25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10-069778 2010-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741A KR20110107741A (ko) 2011-10-04
KR101278319B1 true KR101278319B1 (ko) 2013-07-05

Family

ID=4407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34A KR101278319B1 (ko) 2010-03-25 2011-03-08 로터리 콤프레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7090B2 (ko)
EP (1) EP2372159B1 (ko)
JP (1) JP5611630B2 (ko)
KR (1) KR101278319B1 (ko)
CN (1) CN102200129A (ko)
TW (1) TW2012007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2847B (zh) * 2013-08-19 2015-11-18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具有该旋转式压缩机的冷冻循环装置
US11293670B2 (en) * 2017-06-23 2022-04-05 Daikin Industries, Ltd. Chiller with an outdoor unit transferring heat to an indoor unit using carbon dioxide
JP2020133523A (ja) * 2019-02-21 2020-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0893A (ja) * 1982-03-31 1983-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式圧縮機
JPS60233382A (ja) * 1984-05-04 1985-11-20 Matsushita Refrig Co 回転式圧縮機
KR19990013458U (ko) * 1997-09-26 1999-04-15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구조
JP2009144602A (ja) 2007-12-14 2009-07-02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9999A (en) * 1933-10-10 wilson
JPS61178590A (ja) * 1985-01-31 1986-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ル圧縮機
JPS61171892U (ko) * 1985-04-12 1986-10-25
CZ279382B6 (cs) * 1986-05-20 1995-04-12 Sanyo Electric Co. Ltd. Hermaticky utěsněný rotační kompresor
JPH05195975A (ja) * 1992-01-21 1993-08-06 Hitachi Ltd 密閉型圧縮機
JP3370046B2 (ja) * 2000-03-30 2003-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多段圧縮機
KR100453977B1 (ko) * 2002-05-29 200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JP2004169617A (ja) * 2002-11-20 2004-06-17 Sanyo Electric Co Ltd 横置き型圧縮機
JP2005105962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コンプレッサ
JP2006336481A (ja) * 2005-05-31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JP4232830B2 (ja) * 2007-02-15 2009-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回転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圧縮機
JP4605290B2 (ja) * 2008-12-17 2011-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0893A (ja) * 1982-03-31 1983-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式圧縮機
JPS60233382A (ja) * 1984-05-04 1985-11-20 Matsushita Refrig Co 回転式圧縮機
KR19990013458U (ko) * 1997-09-26 1999-04-15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용 머플러의 소음 저감구조
JP2009144602A (ja) 2007-12-14 2009-07-02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0734A (en) 2012-01-01
EP2372159A3 (en) 2016-04-27
JP5611630B2 (ja) 2014-10-22
US20110236245A1 (en) 2011-09-29
KR20110107741A (ko) 2011-10-04
US8747090B2 (en) 2014-06-10
EP2372159B1 (en) 2018-07-11
EP2372159A2 (en) 2011-10-05
CN102200129A (zh) 2011-09-28
JP2011202564A (ja)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66B1 (ko) 로터리 콤프레셔
KR101164320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2006152950A (ja) 多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1278319B1 (ko) 로터리 콤프레셔
JP3728227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5446967B2 (ja) 圧縮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25652A1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4027970A (ja) 多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289975B2 (ja) 多段圧縮式ロータリ圧縮機
JP2019094777A (ja) 回転圧縮機
JP201919046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3201982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WO2012117598A1 (ja) 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JP2006200541A (ja) 密閉式電動圧縮機
JP4100969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6207535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913507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9057840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の製造方法
JP2004293330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5220752A (ja) 圧縮機
JP3762690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963691B2 (ja) 密閉式電動圧縮機
JP2003206879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155987A (ja) 冷媒回路の除霜装置及び冷媒回路用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097434A (ja) 密閉式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