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246B1 - 라인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라인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246B1
KR101278246B1 KR1020120148154A KR20120148154A KR101278246B1 KR 101278246 B1 KR101278246 B1 KR 101278246B1 KR 1020120148154 A KR1020120148154 A KR 1020120148154A KR 20120148154 A KR20120148154 A KR 20120148154A KR 101278246 B1 KR101278246 B1 KR 101278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extension
control device
adjusting device
posi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춘희
이지영
Original Assignee
방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춘희 filed Critical 방춘희
Priority to KR102012014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246B1/ko
Priority to PCT/KR2013/011625 priority patent/WO20140984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라인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어폰의 줄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어폰 줄의 일부를 사용자의 귀에 걸도록 함으로써, 가볍고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라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인조절장치{LINE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라인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어폰의 줄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어폰 줄의 일부를 사용자의 귀에 걸도록 함으로써, 가볍고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라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양측 귀에 각각 좌측용 이어폰헤드와 우측용 이어폰헤드를 각각 끼워서 음악을 듣거나 음성통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이어폰은 이어폰잭과 이어폰헤드 사이에 양측 이어폰줄이 있는 것으로, 주로 휴대폰이나 MP3 등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대부분 일반적인 종래의 이어폰은 귀속에 이어폰헤드를 삽입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거나 고개를 돌리는 단순 동작만으로도 쉽게 귀에서 이탈을 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블루투스형 이어폰이 나오긴 하지만, 블루투스 특성상, 자주 끈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중요한 대화를 하기가 곤란하고, 휴대폰과 이어폰 사이가 멀거나 장애물이 있으면 사용하기 곤란한 것이다.
반면 귀걸이부재가 별도로 부착된 이어폰도 있으나, 대부분 사용자 귀가 다 다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맞춤형으로 귀걸이부재를 만들기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 귀에 귀걸이부재를 걸어도 고개를 돌리거나 운동을 하면, 이어폰줄이 귀걸이부재를 잡아당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귀가 아프거나 또는 귀로부터 귀걸이부재가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귀에 알맞게 부착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이어폰용 부재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어폰의 줄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어폰 줄의 일부를 사용자의 귀에 걸도록 함으로써, 가볍고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어폰헤드를 귀속에 넣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단지 이어폰헤드만 귀에서 빼면 되며, 이어폰헤드를 귀속에서 빼더라도 귀에 근접되어 라인조절장치가 있고 이러한 라인조절장치에 이어폰헤드가 있기 때문에 손으로 더듬어서 쉽게 이어폰헤드를 찾을 수 있어, 다시 사용시에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어폰 줄이 지나는 내부에 굴곡(꺾임부)을 주어 이어폰 줄의 길이를 맞춘 다음에는 쉽게 줄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 본 발명에서의 라인조절장치가 이어폰 줄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기타 장식용 줄, 가방 끈 등 다양한 줄에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일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 및 중앙라인위치부에 결합되는 라인의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의 형태는, 구형태, 육면체형태, 직육면체형태, 타원형태, 원통형태, 육면체통형태, 원형통형태, 원형봉형태, 사각봉형태, 다각형봉형태, 캐릭터형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고,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라인위치부, 중앙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 부분에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라인이 위치된 상태에서 몰딩된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라인을 라인조절장치에서 결합하거나 분리가 되는 덮개를 구비한 덮개 개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라인위치부와 타라인위치부가 이어지되, 상기 중앙라인위치부와 타라인위치부가 이어져 이루는 형태가 "V"자 형태, "U"자 형태, "ㄷ"자 형태 및 "ㄱ"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의 형태가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파이프 형상의 라인조절장치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일연장라인이 관통하도록 일라인위치부가 형성되고, 중앙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게 중앙라인위치부가 구비되며, 타연장라인이 타측의 중심축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게 타라인위치부가 중심축 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에는, 일라인위치부, 중앙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의 외부를 잇는 라인숨김홈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숨김홈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별형태, 다각형형태, 캐릭터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라인조절장치; 및 상기 라인조절장치에 결합되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라인조절장치에 의해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폐곡선형성부가 구비되고, 라인조절장치를 지나는 일연장라인, 중앙연장라인, 타연장라인의 이동으로 폐곡선형성부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라인에 결합되는 라인조절장치는 좌라인조절장치와 우라인조절장치로 이루어지며, 좌라인과 우라인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라인조절장치와 우라인조절장치, 이어폰잭, 이어폰헤드, 라인조절부,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좌라인과 우라인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가 구비되고, 라인의 끝단에 이어폰잭이 구비되며, 상기 라인 일측에는 라인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를 포함하여,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이어폰잭, 이어폰헤드, 라인조절부, 라인조절장치,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인 일측에는 라인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를 포함하여,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이어폰헤드는 블루투스 통신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어폰헤드, 라인조절장치,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형 이어폰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어폰의 줄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어폰 줄의 일부를 사용자의 귀에 걸도록 함으로써, 가볍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어폰헤드를 귀속에 넣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단지 이어폰헤드만 귀에서 빼면 되며, 이어폰헤드를 귀속에서 빼더라도 귀에 근접되어 라인조절장치가 있고 이러한 라인조절장치에 이어폰헤드가 있기 때문에 손으로 더듬어서 쉽게 이어폰헤드를 찾을 수 있어, 다시 사용시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어폰 줄이 지나는 내부에 굴곡(꺾임부)을 주어 이어폰 줄의 길이를 맞춘 다음에는 쉽게 줄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단지 본 발명에서의 라인조절장치가 이어폰 줄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기타 장식용 줄, 가방 끈 등 다양한 줄에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닫혀져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닫혀져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되고 라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되고 라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의 일측이 돌출되어 일연장라인이 결합되는 실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로, 일단에 어어폰잭이 구비된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로, 라인숨김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로, 라인숨김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실시예에서 라인이 당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사용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가 구비된 블루투스형 이어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형 이어폰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2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0 등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일라인위치부(21), 타측의 타라인위치부(23) 그리고 중앙의 중앙라인위치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인조절장치(20)에는 길게 연장형성된 라인(12)이 위치되는 것으로, 라인조절장치(20)에 의하여 라인(12) 일측에 폐곡선 형태를 갖게 되고, 라인조절장치(20)에 의해 라인(12)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크기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라인(12)의 종류로는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이어폰 줄(earphone line)이 해당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장식용줄이라던가 매듭용줄(line), 가방이나 배낭 등에 이용되는 줄로써 매듭이 필요한 부분이나 임의의 고리에 걸기위한 원형 라인 등의 형성에 적용될 수 있는 줄(line)이 해당될 것이다. 즉 라인의 이동 및 라인에 의해 형성된 폐곡선의 크기(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은 라인(12)은 일측 연장되는 일연장라인(121), 라인(12)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타연장라인(123), 상기 일연장라인(121)과 타연장라인(123) 사이의 중앙연장라인(122) 등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이들 일연장라인(121), 타연장라인(123), 중앙연장라인(122) 등은 서로 바로 연이어져 마련될 수도 있고, 중간에 다른 굽어진 부분으로 연이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20) 및 이어폰 등의 실시 양태나 환경에 따라 알맞게 실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20)의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라인(12) 중 일연장라인(121)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21)와, 타연장라인(123)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23) 및 일연장라인(121)과 타연장라인(123) 사이의 중앙연장라인(122)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2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일라인위치부(21), 타라인위치부(23) 및 중앙라인위치부(22)에 결합되는 라인(12)의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라인조절장치(20)의 형태는, 구형태, 육면체형태, 직육면체형태, 타원형태, 원통형태, 육면체통형태, 원형통형태, 원형봉형태, 사각봉형태, 다각형봉형태, 캐릭터형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앙 부분은 꺾임부(24)가 형성된 것으로, 꺾임부(24)에 의해 꺾임부(24)를 지나는 라인(12)이 쉽게 지나지 않도록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한번 위치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인조절장치(20)는, 라인(12)의 일반적인 간단한 단순끼움에 더하여 라인(12)이 위치된 상태에서 몰딩된 형태를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라인조절장치(20)의 제조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라인조절장치(20)는, 라인(12)을 라인조절장치(20)에서 결합하거나 분리가 되는 덮개(26)를 구비한 덮개 개폐 형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라인조절장치(20)를 별도로 먼저 제조하고 덮개(26)를 열어 라인(12)을 조립한 다음에 덮개(26)를 닫아 사용하는 것이다. 이후 라인(12)을 교체할 경우에도 손쉽게 덮개(26)를 열어 작업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라인조절장치(20)는, 상기 중앙라인위치부(22)와 타라인위치부(23)가 이어지되, 상기 중앙라인위치부(22)와 타라인위치부(23)가 이어져 이루는 형태가 "V"자 형태, "U"자 형태, "ㄷ"자 형태 및 "ㄱ"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라인조절장치(20)의 형태가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처럼 파이프 형상의 라인조절장치(20)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일연장라인(121)이 관통하도록 일라인위치부(21)가 형성되고, 중앙연장라인(122)이 라인조절장치(20)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게 중앙라인위치부(22)가 구비되며, 타연장라인(123)이 타측의 중심축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방향으로 관통되어 결합되게 타라인위치부(23)가 중심축 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인조절장치(20)에는,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의 외부를 잇는 라인숨김홈(27)을 형성하여, 라인숨김홈(27)에 라인(12) 일측이 들어가게 되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아 미관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라인이 돌출되지 않아 다른 물건에 걸리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라인숨김홈(27)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별형태, 다각형형태, 캐릭터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어 실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상기의 라인조절장치(20)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라인조절장치(20)에 결합되는 라인(12)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12) 일단에 이어폰헤드(42)가 구비되는 라인조절이 가능한 이어폰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라인(12)은 라인조절장치(20)에 의해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폐곡선형성부(13)가 구비되고, 라인조절장치(20)를 지나는 일연장라인(121), 중앙연장라인(122), 타연장라인(123)의 이동으로 폐곡선형성부(13)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폐곡선형성부(13)를 크게 하여 귀에 건 다음, 폐곡선형성부(13)를 줄임으로써 귀에 알맞게 라인(12)을 밀착시키면, 사용자의 귀에서 이어폰이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나아가 듣지 않는 경우에도 귀속에서 이어폰헤드만 빼는 경우에, 이어폰헤드가 다른 곳으로 분실되지 않고, 라인조절장치(20)에 붙어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록 눈에 이어폰헤드가 보이지 않더라도 손쉽게 이어폰헤드(42)를 더듬어서 찾아 귀속에 넣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라인(12)은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으로 이루어지고, 라인(12)에 결합되는 라인조절장치(20)는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로 이루어지며, 라인(12)의 다른 쪽 끝단에는 이어폰잭(40)이 연결되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즉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여, 그리하여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의 자력에 의해 붙어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가 다른 라인에 꼬이지 않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50)가 구비되어,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을 구분지게 하고, 이처럼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 그리고 이어폰헤드(42), 이어폰잭(40), 또는 상기 라인조절부(50), 좌라인(124) 및 우라인(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즉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 그리고 이어폰헤드(42), 이어폰잭(40), 또는 상기 라인조절부(50), 좌라인(124) 및 우라인(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여, 이들 구성들이 서로 자력에 의해 붙어있도록 실시되는 것이며, 이로써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부재들이 자력에 의해 붙어있기 때문에 라인이 꼬이지 않아 사용할 때 꼬이지 않는 이어폰 및 이어폰의 라인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라인(12) 일단에 이어폰헤드(42)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12)은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으로 이루어지며,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50)가 구비되고, 라인(12)의 끝단에 이어폰잭(40)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잭(40), 이어폰헤드(42), 라인조절부(50), 좌라인(124) 및 우라인(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라인(12)은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으로 이루어지고, 라인(12)에 결합되는 라인조절장치(20)는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로 이루어지며,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 이어폰잭(40), 이어폰헤드(42), 라인조절부(50), 좌라인(124) 및 우라인(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나아가 라인(12) 일단에 이어폰헤드(42)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12)은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어폰헤드(42)는 블루투스 통신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어폰헤드(42), 좌라인(124) 및 우라인(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형 이어폰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블루투스형 이어폰의 경우 이어폰헤드(42)가 모노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좌이어폰헤드와 우이어폰헤드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스테레오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좌라인조절장치(201)와 우라인조절장치(202), 이어폰잭(40), 이어폰헤드(42), 라인조절부(50), 좌라인(124), 우라인(125) 중에서 자성을 갖는 물질 또는 도체를 포함하여, 자성물질을 갖는 부재들끼리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또는 자성물질을 갖는 부재와 도체와 같이 자력에 붙는 물질로 이루어진 부재들 사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설명되는 라인조절장치(20), 라인(12) 및 이어폰 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 등은 라인조절장치(20)가 원형봉형태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도가 도시된 것이다.
이러한 원형봉형태의 실시예의 라인조절장치(20)는 일측의 일라인위치부(21)가 오른쪽 상부로 시작하여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음 중앙 아래로 내려가도록 라인(12)의 일연장라인(121)이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중앙의 중앙라인위치부(22)는 중앙 상부로 시작하여 중앙 아래로 내려가는 중에 타라인위치부(23)와 이어지고 타라인위치부(23)는 중앙 부분에서 왼쪽 상부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중앙라인위치부(22)와 타라인위치부(23)는 대체로 "V"자 형태를 이루어, 이들에 결합되는 중앙연장라인(122) 및 타연장라인(123) 등도 "V"자 형태를 이루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인(12)의 중간 부분이 "V"자 형태로 꺾여있기 때문에 한번 라인조절장치(20)에 결합된 라인(12)은 쉽게 움직이지 않으며 사용자가 조심스럽게 조절하여야만 움직일 수 있어 폐곡선형성부(13)의 길이가 제멋대로 변형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잘 조절하면 원하는 크기의 폐곡선형성부(13)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예시에서는 중앙연장라인(122)의 상부 끝단에 이어폰헤드(42)가 결합되게 하고, 일연장라인(121)의 끝단에 이어폰잭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이러한 라인조절장치(20)가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로 되고, 각각 결합되는 라인(12)들이 라인조절부(50)에 모이도록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라인(12) 아래 끝에 이어폰잭(40)이 결합됨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의 경우 라인조절장치(20)에 덮개(26)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덮개(26)를 열어 사용중이던 이어폰의 라인(12)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장식용이나 가방 등의 끈도 자유로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2는 라인조절장치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 등이 형성되어 라인(12)이 결합되는 것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닫혀져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육면체형태 실시예의 라인조절장치(20)에 의하면, 일라인위치부(21)가 오른쪽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라인위치부(23)가 왼쪽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중앙라인위치부(22)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일라인위치부(21), 타라인위치부(23), 중앙라인위치부(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앙 위치에는 꺾임부(24)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꺾임부(24)에 의하여 각각에 위치된 일연장라인(121), 타연장라인(123), 중앙연장라인(122) 등이 잘 요동되지 않아, 한번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폐곡선형성부(13)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사용자가 슬슬 움직이면 폐곡선형성부(13)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2에서처럼 사용자의 귀에 알맞게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에 덮개(26)를 형성함으로써, 덮개(26)를 열고 새로운 이어폰 라인(12)을 결합시키거나, 기타 장식용 줄, 가방 줄 등 다양한 줄을 결합할 수 있어, 사용이 다양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서처럼 라인조절장치(20) 및 라인(12)을 각각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 그리고 좌라인(124), 우라인(125)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 좌라인(124)과 우라인(125) 사이에는 라인조절부(50)를 구비하여, 좌라인(124)과 우라인(125)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들 라인조절장치(20), 라인조절부(50) 그리고 이어폰잭(40)과 더불어 라인(12) 등은 자성물질이 포함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력에 의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8 등에서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가 육면체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연장라인(122)과 타연장라인(123)의 사이의 라인(12)이 라인조절장치(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라인(12)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실시됨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닫혀져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구비된 라인조절장치(20)는 오른쪽 상하로 관통되게 일라인위치부(21)가 형성되고, 중앙라인위치부(22)는 중앙 위에서 아래로 구멍이 형성되고, 타라인위치부(23)는 왼쪽 위에서 아래로 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라인위치부(22)의 아래와 타라인위치부(23)의 아래는 서로 "U"자 형태로 만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 등의 중앙부분에는 꺾임부(24)가 형성되어 라인(12)의 요동을 방지한다.
또한 라인조절장치(20)에 덮개(26)를 구성하여 라인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도 17에서와 같이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 좌라인(124), 우라인(125) 등을 포함하여 이어폰이 구성되는 예를 보이고 있고, 이들 좌라인(124)과 우라인(125) 등은 라인조절부(50)에 의해 만나서 끝단에 이어폰잭(40)이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라인조절장치(20), 라인(12), 라인조절부(50) 등은 자력이 갖도록 함으로써, 접어서 둘 때에 가지런히 모이도록 하여 다음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9와 도 20에서와 같이 라인(12)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8)를 더 구비한다.
즉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어 구비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되고 라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육면체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로, 중앙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 내에 위치되고 라인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라인조절장치(20)의 각 라인위치부들과 라인(12)의 결합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련된다. 그리고 중앙라인위치부(22)와 타라인위치부(23) 등의 아래에는 스토퍼(28)가 마련되어, "U"자 형태로 지나는 중앙연장라인(122)과 타연장라인(123) 사이를 스토퍼(28)가 접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28)가 라인(12) 일측을 눌러 요동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스토퍼(28)를 작동하면 스토퍼(28)가 라인(12)으로부터 떨어져 라인(12)을 움직일 수 있어, 중앙연장라인(122) 등과, 폐곡선형성부(13) 등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4에서와 같이, 라인의 일부는 직선 형태를 이루고 다른 부분은 직각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즉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직육면체형태에서 덮개가 개방되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라인조절장치(20)에 있어서, 일라인위치부(21)는 오른쪽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앙라인위치부(22)는 중앙 상부에서 하향으로 구멍이 형성되며, 타라인위치부(23)는 왼쪽 측면 중앙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중앙라인위치부(22)의 아래부분과 타라인위치부(23)의 오른쪽 부분이 서로 이어져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라인의 일연장라인(121)은 상하로 결합되고, 중앙연장라인(122)과 타연장라인(124)은 각각 아래와 오른쪽 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당기면 직각으로 꺾여진 부분의 마찰력에 의해 잘 움직이지 않으나, 사용자가 천천히 살살 움직이면 라인이 움직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4에서와 같이 덮개(26)를 구성하여, 해당 위치부에 라이들을 넣거나 꺼내기 쉽도록 하여, 이어폰 줄을 비롯하여 장식용줄이나 가방의 줄 등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5, 도 26에서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가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로는 원형봉으로도 형성되게 응용되어 실시될 것이다.
즉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이에 도 25, 도 26의 예에서는 라인조절장치(20)의 오른쪽 상하로 관통되게 일라인위치부(21)가 형성되고, 중앙라인위치부(22)는 중앙의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타라인위치부(23)는 왼쪽 측면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연장라인(121)은 일라인위치부(21)에 결합되어 상하로 지나게 되며, 중앙연장라인(122)은 중앙라인위치부(22)에 놓여 중앙 상부로 위치되고, 타연장라인(123)은 타라인위치부(23)에 놓여 왼쪽 측면 중앙에 위치되며, 중앙연장라인(122)과 타연장라인(123)은 서로 직각으로 만나게 된다.
그리하여 라인(12)을 갑작스럽게 당기는 경우에는 마찰에 의해 잘 당겨지지 않으나 서서히 당기면서 줄의 길이를 조절하면 서서히 움직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7, 도 28에서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가 원통형태 또는 원형봉형태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일연장라인(121), 중앙연장라인(122), 타연장라인(123) 등이 상하로 결합된다.
즉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원통형태이고 타연장라인이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된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예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라인조절장치(20)의 오른쪽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일라인위치부(21)가 형성되고, 왼쪽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타라인위치부(23)가 형성되며,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중앙라인위치부(22)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라인(12)의 일연장라인(121), 중앙연장라인(122), 및 타연장라인(123) 등이 각각 라인조절장치(20)의 오른쪽, 중앙, 그리고 왼쪽에 상하로 지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28에서와 같이 라인(12) 및 라인조절장치(20)가 좌라인(124)과 우라인(125), 그리고 좌라인조절장치(201), 우라인조절장치(202)로 이루어지고, 양측 라인이 라인조절부(50)에 의해 모이며, 라인 아래에는 이어폰잭(40)이 마련된 것이다. 이들 라인(12), 라인조절장치(20), 라인조절부(50), 이어폰잭(40) 등은 자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되게 실시될 경우에는 서로 자력을 갖기 때문에 접어두는 경우 자력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의 일측이 돌출되어 일연장라인이 결합되는 실시 예시도이다.
즉 라인조절장치(20)의 오른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라인위치부(21)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연장라인(121)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쉽게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0 내지 도 35 등에서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가 구 형태로 이루어져, 라인이 여러차례 지나면서 요동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즉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로, 일단에 어어폰잭이 구비된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로, 라인숨김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로, 라인숨김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시의 저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되어 귀에 위치된 상태의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이 결합된 상태로, 좌-우측의 이어폰의 라인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어폰 실시예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라인조절장치(20)가 구 형태를 이루는 실시예에서, 일라인위치부(21)와 중앙라인위치부(22) 그리고 타라인위치부(23)는 구 형태의 라인조절장치(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이들 서로의 수평 절단면에서의 배열 형상이, 삼각형 배열, 사각형배열 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배열 형상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라인(12)은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 등에 결합되어, 일연장라인(121), 중앙연장라인(122), 타연장라인(123) 등이 상하로 나열되어 결합된다.
물론 이들 일라인위치부(21), 중앙라인위치부(22), 타라인위치부(23) 등은 중앙에 꺾임부(24)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꺾임부에 의해 라인의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32, 도 33 등에서와 같이 구 형태의 라인조절장치(20)의 아래 면에는 라인숨김홈(27)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라인숨김홈(27)에 중앙연장라인(122)과 타연장라인(123) 사이의 "U"자로 굽어지는 부분이 위치됨으로써, 외부로 라인이 노출됨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다른 물체에 라인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이 양호하게 된다.
아울러 도 34에서처럼 사용자의 귀에 걸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도 35에서처럼 라인(12)과 구 형태의 라인조절장치(20)가 좌우로 이루어지며, 라인조절장치(20) 및 라인(12), 그리고 중앙의 라인조절부(50), 아래의 이어폰잭(40) 등이 자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어, 자력에 의해 접어두기가 편리하고, 접어둔 상태로 흐트러지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 줄(Line)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기타 도 36 내지 도 38 등에서와 같이 장식용품의 줄에 적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가방의 끈이나 다른 끈들에도 적용될 것이다.
즉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실시예시 사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실시예에서 라인이 당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조절장치로써 구형태의 실시예에 라인과 장식품이 결합된 사용상태의 예시도이다.
따라서 구 형태로 이루어진 라인조절장치(20)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라인의 폐곡선형성부(13)를 크게 한 다음에, 목에 건 후에 다시 라인 길이를 조절하여 목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2 : 라인 121 : 일연장라인
122 : 중앙연장라인 123 : 타연장라인
124 : 좌라인 125 : 우라인
13 : 폐곡선형성부
20 : 라인조절장치 201 : 좌라인조절장치
202 : 우라인조절장치 21 : 일라인위치부
22 : 중앙라인위치부 23 : 타라인위치부
24 : 꺾임부 26 : 덮개
27 : 라인숨김홈 28 : 스토퍼
40 : 이어폰잭 42 : 이어폰헤드
50 : 라인조절부

Claims (12)

  1.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
    를 포함하여,
    상기 일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 및 중앙라인위치부에 결합되는 라인의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의 형태는, 구형태, 육면체형태, 직육면체형태, 타원형태, 원통형태, 육면체통형태, 원형통형태, 원형봉형태, 사각봉형태, 다각형봉형태, 캐릭터형상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고,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라인위치부, 중앙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 부분에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몰딩된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덮개를 구비한 덮개 개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라인위치부와 타라인위치부가 이어지되,
    상기 중앙라인위치부와 타라인위치부가 이어져 이루는 형태가 "V"자 형태, "U"자 형태, "ㄷ"자 형태 및 "ㄱ"자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의 형태가 파이프 형상을 이루되,
    파이프 형상의 라인조절장치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일연장라인이 관통하도록 일라인위치부가 형성되고,
    중앙연장라인이 라인조절장치의 중심축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게 중앙라인위치부가 구비되며,
    타연장라인이 타측의 중심축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게 타라인위치부가 중심축 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조절장치에는, 일라인위치부, 중앙라인위치부, 타라인위치부의 외부를 잇는 라인숨김홈을 형성하고,
    상기 라인숨김홈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별형태, 다각형형태, 캐릭터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조절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라인조절장치; 및
    상기 라인조절장치에 결합되는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라인조절장치에 의해 일측이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폐곡선형성부가 구비되고,
    라인조절장치를 지나는 일연장라인, 중앙연장라인, 타연장라인의 이동으로 폐곡선형성부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라인에 결합되는 라인조절장치는 좌라인조절장치와 우라인조절장치로 이루어지며,
    좌라인과 우라인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좌라인조절장치와 우라인조절장치, 이어폰잭, 이어폰헤드, 라인조절부,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좌라인과 우라인이 근접되게 지나는 라인조절부가 구비되고,
    라인의 끝단에 이어폰잭이 구비되며,
    상기 라인 일측에는 라인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를 포함하여,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이어폰잭, 이어폰헤드, 라인조절부, 라인조절장치,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라인 일단에 이어폰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은 좌라인과 우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어폰헤드는 블루투스 통신부가 포함되고,
    상기 라인 일측에는 라인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조절장치는:
    라인의 일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일라인위치부;
    라인의 타연장라인이 위치되는 타라인위치부; 및
    일연장라인과 타연장라인 사이의 라인의 중앙연장라인이 위치되는 중앙라인위치부를 포함하여, 라인조절장치에 의하여 라인 일측에 형성된 폐곡선의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이어폰헤드, 라인조절장치, 좌라인 및 우라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형 이어폰.
KR1020120148154A 2012-12-18 2012-12-18 라인조절장치 KR10127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54A KR101278246B1 (ko) 2012-12-18 2012-12-18 라인조절장치
PCT/KR2013/011625 WO2014098426A1 (ko) 2012-12-18 2013-12-16 라인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54A KR101278246B1 (ko) 2012-12-18 2012-12-18 라인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246B1 true KR101278246B1 (ko) 2013-06-24

Family

ID=4886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54A KR101278246B1 (ko) 2012-12-18 2012-12-18 라인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8246B1 (ko)
WO (1) WO2014098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204A (ja) * 2013-10-03 2015-04-16 エレコム株式会社 イヤーフッ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6875B2 (en) * 2017-06-13 2021-10-12 Sony Corporation Sound outpu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724Y1 (ko) 2006-02-10 2006-05-04 남준욱 이어폰 코드의 꼬임 방지구.
KR20090004336U (ko) * 2007-11-05 2009-05-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선 정리기
KR100936393B1 (ko) * 2007-08-15 2010-01-12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KR101165181B1 (ko) * 2011-11-15 2012-07-11 이주형 이어폰 케이블 꼬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99Y1 (ko) * 2000-03-10 2000-08-16 이황우 목걸이형 이어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724Y1 (ko) 2006-02-10 2006-05-04 남준욱 이어폰 코드의 꼬임 방지구.
KR100936393B1 (ko) * 2007-08-15 2010-01-12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KR20090004336U (ko) * 2007-11-05 2009-05-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선 정리기
KR101165181B1 (ko) * 2011-11-15 2012-07-11 이주형 이어폰 케이블 꼬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204A (ja) * 2013-10-03 2015-04-16 エレコム株式会社 イヤーフ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426A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823B2 (en) Cord management system
US8615849B2 (en) Cord management system
US9648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KR101278246B1 (ko) 라인조절장치
US20150055813A1 (en) Wearable malleable earphone case
JP5859789B2 (ja) 携帯ストラップ用取付物品並びに携帯ストラップ
JP6358709B2 (ja) 耳掛け型装飾具
JP2011251109A (ja) 連結ストラップおよび物品の連結ストラップによる連結方法
US9445180B1 (en) Method of storing headphones
US8721385B2 (en) Pose able toy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KR20046271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KR101173074B1 (ko) 장신구
CN208128487U (zh) 一种防线材缠绕和摇摆的运动蓝牙耳机
KR200365506Y1 (ko) 슬립부재에 의한 이어폰 스피커의 신호선 이동제어 구조
CN205666935U (zh) 一种耳机挂扣
CN221227594U (zh) 电子设备配件
KR200383606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CN203352758U (zh) 发箍式耳机
JP2012179262A (ja) 携帯ストラップの取付方法および携帯ストラップ
CN203942626U (zh) 一种简单挂脖可伸缩耳机
JP5559289B2 (ja) 紐通し止め孔付き正常姿勢決まり物品
JP3220064U (ja) 変形遊戯用ブロックによるコードキーパー
KR101583425B1 (ko)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KR200389786Y1 (ko) 목걸이형 이어폰
JP5414218B2 (ja) ストラップパーツおよび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