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090B1 -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090B1
KR101277090B1 KR1020130013312A KR20130013312A KR101277090B1 KR 101277090 B1 KR101277090 B1 KR 101277090B1 KR 1020130013312 A KR1020130013312 A KR 1020130013312A KR 20130013312 A KR20130013312 A KR 20130013312A KR 101277090 B1 KR101277090 B1 KR 10127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tube
paper tub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완
Original Assignee
(주)현성이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성이노팩 filed Critical (주)현성이노팩
Priority to KR102013001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부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서, 관뚜껑인 상부판의 이탈을 막아주는 고정지지부, 고정부 및 결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이관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는 골판지 종이를 다수의 접이 선에 따라 접는 바닥판, 정면판, 배면판, 좌·우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와 관뚜껑인 상부판으로 구성되는 종이관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하부몸체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Device for retaining lid of a paper coffin.}
본 발명은 보강부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서, 관뚜껑인 상부판의 이탈을 막아주는 고정지지부, 고정부 및 결합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화장식 장래문화로 바뀌면서 화장용 종이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이관은 가벼운 골판지 종이를 주재료로, 종이 원지를 여러 장 붙인 종이앵글을 부재로 하여 관을 재작함으로써 연소가 잘되어 화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가의 목관을 대신하여 골판지 종이를 접어 관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작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가격부담을 내려 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07736에서는 상부 관뚜껑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측판의 상단에 걸리는 플랜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 관뚜겅을 닫을때 가이드홈에 맞춰 닫게되는데, 관뚜껑을 결합하는 부분이 단순히 끼움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속이 강하지 못하고 이동중에 관뚜껑이 이탈하거나 플랜지 부분이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관뚜껑인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골판지 종이를 다수의 접이 선에 따라 접는 바닥판, 정면판, 배면판, 좌·우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와 관뚜껑인 상부판으로 구성되는 종이관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하부몸체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합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는 여러 겹의 골판지 종이를 합지하여 만든 고정부, 고정지지부 및 결합부에 의해 관두껑인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종이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판부와 고정틀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종이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판부와 고정틀부의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부(40, 41)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서, 관뚜껑인 상부판(20)의 이탈을 막아주는 고정지지부(21), 고정부(22) 및 결합부(2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립식 종이관은 골판지 종이를 다수의 접이 선에 따라 접는 바닥판(11), 정면판(12), 배면판(13) 그리고, 좌·우 측면판(14, 15)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10)와 관뚜껑인 상부판(20)으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좌측면판(14)과 우측면판(15)은 골판지 종이와 종이 원지를 여러 장 붙여 만든 종이앵글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바닥판(11), 정면판(12) 그리고 배면판(13)은 골판지 종이를 여러 장 겹쳐서 바닥면을 만들고, 바닥면에 접이 선을 만들어 바닥면을 접으면 바닥판(11), 정면판(12) 그리고 배면판(13)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0)의 경우 그림 2에서와 같이 종이관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몸체(10)의 내측에 종이 원지를 여러 장 붙인 종이 앵글을 'ㄷ'자형으로 절곡한 'ㄷ'자 보강부(40)를 조립하고, 하부몸체(10)의 정면판(12)과 배면판(13)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일자형 보강부(41)를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ㄷ'자 보강부(40)는 상부판(20)의 내측에도 조립되어 상부판의 휘어짐 현상과 상부판(20)의 움직임을 잡아주게 된다.
하부몸체(10)가 만들어지면 시신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하판부(16)가 하부몸체(10)에 삽입되어 진다. 하판부(16)의 경우 그림 3에서와 같이 하판부(16)의 상부, 중부, 하부에 시신을 고정시켜서 삼베천으로 묶기위한 홀(17)이 시신이 위치하는 좌우측에 하나 이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하판부(16)에 안치된 시신의 머리와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상단 고정틀부(30)와 하단 고정틀부(31)가 결합하게 된다.
상단 고정틀부(30)의 경우 시신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게 머리 형태로 만들어지고, 하단 고정틀부(31)는 시신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게 다리 형태로 만들어지며, 골판지를 여러 장 겹쳐 제작되어 시신의 크기에 따라 두께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 종이관의 경우 하부몸체(10)가 만들어지면, 그 안에 하판부(16)를 삽입하고 관뚜껑인 상부판(20)을 닫으므로써 종이관이 완성되지만 상부판(20)의 체결이 견고하지 않아 상부판(20)의 이탈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부판(20)을 체결하고 나서 상부판(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22), 고정지지부(21) 및 결합부(23)를 이용하여 상부판(20)을 고정하게 된다.
고정지지부(21)는 여러 겹의 골판지 종이를 합지하여 정면판(12)과 배면판(13)의 외측에 하나 이상 결합되고, 결합된 고정지지부(21)는 하부몸체(10)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고정부(22)와 결속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21)는 접착제, 끼움방식, 피스를 이용한 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정면판(12)과 배면판(13)에 결합되게 된다.
고정부(22)는 상부판(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겹의 골판지 종이를 합지하여 'ㄷ'자 형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하부몸체(10)에 결합된 상부판(20)의 외측과 고정지지부(21)에 끼워져 결속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21)와 고정부(22)에는 서로 결속하기 위한 체결부재(24)가 하나 이상 구비되어 지며, 체결부재(24)는 정면판(12)과 배면판(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의 모양은 상부판(20)과 종이관의 외형에 따라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23)는 고정지지대(21)와 고정대(2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녹말가루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고정지지부(21)와 고정부(22)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4)에 삽입되어 고정부(22)를 고정시켜 상부판(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23)의 재료는 녹말가루 외에도 나무를 이용하거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종이관의 외피 마감재는 한지, 천, 도배지, 무늬목, 종교의식의 인쇄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하부몸체 11 : 바닥판
12 : 정면판 13 : 배면판
14 : 촤측면판 15 : 우측면판
16 : 하판부 17 : 홀
20 : 상부판 21 : 고정지지부
22 : 고정부 23 : 결합부
24 : 체결부재 30 : 상단 고정틀부
31 : 하단 고정틀부 40 : 'ㄷ'자 보강부
41 : 일자형 부강부

Claims (9)

  1. 골판지 종이를 다수의 접이 선에 따라 접는 바닥판, 정면판, 배면판, 좌·우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와 관뚜껑인 상부판으로 구성되는 종이관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하부몸체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와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겹의 골판지 종이를 합지하여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된 상기 상부판의 외측과 상기 고정지지부에 끼워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관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
    시신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하판부; 및
    상기 하판부에 안치된 시신의 머리와 다리를 고정하기 위한 상·하단 고정틀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여러 겹의 골판지 종이를 합지하여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외측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녹말가루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켜 상기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고정틀은 상기 시신의 머리 형태로 만들어진 상단 고정틀과 상기 시신의 다리 형태로 만들어진 하단 고정틀로 이루어지며, 골판지를 여러 장 겹쳐 제작되고, 상기 시신의 크기에 따라 두께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의 상·중·하 부위에는 삼베천으로 시신을 고정시켜 묶기 위한 홀이 시신이 위치하는 좌우측에 하나 이상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판의 내측에 종이 원지를 여러 장 붙인 종이앵글이 'ㄷ'자형으로 절곡된 'ㄷ'자 보강부와, 상기 종이앵글이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의 일자형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KR1020130013312A 2013-02-06 2013-02-06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KR10127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2A KR101277090B1 (ko) 2013-02-06 2013-02-06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2A KR101277090B1 (ko) 2013-02-06 2013-02-06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90B1 true KR101277090B1 (ko) 2013-06-24

Family

ID=4886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312A KR101277090B1 (ko) 2013-02-06 2013-02-06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0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Y1 (ko) * 2000-06-01 2000-10-16 주식회사이웃과 사람 종이관
KR200255050Y1 (ko) * 2001-08-23 2001-11-27 김규홍 지관
KR200332730Y1 (ko) * 2003-07-30 2003-11-10 주식회사 인성후렉소타운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Y1 (ko) * 2000-06-01 2000-10-16 주식회사이웃과 사람 종이관
KR200255050Y1 (ko) * 2001-08-23 2001-11-27 김규홍 지관
KR200332730Y1 (ko) * 2003-07-30 2003-11-10 주식회사 인성후렉소타운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87017A5 (ko)
US3729786A (en) Cardboard blanks and boxes formed therefrom
US8356392B2 (en) Cremation container
ATE554238T1 (de) Türpaneel
US10683130B2 (en) Packing case
US20200206057A1 (en) Coffins
KR101277090B1 (ko)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US8176858B2 (en) Composite desk
KR101123037B1 (ko)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US1996975A (en) Container
KR20160008905A (ko) 접이식 관
JP2015002825A (ja) 葬儀用紙棺
US20130061394A1 (en) Fitted Mattress Cover
JP2005052407A (ja) 組立て式段ボール製棺
JP4965177B2 (ja) 八角形状の段ボール紙製の組み立て用棺桶
JP3129940U (ja)
KR101515192B1 (ko) 증서 케이스
JP2014200579A (ja) 段ボール製棺
KR101643153B1 (ko) 증서 케이스
KR102592084B1 (ko)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JP3173868U (ja) 組立ケース
KR200437230Y1 (ko) 매트리스커버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TWM517604U (zh) 紙製棺材
JP3144211U (ja) 八角形状の段ボール紙製の組み立て用棺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