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730Y1 -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 Google Patents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730Y1
KR200332730Y1 KR20-2003-0024579U KR20030024579U KR200332730Y1 KR 200332730 Y1 KR200332730 Y1 KR 200332730Y1 KR 20030024579 U KR20030024579 U KR 20030024579U KR 200332730 Y1 KR200332730 Y1 KR 200332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assembled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후렉소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후렉소타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후렉소타운
Priority to KR20-2003-002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2Linings and vene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073Cardbo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몸체(100)와 상부판(200)은 개방부와 가장자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배면판(20,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들에 좌·우측면판(40,40′)의 결합돌기들이 삽입되어 하부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정면판(20)과 배면판(30) 상부에 위치된 몸체 결합돌기(1,3)에는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가 조립되고, 몸체 결합홈(2,4)에는 몸체 홈부 보강재(52,54)가 조립되고,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상부에 위치된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에는 몸체 측면부 보강제(55)가 조립되며, 상기 좌·우측면판(40,40′)과 바닥판(10),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측면판 보강재(59)가 조립되어 하부몸체(100)를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본체(100′)와; 정·배면에 상판 결합돌기(7)와 상판 결합홈(8)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이 형성되어 상부판(200)을 구성하고, 상기 상판 결합돌기(7)에 돌출부 보강재(56)가 조립되고 상판 결합홈(8)에 상판 홈부 보강재(57)가 조립되며 좌·우측면에 위치된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에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조립되어 상부판(200)을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덮개(200′)로 이루어져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결합부의 강도를 높여줌으로써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paper coffin having edge reinforcing member}
본 고안은 두터운 판지(板紙)로 된 종이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면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조립되며 종이관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재가 구비되어 조립된 결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함으로써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사망하면 전래 풍습에 따라 고인을 관에 입관시켜 장례식을 치르는데,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일반적으로 고인이 안치된 관을 땅 속에 매장하는 매장식과 관과 함께 시신을 태워 화장하는 화장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종래의 관은 나무로 된 목관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목관은 원목을 수입하여 비교적 두껍게 판재를 절단하고, 이 판재를 사용하여 관을 만들고, 판재에 장식을 하거나 옻칠을 하기 때문에 관이 무겁고 두꺼워 운구(運柩)가 불편하며 가격도 고가일 뿐 아니라 화장시 목관이 소각되는데 걸리는 연소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땅에 묻거나 화장으로 소각할 수밖에 없는 관에 대하여, 관의 제작에 필요한 원목 구입시 막대한 외화가 지출되고 있어 이것은 결국 외화낭비이며, 관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원목수입에 따른 비용을 부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과다한 장례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가볍고 저렴한 종이를 이용하여 만든 종이관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 제작된 종이관은 골판지 등의 두꺼운 종이를 바닥판과 각 측판및 뚜껑등을 각 독립된 각각의 몸체로 절단한 후 목관을 제조하듯이 각 모서리를 대고 나사못이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관을 조립하였기 때문에 하중이 걸리게 되면 연결부가 하중을 이기지 못하여 나사못이 빠지거나 접착제가 떨어져 분리되므로 종이관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목재관(木材棺)의 문제점과 기존 종이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를 맞추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특히 종이관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재가 구비되어 조립된 결합부의 강도를 높여줌으로써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목관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며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 및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화장시 소각이 잘되어 화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의 덮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하부몸체의 결합돌기와 돌기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하부몸체의 결합홈과 홈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B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하부몸체의 좌·우측면판 상부의 요홈부와 측면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B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상부판의 결합돌기와 돌기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A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상부판의 결합홈과 홈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A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상부판의 좌·우측면판의 요홈부와 측면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 1A의 F-F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3 : 몸체 결합돌기 2, 4 : 몸체 결합홈
5 : 측면 결합돌기 6 : 측면 결합홈
7 : 상판 결합돌기 8 : 상판 결합홈
9 : 측면 조립돌기 11 : 측면 조립홈
10 : 바닥판 20 : 정면판
30 : 배면판 40 : 좌측면판
40′: 우측면판 50,50′: 보강재
51, 53 : 몸체 돌기부 보강재 52, 54 : 몸체 홈부 보강재
55 : 몸체 측면부 보강재 56 : 돌출부 보강재
57 : 상판 홈부 보강재 58 : 상판 측면부 보강재
59 : 측면판 보강재
100: 하부몸체 200: 상부판
100′: 본체 200′: 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은 바닥판(10), 정면판(20), 배면판(30), 좌측면판(40) 및 우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100)와, 상부판(200)으로 구성되는 종이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부판(200)은 개방부와 가장자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배면판(20,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들에 좌·우측면판(40,40′)의 결합돌기들이 삽입되어 하부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정면판(20)과 배면판(30) 상부에 위치된 몸체 결합돌기(1,3)에는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가 조립되고, 몸체 결합홈(2,4)에는 몸체 홈부 보강재(52,54)가 조립되고,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상부에 위치된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에는 몸체 측면부 보강제(55)가 조립되며, 상기 좌·우측면판(40,40′)과 바닥판(10),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측면판 보강재(59)가 조립되어 하부몸체(100)를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본체(100′)와; 정·배면에 상판 결합돌기(7)와 상판 결합홈(8)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이 형성되어 상부판(200)을 구성하고, 상기 상판 결합돌기(7)에 돌출부 보강재(56)가 조립되고 상판 결합홈(8)에 상판 홈부 보강재(57)가 조립되며 좌·우측면에 위치된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에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조립되어 상부판(200)을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덮개(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와 상기 몸체 홈부 보강재(52,54)와 상기 돌출부 보강재(56)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몸체 측면부 보강재(55)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조립홈(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판 홈부 보강재(57)가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결합돌기(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측면판 보강재(59)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된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의 덮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B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하부몸체의 결합돌기와 돌기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B의 B-B선 단면도로서 종이관 하부몸체의 결합홈과 홈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1B의 C-C선 단면도로서 종이관 하부몸체의 좌·우측면판 상부의 요홈부와 측면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다.
또, 도 6은 도 1A의 D-D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종이관 상부판의 결합돌기와 돌기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고, 도 7은 도 1A의 E-E선 단면도로서 종이관 상부판의 결합홈과 홈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며, 도 8은 도 1A의 F-F선 단면도로서 종이관 상부판의 좌·우측면판의 요홈부와 측면부 보강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준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은 종이관 본체(100′)와 덮개(200′)로 구성된다.
종이관 본체(100′)는 하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0)를 보강하는 보강재(50)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시신이 안치되기 적당한 크기로 제작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면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그 상부로 덮개(200′)를 위치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하부몸체(100)는 바닥판(10)과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을 일체로 형성하고 절곡시켜 세 면을 이루게 한다. 상기 바닥판(10)과 정·배면판(20,30)의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들을 형성하고 좌·우측면판(40,40′)에는 상기 결합홈들에 대응하여 삽입 될 수 있는 결합돌기들을 형성한다.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결합돌기들이 바닥판(10)과 정·배면판(20,30)의 양측면 결합홈들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하부몸체(100)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몸체(100)의 개방부 각 면에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정면판(20)과 배면판(30) 상부에는 몸체 결합돌기(1,3)와 몸체 결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상부에는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돌기 및 홈 위에 보강재(50)를 조립한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정면판(20)과 배면판(30) 상부에 위치된 몸체 결합돌기(1,3)에는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가 조립되고, 몸체 결합홈(2,4)에는 몸체 홈부 보강재(52,54)가 조립된다. 상기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과 몸체 홈부 보강재(52,54)는 단턱을 커버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는데, 상기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는 돌출된 몸체 결합돌기(1,3)의 높이 만큼 몸체 홈부 보강재(52,54) 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상부에 위치된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에는 몸체 측면부 보강제(55)가 조립되며, 상기 몸체 측면부 보강재(55)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조립홈(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좌·우측면판(40,40′)과 바닥판(10),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결합되는 모서리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측면판 보강재(59)가 조립되어 하부몸체(100)를 보강한다. 상기 측면판 보강재(59)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제로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판(200)은 가장자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부판(200)의 정·배면에 상판 결합돌기(7)와 상판 결합홈(8)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200)의 양 측면에는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 결합돌기(7), 상판 결합홈(8), 측면 조립돌기(9), 측면 조립홈(1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각각의 돌기와 홈에 보강재(50′)를 조립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 결합돌기(7)에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된 돌출부 보강재(56)를 조립하고, 상판 결합홈(8)에는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상판 홈부 보강재(57)를 조립한다.
좌·우측면에 위치된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결합돌기(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된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종이관 본체(100′)는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 몸체 홈부 보강재(52,54), 몸체 측면부 보강재(55) 및 측면판 보강재(59)가 보강재(50′)로서 하부몸체(100)에 조립되고 덮개(200′)는 돌출부 보강재(56), 상판 홈부 보강재(57),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보강재(50′)로서 상부판(200)에 조립되어 종이관 결합부의 강도를 높여준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즉, 시신을 안치시키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면의 단턱에 덮개(200′)를 얹어 구성하되, 상기 덮개(200′)의 상판 결합돌기(7)에 조립된 돌출부 보강재(56)과 상판 결합홈(8)에 조립된 상판 홈부 보강재(57)는 종이관 본체(100′)의 몸체 결합홈(2,4)에 조립된 몸체 홈부 보강재(52,54)와 몸체 결합돌기(1,3)에 조립된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덮개(200′)의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과 조립된 상판 측면부 보강재(58)는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과 조립된 몸체 측면부 보강재(55)에 결합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은 다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를 맞추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특히 종이관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재가 구비되어 조립된 결합부의 강도를 높여줌으로써 큰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갖는다.
또 본 고안의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은 목관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며 목관에 비하여 훨씬 가볍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재질이 종이재이므로 재료비가 적게 들고 제작이 용이하여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며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화장시 소각이 잘되어 화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바닥판(10), 정면판(20), 배면판(30), 좌측면판(40) 및 우측면판(4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몸체(100)와, 상부판(200)으로 구성되는 종이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0)와 상부판(200)은 개방부와 가장자리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상기 바닥판(10)과 정·배면판(20,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들에 좌·우측면판(40,40′)의 결합돌기들이 삽입되어 하부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정면판(20)과 배면판(30) 상부에 위치된 몸체 결합돌기(1,3)에는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가 조립되고, 몸체 결합홈(2,4)에는 몸체 홈부 보강재(52,54)가 조립되고, 상기 좌·우측면판(40,40′)의 상부에 위치된 측면 결합돌기(5)와 측면 결합홈(6)에는 몸체 측면부 보강제(55)가 조립되며, 상기 좌·우측면판(40,40′)과 바닥판(10), 정면판(20) 및 배면판(30)이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측면판 보강재(59)가 조립되어 하부몸체(100)를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본체(100′)와;
    정·배면에 상판 결합돌기(7)와 상판 결합홈(8)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이 형성되어 상부판(200)을 구성하고,
    상기 상판 결합돌기(7)에 돌출부 보강재(56)가 조립되고 상판 결합홈(8)에 상판 홈부 보강재(57)가 조립되며 좌·우측면에 위치된 측면 조립돌기(9)와 측면 조립홈(11)에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조립되어 상부판(200)을 보강하는 보강재(50′)로 구성된 덮개(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돌기부 보강재(51,53)와, 상기 몸체 홈부 보강재(52,54)와 상기 돌출부 보강재(56)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측면부 보강재(55)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조립홈(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홈부 보강재(57)가 두 번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측면부 보강재(58)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절곡되고 측면 결합돌기(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보강재(59)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KR20-2003-0024579U 2003-07-30 2003-07-30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KR200332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79U KR200332730Y1 (ko) 2003-07-30 2003-07-30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79U KR200332730Y1 (ko) 2003-07-30 2003-07-30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730Y1 true KR200332730Y1 (ko) 2003-11-10

Family

ID=493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579U KR200332730Y1 (ko) 2003-07-30 2003-07-30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7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90B1 (ko) * 2013-02-06 2013-06-24 (주)현성이노팩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KR20200030944A (ko) * 2018-09-13 2020-03-23 문주연 종이관
KR102484588B1 (ko) * 2022-02-04 2023-01-04 김안태 재활용 판지를 이용한 접이식 보습 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2592084B1 (ko) * 2022-09-15 2023-10-23 주식회사 바이오마스터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90B1 (ko) * 2013-02-06 2013-06-24 (주)현성이노팩 종이관의 관뚜껑 이탈방지 장치
KR20200030944A (ko) * 2018-09-13 2020-03-23 문주연 종이관
KR102154731B1 (ko) * 2018-09-13 2020-09-10 문주연 종이관
KR102484588B1 (ko) * 2022-02-04 2023-01-04 김안태 재활용 판지를 이용한 접이식 보습 지관과 그 제조방법
KR102592084B1 (ko) * 2022-09-15 2023-10-23 주식회사 바이오마스터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84251S1 (en) Chair leg cover
US8375535B2 (en) Lightweight casket having foldable sides
US10098801B2 (en) Lightweight casket having foldable features
CA2475678A1 (en) Mortise and tenon casket
KR200332730Y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종이관
USD471762S1 (en) Chimney charcoal starter
US20090172931A1 (en) Casket made of mechanical pulp board or of a similar material with a side entrance
KR102154731B1 (ko) 종이관
JP3719390B2 (ja) 棺桶
CN212817050U (zh) 骨灰盒
JP3157862U (ja)
USD467700S1 (en) Burial columbarium
KR20200024381A (ko) 유골함 및 유골함 제조방법
JP5964279B2 (ja) 組み立て棺
USD531780S1 (en) Vampire fangs coffin
USD623823S1 (en) Casket shell corner
KR200198736Y1 (ko) 골판지를 이용한 지관
JP4965177B2 (ja) 八角形状の段ボール紙製の組み立て用棺桶
USD1022542S1 (en) Storage box
KR200173699Y1 (ko) 화장용 지관
KR20230055417A (ko) 관 뚜껑 제조방법 및 관 뚜껑
JPH0565326U (ja) 棺 桶
CN2379120Y (zh) 折叠组合式火葬棺
JP3054581U (ja) 火葬用棺
JP3069607U (ja) 環境保護のための紙製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