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455B1 -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455B1
KR101276455B1 KR1020130007916A KR20130007916A KR101276455B1 KR 101276455 B1 KR101276455 B1 KR 101276455B1 KR 1020130007916 A KR1020130007916 A KR 1020130007916A KR 20130007916 A KR20130007916 A KR 20130007916A KR 101276455 B1 KR101276455 B1 KR 10127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room
duc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균
Original Assignee
(주)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공조 filed Critical (주)새한공조
Priority to KR102013000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덕트(4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에 대한 실외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급기덕트(50)로부터 외부 공기에 대한 실외 급기(OA)를 수행하는 실내기(10); 각 룸(RM1 내지 RM4, ...)으로부터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환기덕트(4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으로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급기덕트(5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형성되어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각 하부에 연결된 전동디퓨저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룸별 냉방 및 난방 기능, 룸별 온돌 난방 기능, 룸별 환기 기능, 룸별 자동 외기 냉방 기능, 룸별 이산화탄소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마스터 제어기(80); 및 방음벽으로 외벽이 형성된 2층형 구조로, 2층의 내부에 상기 실내기(10)가 위치하며, 1층의 방음벽 외부에는 실외기(30)가 놓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기계실(20);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디퓨저는,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의 천장에 매립된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동댐퍼, 디퓨저, 및 천장점검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도율 대비 풍량이 선형으로 조절되며, 상기 실외기(30)는, 냉매가 들어간 냉매관(70)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관(70)이 지나가는 각 구획된 룸(RM1 내지 RM4, ...)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온도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상기 환기덕트(40)와 상기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에 대한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여 디퓨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공조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에 대한 절감 효과를 획득하며,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각 룸에 대한 쾌적 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Hybrid air condition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에 대한 절감 효과를 획득하며,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각 룸에 대한 쾌적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각각의 룸(RM1, RM2, RM3, RM4, ...) 별로 설치된 실내기(1)와 기계실의 외부에 설치된 실외기(3)를 이용한 각 룸(RM1, RM2, RM3, RM4, ...) 별 공조를 수행하며, 천정에 설치된 환기유니트(4)와 연결된 배기덕트(5)와 급기덕트(6), 그리고 배기덕트(5)와 급기덕트(6)의 각 하부에 형성된 수동디퓨저(7)를 활용함으로써, 각각의 룸(RM1, RM2, RM3, RM4, ...) 별로 환기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각 룸에 설치된 실내기(1)에 대한 관리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각 룸에 설치된 배기덕트(5)와 급기덕트(6)의 각 하부에 형성된 수동디퓨저(7)에 대한 온/오프 제어 방식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에너지에 대한 절감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각 룸에 대한 쾌적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조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 및 그 공조시스템을 이용한공조방법(Hybrid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Air-Conditioning Using the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87101호)
2. 공조기기 및 공조기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특허출원번호 제10-1997-0000070호)
3. 순환공기의 압력손실을 줄여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공조장치와 공조방법(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METHOD FOR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PRESSURELOSS IN CIRCULATION AIR) (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2384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에 대한 절감 효과를 획득하며,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각 룸에 대한 쾌적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은,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덕트(4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에 대한 실외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급기덕트(50)로부터 외부 공기에 대한 실외 급기(OA)를 수행하는 실내기(10); 각 룸(RM1 내지 RM4, ...)으로부터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환기덕트(4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으로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급기덕트(5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형성되어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각 하부에 연결된 전동디퓨저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룸별 냉방 및 난방 기능, 룸별 온돌 난방 기능, 룸별 환기 기능, 룸별 자동 외기 냉방 기능, 룸별 이산화탄소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마스터 제어기(80); 및 방음벽으로 외벽이 형성된 2층형 구조로, 2층의 내부에 상기 실내기(10)가 위치하며, 1층의 방음벽 외부에는 실외기(30)가 놓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기계실(20);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디퓨저는,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의 천장에 매립된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동댐퍼, 디퓨저, 및 천장점검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도율 대비 풍량이 선형으로 조절되며, 상기 실외기(30)는, 냉매가 들어간 냉매관(70)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관(70)이 지나가는 각 구획된 룸(RM1 내지 RM4, ...)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온도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상기 환기덕트(40)와 상기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에 대한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여 디퓨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온도 차이를 감지하여 표시한 뒤, 상기 희망온도와 상기 실내온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상기 환기덕트(40)와 상기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에 대한 제 1 및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상기 통신선으로 연결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으로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각각의 디퓨저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실내에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 각각에 의해 상기 희망온도로 조절되기 위한 풍량 공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는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는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은, 에너지에 대한 절감 효과를 획득하며,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각 룸에 대한 쾌적 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의 기계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이 실제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동디퓨저(6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이 각 룸별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라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기술과의 효과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공기 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의 실내기(10)와 실내기(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의 기계실(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이 실제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동디퓨저(6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공기 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에 해당하는 실외기(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서의 실내기(10)와 실내기(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그리고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하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은 실내기(10), 기계실(20), 실외기(30: heat pump), 환기덕트(40), 급기덕트(50), 전동디퓨저(60), 냉매관(70), 그리고 마스터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실내기(10)는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와 연결되어, 환기덕트(4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에 대한 실외 배기(EA)를 수행하며, 급기덕트(50)로부터 외부 공기에 대한 실외 급기(OA)를 수행한다.
기계실(20)은 방음벽으로 외벽이 형성된 2층형 구조로, 2층의 내부에 실내기(10)가 위치하며, 1층의 방음벽 외부에는 실외기(30)가 놓여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실외기(30)는 냉매가 들어간 냉매관(70)과 연결되어, 냉매관(70)이 지나가는 각 구획된 룸(RM1 내지 RM4, ...)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을 운전하는데 필요한 냉방 및 난방 1차 에너지는 실외기(30)를 구성하는 EHP, GHP 지열 히트 펌프에서 받아서 운전하며, 실외기(30)가 스마트 공조기 역할을 수행한다. 실외기(30)에 의한 하이브리드 공조 운전을 위해 천정설치형과 바닥설치형으로 구성가능하다.
실외기(30)는 도 11과 같이 서플라이 팬 어셈블리(31), 리턴 팬 어셈블리(32), DX-쿨링 코일(31-3), 프리 필터(31-4), 서플라이 플랜지(31-5), 이그조스트 라운드 댐퍼(31-6), 아웃 에어 라운드 댐퍼(31-7), 멕싱 댐퍼(31-8), 리턴 플랜지(31-9), 케이싱(31-10), 드레인 패널(31-11), 인설레이션(31-12), 컨트롤 박스(31-13), 베이스 프레임(31-14), 인솔레이터 러버(31-15), 드레인(31-16), 이그조스트 라운드 댐퍼(31-17), 그리고 아웃 에어 라운드 댐퍼(31-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외기(30)의 운전 원리는 서플라이 팬 어셈블리(31-1)로 서플라이 에어가 공급되며, 리턴 팬 어셈블리(32)로 리턴 에어가 수급된다. 또한, 프리 필터(31-4)로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아웃 에어 라운드 댐퍼(31-81)를 통해 공기를 출력한다.
또한, 이그조스트 라운드 댐퍼(31-6) 및 아웃 에어 라운드 댐퍼(31-7)로는 각각 공기가 입출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실내기(10)와 실내기(30)의 내부 회로도는 도 12와 같다.
환기덕트(40)는 각 룸(RM1 내지 RM4, ...)으로부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60)가 환기덕트(40)의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급기덕트(50)는 각 룸(RM1 내지 RM4, ...)으로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60)가 급기덕트(50)의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전동디퓨저(60)는 각 룸별로 천장에 매립된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동댐퍼, 디퓨저, 천장점검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디퓨저의 분리 조립이 간단하며, 별도의 천장점검구가 불필요하여 천장 외관이 미려하고 건축비가 절감되며, 정밀한 전기적 펄스 신호 방식으로 디퓨저 개도가 조절되며, 개도율 대비 풍량이 선형으로 조절되어 풍량 제어 편차가 적은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동디퓨저(60)의 형태는 도 5a와 같으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동디퓨저(7)의 형태인 도 5b와 구별된다.
마스터 제어기(80)는 각 룸별로 형성되어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의 각 하부에 연결된 전동디퓨저(60)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룸별 냉방 및 난방 기능, 룸별 온돌 난방 기능, 룸별 환기 기능, 룸별 자동 외기 냉방 기능, 룸별 이산화탄소 환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마스터 제어기(80)는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이 각 룸별로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라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기술과의 효과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각 룸 별로 형성된 마스터 제어기(80)는 희망온도와 현재 실내온도 차이를 감지하여 표시한다(S11).
단계(S11) 이후, 마스터 제어기(80)는 희망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환기덕트(40)와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60)에 대한 제 1 및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12).
단계(S12) 이후, 마스터 제어기(80)는 통신선으로 연결된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으로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디퓨저를 조절하도록 한다(S13).
이에 따라,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실내에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라 희망온도로 조절되기 위한 풍량 공급을 수행한다(S14).
보다 구체적으로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는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는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각 룸 별로 구분하여 냉방, 난방 및 환기가 운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너지 30% 이상이 절감되며, 교실의 경우 외주부와 내주부로 구분하여 VAV(Variable Air Volume) 방식으로 운전될 경우 에너지 10% 이상 절감되며, 교실 전체의 쾌적 지수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도 7의 비교 그림과 같이 온오프 방식과 VAV(Variable Air Volume) 방식의 경우 에너지 10% 이상 절감효과가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실내기
20: 기계실
30: 실외기
40: 환기덕트
50: 급기덕트
60: 전동디퓨저
70: 냉매관
80: 마스터 제어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환기덕트(40) 및 급기덕트(50)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덕트(4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에 대한 실외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급기덕트(50)로부터 외부 공기에 대한 실외 급기(OA)를 수행하는 실내기(10);
    각 룸(RM1 내지 RM4, ...)으로부터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환기덕트(4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으로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며,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전동디퓨저가 하부에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급기덕트(50);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 별로 형성되어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각 하부에 연결된 전동디퓨저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룸별 냉방 및 난방 기능, 룸별 온돌 난방 기능, 룸별 환기 기능, 룸별 자동 외기 냉방 기능, 룸별 이산화탄소 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마스터 제어기(80); 및
    방음벽으로 외벽이 형성된 2층형 구조로, 2층의 내부에 상기 실내기(10)가 위치하며, 1층의 방음벽 외부에는 실외기(30)가 놓여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기계실(20);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디퓨저는, 상기 각 룸(RM1 내지 RM4, ...)의 천장에 매립된 상기 환기덕트(40) 및 상기 급기덕트(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동댐퍼, 디퓨저, 및 천장점검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도율 대비 풍량이 선형으로 조절되며,
    상기 실외기(30)는, 냉매가 들어간 냉매관(70)과 연결되어, 상기 냉매관(70)이 지나가는 각 구획된 룸(RM1 내지 RM4, ...)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온도 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상기 환기덕트(40)와 상기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에 대한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여 디퓨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희망온도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온도 차이를 감지하여 표시한 뒤, 상기 희망온도와 상기 실내온도의 차이값을 기초로 설치된 룸의 상기 환기덕트(40)와 상기 급기덕트(50) 각각에 형성된 전동디퓨저에 대한 제 1 및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80)는,
    상기 통신선으로 연결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으로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각각의 디퓨저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와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 각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실내에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 각각에 의해 상기 희망온도로 조절되기 위한 풍량 공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기덕트(40)의 전동디퓨저는 상기 제 1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실내 공기에 대한 실내 배기(EA)를 수행하며,
    상기 급기덕트(50)의 전동디퓨저는 상기 제 2 풍량비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실내기(10)를 통해 외부 공기에 대한 실내 급기(SA)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20130007916A 2013-01-24 2013-01-24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27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916A KR101276455B1 (ko) 2013-01-24 2013-01-24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916A KR101276455B1 (ko) 2013-01-24 2013-01-24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455B1 true KR101276455B1 (ko) 2013-06-19

Family

ID=4886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916A KR101276455B1 (ko) 2013-01-24 2013-01-24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4913A (zh) * 2013-10-28 2014-12-17 株式会社塞韩空调 混合调节空气的智能空气调节机
US20210156579A1 (en) * 2019-11-22 2021-05-27 Allswell Co. Ltd.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20110034090A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옴니벤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공기반송식 구역별 내지 실(룸)별 공기조화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20110034090A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옴니벤트 댐퍼와 디퓨저 일체형 전동디퓨저를 이용한 공기반송식 구역별 내지 실(룸)별 공기조화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4913A (zh) * 2013-10-28 2014-12-17 株式会社塞韩空调 混合调节空气的智能空气调节机
CN104214913B (zh) * 2013-10-28 2017-08-29 株式会社塞韩空调 混合调节空气的智能空气调节机
US20210156579A1 (en) * 2019-11-22 2021-05-27 Allswell Co. Ltd. Air ventilation system for subway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780B1 (ko) 직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256781B1 (ko) 간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357199B1 (ko) 하이브리드 공조를 위한 스마트 공기 조화기
KR101280661B1 (ko)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US7832465B2 (en) Affordable and easy to install multi-zone HVAC system
US20120012297A1 (en) Air conditioner
US20120097748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7183032A (ja) 環境制御用ロボット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238958B1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JPWO2015079548A1 (ja) 空調システム
CN102478293B (zh) 空调机
KR20180059964A (ko)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CN105987478A (zh) 变频空调控制方法、控制装置及变频空调
KR201500321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088316A (ja) 設定温度決定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901785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lligent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
JP2015117933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1276455B1 (ko)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JP2013181671A (ja) 空気調和機
KR20110116672A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공동 주택용 환기 시스템
CN205037523U (zh) 一种换气式空调器
KR10131118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801286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8727B1 (ko) 이중창문용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중창문의 이격공간 내의 온도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