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124B1 -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124B1
KR101276124B1 KR1020110073144A KR20110073144A KR101276124B1 KR 101276124 B1 KR101276124 B1 KR 101276124B1 KR 1020110073144 A KR1020110073144 A KR 1020110073144A KR 20110073144 A KR20110073144 A KR 20110073144A KR 101276124 B1 KR101276124 B1 KR 10127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oom
vertical support
cargo hold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758A (ko
Inventor
권순도
김상준
김성엽
고명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124B1/ko
Priority to PCT/KR2012/005368 priority patent/WO2013006009A2/ko
Publication of KR2013001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창 내부의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는 상기 화물창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화물창의 가스 돔(gas dome) 측에 지지되는 수직 서포트붐(vertical support boom); 일단부에 작업용 바스켓이 구비되고,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핑가능한 다단붐 구조로 구성된 수평붐(horizontal boom); 및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창용 고소작업대{ELEVATING WORK PLATFORM FOR CARGO CONTAINMENT SYSTEM}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창 내부의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LNG FPSO, 컨테이너선 또는 벌크선 등과 같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 등의 선체 내에는 액체화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화물창(cargo containment system)이 구비되어 있다.
선체의 건조시에는 화물창의 내벽면 작업을 위해 발판을 설치하여 수직벽면 및 천정 등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건조 완료시에는 발판을 해체하여 화물창 외부로 반출한다. 이와 같이 선체의 건조완료가 해상에서 운행 중이거나 해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화물창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발판 등과 같은 작업대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건조가 완료된 선체의 화물창 내부로 각종 구성요소를 투입하기 어려워 작업대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에, 선체의 건조 완료 후에 화물창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해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발판 설치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전체 벽면을 대상으로 발판을 설치하는 것은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설치된 발판의 경우 화물창 내부의 바닥면과의 고박이 어려워 발판이 쉽게 전도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LNGC FPSO와 같이 해상에서 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발판의 전도가 더욱 심해져 항구에 정박하기 전까지는 유지보수 작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체의 화물창 내부에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그 설치작업이 간편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화물창 내에 설치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서포트붐(vertical support boom), 일단부에 작업용 바스켓이 구비된 수평붐(horizontal boom), 및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은 그 상단이 상기 화물창의 가스 돔(gas dome) 측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붐은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핑가능한 다단붐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복수의 잭업실린더에 의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가 제공된다.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측에는 서포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테이블에는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붐의 상면 일측에는 보조작업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잭업실린더의 하면이 고정되며, 상기 각 잭업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잭업실린더의 로드 상단은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삽입홈이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하방향 이격간격은 상기 잭업실린더의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고, 상기 삽입홈의 원주방향 이격간격은 상기 하단고정용 실린더의 핀 및 상기 상단고정용 실린더의 핀의 이격간격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하측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일정 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단에는 상부플레이트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상측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일정 위치에 고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하단고정용 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캐리어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드의 내측면에는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고정용 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의 핀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삽입홈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상단고정용 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드의 내측면에는 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고정용 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의 핀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삽입홈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의 내경면에는 웨어링패드(wearing pa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의 외측에는 캐리어 케이싱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붐과 마주보는 방향에 웨이트 밸런스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 밸런스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붐은 상기 캐리어 케이싱 측에 인장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웨이트밸런스는 상기 캐리어 케이싱 측에 인장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는 기어전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전동기구에 의해 상기 캐리어 케이싱 및 수평붐은 상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내측면과 상기 캐리어의 외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하단면에는 논슬립 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하단을 완충하는 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물창의 바닥면에는 프로텍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논슬립 패드는 상기 프로텍션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서포트붐, 상기 수평붐,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의 개구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이에 상기 수직 서포트붐, 상기 수평붐, 상기 캐리어는 상기 가스돔을 통해 상기 화물창 내로 투입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화물창 내에 설치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서포트붐(vertical support boom), 일단부에 작업용 바스켓이 구비된 수평붐(horizontal boom), 및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은 그 상단이 상기 화물창의 가스 돔(gas dome) 측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붐은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핑가능한 다단붐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붐은 상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창(Cargo Containment System)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해 기존에 설치하던 발판이 필요 없게 되므로 발판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발판의 전도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되게 고정 및 지지되는 서포트 테이블 및 수직 서포트 붐을 적용함에 따라 선체가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해상 환경에서도 그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LNGC FPSO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의 화물창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화물창 내에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의 캐리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의 수직 서포트붐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가 화물창 내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LNG FPSO, 컨테이너선 또는 벌크선 등의 화물창(cargo containment system)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1)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서포트붐(11, vertical support boom), 화물창(1)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붐(13, horizontal boom), 수직 서포트붐(11)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5)를 포함한다.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진 수직 서포트붐(1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직 서포트붐(11)의 상단은 화물창(1)의 가스돔(2) 측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화물창(1) 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수직 서포트붐(11)은 화물창(1) 내에서의 조립 내지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단관(11a, 11b, 11c)들이 상하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서포트붐(11)의 하단면에는 논슬립 패드(11d)가 장착되고, 화물창(1)의 바닥면에는 프로텍트 플레이트(12)가 설치되며, 프로텍트 플레이트(12)에 수직 서포트붐(11)의 하단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수직 서포트붐(11)의 하부에는 캐리어(15)의 하단을 완충하는 댐퍼(11e)가 설치되어 캐리어(15)의 하향 이동 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평붐(13, horizontal boom)은 서로 다른 사이즈의 단위붐(13a, 13b, 13c, 13d, 13e)가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핑가능한 다단붐 구조로 구성되고, 이에 수평붐(13)은 화물창(1)의 가스돔(2)을 통해 투입할 경우에는 최소 길이로 접힐 수 있고, 사용시에는 복수의 단위붐(13a, 13b, 13c, 13d, 13e)를 인출하여 일단측 단위붐(13a)이 화물창(1)의 수직내벽면까지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붐(13)의 일단부 특히, 일단부측 단위붐(13a)의 상면에는 작업용 바스켓(14a)이 설치되고, 이 작업용 바스켓(14a)은 화물창(1)의 수직내벽면(1a) 상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도록 원형, 반달형, 다각형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붐(13)을 최소로 줄였을 때 작업용 바스켓(14a)이 닿지 못하는 화물창(1)의 천정면이 일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수평붐(13)의 타단측 단위붐(13e)의 상면에 보조작업대(14b)를 설치하여 화물창(1)의 천정면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용 바스켓(14a)에는 비상 탈출을 위한 완강기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화물창(1)의 가스돔(2)에 인접한 메인 데크(2a) 측에는 서포트 테이블(16)이 견고하게 설치되고, 서포트 테이블(16)의 중심은 가스돔(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서포트 테이블(16) 내에는 수직 서포트붐(11)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클램프(16a, 16b)가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한 쌍의 가압클램프(16a, 16b)는 수직 서포트붐(11)의 상단 외측면을 대칭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수직 서포트붐(11)의 상단을 서포트 테이블(16)측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5)는 잭업실린더(37, jack up cylinder)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외면에는 복수의 삽입홈(11g)이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삽입홈(11g)의 상하방향 이격간격은 잭업실린더(37)의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고, 삽입홈(11g)의 원주방향 이격간격은 후술하는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핀(35a) 및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핀(36a)의 이격간격에 대응한다.
캐리어(15)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하부플레이트(31)가 설치되고, 하부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복수의 잭업실린더(37)의 하면이 고정되며, 각 잭업실린더(37)에는 전후진하는 로드(37a)가 구비되고, 각 잭업실린더(37)의 로드(37a) 상단은 캐리어(15)의 하면에 고정된다.
하부플레이트(31)의 하면에는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33)가 설치되고,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33)는 캐리어(15)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하단고정용 실린더(33)에는 전후진하는 로드(33a)가 구비되고, 로드(33a)의 단부에는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35)가 구비되며, 가압패드(35)의 내측면에는 핀(35a)이 구비되고, 이에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로드(33a)가 전후진함에 따라 가압패드(35)의 핀(35a)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삽입홈(11g)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11g)에서 이탈된다.
캐리어(15)의 상단에는 상부플레이트(3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부플레이트(32)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34)가 캐리어(15)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상단고정용 실린더(34)에는 전후진하는 로드(34a)가 구비되고, 로드(34a)의 단부에는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36)가 구비되며, 가압패드(36)의 내측면에는 핀(36a)이 구비되고, 이에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로드(34a)가 전후진함에 따라 가압패드(36)의 핀(36a)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삽입홈(11g)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11g)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캐리어(15)의 내경면에는 웨어링패드(미도시, wearing pad)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웨어링패드에 의해 캐리어(15)의 내경면은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잭업실린더(37)에 의한 캐리어(15)의 상하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로드(33a) 및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로드(34a)가 전진함에 따라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핀(35a) 및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핀(36a)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삽입홈(11g) 측에 삽입되고, 이에 캐리어(15)의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도 7(b)와 같이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핀(35a)이 캐리어(15)의 삽입홈(1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로드(34a)가 후진함에 따라 가압패드(36) 및 핀(36a)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에서 이격된다.
그런 다음, 도 7(c)와 같이 잭업실린더(37)의 로드(37a)가 전진함에 따라 로드(37a)가 캐리어(15)의 하면을 상향으로 밀어내고, 이에 캐리어(15)는 수직서포트붐(11)을 따라 상향으로 수직이동한다.
그 후에, 도 7(d)와 같이 잭업실린더(37)의 로드(37a)가 최대 스트로크만큼 전진한 후에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로드(34a)가 전진하여 상단고정용 실린더(34)의 가압패드(36)가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가압패드(36)의 핀(36a)이 수직 서포트홈(11)의 삽입홈(11g)에 삽입되어 캐리어(15)의 상측이 고정되며,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로드(33a)는 후진하여 가압패드(35) 및 핀(35a)이 캐리어(15)의 외주면에서 이격된다.
도 7(d)의 캐리어(15)의 상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 7(e)와 같이 잭업실린더(37)의 로드(37a)가 후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잭업실린더(37) 및 하부플레이트(31)는 상향으로 이동한 후에, 도 7(f)와 같이 하단고정용 실린더(33)의 로드(33a)가 전진하여 가압패드(35)가 수직 서포트붐(11)의 외주면을 가압함과 더불어 핀(35a)이 수직 서포트붐(11)의 삽입홈(11g)측에 삽입됨으로써 캐리어(15)의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캐리어(15, carrier)는 수평붐(13)의 타단부 특히, 수평붐(13)의 타단측 단위붐(13e) 측에 설치된다.
캐리어(15)의 외측면에는 캐리어 케이싱(18)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캐리어 케이싱(18)은 수직 서포트붐(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캐리어 케이싱(18)의 내측면과 캐리어(15)의 외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9a, 19b)이 개재되고, 이에 캐리어 케이싱(18)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캐리어 케이싱(18)과 캐리어(15) 사이에는 기어전동기구(20)가 설치되고, 기어전동기구(20)는 캐리어 케이싱(18)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1), 구동모터(21)의 출력축에 구비된 구동기어(22), 캐리어(15)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구동기어(22)와 치합되는 피동기어(23)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어전동기구(20)의 구동에 의해, 캐리어 케이싱(18)은 캐리어(15)의 외측에서 회전한다.
캐리어 케이싱(18)의 일측에는 수평붐(13)의 타단부 즉, 수평붐(13)의 타단측 단위붐(13e)이 설치되고, 캐리어 케이싱(18)의 타측에는 수평붐(13)의 수평 균형도의 유지 및 굽힘강성의 확보를 위한 웨이트 밸런스(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웨이트 밸런스(25)와 수평붐(13)은 캐리어(15)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이러한 웨이트 밸런스(25)에는 수평붐(13)의 수평이동, 캐리어 케이싱(18)의 회전 등을 위한 전원모듈, 제어모듈, 전장패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캐리어 케이싱(18)의 타측에는 가이드부재(26)가 설치되고, 웨이트 밸런스(25)는 가이드부재(26)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수평붐(13)의 텔레스코핑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웨이트 밸런스(2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붐(13)의 수평균형도의 유지 및 지지강성의 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수평붐(13)은 캐리어 케이싱(18) 측에 인장재(28)에 의해 지지되고, 웨이트밸런스(25)는 캐리어 케이싱(18) 측에 인장재(2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수평붐(13) 및 웨이트 밸런스(25)의 지지강성을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수평붐(13)에 의한 수평방향 이동경로 및 캐리어(15)의 수직방향 이동경로는 2축좌표계를 구성하고, 수직 서포트붐(11)을 중심으로 한 캐리어 케이싱(18)에 의한 회전경로는 회전좌표계를 구성한다. 이에 작업용 바스켓(14a)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2축좌표계를 따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작업용 바스켓(14a)은 회전좌표계를 따라 회전한다.
수직 서포트붐(11), 수평붐(13), 캐리어(15), 캐리어 케이싱(18) 등의 각 구성요소는 화물창(1)의 가스돔(2)을 통해 화물창(1) 내로 투입이 용이하도록 그 단면이 가스돔(2)의 개구 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는 화물창(1)의 가스돔(2)을 통해 수직 서포트붐(11), 수평붐(13), 캐리어(15), 캐리어 케이싱(18), 웨이트 밸런스(25) 등의 각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의 설치 및 조립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돔(2)을 통해 프로텍트 플레이트(12)를 투입한 후에 화물창(1)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도 9(b)와 같이 수평붐(13), 작업용 바스켓(14a), 웨이트 밸런스(25) 등을 선체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각 투입한다.
이어서, 도 9(c)와 같이 화물창의 가스돔(2) 측에 서포트 테이블(16)을 설치한 후에, 도 9(d)와 같이 수직 서포트붐(11)의 단관(11a, 11b, 11c)을 가스돔(2)을 통해 투입하여 상하 길이방향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도 9(e)와 같이 수직 서포트붐(11)의 하단을 프로텍트 플레이트(12) 측에 고정하고, 캐리어 케이싱(18)에 수평붐(13) 및 웨이트 밸런스(25)를 조립한다.
그 후에, 도 9(f)와 같이 작업용 바스켓(14a) 및 보조작업대(14b)를 수평붐(13) 측에 조립한 후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화물창(1)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한다.
11 : 수직 서포트붐 13 : 수평붐
15 : 캐리어 16 : 서포트 테이블
18 : 캐리어 케이싱 25 : 웨이트 밸런스

Claims (18)

  1. 선체의 화물창 내에 설치된 화물창용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서포트붐, 일단부에 작업용 바스켓이 구비된 수평붐, 및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에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은 그 상단이 상기 화물창의 가스 돔(gas dome) 측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붐은 수평방향으로 텔레스코핑가능한 다단붐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복수의 잭업실린더에 의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잭업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잭업실린더의 로드 상단은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 측에는 서포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 테이블에는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붐의 상면 일측에는 보조작업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하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잭업실린더의 하면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삽입홈이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하방향 이격간격은 상기 잭업실린더의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하측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일정 위치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캐리어의 상단에는 상부플레이트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상측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일정 위치에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단고정용 실린더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하단고정용 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캐리어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드의 내측면에는 핀이 구비되고, 상기 하단고정용 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의 핀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삽입홈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단고정용 실린더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상단고정용 실린더에는 전후진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밀착 내지 이격되는 가압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패드의 내측면에는 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고정용 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의 핀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삽입홈 측에 삽입되거나 삽입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삽입홈의 원주방향 이격간격은 상기 하단고정용 실린더의 핀 및 상기 상단고정용 실린더의 핀의 이격간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내경면에는 웨어링패드(wearing pa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외측에는 캐리어 케이싱이 상기 수직 서포트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붐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붐과 마주보는 방향에 웨이트 밸런스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 밸런스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붐은 상기 캐리어 케이싱 측에 인장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웨이트밸런스는 상기 캐리어 케이싱 측에 인장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는 기어전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전동기구에 의해 상기 캐리어 케이싱 및 수평붐은 상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케이싱의 내측면과 상기 캐리어의 외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하단면에는 논슬립 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하단을 완충하는 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바닥면에는 프로텍션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서포트붐의 논슬립 패드는 상기 프로텍션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서포트붐, 상기 수평붐,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화물창의 가스돔의 개구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이에 상기 수직 서포트붐, 상기 수평붐, 상기 캐리어는 상기 가스돔을 통해 상기 화물창 내로 투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18. 삭제
KR1020110073144A 2011-07-06 2011-07-22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KR10127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4A KR101276124B1 (ko) 2011-07-22 2011-07-22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PCT/KR2012/005368 WO2013006009A2 (ko) 2011-07-06 2012-07-06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144A KR101276124B1 (ko) 2011-07-22 2011-07-22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758A KR20130011758A (ko) 2013-01-30
KR101276124B1 true KR101276124B1 (ko) 2013-06-18

Family

ID=4784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144A KR101276124B1 (ko) 2011-07-06 2011-07-22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1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7226A (en) * 1977-03-21 1978-10-13 Reus Bv J De Working device
JP2003237682A (ja) * 2002-02-20 2003-08-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ドック用作業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7226A (en) * 1977-03-21 1978-10-13 Reus Bv J De Working device
JP2003237682A (ja) * 2002-02-20 2003-08-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ドック用作業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758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125B1 (ko)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US9728282B2 (en) Remotely operated manipulator
KR20140014727A (ko)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CN104594944A (zh) 高效安全型矿用液压支架安装运输车
KR101255131B1 (ko) 화물창용 고소 작업대
KR101276124B1 (ko) 화물창용 고소작업대
KR20130114844A (ko) 드릴링 파이프 핸들링 장치의 오버로드 테스트용 웨이트
CN105819368A (zh) 台面可360°旋转的液压升降平台
CN207621258U (zh) 机械设备加工用减震机构
JP6953091B2 (ja) エンジン発電機
KR101260182B1 (ko) 벌크선의 그레인 피딩 홀을 이용한 발판치구
JP2009062729A (ja) 強力サポート荷下ろし垂直リフト
CN105569559A (zh) 一种万向回转装置
CN202944533U (zh) 船用舱口盖制动装置
CN203921141U (zh) 一种半潜生活平台
CN114645957B (zh) 一种适用于煤矿底板的排水快速接头
KR20130008919A (ko) 선박의 낙하물 차폐 장치
KR20140078871A (ko) 선박용 스러스터의 도크 내 장착 방법
JP7029928B2 (ja) 制振装置の据付装置および据付方法
KR200472179Y1 (ko) 케이블 및 호스지지구
CN219279293U (zh) 一种重型机械抬升吊装装置
KR20160054815A (ko) 구명 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44274B1 (ko) 리프팅 러그
KR101994623B1 (ko) 임시 플랫폼
KR20140018619A (ko) 선박용 추락방지 안전 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