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755B1 -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755B1
KR101275755B1 KR1020067007731A KR20067007731A KR101275755B1 KR 101275755 B1 KR101275755 B1 KR 101275755B1 KR 1020067007731 A KR1020067007731 A KR 1020067007731A KR 20067007731 A KR20067007731 A KR 20067007731A KR 101275755 B1 KR101275755 B1 KR 10127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uction
outer case
wak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416A (ko
Inventor
준하오 린
Original Assignee
준하오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8128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57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CNU2003201040501U external-priority patent/CN2670642Y/zh
Application filed by 준하오 린 filed Critical 준하오 린
Publication of KR2006008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20Three-dimensional
    • F05D2250/23Three-dimensional prismatic
    • F05D2250/232Three-dimensional prismatic co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케이스(1), 날개(2), 날개잎(3), 후류흡입구(4), 측면 송풍구(5)를 포함하며, 그 특징은 후류흡입구(4)가 외부 케이스(1) 축방향 측면상에 설치되어 날개(2)의 축방향 측면과 서로 마주대하고, 날개앞(3) 끝단측 상에 흡입측 격리판이 설치되어 있어, 오염물질, 처리능력이 강하고, 공기의 유량이 많고 마모는 적고, 고효율, 저소음, 다기능이고, 기계내 통풍 부분이 오염물질에 의한 손상과 부식을 줄일 수 있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이다.
흡입 배출기, 공기, 정화, 후류 흡입구, 흡입측 격리판

Description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Multifunctional Back-Flowing Type Strong Suction Blow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종의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 중인 배출기는 오염 물질 처리능력에 차이가 있고, 효율이 낮고, 쉽게 파손되며, 기계 내의 통풍 부분이 마모, 부식이 심하며, 소음이 크고 기능은 지극히 단순하여 사용범위도 좁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종의 오염물질 처리능력을 높이고, 공기흐름을 맑게 하고, 견고하며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은 다기능 강력 배출기로 기계내 통풍 부분의 오염 손상과 부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방법이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일종의 다기능 강력 배출기는 외부 케이스(1), 날개(2), 날개잎(3), 후류(後流) 흡입구(4), 측면 송풍구(5)를 포함한다. 그 특징은 외부 케이스(1)의 축방향 측면위와, 날개(2)의 축방향 측면 반대쪽에 설치된 후류 흡입구(4)와, 날개잎(3)의 끝단측 위에 있는 흡입측 격리판(6)에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는 여러 종류의 구조 형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선형, 원반형, 막대형, 원추형, 여러 종류의 모양을 합친 조합 형태등 이다. 다기능 강력 배출기의 작동 원리와 기타 각종 후류 배출기의 작동 원리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날개에 가공된 고속유체(날개측 출구 전과 후의 고속유체), 형성된 압력에 의해 흡입된 기계 외부 물질(기체, 액체, 고체 물질)을 직접 이용한다.
다른 점은 후류 배출기는 날개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작용(당연히 날개위에 날개 진입구가 없을 때)에 의해 흡입된 외부 물질을 직접 이용한다. 그리고 날개에 의해 만들어진 고속 유체흐름(기체 혹은 액체 흐름)에 의해 형성된 압력작용과 날개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으로부터 형성된 흡입 작용 모두다 후류 흡입구를 통과하여 비로소 기계 외부 물질을 직접 흡입할 수 있다.
후류 흡입구는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날개 축방향과 평행한 외부 케이스 측면과 수직한 면을 말하며, 이하에서도 동일하다)에 부착되며, 이는 후류 흡입구가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설치 가능함을 가리킨다. 그러한 외부 케이스의 축방향 양쪽으로 그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상에 동시에 모두 후류 흡입구 설치가 가능하다. 후류 흡입구는 원형, 활모양, 둥근 고리형 일수도 있다. 후류 흡입구는 전동기(전동벨트)와 케이싱 본체의 동일 축선상에 설치될 수 있고 전동기(전동벨트)와 구분하여 케이싱의 축방향으로 양쪽에서 그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따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기술 방안의 후류흡입구 특징은 날개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이, 날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과 날개 진입구 여부에 관계없이 마주하여 바로 후류 흡입구의 외부 물질이 날개 내측으로 진입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날개 끝단측상에 설치된 흡입측 격리판의 목적은 날개 내측에서 날개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형성된 흡입압력작용(날개상에 날개 진입구가 없는 경우)이 외부 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직접 이용할 수 있고 날개 내측 공기 통로안의 고속 기체 흐름이 흡입측 간극판을 통과하거나, 날개에 형성된 흡입압력작용(날개상에 날개 진입구 설치시를 말함)이 외부 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흡입측 격리판은 아직도 후류흡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질이 날개 내측(날개에 날개 진입구 없을 시 일부분의 외부물질이 날개에 진입할 수 있다)에 진입하는 것을 방해할 수있다. 동시에, 여전히 날개 내측의 유체흐름이 후류 흡입구를 지나 케이싱으로 유출될 수 있다.
흡입측 격리판이 날개 끝단측상에 설치되는 것은 그것이 날개 축방향 측면상에 설치됨을 말한다. 흡입측 격리판과 날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과는 평행일수도 어느 정도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날개 끝단측 상에 설치된 흡입측 격리판은 각각의 날개 끝단측상에 모두 흡입측 격리판이 설치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날개 끝단측상의 흡입측 격리판은 서로 연결되어 접할 수도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한 연결 접합은 직접 연접(連接)과 간접 연접을 가르킨다. 날개 끝단측 상의 날개 사이는 이러한 모양으로 서로 함께 연결된 흡입측 격리판과 원반형 또는 원환형의 날개는 서로 같다. 따라서 이러한 모양의 흡입측 격리판 대신에 때로는 원반형 혹은 원환형의 날개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장차 한 개의 완전한 원반형의 전용부분을 직접 만들수도 있다. 이후에 그것은 날개 끝단측과 서로 관련된 부분에 고정된다. 이런 종류의 원반형 혹은 원환형의 흡입측 격리판은 일반적인 송풍기의 날개와는 구별된다. 그 주요 기능은 날개에 고정된 것이 아니다. 서로 이웃한 흡입측 격리판의 간접 연접은 서로 인접한 흡입측 격리판이 날개 끝단측을 통과하여 한꺼번에 간접 연접됨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흡입측 격리판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날개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날개 끝단측과 서로 연접되었다면 바로 간접 연접이다.
서로 이웃한 흡입측 격리판이 서로 연결되어 접하지 않으면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흡입간극이라 말함)이 설치되어 있고, 흡입간극이 날개 내측 공기 통로와 직접 통한다. 서로 인접한 흡입측 격리판이 서로 연접하지 않으면 이러한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 개의 날개 끝단측상의 흡입측 격리판이 상호 인접한 다른 한 개의 날개와 상호 연접할 수 없을 때 다른 한 개의 격리판 사이에는 일정한 흡입간극(실제로는 여전히 서로 이웃한 두 개의 흡입측 격리판이 서로 연접하지 않음)을 설치한다. 이러한 모양의 서로 연접하지 않는 흡입측 격리판과 직통의 날개 내측 공기 통로의 흡입간극이 설치되는 이유로 이러한 모양은 날개 내측 고속 유체 흐름과 날개 내측 흡입공간(날개에 날개 진입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을 사용하여 후류흡입구에서 발생한 흡입작용으로 날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의 흡입간극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흡입측 격리판이 날개 회전에 의해 형성된 와류 격리작용으로 후류흡입구의 외부물질이 흡입되어 날개 내측(여기서 주로 날개 상에 날개 진입구가 있을 때를 가리킨다)으로 진입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날개 내측 유체 흐름 역시 후류흡입구로의 진입을 불가능하게 한다. 어떤 설계방식을 채택하든지 간에 그 흡입간극은 모두 두 개의 서로 이웃한 날개의 사이에 설치된다고 볼 수 있다. 마땅히 흡입간극은 두 개의 날개 중간에 위치할 수 도 있고, 또 중앙으로 치우쳐 한 개의 날개 앞옆으로, 혹은 옆뒤로(날개 회전 방향이 앞, 역방향이 뒤) 위치할 수 있다.
날개와 흡입측 격리판의 내구력을 강화하기 위해 날개 회전시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두 종류의 구조형식 모두 흡입간극 상 비스듬히 한 개, 또는 몇 개의 보조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보조지지대의 힘으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흡입측 격리판 혹은 한 개의 날개 상의 흡입측 격리판이 대응한 다른 한 개의 이웃한 날개가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완전한 한 개의 날개위의 날개와 흡입측 격리판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가 되게 할 수 있다. 이런 모양은 날개 회전시 변형을 어렵게 하고 이런 종류의 보조지지대가 설치되어 대형 송풍기 날개 제조에 적합하다.
인접한 날개 잎 끝단측위의 흡입측 격리판이 만약 서로 연접되었다면, 즉, 인접한 날개잎 사이의 흡입측 격리판 위에 설치되어 날개 내측 공기 통로의 구멍(흡입압력 눈구멍이라 함)으로 직통한다. 이런 흡입압력 눈구멍은 원형일 수 있고, 장방형의 여러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이러한 흡입압력 눈구멍은 한 개 혹은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이런 결합 구조는 완전한 한 개의 날개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서 볼 때, 완전한 날개잎 위에 다른 눈구멍 설치를 요구하는 것과 같다. 날개 내측 고속 유체 흐름이 후류흡입구에 마주한 흡입압력 눈구멍을 통과하여 흡입작용을 만들어내고, 흡입압력 눈구멍 주위의 흡입측 격리판 벽면을 오히려 후류진입구로 흡입된 외부물질이 날개 내측(날개상에 날개 진입구가 설치됨)으로 진입됨을 직접 방해할 수 있고, 또한, 날개 내측 유체 흐름이 후류흡입구로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다.
한 개의 송풍기 날개에는 그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일측면 에지에 흡입측 격리판을 설치할 수 있고, 두 개의 측면상에 흡입측 격리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 개의 송풍기 날개 상에는 흡입측 격리판이 설치된 한 개의 일축 방향 측면상에는 날개잎을 설치할 수 있고, 안할 수도 있다. 날개잎을 설치한 것은 그 흡입측 격리판이 날개 잎 디스크의 방사방향 외부에 설치된 것이다. 만약, 흡입측 격리판이 날개 진입구와 날개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동일 측면에 설치되었다면 그것은 흡입측 격리판이 곧 날개 진입구 둘레방향 외부에 설치된다.
흡입측 격리판은 여러 종류의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직판형, 원호판형, 원반형, 원환형 등으로 만들 수 있고, 날개의 각개 날개잎 끝단측위에 한 개의 흡입측 격리판(직판형, 원호판형)을 각기 안전하게 장치할 수 있다.
흡입간극과 흡입압력 눈구멍의 크기, 형상, 기울기 등은 당연히 필요에 따라 정하고, 흡입간극, 흡입압력 눈구멍의 흡입력과 크기, 기울기는 정비례를 이루고, 날개 회전속도에 정비례하고, 흡입간극, 흡입압력 눈구멍의 격리작용과 그들의 크기, 기울기는 반비례하는 날개 회전과는 정비례한다.
측면 송풍구는 날개 측면상에 설치되어 있고, 이는 측면 송풍구가 외부 케이스 측면상에 설치될 수 있음을 가르킨다.(날개 축방향과 평행한 외부 케이스 측면은 방사방향 측면을 말하며, 기타 부분의 방향은 이것을 기준으로 유추한다).
또한,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부착할 수 있고, 동시에 외부 케이스 방사방 측면과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도 모두 측면 송풍구를 설치할 수 있다. 측면 송풍구는 한 개 또는 두 개, 다수일 수도 있다. 측면 송풍구는 원형, 사각형, 고리형, 활형 등 다른 모양이 가능하다. 측면 송풍구의 외측에는 다른 짧은 관 혹은 전용 도관을 가설할 수 있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송풍구는 고리, 활형 등이 많고, 방사방향 출구는 원형 혹은 사각형이 많다.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는 외부 케이스의 방사방향 측면에 날개측 출구부분과 바로 마주보게 설치할 수도 있고 마주 보지 않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만약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가 날개측 출구 축을 따르는 방향과 약간 어긋나게 벌어지게 하거나 날개측 출구가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에서 형성된 나선축과 어긋나게 벌어지면 날개측 출구에서 배출된 고속유체의 흐름을 먼저 축방향으로 회전하여 약간 뒤로 유동시킨다. 그리고 다시 외부 케이스 방사방 측면 송풍구로부터 자유로이 유출된 이런 고속 유체흐름은 스스로 날개로 배출되거나 기계 자체의 전체 과정 중에 배출된다. 경계층에서 이탈 후 조성된 흐름이 심하게 변하였기 때문에 날개측 출구를 줄였다. 또한, 날개측 출구의 고속 유체 흐름이 주기적으로 송풍구 나선면으로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한다. 송풍기의 전압력 손실을 줄여 소음을 줄였다. 이런 구조가 만약 둥글게 감싸는 날개의 외부 케이스 방사방향 측면부분이 원추형 통모양이라 작동시 송풍기의 전압력 손실은 더욱 적어지고, 소음을 줄이는 효과는 더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의 날개에는 여전히 날개 진입구가 설치될 수 있어, 날개 진입구는 날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설치하여 날개 내측 공기통로와 직접 연결하여 통한다. 날개 진입구는 날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또 한 개의 날개 축방향 양쪽으로 이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상에 모두 날개 진입구를 설치할 수 있다. 날개 진입구와 후류흡입구는 케이싱의 축방향 양쪽으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구별하여 설치될 수 있고, 동일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공동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날개 진입구와 후류흡입구로 직접 통하지 않는다. 후류흡입구에 흡입된 외부물질은 날개 진입구내로 진입하지 않는다. 날개 진입구와 후류흡입구가 기계 동일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공동 설치될 때는 날개 진입구는 후류흡입구 내측(후류흡입구는 원형이 많다)에 설치할 수 있고, 후류흡입구 기계방향과 어긋나거나 서로 마주 보지 않을 수도 있다(후류진입구는 고리형, 활형이 많다). 그 날개 진입구와 후류흡입구는 모두 서로 통한다. 즉, 후류흡입구에서 흡입된 외부물질은 곧 날개 진입구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상에는 여전히 측면 입구를 설치할 수 있다. 측면 입구는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설치할 수 있고, 외부 케이스 축방향 양쪽으로,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동시에 구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측면 입구와 후류흡입구는 외부 케이스 축방향 양쪽으로 그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상에 설치할 수 있고, 동일 축방향 측면상에 공동 설치할 수 있다. 동일 축방향 측면상에 설치할 때 후류흡입구는 측면 입구 주위에 설치된다. 어떠한 구조방식에 관계없이 측면 입구와 날개 진입구는 단지 기계의 동일 축방향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면 입구는 날개진입구와 결국은 서로 마주하거나 서로 통한다. 측면 입구로 흡입된 외부물질은 직접 날개 진입구로 진입한다. 측면 입구와 후류흡입구는 모두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측면상에 설치한다. 단, 둘은 다른 모양이고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측면 입구는 반드시 날개 진입구와 서로 마주하고 또 직접 서로 통한다. 즉, 측면 입구로 흡입된 외부물질은 반드시 날개 진입구를 통해 날개 내측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후류흡입구와 날개 측면은 서로 마주보고 이 날개 일측 방향 측면에 날개 진입구 설치와 관계없다. 후류흡입구는 주로 날개 흡입간극 혹은 흡입압력 눈구멍과 날개측 출구쪽의 압력에 의해 외부물질을 흡입한다. 후류흡입구에 흡입된 외부물질은 날개에 접촉하지 않고 진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날개에 날개 진입구가 없을시 날개에 부분적으로 외부물질이 진입한다).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에도 연통기(連通器)가 설치될 수 있다. 연통기의 입구는 송풍기의 측면 송풍구와 직접 연결되어 통하고, 연통기의 출구는 송풍기 측면 송풍구와 서로 통할 수 있다. 또한, 후류흡입구와 서로 통할 수도 있고, 동시에 측면입구와 후류흡입구는 모두 서로 통할 수 있다. 당연히 연통기는 대롱 모양이 아닐 수 있다. 상자와 자루형이 아닐 수도 있고, 각종의 다른 형식의 연통기 측면은 막힐 수도 안 막힐 수도 있다. 막힌 측면 위에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러한 연통기를 이용하여 송풍기는 특수한 사용 목적에 적용하여 흡입과 여과의 순환작용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강한 흡입력, 큰 흡입 용량이다. 그것은 흡입측 격리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 흡입압력(날개에 날개 진입구가 없을 시)과 날개 내측및 날개측 출구 외측 고속기류의 흡입압력작용, 흡입된 외부물질을 충분히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송풍기와 후류송풍기에 비해 흡입력과 흡입량이 모두 대단히 크다. 당연히, 이 기술을 이용하여 날개에서 가공된 고속유체 흐름의 흡입압력작용으로 외부 물질을 흡입배출하므로 그 고효율을 쉽게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만약 송풍기 측면입구가 후류흡입구와 더불어 동일 물질을 흡입하는데 효율이 높아지지 않으면 송풍기의 흡입력과 흡입량을 모두 증대시킬 수 있다. 만약, 송풍기 측면 입구와 후류흡입구에 두 종의 다른 물질이 구분되어 흡입된다면 송풍기의 다른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기 측면 입구로 정화된 공기와 액체를 흡입하여 중간물질을 만들고 후류흡입구로 오염물질이나 비오염물질을 빨아들인다. 후류흡입구에 흡입된 오염 비오염물질이 날개에 접촉하지 않고 진입되기 때문에 날개가 오염되거나 부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기술과 대비하면 본 발명은 오염물질 처리효과가 크고, 에너지절약형, 저소음, 다기능, 다용도이며, 송풍기 통풍 부분의 오염 부식 정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당연히 이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의 후류송풍기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의 부식이 되지 않고, 비오염, 비마모의 기름펌프, 물펌프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결합 구조를 도시,
도 2는 도 1의 A-A 방향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결합 구조중 날개 구조를 도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결합 구조를 도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의 결합 구조중 날개 구조를 도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결합 구조중 날개 구조를 도시,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의 결합 구조의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의 결합 구조중 날개 구조를 도시,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의 결합 구조를 도시,
도 10은 도 9의 B-B방향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의 결합 구조중 날개를 도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의 결합 구조중 날개를 도시,
도 13은 도 12의 C-C 방향 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의 결합 구조 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의 결합 구조를 도시,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2, 3에서의 일종의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는 외부 케이스(1), 날개(2), 날개잎(3), 후류흡입구(4), 측면 송풍구(5)와 전동기(12)를 포함한다. 후류흡입구(4)와 전동기(12)는 케이스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따로 배치된다. 외부 케이스(1)의 축 둘레(방사방향) 측면(즉, 축에 대해 평행한 측면)이 원추형 통과 원주형 통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그 중 원추형 통 부분이 날개 축방향을 따라 케이스 전방에서 케이스 후방으로 확장된다(전동기가 배치된 쪽이 케이싱 전방이 그 반대가 케이싱 후방이다). 케이스의 확장부분은 외부 케이스(1)의 원주형 통 부분과 서로 접한다. 날개(2)는 원추형 통내에 설치되고, 측면 송풍구(5)는 원주형 통 부분의 외부 케이스 방사방향 측면 상에 설치되며, 원형 후류흡입구(4)는 외부 케이스(1)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 상에 설치되고, 날개(2)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과 마주하며, 후류흡입구(4)의 직경과 날개(2)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다. 날개(2)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뒤날개판(13)과 흡입측 격리판(6)이 설치되어 있고, 흡입측 격리판(6)은 뒷날개판(13)의 외면 소정 부분에 연접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측 격리판(6)은 날개잎(3) 끝단측에 연접되어 있고, 동시에 날개(2)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과는 평행이다. 각 날개잎(3) 상의 흡입측 격리판(6)은 인접한 다른 한 개의 날개잎(3) 상의 흡입측 격리판(6)과는 모두 서로 연접하지 않는다.
날개잎 사이에는 모두 흡입간극(14)이 있다. 전체 날개에서의 흡입측 격리판(6)의 모양, 크기, 질량은 같고, 각 흡입간극(14)의 모양, 크기도 같다.
작동시 날개가 고속회전하면 날개 내측 날개잎(3) 사이는 압력공간이 형성되어 외부물질이 후류흡입구(4)를 통과하여 날개 내측 공기통로에 진입하게 된다. 날개 내측에 진입한 물질을 계속 흡수하여 날개잎(3)을 회전시키어 용량과 속도를 증가시키고, 흡입간극(14)을 통과하여 후류흡입구(4)에 대한 흡입압력을 일으키고, 외부물질을 계속 흡입하여 후류흡입구(4)(흡입작용은 두배)로 진입한다. 그런 후에 외부 케이스 방사방향 측면(둘레측면) 송풍구(5)를 통과하여 케이싱 외부로 배출된다. 전체 공정중 날개 방향 앞부분(둘레방향 가까운 축중심 부분이 앞, 부근 날개측 출구가 뒤)에서 흡입측 격리판의 유도 격리작용으로 날개 내측 공기통로에 흡입된 물질이 날개 외부로 더 이상 빠져 나가지 않게 된다. 날개잎 사이에는 이미 고속물질이 꽉 차있어서 흡입측 격리판(6)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유도 격리작용으로 외부물질이 날개 내부에 들어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작동 공정 중에 어느 정도 외부물질이 날개에 들어오고 나머지 대부분의 외부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는 날개를 둘러 싼 외부 케이스의 방사방향 측면(즉, 둘레면)이 원추형 통모양이기 때문에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는 연접된 원추형 통이 확장된 말단과 연접된 원주형 통의 방사방향 측면 위에 설치되고,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는 날개(2)와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약간 거리를 두고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측 출구(15)에서 배출된 고속유체 흐름은 단지 케이스의 뒷 방향으로 자유롭게 빠져 나가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로 흘러들어간다. 이런 모양으로 인해 외부 케이스 후방 측면 상의 후류흡입구(4)의 내부에는 흡입간극(14)의 흡입에 따라서 후류흡입구(4)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흡입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또한 날개 외측 고속회전 유체가 측면 송풍구(5)로 배출됨에 따른 유체흐름의 흡입압력도 함께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후류흡입구 내에는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고흡입력의 소용돌이 지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흡입력과 흡입량은 같은 효율의 다른 송풍기보다 훨씬 크다. 동시에,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는 날개(2)와 축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날개측 출구(15)에서 고속으로 직접 소용돌이에 부딪히거나 생성된 소음을 피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예의 소음은 기존의 다른 송풍기에 비하여 매우 작다.
본 예의 후류흡입구의 흡입작용은 배가 되고, 흡입력은 크고, 또한 흡입측 격리판(6)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흐름 작용으로, 날개방향 앞부분에서 일부의 외부물질만 날개에 유입되고(질량과 체적이 큰 고체물질은 날개로 유입될 수 없다) 그 나머지 대부분의 외부물질은 접촉하거나 유입될 수 없다. 본 실시예는 통풍, 환기, 오염물질과 비오염물질의 흡입배출에 적당하다. 물론 본 예는 어떠한 모양이든지 간에 고효율, 다기능이고, 여러 가지 생산 활동을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5는 실시예 1과는 기본적으로 같은 모양이나, 다른 점은 본 예의 각 날개잎상의 흡입측 격리판(6)이 모두 날개잎으로부터 회전 방향을 따라 인접한 다른 날개잎(3)에 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흡입측 격리판(6)이 연장된 말단과 인접한 날개잎(3) 사이에는 흡입간극(14)이 있다. 완전한 날개(2) 위에 있는 각각의 흡입측 격리판(6)의 모양, 크기, 무게는 모두 같다. 각각의 흡입간극(14)의 모양 및 크기 역시 같다.
본 실시예의 흡입측 격리판(6)의 위에는 한 개의 보조지지대(16)가 있고, 보조지지대(16) 한 끝은 흡입측 격리판(6)과 연접하며, 다른 끝은 인접한 날개잎(3)과 서로 연결되고, 보조지지대(16)는 흡입간극(14)위를 가로 지른다. 이런 모양은 보조지지대(16)가 완전한 흡입측 격리판(6)과 날개잎(3)이 연결, 일체가 되게 하여 날개 회전시 변형되지 않고 작동시 균형을 유지하고 소음을 적게 한다. 이런 흡입측 격리판 결합방식은 완전한 날개 뒤축 방향에서 보면 날개 뒤축방향 위에 외원 반경이 날개 외원 반경과 같은 뒷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 뒷날개판 위에는 한 개 혹은 몇 개의 통로가 뚫려 있어 날개 내측 공기통로로 직접 통하는 구멍도 같은 모양이다. 둘째로 다른 점은 본 예의 날개(2) 위에 날개 진입구(8)과 외부 케이스의 측면 입구(9) 이다. 날개 진입구(8)와 측면 입구(9)는 모두 케이스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전방 측면에 있다. 둘다 축방향으로 마주하며 서로 연결되어 통한다.
작동시 측면 입구(9)로부터 날개 진입구(8)로 흡입된 기체는 날개를 지나 고속기류가 되고, 고속기류는 흡입간극(14)과 날개측 출구(15) 외측을 지나 후류흡입구(4) 내부에 대한 압력차가 형성되고 다시 후류흡입구(4)를 통과하여 외부물질을 흡수한다. 이후에 기계본체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를 통과하여 기계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가 만약 측면 입구(9)와 후류흡입구(4)가 동일조건하에서 같은 모양의 기체물질을 흡입하게 되면 통풍 환기 장치에 적용된다. 만약, 측면 입구(9)에 의해 흡입정화된 공기 혹은 액체 흐름은 중간 물질을 만들고 후류흡입구(4)로 하여금 기타 물질을 흡입케 한다. 본 예로부터 오염기체 고체와 비오염 기체 액체 고체 흡입 배출에 적용된다. 실시예 1과 같이 본 예의 고효율, 다기능은 여러 종류의 송풍기와 기름,물펌프를 만들어 여러 생산 활동의 수요에 응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와 기본이 같고, 다른 점은, 본 예는 앞 잎판이 없고 인접한 날개 잎 끝단측상의 흡입측 격리판(6)이 서로 모두 함께 직접 연결된다. 각각 두 개의 인접한 날개잎(3) 사이의 흡입측 격리판(6)상에는 모두 한 줄의 날개 내측에 직통하는 공기통로의 흡입압력 눈구멍(7)이 있고, 흡입측 격리판(6)의 이런 결합구조는 완전한 날개 뒷축 방향 측면에서 보면 날개상에 외원 반경이 날개 반경과 같은 뒷잎판이 있는 것과 같고 또 뒷잎판의 몇 줄의 구멍이 날개 내측 공기 통로의 둥근 구멍에 직통되고 같은 모양이다. 본 예의 특징은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가공이 쉽고, 본예의 성능, 기능, 용도는 실시예 2와 같다.
실시예 4
도 7,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도 실시예 2와 기본이 같지만, 다른 점은 본 예의 외부 케이스는 달팽이 모양(나선형)이 주로 사용되고, 달팽이 모양의 관 끝 부분에 한 개의 기계 방향 측면에 송풍구(5)가 있고, 날개(2)와는 축방향을 따라 약간 벌어져 있다. 측면 입구(9)는 전동기(12)와 기계 양축방향 측면에 따로 설치됐고 원환형 후류흡입구(4)와 측면 입구(9)는 외부 케이스 동일 축방향 측면상에 있다. 원환형 후류흡입구(4)는 측면 입구(9) 외부에 있고, 날개 상의 흡입측 격리판(6)은 날개 진입구(8)과 같이 날개의 동일 축방향 측면에 설치되고, 흡입측 격리판(6)은 날개 진입구(8) 외부 주위에 있다. 흡입측 격리판(6) 날개 축을 따라 연장된 끝은 날개잎과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즉, 인접한 두 개의 흡입측 격리판은 서로 접하지 않는다). 날개(2)에는 흡입간극(14)이 있고, 날개 앞측 방향 측면에 앞날개판(17)이 있다.
작동시 측면 입구(9)와 후류흡입구(4)는 동일 조건하에서 동종의 물질을 공동으로 흡입한다. 날개 진입구(8)를 이용한 압력이 외부물질을 흡입하고 날개내 날개잎(3)을 이용, 공기통로를 지나 생성된 고속기류의 압력이 외부물질로 흡수되기 때문에 송풍기의 흡입력과 흡입량은 단순한 송풍기, 송풍구에 의존하여 흡입된 흡입력과 흡입량에 비하면 매우 크고 많다. 당연히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특수 환경과 조건에 적합한 초강력 흡입력 송풍기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9, 10, 11을 참조하여 본 예는 실시예 4와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다른 점은 본 예의 케이스 둘레방향(즉, 방사방향) 측면이 원추형 통이다. 완전한 원추형 통이 기계 뒤로부터 앞으로 확장되어 그 확장된 끝에 6개의 방사방향 측면 송풍구(5)가 있고, 날개(2)가 원추형통 내축 끝부분에 있으며, 날개(2)는 축방향을 따라 측면 송풍구(5)를 향해 약간 어긋나게 개방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 축방향에서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는 모두 후류흡입구(4)가 있고, 외부 케이스 축방향 측면상의 후류흡입구는 원형이다. 날개(2) 뒤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는 날개 진입구(8)가 형성되어 있고, 당연히 날개 진입구(8)는 후류흡입구(4) 내측에 위치한다. 외부 케이스 앞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부착된 후류흡입구(4)는 원환형이다. 날개(2)의 뒤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에 흡입측 격리판(6)이 부착되고, 당연히 측면상의 흡입측 격리판(6)은 날개 진입구(8)의 외부에 있다. 흡입측 격리판(6)은 날개 회전방향 쪽이고, 연장된 끝과 동시에 그와 대응한 날개잎(3)의 사이에 흡입간극(14)이 설치된다. 날개 앞 축방향 측면상에 앞축판이 있는 데, 앞축판 외부에는 역시 흡입측 격리판(6)이 있고, 당연히 흡입측 격리판(6)은 인접한 두 개의 날개잎(3)의 끝단측과 서로 연접된다. 흡입측 격리판(6)에는 흡입압력 눈구멍이 있고, 날개 회전방향을 따라 흡입측 격리판(6)에 설치되어 있고 날개잎(3)의 앞 부근이다.
작동시 외부 케이스 양축에 대해 수직한 측면상의 후류흡입구(4)에서 외부 물질을 동시에 흡입한다. 동일한 효율의 다른 송풍기와 비교하면 전동기의 효율이 같거나 약간 증가하는 조건하에서 용량은 배가 되며 대량의 유체가 외부 케이스 상의 6개 측면 송풍구(5)를 통과하여 기계로 배출된다. 본 예는 배출기와 특수한 용도의 선풍기 제작에 적합하다.
실시예 6
도 3, 12,13을 참조하여, 본 예는 실시예 1과 기본이 동일하다. 다른 점은 본 예의 외부 케이스 둘레방향(즉, 방사방향) 측면이 원추형과 원주통 모양의 조합이다. 그중에, 원추형 통 부분은 날개 축을 따라 케이스 뒤로부터 기계 앞으로 확장되는 데(전동기 한 쪽이 기계 앞쪽에 설치), 날개(2)는 원추형 통 부분 내측에 장치되었고, 측면 송풍구(5)는 외부 케이스 앞 축방향에 대해 둘레방향(방사방향) 측면상에 있다. 측면 송풍구(5)는 원환형이다.
작동시, 후류흡입구(4)는 날개 주방향 앞부분 내측 날개잎 간의 압력작용과 날개 둘레방향(방사방향) 뒷부분 흡입간극(14) 바깥측 압력작용으로 외부물질을 흡입한다. 흡입된 외부물질은 축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후에 축방향 내측면 원환형 측면 송풍구(5)를 지나 기계내로 배출된다. 동작시에 일부만의 외부물질이 날개에 진입한다.
본 예는 축류식 후류송풍기 제조에 적합하고, 풍류량및 풍압은 크다.
실시예 7
도 3, 14를 참조하여 본 예는 실시예 6과 기본이 동일하다. 다른 점은 날개(2) 앞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면에 날개 진입구(8)이 있다. 외부 케이스 앞축 방향 측면에 측면 입구(9)가 있고 날개 진입구(8)와 측면 입구(9) 축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서로 통한다. 두 번째 다른 점은 외부 케이스 둘레방향 (방사방향)측면이 단순한 원추형 통이다. 원추형 축방향 측면 송풍구(5)는 원추형 통 연장된 끝의 외부 케이스 축방향 측면상에 위치한다.
작동시 기류가 측면 입구(9)에서 날개 진입구(8)를 지나 날개(2)로 진입하여 날개를 지나면서 고속기류가 형성되는데, 고속 기류는 흡입간극(14)과 날개측 출구(15) 외축을 통과하여 압력을 발생시킨다.
후류흡입구(4)의 외부물질 흡입은 되고, 흡입된 외부물질이 날개로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원추형 통내로 진입하여 축방향을 따라 확장되어 회전운동을 한다. 이후에 원환형 측면 송풍구(5)를 통해 기계로 배출한다. 원환형 측면 송풍구(5)에서 배출된 물질은 계속 주위로 확장운동을 하고, 측면 입구(9)에는 거의 영향이 없고,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물질을 흡입한다. 작동시 만약 측면 입구(9)로 하여금 청정공기를 흡입하여 중간물질을 만들도록 하고 후류흡입구(4)로 하여금 오염 기체물질을 전적으로 흡입케 한다면 흡입된 오염기체 물질은 날개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날개가 오염되지 않고 부식되지 않아 손상되지 않는다.
본 예는 축류식 후류송풍기 제조에 적당하다. 다른 축류식 송풍기에 비해 풍압이 크고, 날개는 오염되어 손상되거나 부시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배출, 오염된 기름, 연기등 먼지제거에 이용하고 다른 축류식 송풍기에 비하여 성능이 더욱 좋다.
실시예 8
도 4, 5, 15를 참조하여 본 예는 실시예 2와 기본이 동일하다. 다른 점은 본 예의 외부 케이스 외축에 자루식 연통기(連通器)(10)가 있는 것이다. 자루식 연통기(10)의 입구는 측면 송풍구(5)와 서로 통하고, 그 출구(11)는 측면 입구(9)와 서로 연결된다. 자루식 연통기(10)는 비교적 세밀한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그 출구(11)내에는 필터(여과기)가 있다.
작동시 후류흡입구(4)로부터 흡입된 외부물질이 기계로 배출된 후 자루식 연통기로 진입하고(일부 기체는 측면의 세밀한 구멍을 투과하여 자루식 연통기(10)로 배출될 수 있다), 자루식 연통기(10)의 출구내의 필터를 지나 여과되어 고체물질은 여과를 거쳐 자루식 연통기(10)내에 남게 되고, 기체 물질은 출구(11)로부터 송풍기 측면 입구(9)에 진입하고, 날개(2)에 진입하여 고속기류로 된다. 흡입간극(14)에서 형성된 압력은 외부물질을 흡입하고, 완전한 동작과정은 흡입배출상태를 형성 순환한다. 본 예는 집진기, 청소기, 도로 청소차의 용도에 적합하다.
실시예 9
도 1, 2, 3,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기본이 동일하고, 다른 점은 본 예의 외부 케이스 외측에 상자 모양의 연통기(10)가 있는 것이다. 상자식 연통기(10) 입구는 측면 송풍구(5)와 연결된다. 그 출구(11)는 후류흡입구(4)와 연결되고, 상자식 연통기 내에는 쓰레기 자루망이 있다. 작동시 송풍기 측면 송풍구(5)로부터 쓰레기 자루망으로 배출되어 걸러진다. 기체는 쓰레기자루 외측과 상자벽 사이로 배출되고, 후류흡입구(4)에 의해 기계로 흡입되어 흡입 순환 상태로 지속된다.
본 예는 청소기, 도로 청소기에 적당하고, 작동중 상자식 연통기(10)로부터 먼지와 함께 배출된 기체는 정화되어 기계로 유입된다. 이런 것은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줄인다.
실시예 10
도 15, 16을 참조하여 본 예는 실시예 8, 9와 서로 같지만, 다른 점은 본 실시예의 연통기(10)에 두 개의 출구(11)가 있고, 그 중 한 개의 연통기 출구(11)는 연통기 측면 입구(9)와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는 후류흡입구(4)와 서로 연결된다. 작동중에 연통기(10)로부터 먼지와 함께 배출된 기체는 측면 입구(9)와 후류흡입구(4)를 지나 정화되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환언하면, 연통기 여과를 거친 후에 케이스로 유입되고서, 그 외의 흡수 여과 작동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의 용도는 실시예 8, 9와 동일하다.

Claims (9)

  1. 외부 케이스(1), 날개(2), 날개잎들(3), 후류(後流) 흡입구(4) 및 측면 송풍구(5)를 포함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에 있어서,
    각각의 날개잎들(3)의 끝단측 상에 해당 흡입측 격리판(6)이 각기 설치되되, 각 날개잎의 면과 흡입측 격리판의 면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흡입측 격리판들 사이에는 흡입간극(14)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간극(14)은 날개 내측 공기통로와 서로 직접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간극(14)상에 횡적으로 설치된 한 개 혹은 몇 개의 보조지지대(16)가 있고, 보조지지대(16)에 의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흡입측 격리판(6) 혹은 한 개의 날개잎(3)상의 흡입측 격리판(6)이 대응한 인접의 다른 한 개의 날개잎(3)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완전한 날개상의 날개잎(3)과 흡입측 격리판(6)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2)에 흡입측 격리판(6)의 한방향으로 측면에 부착된 뒷 날개 판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측 격리판(6)은 뒷 날개 판의 외부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측 격리판(6)이 날개 진입구(8)와 날개(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일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일 측면은 날개 진입구(8)가 위치하는 측면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1)의 외부 측면이 원추형과 원주형 통면의 조합형이고, 날개(2)가 원추형 통 내부에 구비되고, 측면 송풍구(5)가 원주형 통 부분의 외부 케이스(1)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2)와 상기 측면 송풍구(5)는 외부 케이스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고, 상기 날개(2)는 상기 후류흡입구(4)로부터의 흐름을 상기 측면 송풍구(5)로 송풍하는 통로가 되는 날개측 출구(15)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측 출구(15)는 상기 측면 송풍구(5)와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
  6. 제 3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1)의 외부 측면이 원추형과 원주형 통면의 조합형이고, 날개(2)가 원추형 통 내부에 구비되고, 측면 송풍구(5)가 원주형 통 부분의 외부 케이스(1)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2)와 상기 측면 송풍구(5)는 외부 케이스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고, 상기 날개(2)는 상기 후류흡입구(4)로부터의 흐름을 상기 측면 송풍구(5)로 송풍하는 통로가 되는 날개측 출구(15)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측 출구(15)는 상기 측면 송풍구(5)와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
  7. 제 4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1)의 외부 측면이 원추형과 원주형 통면의 조합형이고, 날개(2)가 원추형 통 내부에 구비되고, 측면 송풍구(5)가 원주형 통 부분의 외부 케이스(1)의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날개(2)와 상기 측면 송풍구(5)는 외부 케이스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고, 상기 날개(2)는 상기 후류흡입구(4)로부터의 흐름을 상기 측면 송풍구(5)로 송풍하는 통로가 되는 날개측 출구(15)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측 출구(15)는 상기 측면 송풍구(5)와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강력 흡입배출기.
  8. 삭제
  9. 삭제
KR1020067007731A 2003-10-24 2006-04-21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KR101275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320104050.1 2003-10-24
CNU2003201040501U CN2670642Y (zh) 2003-06-20 2003-10-24 多功能强力抽吸后流风机
PCT/CN2004/001178 WO2005073562A1 (fr) 2003-10-24 2004-10-18 Dispositif d'aspiration multifonction a fort debit de type a refl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16A KR20060081416A (ko) 2006-07-12
KR101275755B1 true KR101275755B1 (ko) 2013-06-14

Family

ID=3481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31A KR101275755B1 (ko) 2003-10-24 2006-04-21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4394B2 (ko)
EP (1) EP1688624A1 (ko)
JP (2) JP2007509271A (ko)
KR (1) KR101275755B1 (ko)
BR (1) BRPI0415723A (ko)
RU (1) RU2324077C2 (ko)
WO (1) WO2005073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5605A (ja) * 2008-06-25 2011-09-22 山▲東▼大学 キッチン換気扇
CN101776090B (zh) * 2009-12-29 2013-02-20 林钧浩 环流增压通风压气机
KR101486550B1 (ko) * 2010-11-16 2015-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6640756A (zh) * 2017-01-13 2017-05-10 苏州弗来特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动叶轮
CN107449003B (zh) * 2017-08-09 2023-08-22 佛山市南方丽特克能净科技有限公司 油烟分离净化风机装置
JP6985850B2 (ja) * 2017-08-21 2021-12-22 リンナイ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TWI647997B (zh) * 2018-02-14 2019-0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防回流裝置及使用其的伺服器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6605A (en) * 1964-03-16 1966-04-19 William L Fisher Rotary pumps
DE19530976A1 (de) * 1995-08-23 1997-02-27 Paul Recktenwald Umluftstaubsauger
DE19747570A1 (de) * 1996-11-05 1998-05-07 Bosch Siemens Hausgeraete Dunstabzugshaube zum bestimmungsgemäßen Einsatz über ein Kochfeld
US6245159B1 (en) * 1999-05-17 2001-06-12 David Deng Vacuum cleaner apparatus and return system for use with the same
KR100357516B1 (ko) * 2000-06-30 2002-10-1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배기환류 청소기
CN2436839Y (zh) * 2000-08-30 2001-06-27 幺宇 抽油烟机的同轴旋转离心净化装置
JP2002257097A (ja) * 2001-03-05 2002-09-11 Maruyama Mfg Co Ltd 動力作業機
CN1463652A (zh) * 2002-06-06 2003-12-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
CN2564783Y (zh) * 2002-07-31 2003-08-06 林钧浩 轴向后流风机
CN2600629Y (zh) * 2003-01-23 2004-01-21 林钧浩 多功能离心后流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9271A (ja) 2007-04-12
US20060263211A1 (en) 2006-11-23
JP2011190812A (ja) 2011-09-29
RU2324077C2 (ru) 2008-05-10
KR20060081416A (ko) 2006-07-12
WO2005073562A1 (fr) 2005-08-11
RU2006115989A (ru) 2007-11-27
BRPI0415723A (pt) 2007-04-17
US7374394B2 (en) 2008-05-20
EP1688624A1 (en) 2006-08-09
JP5451683B2 (ja)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755B1 (ko)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CN1156244C (zh) 用于真空除尘器的旋转集尘装置的网格组件
US7416575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JP2007275867A (ja)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及びその空気清浄方法
RU2559232C2 (ru) Пылесос
JP2011160820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CN113144783A (zh) 一种筒式空气除尘器以及通风装置
CN212492069U (zh) 一种多层组合空气滤清装置
CN108678877B (zh) 用于发动机的空气预滤器及空气滤清系统
KR102638412B1 (ko) 진공청소기를 위한 분리 시스템 및 분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RU2259862C2 (ru) Вихревой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CN102022352A (zh) 离心式隔离分流吸排物料通风机
CN2670642Y (zh) 多功能强力抽吸后流风机
CN214862085U (zh) 一种筒式空气除尘器以及通风装置
CN101915164B (zh) 一种燃气轮机进气粒子分离装置
KR101117355B1 (ko) 집진 장치
KR20000074149A (ko) 다중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5651B1 (ko) 사이클론식 진공청소기
CN2514148Y (zh) 外流风机
CN2541643Y (zh) 外流抽吸风机
KR10040794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525033B1 (ko) 원심분리형 축류식 집진장치
KR100535525B1 (ko) 에어덕트의 물 분리장치
CN114307435A (zh) 一种多层组合空气滤清装置
CN2600629Y (zh) 多功能离心后流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