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549B1 -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549B1
KR101274549B1 KR1020120110965A KR20120110965A KR101274549B1 KR 101274549 B1 KR101274549 B1 KR 101274549B1 KR 1020120110965 A KR1020120110965 A KR 1020120110965A KR 20120110965 A KR20120110965 A KR 20120110965A KR 101274549 B1 KR101274549 B1 KR 10127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ensor
group
imag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무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르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르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르메이트
Priority to KR102012011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549B1/ko
Priority to US14/433,427 priority patent/US20150262489A1/en
Priority to PCT/KR2013/008801 priority patent/WO20140548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7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with respect to certain areas, e.g. forbidden or allowed areas with possible alerting when inside or outside bounda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곡선도로에 있어서,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구간에 설치되며 각각 양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에는 제 1 카메라 및 제 1 모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본체에는 제 1 카메라 및 제 1 모니터가 구비하는 것으로 곡선도로의 일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가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 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Image providing apparatus for curved road}
본 발명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곡선도로의 일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가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 등을 미리 감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브가 있는 도로길이나 갓길, 또는 산행길에는 보행자가 길을 걸을 때 보행을 돕기 위한 시야확보 또는 운전자의 차량 운행을 돕기 위한 시야확보를 위하여 거울을 설치한다.
이때, 설치된 거울은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부분 볼록 거울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도로 반사경은 보행자의 보행시 또는 운전자의 차량 운행시 시야확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지형마다 사각지대가 있는 곳에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도로 반사경은 사물의 왜곡현상으로 속도 및 거리의 판단이 부정확하게 되며 안개 및 우천시 반사경에 비친 사물 더욱 판별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야간에 타방향 도로에 불빛이 없으면 사물을 판별하기가 어렵고 반사경의 위치가 올려보도록 설계가 되어있어 운전자가 반사경을 주시하면서 일시적 시야이탈현상으로 위험요소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 경고등, 모니터 및 스피커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본체가 곡선도로의 양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 모니터에는 타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카메라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일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가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 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센서와 경고등 및 스피커를 통한 알림기능을 추가하여 운전자가 영상을 미처 확인 못 했더라도 별도의 주의신호를 추가로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는 곡선도로에 있어서, 상기 곡선도로의 곡선구간에 설치되며 각각 양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에는 제 1 카메라 및 제 1 모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본체에는 제 1 카메라 및 제 1 모니터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에 구비된 카메라는 상기 제 2 본체의 모니터에, 상기 제 2 본체에 구비된 카메라는 상기 제 1 본체의 모니터에 출력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에는 각각 경고등 및 스피커가 더 구성되되, 상기 경고등 및 스피커는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의 전방 도로에 구성되는 제 1센서와 제 2센서의 동작감지와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지지대에 결합되되,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힌지와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힌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분리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의 표면에는 결로방지용 코팅막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는 카메라, 경고등, 모니터 및 스피커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본체가 곡선도로의 양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 모니터에는 타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카메라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일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가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 등을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와 경고등 및 스피커를 통한 알림기능을 추가하여 운전자가 영상을 미처 확인 못 했더라도 별도의 주의신호를 추가로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의 모니터에 결로방지코팅이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는 카메라, 경고등, 모니터 및 스피커를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본체가 곡선도로의 양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각 모니터에는 타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카메라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일방향에서 진입하는 운전자가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 등을 미리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곡선도로라 함은 도로가 곡선을 형성하되, 차량이 일방향에서 진입함에 있어 타방향의 도로환경이 식별이 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 곡선, 또는 곡선의 내측에 야산과 구조물 등이 형성되어 타방향의 시야가 가려진 도로를 말한다.
먼저, 도 1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는 양방향에서 곡선도로를 향해 각각 진입하는 차량에서 모두 보이는 위치에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곡선도로의 외측에 설치된 예를 제시한다.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는 각각 카메라(110,220), 모니터(120,220), 경고등(130,230) 및 스피커(140,240)를 구비하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로 구성되며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는 곡선도로의 각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설치되는데, 이때 각 본체(100,200)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본체(100,200)의 하측에는 지지대(50)가 구성되는데 지지대(50)의 높이는 운전자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를 식별함에 무리가 없는 높이라면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의 카메라(110,210)는 각 본체(100,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하되, 카메라(110,210)는 촬영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모니터(120,220)는 상기 카메라(110,210)로 기록된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써, 모니터(120,220)의 사이즈와 해상도는 운전자가 10~50m 거리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모니터(120,220)의 밝기는 낮에는 밝게, 야간에는 흐리게 자동 조절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제 1 본체(100)는 전방이 B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에 제 1 카메라(110)가 구성되어 A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등의 영상을 기록하며 기록된 영상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 2 본체(200)의 제 2 모니터(220)에 출력시킨다.
한편, 제 2 본체(200)는 전방이 A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에 제 2 카메라(210)가 구성되어 B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등의 영상을 기록하며 기록된 영상은 상기 제 1 본체(100)의 제 1 모니터(120)에 출력된다.
그러므로, A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시야가 가려진 B방향의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B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도 시야가 가려진 A방향의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시야가 가려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각 본체(100,200)에는 센서(150,250)와 제어부(300)를 통하여 작동하는 알림 장치를 더 구비하게 되는데, 각 본체(100,200)의 전면부에는 경고등(130,230) 및 스피커(140,240)를 더 구성하여 운전자가 상기 모니터(120,220)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경고등의 불빛(130,230)과 스피커(140,240)의 경고음을 통하여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의 진입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는 동작감지 센서로써, 제 1센서(150)는 B방향의 도로를 향해 배치하고 제 2센서(250)는 A방향을 향해 배치시킨다. 각 센서의 센싱에 의해 움직임 등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300)에 상기 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부(300)는 타측 본체(100,200)의 경고등(130,230)과 스피커(140,240)를 작동시킨다.
일례로 B방향에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제 1 본체(100)의 제 1 경고등(130)과 제 1 스피커(140)가 작동되고, A방향에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제 2 본체(200)의 제 2 경고등(230)과 제 2 스피커(240)가 작동된다.
한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장치는 카메라(110,210)의 영상기록이 일정시간 저장되도록 하여 교통사고의 기록 및 범죄현장의 단서제공 용도로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설치된 모든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는 상황실(400)과 유, 무선 등으로 연계되도록 하여 차량 진입 등과 같은 위험 요인이 없는 경우에는 실시간 날씨정보 및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황실(400)에서 원격으로 각 모니터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120,220)를 통한 광고영상 및 각 스피커를 통한 광고음성의 제공 및 업데이트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황실(400)에서 각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의 카메라(110,210)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어 고장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즉각적인 수리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지지대(50)의 상부에 힌지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지지대(50)에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200)가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 1 본체(100)의 일측은상부힌지(71)와 일체로 구성하고, 제 2 본체(200)의 일측은 하부힌지(72)와 일체로 구성하여 각각 상부힌지(71)와 하부힌지(72)는 지지대(50)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7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는 지지대(5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데,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본체(100)의 일측이 하부힌지(72)와 일체로 구성되고 제 2 본체(200)의 일측이 상부힌지(7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모든 곡선도로의 형성된 곡선 각도가 같이 않으며, 또한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를 설치함에 있어 도로의 형상 및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위치를 찾아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위치는 곡선도로마다 그 설치위치가 제각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는 그 향하는 방향이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는 지지대(5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각 곡선도로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각 본체(100,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힌지결합에 의해 포개질 수 있으므로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다수의 장치를 적층 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이 높으며 제작 후 설치위치로 이송시에 운반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곡선도로의 일방향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운전자는 각 진입방향에서의 모니터를 향한 시야각을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카메라, 모니터, 경고등 및 스피커를 구비하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200)가 결합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각 본체(100,20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본체(100,200)의 위치를 운전자가 곡선구간까지 도달하기 전에 타방향의 도로 상황을 더 가까이에서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구성은 특히 곡선도로가 상하로 경사진 구간에 더욱 식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제 1 본체(100)는 B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에 구성된 제 1 카메라(110)가 A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등의 영상을 기록하여 제 2 본체(200)의 제 2 모니터(220)에 출력되고, 제 2 본체(200)는 A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에 구성된 제 2 카메라(210)가 B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등의 영상을 기록하여 제 1 본체(100)의 제 1 모니터(220)에 출력된다.
그러므로 A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시야가 가려진 B방향의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B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도 시야가 가려진 A방향의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시야가 가려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각 본체(100,200)에는 센서(150,250)와 제어부(300)를 통하여 작동하는 알림 장치를 더 구비하여, 각 본체(100,200)의 전면부에 구비된 경고등(130,230) 및 스피커(140,240)를 통한 경고등의 불빛과 스피커의 경고음를 통하여 타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자전거 및 보행자의 진입 여부를 더 확실히 인지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10)의 모니터에 코팅막(500)이 더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코팅막(500)은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모니터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결로방지용 코팅막(500)으로써, 모니터(120,220)가 우천시를 포함하는 물방울이 맺힘 현상에 의해 운전자에 제공되는 각종 정보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팅막(500)은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상기 모니터 표면이 친수화 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중합성 계면활성제 단량체에 개시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으로, 중합성 계면활성제 단량체가 중합반응이 이루어져 코팅막(50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에는 친수기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암모늄기, -SO3 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친유기로 사슬형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알킬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상기 코팅막(500)은 상기 모니터와 접하는 면에는 주로 친유기가 배열되어 상호간 부착력을 높이며,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주로 친수기가 배열되도록 하여 친수성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25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HLB 값이란, 계면활성제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계면활성제의 분자들에서 친수(hydrophilic)기와 친유(lipophilic)기의 평형(balance)에 따라 주어지는 값이다. 이 값은 0.1 내지 40의 임의범위에서 분자들의 극성을 나타낸다. 친수성이 커질수록 HLB 값이 커지며 반대로 친유성이 커질수록 HLB 값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25 미만이면 친수기가 너무 적어서 결로방지의 효과가 미비하며, 소수성 이물질의 모니터 표면 결착에 의해 오히려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HLB값이 35를 초과하면 과다한 친수기로 인해 모니터와의 부착에 문제가 발생하는 바, 상기와 같이 한정하여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100 : 제 1 본체
110 : 제 1 카메라 120 : 제 1 모니터
130 : 제 1 경고등 140 : 제 1 스피커
200 : 제 2 본체 210 : 제 2 카메라
220 : 제 2 모니터 230 : 제 2 경고등
240 : 제 2 스피커 300 : 제어부
400 : 상황실 500 : 코팅막

Claims (6)

  1. 제 1카메라, 제 1모니터, 경고등, 스피커 및 제 1센서로 구성되는 제 1본체와 제 2카메라, 제 2모니터, 경고등, 스피커 및 제 2센서로 구성되는 제 2본체가 곡선도로의 곡선구간에 각각 양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제 2본체의 경고등 및 스피커가 작동하고 상기 제 2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제 1본체의 경고등 및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의 차량 감지 시 제 1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은 상기 제 2모니터에 출력되며 상기 제 2센서의 차량 감지 시 상기 제 2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영상은 상기 제 1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제 1센서 또는 제 2센서가 차량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제 1센서 또는 제 2센서와 대향하는 제 1모니터 또는 제 2모니터에는 실시간 날씨정보, 시간정보 및 광고영상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되고 상기 각 스피커를 통해 상기 광고영상에 상응하는 광고음성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모니터와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날씨정보, 시간정보, 광고영상 및 광고음성을 원격으로 업데이트 및 제어할 수 있는 상황실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표면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코팅막이 구성되되,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에는 친수기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암모늄기, -SO3 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친유기로 사슬형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알킬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HLB값이 25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KR1020120110965A 2012-10-05 2012-10-05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KR10127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65A KR101274549B1 (ko) 2012-10-05 2012-10-05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US14/433,427 US20150262489A1 (en) 2012-10-05 2013-10-02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s of curved road
PCT/KR2013/008801 WO2014054879A1 (ko) 2012-10-05 2013-10-02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65A KR101274549B1 (ko) 2012-10-05 2012-10-05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549B1 true KR101274549B1 (ko) 2013-06-13

Family

ID=4886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65A KR101274549B1 (ko) 2012-10-05 2012-10-05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62489A1 (ko)
KR (1) KR101274549B1 (ko)
WO (1) WO20140548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61B1 (ko) * 2013-09-13 2014-12-31 하명현 안내 표시장치
KR101565003B1 (ko) * 2014-03-10 2015-11-02 서재덕 횡단보도용 안전휀스
KR20170014626A (ko) * 2015-07-30 2017-02-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시인성이 향상되는 곡선도로용 영상제공장치
KR102572023B1 (ko) * 2023-04-12 2023-08-29 주식회사 티디에스디스플레이 차량 출차 스마트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11B1 (ko) * 2019-08-27 2020-06-08 주식회사 티엘이 스마트 가드레일
JP7392738B2 (ja) * 2019-12-27 2023-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832Y1 (ko) * 1995-06-19 1998-11-02 이주식 도로안내용 반사판
JP2000105894A (ja) * 1998-09-29 2000-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KR20020093476A (ko) * 2001-06-09 2002-12-16 미창엔지니어링(주) 이슬 맺힘 방지용 도로표지판
JP2008127979A (ja) * 2006-11-16 2008-06-05 Akai Kosakusho:Kk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7599A (ja) * 1991-03-08 1992-12-10 Nissan Motor Co Ltd 道路情報表示装置
US5699986A (en) * 1996-07-15 1997-12-23 Alternative Safety Technologies Railway crossing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0297952B1 (ko) * 1999-05-11 2001-09-13 윤덕용 김 서림 방지용 코팅용액
US6692823B2 (en) * 2001-12-19 2004-0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fibrillated articles comprising hydrophillic component
US8227117B2 (en) * 2004-03-15 2012-07-24 Cabot Corporation Modified carbon products, their use in electrocatalysts and electrode layers and similar device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same
KR101184468B1 (ko) * 2004-03-15 2012-09-19 캐보트 코포레이션 개질 탄소 제품 및 이의 응용
JP4657765B2 (ja) * 2005-03-09 2011-03-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ノーズビューシステム
US20080162180A1 (en) * 2005-10-14 2008-07-03 Johnson James H Method of advertising and public service
JP4726586B2 (ja) * 2005-09-20 2011-07-20 鈴木 旭 自動車用ドライブレコーダ
JP4848893B2 (ja) * 2006-08-29 2011-12-28 株式会社デンソー 交差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JP2010095655A (ja) * 2008-10-17 2010-04-30 Fujifilm Corp 防カビ作用を有する親水性組成物及び親水性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832Y1 (ko) * 1995-06-19 1998-11-02 이주식 도로안내용 반사판
JP2000105894A (ja) * 1998-09-29 2000-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KR20020093476A (ko) * 2001-06-09 2002-12-16 미창엔지니어링(주) 이슬 맺힘 방지용 도로표지판
JP2008127979A (ja) * 2006-11-16 2008-06-05 Akai Kosakusho:Kk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61B1 (ko) * 2013-09-13 2014-12-31 하명현 안내 표시장치
KR101565003B1 (ko) * 2014-03-10 2015-11-02 서재덕 횡단보도용 안전휀스
KR20170014626A (ko) * 2015-07-30 2017-02-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시인성이 향상되는 곡선도로용 영상제공장치
KR101706682B1 (ko) * 2015-07-30 2017-02-15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시인성이 향상되는 곡선도로용 영상제공장치
KR102572023B1 (ko) * 2023-04-12 2023-08-29 주식회사 티디에스디스플레이 차량 출차 스마트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879A1 (ko) 2014-04-10
US20150262489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549B1 (ko) 곡선도로의 영상제공 장치.
US10479269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232713B2 (en) Lamp for a vehicle
US10218940B2 (en) Vision system for vehicle with adjustable camera
US10584842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CN107406030B (zh) 影像投射装置
CN107406031B (zh) 影像投射装置
US87211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lluminating roadsides
CN100533748C (zh) 安装在机动车上帮助驱动和/或自动启动该机动车上所设置系统的光学传感器装置
CN105517844B (zh) 车辆的用于显示图像的后视组件
WO2014156222A1 (ja) 障害物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車両
US20170001554A1 (en) Dynamic Warning System
KR20140041617A (ko)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US20190163997A1 (en) Control system
US10864847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an intelligent motorway flasher
KR102227371B1 (ko) 차량용 영상투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FR2859860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obstacle comportant un systeme d'imagerie stereoscopique incluant deux capteurs optiques
KR101706682B1 (ko) 시인성이 향상되는 곡선도로용 영상제공장치
KR102639195B1 (ko) 카메라와 바닥형 보행자신호등이 연동되는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4183630A1 (en) Method for modifying a light signal emitted by a road vehicle and signaling device
KR102668327B1 (ko) 센서 클러스터장치
JP3929420B2 (ja) 車両用光量検出装置及び車両用照明制御装置
KR101908310B1 (ko) 차량용 램프
JP2020135618A (ja) 物体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