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379B1 - 포장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379B1
KR101274379B1 KR1020110058522A KR20110058522A KR101274379B1 KR 101274379 B1 KR101274379 B1 KR 101274379B1 KR 1020110058522 A KR1020110058522 A KR 1020110058522A KR 20110058522 A KR20110058522 A KR 20110058522A KR 101274379 B1 KR101274379 B1 KR 10127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unit
laser
suction forc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018A (ko
Inventor
임봉진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3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92Deli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Abstract

포장지 제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지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포장지 제조장치는, 이송되는 포장지를 레이저 가공하는 레이저유닛, 포장지가 레이저유닛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포장지가 항시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유닛 및, 포장지의 이송경로 중레이저유닛의 후측에 배치되어 레이저유닛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지가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에 대한 정확한 위치의 레이저 가공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레이저 가공에 의해 발생된 유해물질을 배기시킴에 따른 제조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포장지 제조장치{MANUFACTURE APPARATUS FOR PACKING MEANS}
본 발명은 포장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되는 포장지의 장력을 유지시켜 정확한 위치에 대한 레이저 가공이 가능함과 아울러 유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어 제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포장하여 보호하기 위한 포장지의 경우, 소정 제조공정을 제공하는 포장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포장지 제조장치는 복수의 롤러를 이용해 제조되는 포장지를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포장지 상에 소정 패턴을 인쇄시키거나 컷팅한다. 또한, 상기 포장지 제조장치는 포장지 상에 특정 패턴을 레이저로 가공함으로써, 포장지에 이지컷(Easy-cut)과 같은 절취선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한편, 상기 포장지 제조장치의 경우, 비동작 중에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포장지가 이송되지 않음으로 인해, 지지된 복수의 롤러 사이에서 포장지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이 야기된다. 이렇게 장력이 느슨해진 상태로 롤러에 지지되던 포장지가 재이송되어 제조될 경우 특히, 레이저 가공될 경우, 포장지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한 레이저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포장지에 대한 레이저 가공으로 인해 유해물질이 발생되며, 이러한 유해물질은 포장지 제조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상기 포장지 제조 중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확한 위치에 대한 레이저 가공이 가능한 포장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물질에 대한 제조되는 포장지의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는 포장지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는, 이송되는 포장지를 레이저 가공하는 레이저유닛, 상기 포장지가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포장지가 항시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중, 상기 레이저유닛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상기 포장지의 비이송 중 상기 포장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포장지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레이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배기유닛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여 배기시킨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배기유닛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한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1차 흡입하는 제1흡입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흡입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수직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2차 흡입하는 제2흡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는, 이송되는 포장지를 레이저 가공하는 레이저유닛, 상기 포장지가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포장지의 비제조 공정 중에 상기 포장지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중, 상기 레이저유닛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상기 포장지의 비제조 공정 중 상기 포장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포장지의 움직임을 규제시키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레이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배기유닛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한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흡입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흡입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수직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흡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포장지의 장력을 이송 여부에 상관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라, 포장지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레이저 가공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조되는 포장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포장지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가이드롤러를 이용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포장지의 장력 유지가 가능해진다.
셋째, 포장지에 대한 레이저 가공 중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기시킴으로써, 유해물질에 의한 오염 뿐만 아니라, 제조되는 포장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복수회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기시킴으로써, 유해물질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포장지의 비이송 중 가이드롤러에 의해 포장지가 가이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1)는 레이저유닛(10), 이송유닛(20) 및 배기유닛(3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포장지 제조장치(1)는 포장지(P)에 원하는 특정 패턴에 대한 절취선을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시키는 레이저 공정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1)가 레이저 공정 이외에, 상기 포장지(P)를 제조시키는 예컨대 인쇄 공정과 같은 다양한 제조 공정을 포함함은 당연하다.
상기 레이저유닛(10)은 이송되는 포장지(P)를 레이저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유닛(10)은 포장지(P)의 절취를 가이드하는 이지컷(Easy-cut)과 같이 특정 패턴의 절취선을 상기 포장지(P)에 형성시킨다. 이러한 레이저유닛(10)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 기술구성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포장지(P)가 레이저유닛(10)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레이저유닛(10)과 마주하는 포장지(P)가 항시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유닛(20)은 이송롤러(21) 및 가이드롤러(22)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롤러(21)는 상기 포장지(P)의 이송경로 상에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는 미도시된 구동원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지(P)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참고로, 상기 이송롤러(2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장지(P)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되어, 이송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2)는 복수의 이송롤러(21) 중 일부와 포장지(P)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포장지(P)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롤러(22)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포장지(P)에 대해 비접촉 또는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포장지(P)의 비이송 중 포장지(P)와의 접촉에 의해 복수의 이송롤러(21)에 의해 지지된 장력을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2)는 이송롤러(21)를 향해 또는 이송롤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포장지(P)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장지(P)가 제조되지 않고 이송이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가이드롤러(22)는 포장지(P)와의 접촉에 의해 포장지(P)의 움직임을 규제시킴에 따라, 가이드롤러(22)에 의해 포장지(P)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2)는 레이저유닛(10)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2개 마련됨이 좋다. 즉, 상기 레이저유닛(10)이 복수의 가이드롤러(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유닛(10)의 배치로 인해, 정지상태의 포장지(P)가 재 이송되어도 정확한 위치에 레이저유닛(10)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가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기유닛(30)은 포장지(P)의 이송경로 중, 레이저유닛(10)의 후측에 배치되어, 도 3의 도시와 같이, 레이저유닛(10)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D)을 흡입하여 배기시킨다. 상기 배기유닛(30)은 복수의 지점에서 유해물질(D)을 흡입한다. 이러한 배기유닛(30)은 흡입력 발생부(31), 제1흡입부(32) 및 제2흡입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력 발생부(31)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흡입력 발생부(31)는 일반적인 흡입모터 또는 흡입팬과 같은 일반적인 흡입력 발생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상기 제1흡입부(32)는 흡입력 발생부(31)와 연결되어 레이저유닛(10)을 경유한 포장지(P)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흡입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흡입부(32)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유해물질(D)을 1차 흡입한다.
상기 제2흡입부(33)는 흡입력 발생부(31)와 연결되어 제1흡입부(32)의 후측에 배치되되, 포장지(P)의 이송경로에 대해 수직하게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흡입부(33)는 유해물질(D)을 2차 흡입한다.
참고로, 상기 제1흡입부(32)는 상대적으로 제2흡입부(33)보다 레이저유닛(10)에 가까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D)의 대부분을 흡입하는 메인 흡입부이다. 아울러, 상기 제2흡입부(33)는 제1흡입부(32)에 의해 미처 흡입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유해물질(D)을 흡입하는 보조 흡입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흡입부(31)(32)가 포장지(P)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 및 수직하게 유해물질(D)을 흡입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흡입부(31)(32)로 흡입부의 개수가 한정되지 않으며, 배기유닛(30)을 구성하는 흡입부가 포장지(P)의 이송경로 상에 복수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지 제조장치(1)의 제조공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장지(P)는 복수의 이송롤러(21)에 의해 지지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소정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는 포장지(P)에 비접촉되어, 이송롤러(21)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포장지(P)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장지(P)의 이송이 정지되면, 상기 가이드롤러(22)가 포장지(P) 측으로 이송되어 포장지(P)에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롤러(22)와 이송롤러(21)에 의해 포장지(P)가 지지되어 움직임이 규제됨에 따라, 상기 포장지(P)가 도 2의 점선과 같이 늘어지지 않고, 일정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이 정지된 포장지(P)가 도 1의 도시와 같이 재이송되면, 일정하게 장력이 유지된 포장지(P)로 레이저유닛(10)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정확한 위치에 레이저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장지(P)의 이송 중 레이저유닛(10)은 포장지(P)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원하는 특정 패턴으로 절취선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포장지(P)의 레이저 가공에 의해 유해물질(D)이 발생되며, 이러한 유해물질(D)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흡입력 발생부(31)와 연결되어 포장지(P)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 및 수직하게 각각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흡입부(32)(33)에 의해 흡입되어 배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포장지 제조장치 10: 레이저유닛
20: 이송유닛 21: 이송롤러
22: 가이드롤러 30: 배기유닛
31: 흡입력 발생부 32: 제1흡입부
33: 제2흡입부

Claims (9)

  1. 이송되는 포장지를 레이저 가공하는 레이저유닛;
    상기 포장지가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포장지가 항시 일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중, 상기 레이저유닛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흡입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상기 포장지의 비이송 중 상기 포장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포장지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포장지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여 배기시키는 포장지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한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1차 흡입하는 제1흡입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흡입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수직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2차 흡입하는 제2흡입부;
    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6. 이송되는 포장지를 레이저 가공하는 레이저유닛;
    상기 포장지가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포장지의 비제조 공정 중에 상기 포장지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중, 상기 레이저유닛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한 레이저공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에 대해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방향으로 가동되어, 상기 포장지의 비제조 공정 중 상기 포장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기 포장지의 움직임을 규제시키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포장지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부;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유닛을 경유한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흡입부; 및
    상기 흡입력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흡입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포장지의 이송경로에 대해 수직하게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해물질을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흡입부;
    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장치.


KR1020110058522A 2011-06-16 2011-06-16 포장지 제조장치 KR10127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22A KR101274379B1 (ko) 2011-06-16 2011-06-16 포장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22A KR101274379B1 (ko) 2011-06-16 2011-06-16 포장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18A KR20120139018A (ko) 2012-12-27
KR101274379B1 true KR101274379B1 (ko) 2013-06-17

Family

ID=4790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22A KR101274379B1 (ko) 2011-06-16 2011-06-16 포장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986A (ko) * 2007-11-07 2009-05-12 유하경 포장재용 필름원단 가공장치
KR20090066303A (ko) * 2006-10-19 2009-06-23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유동성 식료품을 담는 밀봉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공정 및 그와 같은 공정을 수행하는 패키징 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303A (ko) * 2006-10-19 2009-06-23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유동성 식료품을 담는 밀봉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공정 및 그와 같은 공정을 수행하는 패키징 장비
KR20090046986A (ko) * 2007-11-07 2009-05-12 유하경 포장재용 필름원단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18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4536B2 (en) Optical film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85790B1 (ko) 광학 필름의 반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257638B2 (en) Optical film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157403A (ja) ゴムシート切断装置
BR0302354A (pt) Sistemas de transferência de folhas dobradas entre si, de embalagem e de descarga e respectivo método de movimentação
TWI601680B (zh) 搬送裝置
JP6891561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306611A (ja) コンベヤテーブル
JP674958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保護シートの分離装置
KR20160010200A (ko) 시트 절단 장치
KR101274379B1 (ko) 포장지 제조장치
KR101677154B1 (ko) 단차 가공용 레이저 절단 장치
JP2007307786A (ja) 印刷装置、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2017080936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プリンタ装置を備える包装装置
JP6752566B2 (ja) 基板搬送装置
JP6177286B2 (ja) 裁断機
JP2017024419A (ja) スクライブ装置
JP4294031B2 (ja) ロールフィーダ
TWI728125B (zh) 層合裝置
JP2011156540A (ja) レーザ加工機
JP5152645B2 (ja) レーザ加工装置
WO2022107459A1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加工品の製造方法
JP2004237308A (ja) 板材加工装置
JP7466298B2 (ja) X線検査装置
JP2018093020A (ja) テープ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