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265B1 - 윤활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265B1
KR101274265B1 KR1020110014167A KR20110014167A KR101274265B1 KR 101274265 B1 KR101274265 B1 KR 101274265B1 KR 1020110014167 A KR1020110014167 A KR 1020110014167A KR 20110014167 A KR20110014167 A KR 20110014167A KR 101274265 B1 KR101274265 B1 KR 10127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follower plate
lubricant container
pum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723A (ko
Inventor
김요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to KR102011001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265B1/ko
Priority to PCT/KR2012/001202 priority patent/WO2012112000A2/ko
Publication of KR2012009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62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 B67D7/64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of piston type
    • B67D7/645Barre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2Oil catchers; Oil 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는,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용기; 상기 윤활제용기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펌핑하도록 상기 윤활제용기 내로 배치된 펌프튜브를 구비하는 펌프; 및 상기 윤활제 상에 플로팅되어 상기 윤활제의 수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윤활제용기 내벽의 윤활제를 긁어 내리는 팔로워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튜브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이 구성되며,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중공에 상기 펌프튜브가 삽입되어 상기 펌프튜브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며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상방이격부, 상기 상방이격부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까지 연장된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팔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팔로워 플레이트가 윤활제용기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방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윤활제 공급장치{Apparatus for pumping out viscous lubricant}
본 발명은 윤활제 공급장치로서, 팔로워 플레이트가 윤활제용기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방 분리될 수 있는 윤활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리스 같은 고점도의 윤활제를 용기 내에서 직접 토출시키는 구조의 펌프에 있어 그리스의 점도가 높은 관계로 흐름이 좋지 않아 용기 내벽에 상당량이 잔존함으로써 그리스의 낭비 내지는 손실을 초래하였다.
이의 보완을 위해 내벽에 잔존하는 그리스를 긁어내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펌핑기구부 하단의 교반날개에 부가적으로 용기 내벽을 타고 회전하도록 하는 별도의 스크레이퍼 날개를 부착하는 방안을 고안하였으나, 그리스용기의 중심을 펌핑기구부의 중심과 일치되게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어려워 측면 스크레이퍼 날개에 과부하가 걸려 파손되거나 한쪽 벽면으로 치우쳐 긁어내림으로써 스크레이퍼 날개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은 상당한 량이 잔존하는 등 기능의 취약이 있어 본래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어려웠다.
또한, 봉형의 펌핑기구부를 그리스 용기에 입수시켜 사용하는 각종 그리스펌프(공압형, 전동형, 수동형)에 있어 팔로워 플레이트(Follower Plate)를 장착하여 내벽의 그리스를 긁어내리도록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그리스를 소진하여 팔로워 플레이트가 용기 바닥면과 밀착하는 경우, 이 밀착면에 진공이 형성되어 팔로워 플레이트와 용기를 분리시키는 데에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며 분리가 어려운 애로와 불편이 있다.
즉, 용기 내의 그리스가 완전히 토출되면서 팔로워 플레이트가 용기 바닥면에 닿으면 그 닿는 면에는 공기가 없음으로써, 팔로워 플레이트와 용기의 바닥면이 강하게 밀착하여 이를 분리하기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팔로워 플레이트가 윤활제용기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방 분리될 수 있는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는,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용기; 상기 윤활제용기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펌핑하도록 상기 윤활제용기 내로 배치된 펌프튜브를 구비하는 펌프; 및 상기 윤활제 상에 플로팅되어 상기 윤활제의 수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윤활제용기 내벽의 윤활제를 긁어 내리는 팔로워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윤활제의 소진에 의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하방이동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 후, 상방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튜브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이 구성되며,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중공에 상기 펌프튜브가 삽입되어 상기 펌프튜브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며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상방이격부, 상기 상방이격부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까지 연장된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팔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서 상면으로부터 상기 펌프튜브와 대면하는 면까지 이어진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튜브에서 상기 서포트링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통기홀이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펌프튜브를 감싸면서 펌프의 릴리프밸브 또는 절환변과 연통되어, 상기 릴리프밸브와 절환변을 통해 유출되는 윤활제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로 드레인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이 구성되며,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중공에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며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상방이격부, 상기 상방이격부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까지 연장된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팔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서 상면으로부터 상기 펌프튜브와 대면하는 면까지 이어진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서 상기 서포트링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통기홀이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 상하방향 통기홀과 리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드홀에 끼워져서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통기홀의 상부를 덮어 막아서 상기 통기홀이 차단되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단부가 상기 통기홀로부터 상방이격되어 상기 통기홀이 개방되는 리드부재; 및 상기 리드부재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부가 상기 상방이격부의 하면에 지지되어, 탄성력으로 하부가 상기 리드부재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미는 압축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 상하방향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방이격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 회동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상기 통기홀의 하부를 막아서 상기 통기홀이 차단되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승회전되는 경우 일단부가 하강회전되면서 상기 통기홀로부터 하방이격되어 상기 통기홀이 개방되는 코크부재; 및 중심이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회동부 타단부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측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코크부재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미는 토션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연장부 테두리에는 상하방향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스크래퍼에 상방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에 끼워져서 상기 연장부가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 및 상기 테두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테두리의 두께보다 크게 이격되어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에 장착된 스토퍼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와 연장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직바를 따라 상기 스토퍼 너트까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와 스크래퍼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에 상방고정되거나 얹혀져서 상기 윤활제용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상하이동과 연동됨에 따라 상기 윤활제용기 내의 윤활제 레벨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인디케이터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를 감지하여,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상기 윤활제용기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레벨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는, 팔로워 플레이트가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하강하여 근접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에어유입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윤활제의 소진에 의해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방이동되어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강하게 밀착된 후, 에어유입수단에 의해 에어가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됨으로써, 외부기압, 즉 대기압과 동일압력을 이룸으로써, 팔로워 플레이트가 윤활제용기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방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윤활제 공급장치에 인디케이터 로드와 레벨센서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윤활제(1)가 수용되는 윤활제용기(20), 상기 윤활제용기(20) 내의 윤활제(1)를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30), 및 상기 윤활제용기(20) 내벽의 윤활제(1)를 긁어 내리는 팔로워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30)는 외부로 윤활제(1)를 펌핑하기 위해 윤활제용기(20) 내로, 즉 하측으로 연장되게 펌프튜브(32)가 배치된다. 이러한 펌프튜브(32) 내로 유입, 상방 이동되어 외부로 펌핑된다.
이러한 펌프(30)는 윤활제용기(20)를 덮는 펌프베이스(36) 상에 장착되며, 구동을 위해 전동기, 공압모터, 유압모터, 수동조작기 등과 같은 펌프구동부(34)가 일측에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펌프(30), 펌프구동부(34)와 함께 펌프베이스(36)를 윤활제용기(20)로부터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윤활제용기(20) 내로 다시 내리는 승강기(90)가 펌프베이스(36)와 체결되어, 그 일측에 근접되어 윤활제용기(20)가 놓여지는 바닥에 고정배치된다.
또한,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윤활제(1) 상에 플로팅되어 윤활제(1)의 수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되면서 윤활제용기(20) 내벽의 윤활제(1)를 긁어 내린다.
상기 펌프튜브(32)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50)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트링(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서 펌프튜브(32)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를 상방으로 인양하기 위한 부재가 펌프튜브(32)의 하단부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윤활제(1)에 플로팅되는 팔로워 플레이트(60)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에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60)는 중공에 상기 펌프튜브(32)가 삽입되어 펌프튜브(32)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된다. 이와 같은 팔로워 플레이트(60)는 상방이격부(61)와, 연장부(62), 그리고 스크래퍼(63)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방이격부(61)는 팔로워 플레이트(60)가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연장부(62)는 상기 상방이격부(61)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윤활제용기(20)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부분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래퍼(63)는 상기 연장부(62)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윤활제용기(20) 내면까지 연장된 부분이다.
나아가, 서포트링(50) 또는 상방이격부(61)에는 서로 닿는 경우에,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지지하도록 지지부재(5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어유입수단(100)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 사이, 즉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윤활제(1)의 소진에 의해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방이동되어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밀착 후, 에어유입수단(100)에 의해 에어가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 사이에 유입됨으로써, 외부기압, 즉 대기압과 동일압력을 이룸으로써, 팔로워 플레이트(60)가 윤활제용기(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고 용이하게 상방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떨어지기 위해서, 그 사이에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외부의 대기압과 동일 기압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수단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유입수단(100)은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에서 상면으로부터 펌프튜브(32)와 대면하는 면까지 이어진 통기홀(1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펌프튜브(32)에서 서포트링(50)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1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방이격부(61)가 서포트링(50)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통기홀(120)이 그루브(140)와 연통되며,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에어가 통기홀(120)과 그루브(140)를 통해 상방이격부(61) 하측, 즉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과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 사이로 유입된다.
- 제2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유입수단(200)은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에 상하방향 통기홀(220)과 리드홀(240)이 형성된다.
또한, 에어유입수단(200)은 상기 리드홀(240)에 끼워져서 상하슬라이드 가능한 리드부재(260)와, 상기 리드부재(260)를 하측으로 미는 압축탄성부재(280)를 구비한다.
상기 리드부재(260)는 상단부가 통기홀(220)의 상부를 덮어 막아서 통기홀(220)이 차단된 상태에서,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서포트링(50)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상단부가 통기홀(220)로부터 상방이격되어 통기홀(220)이 개방된다.
아울러, 상기 압축탄성부재(280)는 리드부재(260)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부가 상방이격부(61)의 하면에 지지되어, 탄성력으로 하부가 리드부재(260)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에어가 리드부재(26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통기홀(220)을 통해 상방이격부(61) 하측, 즉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과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 사이로 유입된다.
- 제3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유입수단(300)은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에 상하방향 통기홀(320)이 형성된다.
또한, 에어유입수단(300)은 통기홀(3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코크부재(340)와, 탄성력으로 상기 코크부재(340)를 밀어 통기홀(320)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토션탄성부재(36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코크부재(340)는 상방이격부(61)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연장된 지지부(341)와, 상기 지지부(341)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 회동부(342)를 가진다.
한편, 상기 토션탄성부재(360)는 중심이 상기 회동부(342)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일단이 회동부(342)의 타단부 상면에 접하고 타단이 지지부(341)에서 회동부(342)의 타단부측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토션탄성부재(360)는 토션(torsion)탄성력을 통해 코크부재(340)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밀어서 코크부재(340)의 일단부가 통기홀(320)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회동부(344)의 일단부가 통기홀(320)의 하부를 막아서 통기홀(320)이 차단된 상태에서,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서포트링(50)에 의해 상승회전되는 경우 일단부가 하강회전되면서 통기홀(320)로부터 하방이격되어 통기홀(320)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에어가 코크부재(34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통기홀(320)을 통해 상방이격부(61) 하측, 즉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과 팔로워 플레이트(60)의 상방이격부(61) 사이로 유입된다.
- 제4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연장부(62) 테두리에는 상하방향 슬라이드홀(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입수단(400)은 스크래퍼(63)에 상방고정된 수직바(440)와, 상기 수직바(440)의 상단부에 장착된 스토퍼 너트(46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바(440)는 스크래퍼(63)에 상방고정되어 연장부(62)의 슬라이드홀(420)에 끼워져서 연장부(62)가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방이격부(61)와 연장부(62)가 서포트링(50)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연장부(62)가 수직바(440)를 따라 상방 이동하여 스토퍼 너트(460)와 접촉하게 되기 전까지 스크래퍼(63)는 윤활제용기(20)의 내벽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 너트(460)는 테두리의 상면으로부터 테두리의 두께보다 크게 이격되어 수직바(44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래퍼(63)가 윤활제용기 내벽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이격부(61)와 연장부(62)가 서포트링(50)에 의해 상부로 인양되면 연장부(62)는 수직바(440)를 따라 상기 스토퍼 너트(460)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래퍼(63)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이 이격된 간격을 통해 에어가 유입되고 유입된 에어에 의해 스크래퍼(63)와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도 원활하게 이격된다. 연장부(62)가 스토퍼 너트(460)와 접촉된 이후로도 상방으로 인양되면 수직바(440)에 고정된 스크래퍼(63)도 동시에 상방으로 인양되게 된다.
- 제5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펌프튜브(32)를 감싸면서 펌프(30)의 릴리프밸브(42) 또는 절환변(미도시)과 연통되는 가이드 파이프(4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파이프(40)는 릴리프밸브(42)와 연결관(42a)을 통해 연결되고, 절환변과는 유출관(43)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 파이프(40)는, 윤활제용기(20) 내의 윤활제(1)를 펌프(30)에서 펌핑하는 과정에서, 릴리프밸브(42)와 절환변을 통해 유출되는 윤활제(1)를 윤활제용기(20) 내로 드레인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윤활제(1)의 유면현상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후술되는 인디케이터 로드(80)가 손상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아가 가이드 파이프(40)가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 파이프(40)에 끼워지는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에는 상방이격부(61)의 중공에 가이드 파이프(40)가 삽입되어 가이드 파이프(40)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유입수단(500)은 상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펌프튜브(32)에 형성된 그루브(140)와 동일구조의 그루브(540)가 가이드 파이프(40)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서포트링(50)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위치된다.
한편, 팔로워 플레이트부와 에어유입수단(500)의 다른 구조는 상술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60)가 하강하여 윤활제용기(20)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30)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방이격부(61)가 서포트링(50)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통기홀(520)이 가이드 파이프(40)의 그루브(540)와 연통될 수 있다.
- 제6, 7, 8 실시예 -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공급장치에서의 에어유입수단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펌프튜브(32)를 감싸는 가이드 파이프(40)가 더 구성된다는 점만 다를뿐, 상술된 제2, 3, 4 실시예와 그 구성요소가 대응되어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구성요소들은 하기 '부호의 설명'에서 지칭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윤활제 공급장치에 인디케이터 로드와 레벨센서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 로드(80)와 레벨센서(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80)는 팔로워 플레이트부에 상방고정되거나 얹혀져서 윤활제용기(20)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로드(80)는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상하이동과 연동되어, 윤활제용기(20) 내의 윤활제(1) 레벨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 로드(80)는 유위하한(Low level) 위치를 명시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데, 정확도가 균일한 유위하한을 검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 로드(80)는, 본 발명에 한정하지 않고 유위하한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 될 뿐, 그 구조에 대해서는 어떠한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레벨센서(82)는 팔로워 플레이트부 또는 인디케이터 로드(80)를 감지하여,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윤활제용기(20)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레벨센서(82)는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80)가 기구적으로 터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가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근접스위치, 포토센서 등 여러 가지 센서가 활용될 수 있고, 그 구조에 있어서도 팔로워 플레이트부에 설치되어 윤활제용기(20) 내에 내장되는 내장형 또는 윤활제용기(20)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 등 어떠한 구조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윤활제용기 30 : 펌프
32 : 펌프튜브 34 : 펌프구동부
36 : 펌프베이스 40 : 가이드 파이프
42 : 릴리브밸브 42a : 연결관
43 : 유출관 50 : 서포트링
52 : 지지부재 60 : 팔로워 플레이트
61 : 상방이격부 62 : 연장부
63 : 스크래퍼 80 : 인디케이터 로드
82 : 레벨센서 90 : 승강기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 에어유입수단
120, 220, 320, 520, 620, 720 : 통기홀
140, 540 : 그루브 240, 640 : 리드홀
260, 660 : 리드부재 280, 680 : 압축탄성부재
340, 740 : 코크부재 341, 741 : 지지부
342, 742 : 회동부 360, 760 : 토션탄성부재
420, 820 : 슬라이드홀 440, 840 : 수직바
460, 860 : 스토퍼 너트

Claims (11)

  1.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용기;
    상기 윤활제용기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펌핑하도록 상기 윤활제용기 내로 배치된 펌프튜브를 구비하는 펌프; 및
    상기 윤활제 상에 플로팅되어 상기 윤활제의 수위에 대응되게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윤활제용기 내벽의 윤활제를 긁어 내리는 팔로워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윤활제의 소진에 의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하방이동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 후, 상방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펌프튜브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이 구성되며,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중공에 상기 펌프튜브가 삽입되어 상기 펌프튜브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며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상방이격부, 상기 상방이격부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까지 연장된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팔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서 상면으로부터 상기 펌프튜브와 대면하는 면까지 이어진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튜브에서 상기 서포트링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통기홀이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튜브를 감싸면서 펌프의 릴리프밸브 또는 절환변과 연통되어, 상기 릴리프밸브와 절환변을 통해 유출되는 윤활제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로 드레인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파이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단부에는 서포트링이 구성되며,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는,
    중공에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드 상하이동되며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 중심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상방이격부, 상기 상방이격부로부터 하측으로 굴절된 후 다시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 측으로 굴절되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테두리에 하부체결되어 상기 윤활제용기 내면까지 연장된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팔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에어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과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부이격부 사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에어유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서 상면으로부터 상기 펌프튜브와 대면하는 면까지 이어진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서 상기 서포트링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통기홀이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 상하방향 통기홀과 리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드홀에 끼워져서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통기홀의 상부를 덮어 막아서 상기 통기홀이 차단되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단부가 상기 통기홀로부터 상방이격되어 상기 통기홀이 개방되는 리드부재; 및
    상기 리드부재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부가 상기 상방이격부의 하면에 지지되어, 탄성력으로 하부가 상기 리드부재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미는 압축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의 상방이격부에 상하방향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방이격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된 회동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가 상기 통기홀의 하부를 막아서 상기 통기홀이 차단되고,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승회전되는 경우 일단부가 하강회전되면서 상기 통기홀로부터 하방이격되어 상기 통기홀이 개방되는 코크부재; 및
    중심이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회동부 타단부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측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코크부재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미는 토션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연장부 테두리에는 상하방향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수단은,
    상기 스크래퍼에 상방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에 끼워져서 상기 연장부가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직바; 및
    상기 테두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테두리의 두께보다 크게 이격되어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에 장착된 스토퍼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가 하강하다가 상기 윤활제용기 내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상기 펌프를 상방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상방이격부와 연장부가 상기 서포트링에 의해 상방 인양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직바를 따라 상기 스토퍼 너트까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와 스크래퍼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에 상방고정되거나 얹혀져서 상기 윤활제용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의 상하이동과 연동됨에 따라 상기 윤활제용기 내의 윤활제 레벨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인디케이터 로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를 감지하여, 상기 팔로워 플레이트부가 상기 윤활제용기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을 알려주도록 구성되는 레벨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장치.
KR1020110014167A 2011-02-17 2011-02-17 윤활제 공급장치 KR10127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67A KR101274265B1 (ko) 2011-02-17 2011-02-17 윤활제 공급장치
PCT/KR2012/001202 WO2012112000A2 (ko) 2011-02-17 2012-02-17 윤활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67A KR101274265B1 (ko) 2011-02-17 2011-02-17 윤활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23A KR20120094723A (ko) 2012-08-27
KR101274265B1 true KR101274265B1 (ko) 2013-06-17

Family

ID=4667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167A KR101274265B1 (ko) 2011-02-17 2011-02-17 윤활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4265B1 (ko)
WO (1) WO201211200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5A (ko) * 2016-12-23 2018-07-03 정준교 잔류 구리스의 토출이 용이한 가압판을 갖는 자동 구리스 토출기
KR20230067147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아원 복합기능 그리스 레벨 팔로우형 전기식 그리스 베럴 펌프 및 그 배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7356B2 (ja) 2012-10-04 2016-02-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5299424B (zh) * 2015-11-19 2017-11-21 重庆安特瑞润滑设备有限公司 仿螺旋线型油脂袋
KR101636423B1 (ko) * 2016-05-24 2016-07-20 우림테크 주식회사 그리스공급장치용 통기유닛
KR101967958B1 (ko) * 2016-12-02 2019-04-11 주식회사 포스코 혼합용액 형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실험장치
CN107035954B (zh) * 2017-04-28 2019-02-15 重庆安特瑞润滑设备有限公司 便于排气的压盘式润滑泵
KR102122642B1 (ko) * 2017-07-14 2020-06-12 송재명 에어 그리스 펌프
CN117506026B (zh) * 2023-11-23 2024-05-17 江苏佳杰特种螺钉有限公司 一种紧固件套筒攻丝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598A (ja) * 1992-10-01 1994-04-26 Nabco Ltd グリースポンプの落とし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61U (ko) * 1998-09-29 2000-04-25 이구택 그리스 펌프
KR100455945B1 (ko) * 2002-07-12 2004-11-06 평화정공 주식회사 그리스 잔량 확인 장치
KR100491756B1 (ko) * 2003-07-02 2005-05-25 김철수 자동차용 그리스 주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598A (ja) * 1992-10-01 1994-04-26 Nabco Ltd グリースポンプの落とし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5A (ko) * 2016-12-23 2018-07-03 정준교 잔류 구리스의 토출이 용이한 가압판을 갖는 자동 구리스 토출기
KR101881588B1 (ko) 2016-12-23 2018-07-24 정준교 잔류 구리스의 토출이 용이한 가압판을 갖는 자동 구리스 토출기
KR20230067147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아원 복합기능 그리스 레벨 팔로우형 전기식 그리스 베럴 펌프 및 그 배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2000A3 (ko) 2012-12-20
KR20120094723A (ko) 2012-08-27
WO2012112000A2 (ko)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265B1 (ko) 윤활제 공급장치
US9587851B2 (en) Dehumidifier and float assembly thereof
CN101657638B (zh) 汲出装置和贮存流体的汲出方法
WO2011146119A3 (en) System for liquid leak control and/or air flotation system
KR101405712B1 (ko) 액상세포의 도말장치
US4601833A (en) Device for removing separated fluids and method for using same
EP3080600B1 (en) Piston and process column
KR101303654B1 (ko) 배압형성을 방지하는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JP2019015580A (ja) 廃液装置
CN115112852A (zh) 一种环保检测用水质监测装置
CN204501434U (zh) 一种骨科手术冲洗一体车
KR101827753B1 (ko) 수위센서
KR102058174B1 (ko) 잔유 저감 성능이 향상된 그리스 공급장치
CN209416771U (zh) 一种水体采样器
CN208596055U (zh) 液体取样装置
KR101681070B1 (ko) 세면대 배수장치
CN212818292U (zh) 一种排油装置
CN203066202U (zh) 一种单浮桶双挡排水阀
CN110806763A (zh) 智能识别供液装置
CN218973750U (zh) 一种压力测试组件及阀门生产设备
KR20000012275U (ko) 액체시료 채취장치
CN108692871B (zh) 一种用于检测立管集水器密封性能的水检设备
CN210944883U (zh) 一种工业废水检测处理装置
WO2022242219A1 (zh) 一种食物处理机的排液结构
CN219977865U (zh) 一种水质污染源检测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