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275U - 액체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275U
KR20000012275U KR2019980025196U KR19980025196U KR20000012275U KR 20000012275 U KR20000012275 U KR 20000012275U KR 2019980025196 U KR2019980025196 U KR 2019980025196U KR 19980025196 U KR19980025196 U KR 19980025196U KR 20000012275 U KR20000012275 U KR 20000012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tte
sample
liquid sample
stopp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권태학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5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275U/ko
Publication of KR20000012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75U/ko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반중인 액체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름과 물이 고르게 섞여 있는 유상액(EMULSION)상태의 시료를 기름과 물이 분리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채취할수 있는 액체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료용기(110)에 채워진 액체시료를 강제로 교반날개(131)로서 교반하는 교반기(131)를 갖추어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용기(110)에 하단이 침적되는 흡입관(12)에 피스톤(14)상승시 시료흡입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1스토퍼(15)를 장착한 주피펫(10);과, 상기 주피펫(10)의 하단과 연통되어 흡입된 액체시료의 배출만 이루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2스토퍼(25)를 장착한 채취관(20); 및 상기 주피펫(10)의 상단과 연통되는 연결관(32)에 피스톤(34)하강시 상기 주피펫(10)내로 소제용액의 배출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3스토퍼(35)를 장착한 보조피펫(30);을 포함하는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유상액용액의 시료채취작업시 정확한 샘플링을 통한 명확한 공정파악과 피펫 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외부흡입력의 필요없이 피펫을 이용한 시료채취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체시료 채취장치
본 고안은 교반중인 액체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름과 물이 고르게 섞여 있는 유상액(EMULSION)상태의 시료를 기름과 물이 분리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채취할수 있는 액체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공정시료의 채취작업은 가동중인 공정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나 시료채취작업이 열악한 경우에는 다량의 시료를 실험실로 이송하여 공정상태와 동일 조건을 인위적으로 만든 다음 시료를 채취하여야 하며, 유상액(EMULISON)상태의 시료인 경우에는 교반조건이 동일해야 한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로서, 이는 액체시료가 일정량 담겨지는 시료용기(110)와, 상기 시료용기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20)와, 상기 시료용기(110)내의 액체시료에 담겨지는 교반날개(131)를 회전시키는 교반기(130)와, 진공펌프(140) 및 이들이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박스(150)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시료채취작업은 교반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료용기(110)의 입구를 통하여 상기 교반날개(131)를 시료표면에서 10cm 지점까지 넣어 공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회전시키면서, 시료채취용 피펫(9)을 상기 시료용기(110)의 입구의 여유공간으로 투입하여 진공펌프(140)의 흡입력으로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러나, 상기 시료용기(110)내로 투입된 피펫(9)과 회전하는 교반날개(131)와의 접촉으로 상기 피펫(9)이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고, 별도의 흡입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유상액용액의 시료채취작업시 정확한 샘플링을 통한 명확한 공정파악과 피펫 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외부흡입력의 필요없이 피펫을 이용한 시료채취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구성하는 시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료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피펫 12 ........ 흡입관
14,34 .... 피스톤 14a,34a ... 손잡이
15 ....... 제 1스토퍼 19 ........ 흡입구
20 ....... 채취관 25 ........ 제 2스토퍼
30 ....... 보조피펫 32 ........ 연결관
35 ....... 제 3스토퍼 38 ......... 고무관
39 ....... 콕크밸브 110 ........ 시료용기
120 ...... 높이조정장치 130 ........ 교반기
131 ...... 교반날개 140 ........ 진공펌프
150 ......박스 160,170 ....... 고정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시료용기에 채워진 액체시료를 강제로 교반날개로서 교반하는 교반기를 갖추어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용기에 하단이 침적되는 흡입관에 피스톤상승시 시료흡입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1스토퍼를 장착한 주피펫;과,
상기 주피펫의 하단과 연통되어 흡입된 액체시료의 배출만 이루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2스토퍼를 장착한 채취관;및,
상기 주피펫의 상단과 연통되는 연결관에 피스톤하강시 상기 주피펫내로 소제용액의 배출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3스토퍼를 장착한 보조피펫;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1)는 도 1 내지 4(a)(b)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반기(130)의 교반날개(131)가 위치되고, 일정량의 액체시료가 채워지는 시료용기(110)와, 일정량의 액체시료를 비이커(8)에 간편하게 채취할수 있는 주피펫(10), 채취관(20) 및 보조피펫(3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구성하는 시료용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일정량의 액체시료가 채워지는 시료용기(110)에는 교반기(130)의 교반날개(13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32)이 삽입되는 입구(112)와 상기 주피펫(10)의 흡입관(12)의 삽입되는 또다른 입구(11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입구(112)(114)는 상기 회전축(132), 흡입관(12)만을 삽입할수 있는 뚜껑(112a)(114a)이 각각 장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상기 주피펫(10)은 상기 시료용기(110)의 입구(114)를 통하여 삽입되는 흡입관(12)과 연통연결되는 중공원통형의 투명관부재이며, 그 외부면에는 흡입된 시료의 용량을 용이하게 알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고, 내부에는 상기 시료용기(110)내에서 교반중인 액체시료에 하단이 담겨져 있는 흡입관(12)을 통하여 액체시료를 빨아올릴수 있도록 손잡이(14a)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피스톤(14)을 갖추어 구성한다.
이러한 흡입관(12)의 내부에는 피스톤(14)상승시 빨려올라가는 액체시료의 흡입만이 이루어지도록 제 1스토퍼(15)를 장착하는바, 상기 제 1스토퍼(15)는 상기 피스톤(14)의 승하강작동에 맞추어 상하이동되는 제어구(15a)와, 상기 제어구(15a)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유입공(15a)과, 빨려올려지는 액체시료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어구(15a)의 외경보다 큰 외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흡입공(15c)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구(15a)를 유입공(15b)과 흡입공(15c)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2)의 둘레에는 상기 피스톤(14)의 상승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흡입관(12)을 통한 액체시료의 상방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흡입구(19)와 연통되어 상기 마개(114a)와 결합되는 외부관(12a)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주피펫(10)의 하단 외주면에 연통연결되는 채취관(20)은 상기 피스톤(14)의 상승시 관내부로 흡입된 액체시료만을 배출하여 비이커(8)에 담을수 있도록 관내부에 제 2스토퍼(25)를 장착하는바,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 2스토퍼(25)는 피스톤(14)승하강에 맞추어 좌우이동되는 제어구(25a)와, 배출되는 액체시료 가 유입되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유입공(25b)과, 배출되는 액체시료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어구(25a)의 외경보다 큰 외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배출공(25c)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구(25a)를 유입공(25b)과 배출공(25c)사이에서 좌우이동가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피펫(10)의 상단과 연통되는 연결관(32)을 갖는 보조피펫(30)은 시료채취작업후 상기 주피펫(10)내주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수 있는 에테르와 같은 소제용액이 채워지는 중공원통형의 투명관부재이며, 외부면에는 소제용액의 용량을 알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고, 관내부에는 손잡이(34a)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피스톤(34)이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관(32)의 내부에는 피스톤(34)하강시 보조피펫(30)내에 채워진 소제용액의 배출만이 이루어지도록 제 3스토퍼(35)를 장착하는바, 상기 제 3스토퍼(35)는 피스톤(34)승하강에 맞추어 좌우이동되는 제어구(35a)와, 상기 피스톤(34)하강시 배출되는 소제용액의 유체흐름에 의해서 밀려져 개방되어 소제용액이 유입되는 유입공(35b)과, 배출되는 액체시료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어구(35a)의 외경보다 큰 외측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배출공(35c)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구(35a)는 유입공(35b)과 배출공(35c)사이에서 좌우이동가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2)의 중간에는 상기 보조피펫(30)과 주피펫(10)과의 착탈작업이 용이하도록 고무관(38)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피펫(10)의 탈착시 보조피펫(30)내에 채워진 소제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콕크밸브(39)를 갖추는 한편, 상기 보조피펫(30)과 교반기(130)는 박스(150)내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160)(170)에 각각 교체가능하도록 고정장착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시료 채취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정에서 채취된 액체시료가 일정량 담겨진 시료용기(110)의 입구(112)를 열고, 교반기(130)의 교반기(132)를 표면에서 약 10cm 의 깊이에 담겨지도록 높이조절장치(120)를 조작하여 조절하고, 흡입관(12)의 하단이 시료용액에 담겨지도록 또다른 입구(114)를 통하여 상기 주피펫(1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교반기(130)를 작동시켜 시료용기(110)내의 시료용액을 공정과 동일한 조건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속도로 교반하며, 상기 교반기(131)의 회전속도는 상기 교반기(130)에 설치된 조절스위치(130a)에 의해서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시료용기(110)내의 액체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주피펫(10)의 손잡이(14a)를 상부로 당겨 관내부의 피스톤(14)을 상승시키면, 상기 시료용기(110)내의 액체시료는 흡입관(12)을 통하여 상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관(12)내에 설치된 제 1스토퍼(15)의 제어구(15a)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15b)을 통해 강제유입되는 액체시료에 의해서 상승되고, 상기 유입공(15b)을 통해 유입된 액체시료는 상기 제어구(15a)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공(15c)을 통하여 주피펫(10)내부로 주입되어 채워지게 되고, 그 흡입량은 외부면에 형성된 눈금을 보고서 조절할수 있다.
이때, 상기 채취관(20)내의 제 2스토퍼(25)는 피스톤(14)의 상승시 제어구(25a)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공(25b)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채취관(20)을 통한 외기의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주피펫(10)과 연결관(32)으로 연통되는 보조피펫(30)의 제 3스토퍼(35)는 상기 피스톤(14)의 상승시 배출공(35c)을 통해 역류하는 공기에 의해서 제어구(35a)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유입공(35b)을 차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주피펫(10)의 손잡이(14a)가 최상부까지 이동하여 피스톤(14)의 하단부가 상기 보조피펫(30)의 연결관(32)이 연통되는 연결부위의 상부에 위치되면, 보조피펫(30)의 손잡이(34a)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관내부에 채워진 소제용액을 제 3스토퍼(35)를 통하여 상기 주피펫(10)내로 강제 주입한다.
이때, 상기 제 3스토퍼(35)의 제어구(35a)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입공(35b)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유로를 개방함으로서 배출공(35c)을 통해 소제용액이 주피펫(10)내로 주입되며, 주입되는 소제용액에 의해서 상기 주피펫(10)의 내부압은 높아지고, 소제용액이 주입된 양만큼의 액체시료가 채취관을 통하여 비이커(8)에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2)에 조립된 콕크밸브(39)는 열려진 상태이다.
즉, 상기 주피펫(20)내로 소제용액이 일정량 주입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채취관(20)내부에 조립된 제 2스토퍼(25)는 소제용액주입시 발생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제어구(25a)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공(25b)을 개방하여 상기 유입공(25a)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시료 는 개방된 배출공(25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흡입관(12)내부에 설치된 제 1스토퍼(15)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제용액주입시 발생되는 내부압에 의해서 상승되었던 제어구(15a)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유입공(15b)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상기 주피펫(10)내의 액체시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피펫(10)으로 유입된 소제용액이 비중차이로 인하여 액체시료의 상부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상부로 당겨진 손잡이(14a)를 눌러 피스톤(14)을 하강시키면, 주피펫(10)에 채취된 액체시료는 제 2스토퍼(25)의 제어구(25a)의 이동에 의해서 개방된 유로를 통해 비이커(8)에 담겨지고, 상기 주피펫(10)내부면에 붙어 있던 액체시료의 유분은 상기 액체시료와 함께 배출되는 소제용액에 의해서 녹아 액체시료와 함게 배출되어 유분손실없이 시료채취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분과 수분의 분리가 쉬은 유상액 액체시료의 채취작업시 교반기(130)의 교반날개(131)와 액체시료를 채취하는 주피펫(10)이 서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자 안전한 시료채취작업이 가능하고, 종래와 같은 진공펌프의 외부흡입력으로서 액체시료를 채취할 필요없이 간단한 피스톤작동으로 액체시료를 채취할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피펫(10)내벽에 붙은 유분도 손실없이 전량 채취하여 시험할수 있어 채취딘 액체시료의 시험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시료용기(110)에 채워진 액체시료를 강제로 교반날개(131)로서 교반하는 교반기(131)를 갖추어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료용기(110)에 하단이 침적되는 흡입관(12)에 피스톤(14)상승시 시료흡입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1스토퍼(15)를 장착한 주피펫(10);과,
    상기 주피펫(10)의 하단과 연통되어 흡입된 액체시료의 배출만 이루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2스토퍼(25)를 장착한 채취관(20);및,
    상기 주피펫(10)의 상단과 연통되는 연결관(32)에 피스톤(34)하강시 상기 주피펫(10)내로 소제용액의 배출만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제 3스토퍼(35)를 장착한 보조피펫(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채취장치.
KR2019980025196U 1998-12-16 1998-12-16 액체시료 채취장치 KR200000122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96U KR20000012275U (ko) 1998-12-16 1998-12-16 액체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96U KR20000012275U (ko) 1998-12-16 1998-12-16 액체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75U true KR20000012275U (ko) 2000-07-05

Family

ID=6950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96U KR20000012275U (ko) 1998-12-16 1998-12-16 액체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27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46B1 (ko) * 2002-08-21 2009-05-0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산세조의 스트립 리프터를 이용한 염산액자동샘플링 장치
CN112858610A (zh) * 2021-01-19 2021-05-28 陈莉莉 一种快速的污水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7232909A (zh) * 2023-11-15 2023-12-15 德州市红拳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尿检取样装置
CN117554131A (zh) * 2024-01-11 2024-02-13 山东多芬农业有限公司 一种液体肥料取样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46B1 (ko) * 2002-08-21 2009-05-0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산세조의 스트립 리프터를 이용한 염산액자동샘플링 장치
CN112858610A (zh) * 2021-01-19 2021-05-28 陈莉莉 一种快速的污水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2858610B (zh) * 2021-01-19 2024-01-16 江苏恒安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的污水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7232909A (zh) * 2023-11-15 2023-12-15 德州市红拳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尿检取样装置
CN117232909B (zh) * 2023-11-15 2024-01-12 德州市红拳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尿检取样装置
CN117554131A (zh) * 2024-01-11 2024-02-13 山东多芬农业有限公司 一种液体肥料取样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554131B (zh) * 2024-01-11 2024-03-26 山东多芬农业有限公司 一种液体肥料取样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6027B2 (ja) 液体サンプル取出し用ニードルの洗浄装置
KR101274265B1 (ko) 윤활제 공급장치
CA2271959A1 (en) Open vial aspirator and probe washer
CN204485421U (zh) 一种可防止滤液污染的抽滤装置
CN213209670U (zh) 一种实验室自动采样装置
KR20140117100A (ko) 여과 장치
KR20000012275U (ko) 액체시료 채취장치
CN211452994U (zh) 一种生态环境污染治理用水样采集装置
CN112322449A (zh) 一种病理细胞离心装置
CN214066583U (zh) 一种市政污水处理用的采样装置
CN113188843B (zh) 一种水质采样设备
SE520622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mätning av koncentrationer
JPS60123749A (ja) 水採取装置
CN210014966U (zh) 一种用于有机氯农药检测的硫酸快速净化装置
CN209790948U (zh) 一种从分层溶剂中取出上层溶剂的装置
CN217472770U (zh) 一种萃取离心管
KR102559323B1 (ko) 벤틱 챔버
CN219231491U (zh) 离心式抽提仪
CN114563226B (zh) 一种水环境中抗生素的检测装置
CN207764121U (zh) 一种测定三元复合驱采出污水中硅浓度的装置
CN215865966U (zh) 一种食品检测用快速取样器
CN218036868U (zh) 一种全自动喹啉不溶物测定仪
CN217766254U (zh) 一种多环芳烃检测设备
CN215004504U (zh) 一种用于深水取样的水压感应采样装置
CN214716755U (zh) 一种具有防回流功能的移液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