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945B1 -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945B1
KR101272945B1 KR1020110111425A KR20110111425A KR101272945B1 KR 101272945 B1 KR101272945 B1 KR 101272945B1 KR 1020110111425 A KR1020110111425 A KR 1020110111425A KR 20110111425 A KR20110111425 A KR 20110111425A KR 101272945 B1 KR101272945 B1 KR 10127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ratio
electric vehicle
high load
torque
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820A (ko
Inventor
김상준
김성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9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60L2240/642Slope of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60L2250/28Accelerator pedal thres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은, 등판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 감지부; 엑셀 페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전기자동차의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정상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보다 상향된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정상 주행 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제어하고,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출력 토크를 상향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CONTROL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모터토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자동변속기 장착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모터의 최대 토크 곡선 내에서 선형적인 토크 출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가 엑셀페달을 밟은 양에 따라 모터 토크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비해, 자동변속기 차량은 변속기어 단 때문에 토크 선형성은 불리하나, 엔진이 동일한 토크를 내더라도 변속기어 단에 따라 차륜에 전달되는 토크를 가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자동변속기 차량은 동일한 APS 인가 시 엔진 출력은 동일하나 변속단에 따라 차륜 출력 토크를 가변 할 수 있다. 이에 주행 경사도 및 급가속(Kick down)을 인식하여 변속단을 가변 하게 되며, 이 두 상황에서는 변속기어비가 커지도록 저단으로 변속하여 차륜 출력 토크를 키우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자동변속기 차량은 등판 주행 시 동일 엑셀 페달 개도를 인가한 상황에서 저단 변속을 통해 차륜에 전달 되는 토크를 크게 하여 등판 주행이 용이하게 하거나, 급가속을 요하는 상황에서도 저단 변속을 통해 최종 차륜 전달 토크를 크게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에서 모터 출력의 결정은 차속과 APS에 따라 토크가 출력되게 되어 있어서, 동일한 APS 인가 시 동일한 토크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273518호(2001.01.15.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모터 토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은,
등판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 감지부; 엑셀 페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전기자동차의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정상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보다 상향된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정상 주행 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제어하고,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출력 토크를 상향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또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중 어느 하나를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를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는 상기 APS 값으로 요구되는 일반 출력 비율맵을 저장하고,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는 상기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일반 출력 비율 맵에 상향 요구되는 부스팅 출력 비율맵을 저장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 감지부로부터 수집된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경사각 이상인 경우 등판 경사각으로 인한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S 값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급가속에 의한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하는 APS 값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토크맵을 저장하고, 수집되는 상기 APS 값 대비 차속이 상기 기준토크맵의 허용치 이하인 경우 등판 경사각에 의한 상기 주행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사 감지부,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속도 감지부,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부가 고부하 주행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팅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전기자동차의 주행 시 등판 경사각, 엑셀 페달의 작동상태(이하, APS 값) 및 차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결과 정상 주행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터 출력 토크를 제1 모터 토크 출력 비율로 제어하고,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모터 출력 토크를 제2 모터 토크 출력 비율로 상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은 입력되는 상기 APS 값을 기초로 정상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은 입력되는 상기 APS 값을 기초로 상기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비율보다 상향된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등판 경사각 및 APS 값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수집된 상기 APS 값과 기준토크맵-여기서, 주행 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APS 값과 그 요구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함--을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APS 값 증가율이 허용치 이상이면 상기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수집된 상기 APS 값 대비 차속이 상기 기준토크맵의 차속 허용치 이하인 경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등판 및 급가속에 따른 주행부하 크기에 따라 모터토크 출력비율을 조절하는 부스팅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APS 값에서도 자동변속차량과 같이 토크의 증가 및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등판 주행 및 급가속 의지에 대응하여 모터토크의 출력비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고부하 주행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고부하 주행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부하 주행 판단 기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100)은 경사 감지부(110),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120), 속도 감지부(130),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 제어부(160), 스위치(170)를 포함한다.
경사 감지부(110)는 전기자동차의 기울기나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노면의 경사각을 토대로 등판 경사각을 측정한다.
경사 감지부(110)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차량 기울기 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차량에서 등판 경사각을 측정하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APS(120)는 엑셀 페달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전기자동차에 시동이 걸린 상태(Key on)에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은 양(깊이)에 따른 APS 값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 때, 전달되는 APS 값은 0이상 1이하로 노멀라이징(Normalizing) 된다.
속도 감지부(130)는 전기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차량 속도를 감지한다.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는 입력되는 APS 값과 차속을 기초로 일반적인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는 전기자동차의 일반적인 주행에 요구되는 일반 출력 비율맵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는 입력되는 APS 값과 차속을 기초로 고부하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는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에 따라 요구되는 부스팅 출력 비율맵을 저장 할 수 있다.
상기 부스팅 출력 비율맵은 차량의 고부하 주행 조건에서 실제 엑셀 페달이 밟힌 비율보다 더 큰 토크를 내기 위해 APS 값에 따른 토크 출력 비율을 일반 출력 비율맵보다 더 높인 값을 갖는다.
제어부(160)는 제어부(160)는 경사각 및 급가속에 따른 고부하 주행 여부를 판단하여 그 주행부하의 크기에 따라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가변하는 방식으로 부스팅(Boostiong) 제어를 수행한다.
전기자동차의 정상 주행 시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를 이용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제어하고,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를 이용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상향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일반적인 정상 주행 시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170)를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로 연결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60)는 전기자동차가 고부하 주행 시 스위치(170)를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에서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로 전환한다.
즉, 제어부(160)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경사각이 크거나 급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주행에 비해 모터토크 출력비율을 높임으로써 등판 주행 및 가속의지 대응에 적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가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고부하 주행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부(160)는 경사 감지부(110)로부터 주행도로의 경사각 정보를 수집한다(S101). 그리고, 수집된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경사각 이상인 경우(S102; 예), 전기자동차의 등판 경사각으로 인한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한다(S105).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기준 경사각이 5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경사 감지부(110)로부터 수집된 경사각이 6도인 경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수집된 경사각이 상기 기준 경사각 미만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S102; 아니오)
제어부(160)는 APS(120)로부터 운전자가 엑셀 페달을 밟은 양에 따라 감지된 APS 값을 수집한다(S103). 그리고, APS 값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S104; 예). 전기자동차의 급가속에 의한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한다(S105). 반면, 수집된 APS 값의 변화율이 상기 기준 변화율 미만이면 상기 S101 단계로 돌아가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발생을 계속 감시한다(S104; 아니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60)는 수집되는 경사각 및 APS 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고부하 주행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그 조건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고부하 주행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부하 주행 판단 기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100)의 제어부(160)는 APS(120) 및 속도 감지부(130)로부터 동일한 시간대의 APS 값 및 차량속도를 각각 수집한다(S201).
제어부(160)는 일반적인 주행 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APS 값과 그 요구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토크맵을 저장한다. 전기자동차는 APS(120)가 밟힌 비율에 따라 토크를 발생함으로 도 4에서와 같이 APS 값의 증가량에 따라 차속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일정부분 APS 및 차속 허용 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의 APS 값과 그에 대응하는 차속은 일반적인 주행 상태로 판단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어부(160)는 수집된 APS 값과 기준토크맵을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APS 값 증가율이 허용치 이상인 경우(S202; 예),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한다(S204).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A'와 같이 APS 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나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급가속에 의한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집된 APS 값 대비 차속이 상기 기준토크맵의 차속 허용치 이하인 경우(S203; 예),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한다(S204). 이는 도 4의 'B'와 같이 등판 경사각으로 인해 APS 값 대비 차속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등판 경사각에 의한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202 단계 및 S203 단계의 판단결과 각각 해당 허용치 이내인 경우 일반적인 주행으로 판단하고, 주행 종료 시까지 주행부하 감시를 반복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의 주행 시 등판 경사각, APS 값 및 차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S310).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각각 기 설정된 기준(허용)치와 비교하여 고부하 주행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20). 이 때, 고부하 주행 발생 여부는 상기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2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지 않으면(S102; 아니오), 제어부(160)는 일반 모드로 모터 토크를 제어한다(S330).
즉, 제어부(160)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로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170)를 연결하고(S331), 제1 출력 비율 결정부(140)에서 결정되는 일반 주행 모터토크 출력 비율에 따라 모터토크를 일반 제어한다(S332, S333).
반면, 상기 S32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는 경우(S102; 예), 제어부(160)는 부스팅(Boosting) 모드로 모터 토크를 제어한다(S340).
즉, 제어부(160)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50)로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170)를 연결하고(S341),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40)에서 결정되는 고부하 영역 주행 모터토크 출력 비율에 따라 모터토크를 부스팅 제어한다(S342, S343).
따라서, 제2 출력 비율 결정부(140)는 부스팅 제어 모드시 일반 제어모드와 동일 한 APS 값을 입력 받더라도 일반 제어모드보다 토크 출력비율을 더 높임으로써 보다 향상된 모터출력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100)이 차량의 등판 및 급가속에 따른 고부하 주행여부를 판단하고, 그 주행 부하의 크기에 따라 모터토크 출력비율을 조절하는 부스팅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APS 값에서도 자동변속차량과 같이 토크의 증가 및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등판 주행 및 급가속 의지에 대응하여 모터토크의 출력비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행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부스팅 제어 시스템
110: 경사 감지부
120: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130: 속도 감지부
140: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150: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160: 제어부
170: 스위치

Claims (12)

  1. 등판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 감지부;
    엑셀 페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전기자동차의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정상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입력되는 APS 값을 기초로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보다 상향된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정상 주행 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모터 출력 토크를 제어하고,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출력 토크를 상향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집되는 상기 APS 값과 기준토크맵--여기서, 상기 기준토크맵은 주행 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APS 값과 그 요구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함--을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APS 값 증가율이 허용치 이상이면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또는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중 어느 하나를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를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는 제1 출력 비율 결정부는 상기 APS 값으로 요구되는 일반 출력 비율맵을 저장하고,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는 상기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일반 출력 비율 맵에 상향 요구되는 부스팅 출력 비율맵을 저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사 감지부로부터 수집된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경사각 이상인 경우 등판 경사각으로 인한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S 값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급가속에 의한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화하는 APS 값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토크맵을 저장하고, 수집되는 상기 APS 값 대비 차속이 상기 기준토크맵의 허용치 이하인 경우 등판 경사각에 의한 주행부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7. 경사 감지부,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 속도 감지부, 제1 출력 비율 결정부, 제2 출력 비율 결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부가 고부하 주행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부팅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기자동차의 주행 시 등판 경사각, 엑셀 페달의 작동상태(이하, APS 값) 및 차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결과 정상 주행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터 출력 토크를 제1 모터 토크 출력 비율로 제어하고,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상기 모터 출력 토크를 제2 모터 토크 출력 비율로 상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수집된 상기 APS 값과 기준토크맵--여기서, 상기 기준토크맵은 주행 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APS 값과 그 요구에 대응하는 차속 정보를 포함함--을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APS 값 증가율이 허용치 이상이면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은 입력되는 상기 APS 값을 기초로 정상 주행에 따른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은 입력되는 상기 APS 값을 기초로 상기 고부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비율보다 상향된 모터 토크 출력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부하 주행이 발생되면 모터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상기 제2 출력 비율 결정부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등판 경사각 및 APS 값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고부하 주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상기 APS 값 대비 차속이 상기 기준토크맵의 차속 허용치 이하인 경우 전기자동차의 고부하 주행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방법.
KR1020110111425A 2011-10-28 2011-10-28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25A KR101272945B1 (ko) 2011-10-28 2011-10-28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25A KR101272945B1 (ko) 2011-10-28 2011-10-28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20A KR20130046820A (ko) 2013-05-08
KR101272945B1 true KR101272945B1 (ko) 2013-06-11

Family

ID=4865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425A KR101272945B1 (ko) 2011-10-28 2011-10-28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브이씨텍 상용 전기차의 토크 지령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8033B2 (ja) 2014-11-15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
KR102110977B1 (ko) * 2018-03-15 2020-05-19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체방법 및 전기자동차
CN112124223B (zh) * 2020-08-19 2023-11-24 湖北世纪中远车辆有限公司 一种提升整车经济性的电动汽车智能控制方法
KR20230104448A (ko) 2021-12-31 2023-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들을 이용한 부스트 모드 진입 방법 및 패들을 이용한 부스트 모드 진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609A (ja) * 1993-12-22 1995-07-14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モータ速度制御装置
JPH09298806A (ja) * 1996-05-01 1997-11-18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電力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91510A (ja) * 1996-12-26 1998-07-21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用モータ制御装置
JP2001157310A (ja) * 1999-11-25 2001-06-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制御方法とバッテリー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609A (ja) * 1993-12-22 1995-07-14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モータ速度制御装置
JPH09298806A (ja) * 1996-05-01 1997-11-18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電力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91510A (ja) * 1996-12-26 1998-07-21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用モータ制御装置
JP2001157310A (ja) * 1999-11-25 2001-06-0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制御方法とバッテリー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48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브이씨텍 상용 전기차의 토크 지령 생성 방법
KR102295052B1 (ko) * 2019-12-12 2021-08-27 주식회사 브이씨텍 상용 전기차의 토크 지령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20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45B1 (ko) 전기자동차의 부스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40271B2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出力制御方法
US10106039B2 (en) Regeneration control device of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N107650909B (zh) 车辆及其滑行能量回馈控制系统和方法、扭矩调节装置
JP5652020B2 (ja) 電動車両のクリープカット制御装置
JP2014042451A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位置及びクリープ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20170115588A (ko) 자동차의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KR101628508B1 (ko) 차량의 가속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9394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시 운전점 제어 방법
JP2007276542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101876013B1 (ko) 전기 차량의 회생제동 협조 제어방법
KR101543077B1 (ko) 친환경 차량의 모터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3770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running of vehicle
CN104002679A (zh) 车用控制装置
JP2017184377A (ja) 回生制御装置
JP2021054275A (ja) 走行制御装置
JP2017165276A (ja) 作業車両
US9630622B2 (en) Adjusting a hybrid vehicle cruise control speed
JP4313185B2 (ja) 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弁の制御装置
KR100901560B1 (ko)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제어방법
US691520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JP6135741B2 (ja) 車両試験装置および車両試験装置の車速偏差算出方法
KR101481182B1 (ko) 전기자동차의 모터 위치 및 크립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JP2009061943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4865652B2 (ja) 走行速度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