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755B1 -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755B1
KR101271755B1 KR1020110002864A KR20110002864A KR101271755B1 KR 101271755 B1 KR101271755 B1 KR 101271755B1 KR 1020110002864 A KR1020110002864 A KR 1020110002864A KR 20110002864 A KR20110002864 A KR 20110002864A KR 101271755 B1 KR101271755 B1 KR 10127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hip
vessel
opening
se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501A (ko
Inventor
유현수
안만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7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박의 제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는, 선박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해수유입수단; 해수유입수단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해수유입수단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수유로; 해수유로로 유입된 해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배출구; 및 선박의 제동시에 해수유입수단이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BRAKE APPARATUS AND BRAKING METHOD OF SHIP}
본 발명은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항해 중인 상태에서 급제동을 하거나 항만 연안에서 제동을 하기 위해서 추진 프로펠러의 동력을 끄고 반대방향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킨다.
그러나, 충분한 제동거리가 확보되었을 경우에는 프로펠러를 반대로 회전시키는 어스턴 모드(astern mode)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진 프로펠러의 동력을 끄고 선박의 관성력으로 진행하는 속도가 줄어들 때까지 선박이 계속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이 제동할 때에는 상당한 시간 동안 여전히 육중한 중량의 선박이 관성에 의해 전진하게 되므로, 제동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불편함이 있고, 제동시의 선박의 운동에너지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의 제동시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발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제동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해수유입수단; 상기 해수유입수단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해수유입수단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수유로; 상기 해수유로로 유입된 상기 해수를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배출구; 및 상기 선박의 제동시에 상기 해수유입수단이 상기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제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마련되는 해수유입구; 및 상기 해수유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수유입관; 및 상기 선박 외부의 해수를 유입시키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선박 외부의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해수유입관을 이동시키는 해수유입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관의 표면에는 랙기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유입관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상기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선박의 흘수선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선박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선박의 제2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선박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선박의 선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해수배출구에 설치되는 개폐수문; 및 상기 개폐수문을 이동시키는 개폐수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문에는 랙기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수문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부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문이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해수배출구에 설치되는 개폐수문; 및 상기 해수유로 내의 해수가 선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상기 개폐수문이 회전되게 하고, 타방향으로는 상기 개폐수문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해수배출구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로에 설치되어 해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수차부; 및 상기 회전수차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수차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제동방법으로서,
선박의 제동시에 상기 선박의 선체 외부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마련된 해수유로 내로 유입시키는 해수유입단계; 및 상기 해수유로로 유입된 상기 해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제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로 내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수차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따르면, 선박의 제동시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해수유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해수유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해수유입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개폐수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방법에 대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해수유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에 있어서, 해수유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100)는, 선박(10)의 제동시에 해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10)이 제동하고자 할 때 해수에 의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그 저항력을 이용하여 발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박의 제동장치(100)는, 해수유입수단, 해수유로(120), 회전수차부(130), 해수배출구(140), 발전기(15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10)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제동시에 해수를 선박(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10)의 선수부에 마련되어 선박(10) 내로의 해수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해수유입구(110), 및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12)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10)의 정상적인 운항시에는, 상기 해수유입구(110)로 해수가 유입되어 선박(10)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개폐도어(112)는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폐쇄한다. 그러나, 상기 선박(10)이 제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112)가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방하여 상기 선박(10) 외부의 해수가 상기 선박(10)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도어(112)를 이동시켜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14)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모터(114)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112)에는 랙기어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115)는 상기 개폐도어(112)의 랙기어부(113)와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12)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9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박(10)의 조종실에서 운전자가 상기 선박(10)을 제동시키기 위하여 조종간(미도시)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구동모터(114)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도어(112)가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선박(10)을 추진시키기 위해서 조종간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구동모터(114)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도어(112)가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해수유로(120)는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해수유입구(110)와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박(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차부(130)는 상기 해수유로(120) 내에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운동에너지로 변경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회전수차부(130)는 상기 해수유로(120)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차부(130)에는 복수개의 회전날개(1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박(10)의 제동시, 상기 해수유로(120)를 통하여 흐르는 해수는 상기 선박(10)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로(120)를 통하여 흐르는 해수는 상기 회전수차부(130)의 회전날개(132)와 충돌함으로써, 상기 회전수차부(130)를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발전기(150)는, 해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수차부(1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발전기(150)는 상기 회전수차부(130)의 회전축(152)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해수배출구(140)는 상기 회전수차부(130)를 지난 해수를 상기 선박(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배출구(140)는 선박(10)의 선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배출구(1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문(16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문(160)은 상기 해수배출구(140)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140)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문(160)에는 랙기어부(16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문(160)을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문 구동부로서, 모터(164)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164)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166)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기어(166)는 상기 개폐수문(160)의 랙기어부(162)와 맞물려 있다. 상기 모터(164)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구동기어(1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부(162)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문(160)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선박(10)의 조종실 내의 운전사가 상기 선박(10)을 제동하기 위해 조종간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구동모터(114)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1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15)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한 상기 랙기어부(113)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12)가 이동하여 상기 해수유입구(110)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모터(164)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66)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기어(166)에 연동한 상기 랙기어부(162)가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수문(160)이 이동되어, 상기 해수배출구(140)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해수유입구(110)의 개방에 의해 해수가 상기 해수유로(120)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상기 해수유로(120)의 유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회전수차부(130)가 회전하여 상기 발전기(150)가 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수차부(130)를 지난 해수는 상기 해수배출구(140)를 통하여 상기 선박(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100)에 따르면, 선박이 제동하고자 할 때, 해수가 선박 내부를 지나가도록 하여, 해수가 선체와 닿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함으로써 마찰저항을 증가시켜 선박의 제동거리를 좁힐 수 있다. 또한, 제동시에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서,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유용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수차 및 발전기를 회전시킴에 따라 저항력이 증가되어 제동거리 및 제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해수유입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200)는, 해수유입수단, 해수유로(220), 회전수차부(230), 해수배출구(240), 발전기(25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회전수차부(230) 및 발전기(250)의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회전수차부(130) 및 발전기(150)와 각각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10)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제동시에 해수를 선박(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10)의 선수부에 마련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수유입관(210) 및 상기 해수유입관(210)을 이동시키는 해수유입관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유입관(210)은 상기 선박(10)의 선체에 마련된 개구부(212)를 통하여 상기 선박(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관(210)의 표면에는 상기 해수유입관(210)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해수유입관 구동부는, 상기 선박(10) 외부의 해수를 유입하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선박(10) 외부의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해수유입관(210)을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해수유입관(210)은 상기 선박(10)의 흘수선(1) 위에 위치되어, 해수가 상기 해수유입관(210)으로 유입될 수 없다.
상기 해수유입관 구동부는, 상기 선박(10)의 선체 내부에 마련된 모터(214), 및 상기 모터(214)의 출력축에 마련된 구동기어(21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213)는 상기 랙기어부(211)와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모터(214)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랙기어부(211)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해수유입관(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14)는 제어부(29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선박(10)의 정상적인 운항시에는, 상기 해수유입관(210) 내로 해수가 유입되어 선박(10)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해수유입관(210)은 흘수선(1) 보다 위에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 선박(10)이 제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해수유입관(210)이 흘수선(1)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해수가 상기 선박(10) 내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박(10)의 조종실에서 운전자가 상기 선박(10)을 제동시키기 위하여 조종간(미도시)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모터(214)를 작동시켜 상기 해수유입관(210)을 상기 흘수선(10) 아래로 이동시킨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선박(10)을 추진시키기 위해서 조종간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모터(214)를 작동시켜 상기 해수유입관(210)을 흘수선(1) 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해수유로(220)는 상기 해수유입관(210)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해수유입관(210)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박(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차부(230)는 상기 해수유로(220) 내에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운동에너지로 변경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고, 상기 발전기(250)는 해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수차부(2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해수배출구(240)는 상기 회전수차부(230)를 지난 해수를 상기 선박(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유입관(210)은 상기 선박(10)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해수배출구(240)는 상기 선박(10)의 제2 측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문(26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문(260)은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문(260)에는 랙기어부(26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문(260)을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문 구동부로서, 모터(264)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264)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266)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기어(266)는 상기 개폐수문(260)의 랙기어부(262)와 맞물려 있다. 상기 모터(264)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구동기어(2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부(262)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문(260)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200)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에 따른 선박의 제동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선박(10)의 해수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문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 및 랙기어부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박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개폐수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개폐수문(270)의 일단에는 선박(10)의 선체에 연결된 힌지부(27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문(270)은 상기 힌지부(27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수문(270)은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해수배출구(240)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해수배출구(240)에는 스토퍼(274)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74)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74)는, 해수유로(220) 내의 해수가 선박(10)의 선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상기 개폐수문(270)이 회전되게 하고, 타방향으로는 상기 개폐수문(27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수차부(230)를 지난 해수는 해수의 유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개폐수문(270)을 밀어 상기 해수배출구(240)를 통하여 선박(10)의 선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274)에 의해 상기 개폐수문(270)이 상기 선박(10)의 내측으로는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선박(10)의 선체 외부의 해수는 상기 선박(1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해수배출구가 상기 선박(10)의 선수부의 측면 또는 선저에 마련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해수유로를 길게 설치하고 해수배출구를 상기 선박(10)의 선미부에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방법에 대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동방법은, 해수유입단계(S101), 발전단계(S102), 및 해수배출단계(S103)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유입단계(S101)는, 선박의 제동시에 선박의 선체 외부의 해수를 선체 내부에 마련된 해수유로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발전단계(S102)는, 유입된 상기 해수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해수유로에 마련된 회전수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수차와 동력적으로 연결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해수배출단계(S103)는, 상기 회전수차를 회전시킨 해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개폐수문을 개방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흘수선 10: 선박
100, 200: 선박의 제동장치 110: 해수유입구
112: 개폐도어 114: 구동모터
120, 220: 해수유로 130, 230: 회전수차부
132, 232: 회전날개 140, 240: 해수배출구
150, 250: 발전기 152, 252: 회전축
160, 260, 270: 개폐수문 162, 211, 262: 랙기어부
164, 214, 264: 모터 166, 213, 266: 구동기어
210: 해수유입관 212: 개구부
190, 290: 제어부 272: 힌지부
274: 스토퍼

Claims (13)

  1. 선박의 제동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해수유입수단;
    상기 해수유입수단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해수유입수단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수유로;
    상기 해수유로로 유입된 상기 해수를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배출구; 및
    상기 선박의 제동시에 상기 해수유입수단이 상기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유입수단은,
    상기 선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수유입관; 및
    상기 선박 외부의 해수를 유입시키지 않는 제1 위치와, 상기 선박 외부의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해수유입관을 이동시키는 해수유입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관의 표면에는 랙기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유입관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상기 랙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선박의 흘수선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선박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선박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관은 상기 선박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해수배출구는 상기 선박의 선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8. 선박의 제동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해수유입수단;
    상기 해수유입수단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해수유입수단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수유로;
    상기 해수유로로 유입된 상기 해수를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배출구;
    상기 선박의 제동시에 상기 해수유입수단이 상기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해수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해수배출구에 설치되는 개폐수문; 및
    상기 개폐수문을 이동시키는 개폐수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문에는 랙기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수문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부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문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10. 선박의 제동장치로서,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해수유입수단;
    상기 해수유입수단으로 유입된 해수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해수유입수단과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해수유로;
    상기 해수유로로 유입된 상기 해수를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해수배출구;
    상기 선박의 제동시에 상기 해수유입수단이 상기 해수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해수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제1 위치와 상기 해수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해수배출구에 설치되는 개폐수문; 및
    상기 해수유로 내의 해수가 선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상기 개폐수문이 회전되게 하고, 타방향으로는 상기 개폐수문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해수배출구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11. 청구항 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로에 설치되어 해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수차부; 및
    상기 회전수차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수차부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제동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02864A 2011-01-11 2011-01-11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10127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64A KR101271755B1 (ko) 2011-01-11 2011-01-11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64A KR101271755B1 (ko) 2011-01-11 2011-01-11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501A KR20120081501A (ko) 2012-07-19
KR101271755B1 true KR101271755B1 (ko) 2013-06-05

Family

ID=4671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64A KR101271755B1 (ko) 2011-01-11 2011-01-11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159B1 (ko) * 2020-10-07 2021-05-11 정중근 관광 잠수정 선박 보조장치
KR20220163072A (ko) * 2021-06-02 2022-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828B1 (ko) * 2012-09-14 2014-05-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GB2525049A (en) * 2014-04-12 2015-10-14 Daniel Kevin Gage Water-borne vessel
KR101580980B1 (ko) * 2014-10-29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제동 저항기
ES2618335B1 (es) * 2015-12-18 2018-04-12 Gerardo GARCIA LAGE Método y sistema de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en un bar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296A (en) * 1975-10-13 1977-04-14 Kubota Ltd Apparatus for keeping a ship at a standstill
JP2006290268A (ja) 2005-04-14 2006-10-26 Ojika Tekko:Kk 船舶停留等制御装置
KR200441873Y1 (ko) * 2007-04-30 2008-09-12 장경노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20100000240A (ko) * 2008-06-24 2010-01-06 이경우 에너지절약형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296A (en) * 1975-10-13 1977-04-14 Kubota Ltd Apparatus for keeping a ship at a standstill
JP2006290268A (ja) 2005-04-14 2006-10-26 Ojika Tekko:Kk 船舶停留等制御装置
KR200441873Y1 (ko) * 2007-04-30 2008-09-12 장경노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20100000240A (ko) * 2008-06-24 2010-01-06 이경우 에너지절약형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159B1 (ko) * 2020-10-07 2021-05-11 정중근 관광 잠수정 선박 보조장치
KR20220163072A (ko) * 2021-06-02 2022-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514085B1 (ko) * 2021-06-02 2023-03-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501A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755B1 (ko)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20160117518A (ko)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JP6467152B2 (ja) 操舵装置
KR20180094793A (ko) 선박의 항행 저항 저감 및 선박의 방향 전환 보조가 가능한 장치
CN107651150A (zh) 一种全回转推进装置
US10661868B2 (en) Vessel propulsion apparatus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KR101292883B1 (ko) 바우 스러스터 입구의 저항 저감을 위한 반 개방형 도어
KR200441873Y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101324114B1 (ko) 해수 펌프를 이용한 선박 감속 장치 및 방법
GB2525049A (en) Water-borne vessel
US3610197A (en) Motorboat
KR101323828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20128823A (ko) 개폐식 사이드 쓰러스터
KR20100076217A (ko) 바우 스러스터 입구의 저항 저감을 위한 블라인드형 도어
JP2011011641A (ja) 操縦性能向上を図った船舶
KR20150050919A (ko) 추진 효율 향상 장치
KR101550456B1 (ko) 양방향으로 수중 및 수상 항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선박추진기가 장착된 선박
KR20130055875A (ko) 타면적이 증가되는 선박용 러더
KR101335256B1 (ko) 터널식 스러스터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30002924U (ko) 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SU1111945A1 (ru) Реверсивно-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метного движител
JP2008189154A (ja) 船舶用ブレーキ装置および船舶
RU2745758C1 (ru) Подру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на
KR101290802B1 (ko) 방향 전환을 위한 터널을 구비하는 선박
JP2014129048A (ja) 電気推進式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