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73Y1 -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 Google Patents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73Y1
KR200441873Y1 KR2020070007166U KR20070007166U KR200441873Y1 KR 200441873 Y1 KR200441873 Y1 KR 200441873Y1 KR 2020070007166 U KR2020070007166 U KR 2020070007166U KR 20070007166 U KR20070007166 U KR 20070007166U KR 200441873 Y1 KR200441873 Y1 KR 200441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pe
fluid
seawater
propul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노
Original Assignee
장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노 filed Critical 장경노
Priority to KR2020070007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9/00Marine pro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H19/02Marine pro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using energy derived from movement of ambient water, e.g. from rolling or pitching of vessels
    • B63H19/04Marine pro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using energy derived from movement of ambient water, e.g. from rolling or pitching of vessels propelled by water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8Steering or slowing-down by deflection of propeller slipstream otherwise than by rud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따라 상이한 직경차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유도관(10)과 상기 유도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토록 설치되고 외부동력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압펌프(30)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스크류 프로펠러를 이용한 추진장치 대신 해수를 유입하는 유도관과 유입된 해수를 가압하여 분출시키는 가압펌프로 구성된 추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전기를 발생시켜 보조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선박의 추진효율을 극대화하고, 선박이 전,후,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토록 하여 조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수, 유도관, 가압펌프, 선박

Description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 The vessel advance device to use the sea wat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추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추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추진장치의 배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추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전·후진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6a,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전진시 좌·우회전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7a,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제자리 360°회전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8a, 8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정지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선체 제자리 이동하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유도관 : 10 입수관 : 10A
유동관 : 10B 배출관 : 10C
개폐밸브 : 20 개폐손잡이 : 21
가압펌프 : 30 회동축 : 42
지지대 : 43 조향날개 : 45
교류발전기 : 47 프로펠러 : P
제 1 추진장치 : 100-1 제 2 추진장치 : 100-2
제 3 추진장치 : 100-3 제 4 추진장치 : 100-4
제 5 추진장치 : 100-5
본 고안은 선박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몸체 중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설치된 유도관을 통해 유입된 해수를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가압한 후 선미로 배출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추진장치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나선형 스크류 프로펠러(screw propeller)이다. 스크류 프로펠러는 통상 3~7개의 날개를 가진 프로펠러면서 프로펠러 날개의 나선면이 물을 밀어내고 그 반동으로 생긴 추력을 받아 배가 전진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선박용 추진장치로서는 단일 프로펠러인 고정피치 프로펠러(FPP:Fixed Pitch Propeller), 가변 피치 프로펠러(CPP:Controllable Pitch Propeller)와 복합 프로펠러(compound propeller)인 상반회전 프로펠러 (CRP), 텐덤 프로펠러(Tendem propeller) 등의 추진장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선박의 추진 장치인 스크류 프로펠러는 선박의 고속화 대형화의 추세에 맞추어 발전되어 가고 있으나, 선박이 고속화되면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케비테이션(Cavitation)이란, 부하가 높은 프로펠러가 어떤 임계 회전수를 넘는 회전속도로 구성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며, 좀 더 일반적으로는 일정한 온도에서 압력을 낮추어서 수증기 또는 공기로 채워져 있는 기포가 가시화하고 성장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기존의 일반적인 선박 추진장치인 프로펠러는 부하가 높은 경우 캐비테이션이 쉽게 발생하여 추진효율 저하, 선박의 진동 및 소음을 유발시키며, 프로펠러 날개의 침식과 휨에 의한 손상으로 선박의 운항에 큰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추진장치의 정비를 위해서는 위급한 상황이라도 선박이 정지된 상태에서 정비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정비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프로펠러 추진기의 경우는 약 35.0노트를 선속의 한계로 보며 선속이 35.0노트 이상이면 진동 및 소음의 증가 때문에 비상사태를 제외하고는 거의 운항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속선, 소방선, 구조선, 경비선 및 순시선 등과 같은 긴급상황시 고속성과 기동성 등을 요하는 선박과 같은 경우 캐비테이션의 발생으로 선박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프로펠러 선박은 진로방향으로 충돌 가능한 물체가 접근할 경 우 급선회 및 급정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대형선박이 항구에 정박할 경우에는 선회반경이 작은 선박에 비해 매우 크므로, 선회반경이 비교적 작은 선박(유도선)의 도움을 받아 정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스크류 프로펠러를 이용한 추진장치 대신 해수를 유입하는 유도관과 유입된 해수를 가압하여 분출시키는 가압펌프로 구성된 추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막고,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전기를 발생시켜 보조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선박의 추진효율을 극대화하고, 선박이 전,후,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토록 하여 조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따라 상이한 직경차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유도관(10)과 상기 유도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토록 설치되고 외부동력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압펌프(30)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따라 상이한 직경차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유도관(10), 상기 유도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토록 설치되고 외부동력 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압펌프(30), 상기 가압펌프(30)에 의해 가압된 해수가 선박 외부로 분출시 나선물결을 형성하도록 유도관(10) 내부에 장착되어 회동하는 프로펠러(P)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도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개폐손잡이(21)가 구비된 개폐밸브(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민물, 해수, 강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에서 적절한 표현을 위해 혼용되어 사용되되 같은 의미임을 밝혀둔다.
상기 유도관(10)은 해수의 흐름과 직경의 변화에 따라 입수관(10A), 유동관(10B) 및 배출관(10C)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개폐밸브(20) 및 가압펌프(30)와 연결 고정되도록 양단에 다수의 체결공이 천공된 플랜지를 이루되, 해수가 최초로 유입되는 입수관(10A)과 상기 가압펌프(30)에 의해 가압된 해수가 선체 외부로 분출시키는 배출관(10C)은 일단에만 플랜지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입수관(10A)은 외부로부터 해수가 최초로 유입되는 흡입구(15)를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해수의 유입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상기 입수관(10A)의 직경축소에 의한 해수의 1차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유도관(10)의 두께가 일정하다고 가정할때, 다른 유도관(10)의 직경보다 큰 최대직경(D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20)는 스크류방식(screwed type)으로 내부에 게이트(gate)(미 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손잡이(21)가 구비되며 양단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입수관(10A)과 볼트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0)는 수동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신호에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가압펌프(30)는 외부의 전원공급을 통해 가동되며, 양단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밸브(20)와 볼트결합되고 상기 입수관(10A)에 의해 1차 가압된 해수를 재가압하여 2차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30)는 선박의 지속적인 운항이 이루어지도록 장시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관(10B)은 상기 가압펌프(3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볼트결합되어 상기 가압펌프(30)에 의해 가압된 해수를 유동시킨다.
이때, 상기 유동관(10B)은 선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타측 일단에는 상기 개폐밸브(20)가 플랜지를 통해 볼트결합된다.
상기 배출관(10C)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20)와 플랜지를 통해 볼트결합되며, 상기 유동관(10B)을 통해 유입되는 2차 가압된 해수가 외부로 분출되기 전 3차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분출방향으로 내경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최소직경(D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10C)의 최소직경(D2)을 이루는 관의 내부 중심축선상에 회동축(42)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관(10C)을 따라 유동하는 해수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P)를 축설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P)는 회전시 상기 회동축(42)과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 축설된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P)가 고정 축설된 회동축(42)의 일단부에는 상기 프로펠러(P)에 의한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교류발전기(47)가 더 축설되며, 상기 교류발전기(47)는 내부로 들어가는 통풍을 차단한 구조(미도시)로 되어 있으며, 완전한 방수성이 요구되므로, O링이나 오일 시일 등을 사용하여 완전히 물의 침입을 방지한 수밀형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교류발전기(47)는 회동축(42)의 회전수에 따라 다르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통해 충전장치(미도시)에 저장됨과 동시에 전원이 되어 상기 가압펌프(30) 등과 같이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기기에 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42)이 상기 배출관(10C)의 중심축 선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교류발전기(47)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배출관(10C) 내벽에 이르기까지 양단이 용접(Welding)으로 고정된 지지대(43)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관(10C)의 말단부 내측에는 유선형의 조향날개(45)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해수의 배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되 선박의 방향전환시 구동되는 추진장치의 배출관(10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관(10)은 항시 해수면 밑으로 잠 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박의 하부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유도관(10)이 해수면의 높이와 비슷한 위치에 형성되었을 경우 기상조건에 따른 영향을 쉽게 받게 되어 해수의 유입이 일정치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을 평면상에서 보았을때, 다수개의 추진장치(100)들로 구성되는데 이때, 각각의 추진장치에 설치된 가압펌프(3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되며, 이 제어부는 각 가압펌프(30)에 구동신호를 보내는 선박의 조정레버(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추진장치(100)를 이용하여 선박이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및 제자리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압펌프(30)를 가동시키면 입수관(10A)에 형성된 최대직경(D-1)을 이루는 흡입구(15)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이때, 흡입구(15)에서 가압펌프(30) 도달전까지 내경의 축소로 인한 해수의 1차적인 가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가압된 해수는 다시 가압펌프(30)에 의해 2차 가압이 이루어지며, 가압된 해수가 유동관(10B)을 통해 흐르다가 배출관(10C)을 통과할때 또 다시 3차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유동관(10B)보다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배출관(10C)의 내경축소에 의한 것이다.
또한, 배출관(10C)을 통과하면서 가압된 해수의 추진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나선형 프로펠러(P)를 배출관(10C)의 최소직경(D2)을 이루는 관내에 형성하여 해수의 유동 및 유속에 의해 회전토록하여 외부 해수와의 충돌반경을 넓힘으로써 추진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나선형 프로펠러(P)를 배출관(10C)의 최소직경(D2)을 이루는 관내에 형성하는 것은 배출관(10C)의 내경축소로 인해 최대로 가압된 해수에 의해 회전토록 함으로써, 회동축(42)에 프로펠러(P)와 함께 축설된 교류발전기(47)의 전기발생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프로펠러(P)에 의한 회전운동을 교류발전기(47)로 하여금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선박의 가압펌프(30)뿐만 아니라 전기로 구동되는 모든 기기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선박의 기기운용 및 추진효율을 극대화한 것으로, 자동차의 알터네이터(alternator)와 같은 원리로 주동력원과 연결되어 구동되며, 주동력원의 회전수에 따라 발전량이 다르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축전지가 전원이 되어 일시 방전되는 것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프로펠러(P)는 해수의 유속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임계회전수보다 큰 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캐비테이션(Cavitation)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프로펠러(P)의 경우 통상적인 프로펠러 선박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에 의한 추진효율 저하, 선박의 진동, 소음의 유발 및 프로펠러 날개의 침식과 휨에 의한 손상으로 프로펠러가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전진할 경우에는, 제 1 추진장치(100-1), 제 2 추진장치(100-2), 제 3 추진장치(100-3)가 구동된다.
특히, 제 1 추진장치(100-1)는 전진역할만 하므로 전진구동신호를 보내면 기본적으로 자동가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제 2 추진장치(100-2) 및 제 3 추진 장치(100-3)는 선박의 추진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추진장치(100-1)에 구동상의 문제가 발생되면, 제 2 추진장치(100-2)와 제 3 추진장치(100-3)만으로 전진구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추진장치(100-1)에 구비된 개폐밸브(20)를 폐쇄하여 해수의 유입을 막은 후 정비를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제 2 추진장치(100-2) 및 제 3 추진장치(100-3)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구동상의 문제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제 1 추진장치(100-1)에 의해 전진이 가능하므로 정비를 위한 정체없이 선박정비가 이루어져 선박의 운항 및 정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후진할 경우에는, 제 4 추진장치(100-4)와 제 5 추진장치(100-5)의 구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a, 6b에서와 같이, 각 추진장치를 구동하여 좌회전 및 우회전을 할 수 있다. 먼저, 좌회전시에 구동되는 추진장치로는 제 1, 2, 5 추진장치(100-1,100-2,100-5)이며, 이때, 제 1 추진장치(100-1)는 선박이 운항시 항상 구동되는 것이므로, 전진중 진행방향을 좌향으로 할 경우에는 제 2 추진장치(100-2)와 제 5 추진장치(100-5)의 구동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추진장치(100-2)와 제 5 추진장치(100-5) 중 하나만 구동이 되더라도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선박의 신속한 방향전환을 위해 함께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박의 우회전시에는 제 1, 3, 4 추진장치(100-1,100-3,100-4)가 구 동되며, 상술한 좌회전시의 구동방법과 동일한 원리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a, 7b에서와 같이, 제 1 추진장치(100-1)의 구동을 제외한 제 2, 3, 4, 5 추진장치(100-2,100-3,100-4,100-5)에 의해 선박이 제자리에서 좌, 우측으로 360°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즉, 제 2 추진장치(100-2)와 제 5 추진장치(100-5)가 동시에 구동되면 선박은 제자리에서 좌측방향으로 360°회전하게 되며, 반대로 선박이 제자리에서 우측방향으로 360°회전토록 하기 위해서는 제 3 추진장치(100-3)와 제 4 추진장치(100-4)의 동시 구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박이 계류하여 여객을 승하선시키거나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만든 항만시설인 부두에 정박할 경우, 선체가 큰 화물선 및 여객선은 유도선과 같은 작은 배에 의해 정밀 유도되는데 이는 선박의 조향반경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아무리 선체가 큰 선박일지라도 제자리에서 360°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하게 되면 선박의 조향능력 향상으로 유도선 등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정박이 가능하여 선박의 조종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5 추진장치(100-3,100-5) 또는 제 2, 4 추진장치(100-2,100-4)의 구동에 의해 선박 전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자리 이동이 가능하여 선박들이 많이 정박하는 복잡하고 협소한 부두내에서 공간의 제약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입된 해수를 여러차례 가압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선박의 추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최대가압이 이루어진 해수의 배출을 통해 회전운동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여 선박운용 및 구동장치의 추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진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므로 선박의 추진효율 저하, 선박의 진동, 소음의 유발 및 프로펠러 날개의 침식과 휨에 의한 손상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항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선박이 운항중 일부 추진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정상구동되는 추진장치에 의해 지체없이 운항을 계속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정비도 이루어져 운항의 효율성 및 정비의 용이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제자리에서 360°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선체가 큰 선박일지라도 제자리에서 선박의 방향을 좌, 우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유도선 등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정박이 가능하여 선박의 조종 효율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체의 흐름을 따라 상이한 직경차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유도관(10); 과
    상기 유도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토록 설치되고 외부동력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압펌프(30)로 구성되며,
    상기 유도관(10)은,
    유체가 최초 유입되어 1차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직경(D1)이 점차 축소되는 입수관(10A);
    상기 입수관(10A)에 의해 1차 가압된 유체와 상기 가압펌프(30)에 의해 2차 가압된 유체를 유동시키는 유동관(10B); 및
    상기 유동관(10B)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3차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관이 점차 축소되어 최소직경(D2)을 이루는 배출관(10C)으로 구성되는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상기 유도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개폐손잡이(21)가 구비된 개폐밸브(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0C)은,
    내측으로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P)가 형성되고, 상기 프로펠러(P)가 축설되어 관내의 중심축선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축(42)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축(42)에 축설되어 상기 프로펠러(P)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교류발전기(A)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42)이 고정 지지되도록 상기 회동축(42)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배출관(10C)의 내벽에 이르기까지 양단이 고정된 지지대(43)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0C)은,
    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 분출되는 유체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날개(45)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2020070007166U 2007-04-30 2007-04-30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200441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66U KR200441873Y1 (ko) 2007-04-30 2007-04-30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66U KR200441873Y1 (ko) 2007-04-30 2007-04-30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873Y1 true KR200441873Y1 (ko) 2008-09-12

Family

ID=4164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166U KR200441873Y1 (ko) 2007-04-30 2007-04-30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55B1 (ko) * 2011-01-11 2013-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101549695B1 (ko) * 2013-08-29 2015-09-03 배연숙 양식장 용존산소 증가장치
KR20220074502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기계연구원 액화수소 선박의 액화수소저장탱크 벤트장치
KR20220163072A (ko) * 2021-06-02 2022-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WO2023235525A1 (en) * 2022-06-01 2023-12-07 Levi Avraham Y Ship construction and propulsion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55B1 (ko) * 2011-01-11 2013-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101549695B1 (ko) * 2013-08-29 2015-09-03 배연숙 양식장 용존산소 증가장치
KR20220074502A (ko) * 2020-11-27 2022-06-03 한국기계연구원 액화수소 선박의 액화수소저장탱크 벤트장치
KR102406282B1 (ko) * 2020-11-27 2022-06-10 한국기계연구원 액화수소 선박의 액화수소저장탱크 벤트장치
KR20220163072A (ko) * 2021-06-02 2022-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514085B1 (ko) * 2021-06-02 2023-03-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 및 상기 선박의 해수를 이용한 발전장치
WO2023235525A1 (en) * 2022-06-01 2023-12-07 Levi Avraham Y Ship construction and propul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60761A1 (en) Propulsion and steering device installed below sea level of outside of right and left shipwall in a ship
KR101219325B1 (ko) 군함과 선박의 추진장치와 방향전환장치
US6581537B2 (en) Propulsion of underwater vehicles using differential and vectored thrust
US6009822A (en) Bow or stern thruster
CA2810002C (en) Energy generation apparatus for ships
KR200441873Y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추진장치
KR20120012499A (ko) 매그너스 로터를 구비한 선박
JP4273168B1 (ja) 推力発生装置
US3122121A (en) System for propelling and steering vessels
KR101067343B1 (ko) 선박 추진장치
CN104608897A (zh) 一种船用喷水式推进器
US20120083172A1 (en) Auxiliary marine vessel propulsion system
US6881110B1 (en) High-speed vessel powered by at least one water jet propulsion system without exhaust gas trail
US3933113A (en) Marine vessel propulsion system
US5501072A (en) Combined centrifugal and paddle-wheel side thruster for boats
KR101324114B1 (ko) 해수 펌프를 이용한 선박 감속 장치 및 방법
GB2525049A (en) Water-borne vessel
KR101229217B1 (ko) 양력을 이용한 해수 추진장치
WO2016166620A1 (en) A vessel drive and a drive control method
JP4573911B1 (ja) 船舶
CN112519954A (zh) 一种改进船舶结构和驱动方式的船舶
CN105857542A (zh) 一种高速高效安全保障船
RU189402U1 (ru) Водометное 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РУ)
EP2193989A1 (en) Vessel with hexagonal underwater section for propulsion of a barge
RU271235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удном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