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703B1 -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703B1
KR101271703B1 KR1020120021568A KR20120021568A KR101271703B1 KR 101271703 B1 KR101271703 B1 KR 101271703B1 KR 1020120021568 A KR1020120021568 A KR 1020120021568A KR 20120021568 A KR20120021568 A KR 20120021568A KR 101271703 B1 KR101271703 B1 KR 10127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ne
cutting edge
rotation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훈
Original Assignee
안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훈 filed Critical 안상훈
Priority to KR102012002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703B1/ko
Priority to CN201380008617.1A priority patent/CN104105457B/zh
Priority to JP2014553266A priority patent/JP5896435B2/ja
Priority to PCT/KR2013/001137 priority patent/WO2013129790A1/ko
Priority to US14/372,201 priority patent/US9826990B2/en
Priority to DE112013000849.1T priority patent/DE112013000849B4/de
Priority to EP13754801.2A priority patent/EP2821026B1/en
Priority to RU2014138964/14A priority patent/RU2602923C2/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inus or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절삭부(1)의 상부에는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와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선단부(10)의 후방은 절삭부(1)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함몰면(11)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모서리(20)의 후방은 절삭부(1)의 외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21)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호되는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는 삭제되는 골(40)의 잔사가 인입되어 퇴적되는 골보관홈(31)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외주 측면에 형성된 측면경사모서리(30)의 경사각도는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The reamer for operating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확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된 홀가공을 위한 위치 선정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골 삭제 효율이 증가되어 고속회전이 가능하고, 고속회전 중에도 마찰저항이 감소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작업성이 증대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정면도이다.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구성은 도 1, 2를 통해 살펴보면, 단턱(122)이 형성되도록 절삭부(1) 상단 전면 중 외주를 포함하는 일면을 상향으로 융기하여 형성되는 돌출면(121)과, 상기 돌출면(121)의 형성에 따라 돌출면(121)과 반대로 절삭부(1)의 상단 전면 중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면(111)과, 상기 단턱(122)과 돌출면(121)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절삭모서리(120)와, 상기 함몰면(111)과 돌출면(121)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에 있어서, 상기 함몰면(111)은 단턱(122)의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부 끝에는 절삭선단부(1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140)와 함몰면(111) 외주의 경계부위에는 최초경사모서리(131)가 형성되고 배출로(140)와 돌출면(121) 외주의 경계부위에는 최후경사모서리(132)가 형성되도록 상기 함몰면(111)과 돌출면(121)의 외주를 따라 테이퍼(1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130)는 최초경사모서리(131)에서 시작하여 최후경사모서리(132) 쪽으로 회전할수록 축과 이루는 각도(θ)는 작아지면서 테이퍼(130)의 폭은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특허 제10-0792649호로 등록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는 다섯가지 필연적인 단점이 있다. 첫 번째, 종래의 확공기는 도 1에서 보듯이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10)가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절삭부(1)가 회전될 때에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 회전이 이루어 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절삭부(1)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면서, 기준으로 삼은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에 대하여 회전 간섭이 발생되므로 진원회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를 사용하여 작업할 때에는 저속회전을 해야하며 절삭부(1)의 진원회전을 담보하기 위해 회전 중심을 확공기 사용 전에 반드시 먼저 형성해야하는 작업상의 불편한 점이 있다.
두 번째, 종래의 확공기는 각 1개의 절삭선단부(110), 절삭모서리(120), 최초경사모서리(131)를 갖고 있기에 절삭 효율이 매우 낮다. 세 번째, 삭제효율이 낮고 확공기와 골의 접촉 면적이 많기에 확공기의 고속회전시 마찰열 발생 가능성이 높고 마찰열에 의한 골 괴사(bone heat necrosis) 위험이 있기에 고속 회전에 의한 수술을 할수 없고 저속회전을 해야한다.
네 번째, 확공기 회전시 확공기와 골사이의 마찰열을 냉각할수 있는 생리 식염수가 작업부인 절삭부에 도달할수 있는 통로가 작아 냉각 생리 식염수 도달이 어렵다. 다섯 번째, 확공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골편의 계류 공간이 적고 회전에 의한 배출이 어렵기에 효과적인 절삭부의 삭제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을 멈추고 골편을 자주 제거해야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 겸 발명자 "안상훈"은 임플란트 확공기 분야의 기술상의 문제점과 성능을 개선하고자 상당한 노력을 경주하였는바, 그 결과 대한민국 특허 제10-0630304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를 개발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출원인 겸 발명자 "안상훈"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의 기술구성을 일부 이용 내지 개량한 후,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여 이전보다 더욱 진보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에 홀을 형성 하기위해 첫 번째,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진원회전 중심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도록 했으며 2개의 대칭된 절삭선단부(10)가 진원으로 회전되면서 2배 빠르게 골에 원형의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두 번째, 원형 삭제의 내면을 삭제하고자 평면의 절삭모서리(20)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골과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촉면적이 줄면서 원형 내면의 삭제효율이 현저히 증가 되도록 한다. 세 번째, 구조를 개선하면서 기존의 1개만 형성할 수 있었던 최초경사모서리(131)를 4개 형성할 수 있으므로 4배 빠른 측면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원회전 중심의 확보가 가능하고 확공기와 골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절삭효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고속 회전이 가능하기에 삭제력과 작업성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홀 가공중 파쇄되는 자가골은 골의 하방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홀의 골판이 열리는 순간 상악동으로 자연스럽게 옮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 골보관홈(31)을 형성하여 자가골이 확공기의 회전중에 퇴적되면서 압력을 받도록 구성한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구체적인 수단은, 절삭부(1)의 상부에는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와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선단부(10)의 후방은 절삭부(1)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함몰면(11)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모서리(20)의 후방은 절삭부(1)의 외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21)으로 형성되고, 상기 교호되는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는 삭제되는 골(40)의 잔사가 인입되어 퇴적되는 골보관홈(31)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외주 측면에 형성된 측면경사모서리(30)의 경사각도는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는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선단이 뾰족한 2개의 절삭선단부(10)와, 골(40)과 선접촉이 되는 수평한 선형태의 2개의 절삭모서리(20)가 서로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인바, 상기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된 절삭선단부(10)로 인해 진원회전이 고속으로 가능함에 따라, 삭제력과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골(40)과의 밀착시에도 대칭된 뾰족한 절삭선단부(10)로 인해 절삭 위치 선정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부(1)의 상부가 골(4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때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1)을 갖는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로 인해 골(40)과의 선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골(40)과의 마찰저항이 저하되면서 그만큼 본 발명의 삭제력이 증대되고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 형성된 골보관홈(31)으로 인해, 삭제되는 골(40)의 잔사가 자연스럽게 골보관홈(31)으로 인입되어 퇴적됨으로써, 골(40)의 잔사가 절삭부(1)의 회전에 마찰저항을 높이는 등의 방해를 가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골(40)이 천공되는 순간 골보관홈(31)에 퇴적된 자가골(43)이 상악동(50) 내부로 인입되면서 1차적으로 확공기의 구조에 의해 열린 골판을 2차적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함에 따라, 상악동막(51) 손상의 방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임플란트 심재(60)의 고정에 필요한 매립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상악동 및 임플란트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이 본 발명의 출원인 겸 발명자 "안상훈"이 이미 대한민국에서 특허 획득한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의 기술구성을 일부 이용 내지 개량한 후,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여 이전보다 더욱 진보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임을 고려하여, 도 1, 2에 도시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와 비교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2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종래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도 1, 2에서 보듯이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는 단턱(122)이 형성되도록 절삭부(1) 상단 전면 중 외주를 포함하는 일면을 상향으로 융기하여 형성되는 돌출면(121)과, 상기 돌출면(121)의 형성에 따라 돌출면(121)과 반대로 절삭부(1)의 상단 전면 중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면(111)과, 상기 단턱(122)과 돌출면(121)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절삭모서리(120)와, 상기 함몰면(111)과 돌출면(121)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에 있어서, 상기 함몰면(111)은, 단턱(122)의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부 끝에는 절삭선단부(1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는 도 1에서 보듯이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10)가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문제는, 연결부(2)를 매개로 회전력이 절삭부(1)에 가해지면, 절삭부(1)의 회전력은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진원 회전하려고 하고, 절삭부(1)의 진원 회전과 동시에 편심된 뾰족한 절삭선단부(110)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려는 회전력이 존재하면서 진원회전과 편심회전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안정된 위치에서의 회전이 어렵고 또한 사용자는 확공기 삭제 효율이 낮기에 확공기를 고속회전 시키지 못하고 확공기와 신체 골의 회전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저속회전을 시키면서 홀 가공의 안정성을 담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절삭선단부(110)의 편심에서 비롯된 절삭부(1)의 저속회전은 삭제력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홀 가공의 안정성의 담보도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시도로서, 도 3의 원내 확대도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임플란트 확공기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절삭선단부(110)의 편심으로 야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골(40)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진원회전이 안정된 위치에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를 대칭되게 형성한다.
즉,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를 방사상으로 교호되도록 형성하되, 2개의 절삭선단부(10)를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진원으로 회전하는 절삭부(1)의 회전과, 회전중심축(C)에서 방사상으로 동일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절삭선단부(10)의 회전이 동일한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에 대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삭부(1)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절삭선단부(10)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고속회전을 통해 안정된 홀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칭된 2개의 절삭선단부(10)로 인해 골(40)과의 밀착이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절삭선단부(10)는 뾰족한 형태로서, 홀 가공을 위해 골(40)과 밀착될 때에 절삭선단부(10)와 골(40)은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기 삭제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40)과의 점접촉을 위해 절삭선단부(10)의 후방은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함몰면(11)으로 구성한다.
한편, 도 1, 2에 도시된 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에서는 절삭부(1) 상단 전면 중 외주를 포함하는 일면으로서, 단턱(122)이 형성되도록 상향으로 융기된 평평한 돌출면(121)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22)과 돌출면(121)의 연결부위에는 절삭모서리(120)가 형성된다. 상기 절삭모서리(120)의 기능은 골(40)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절삭선단부(110)가 홀의 외연을 원형으로 절삭하고, 연이어 절삭모서리(120)가 내부의 골(40)을 절삭하는 것으로서, 이중절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에서 절삭모서리(120)는 도 1에서 보듯이 단턱(122)과 돌출면(121)을 연결하는 지점에 형성된 것으로서, 골(40)에 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평평한 돌출면(121)이 골(40)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면접촉 구성은 절삭모서리(120)가 삭제력을 발휘할 때에 돌출면(121)에 대한 골(40)과의 면접촉으로 인해 마찰저항이 향상되는 요소로써, 절삭부(1)의 고속회전에 따른 절삭모서리(120)의 삭제력이 저하되는 구성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삭부(1)에 전달되는 고속회전이 종래의 평평한 돌출면(121)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으로 인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절삭선단부(10)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절삭모서리(20)를 대칭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절삭모서리(20)는 절삭부(1)의 중심에서 함몰면(11)과 만나는 부분에서 단턱(22)이 형성되고, 절삭모서리(20)의 후방은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부(1)의 외주면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으로 형성됨으로써, 결국 절삭모서리(20)는 수평한 선형태가 되어, 골(40)과 대면시 선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삭모서리(20)와 골(40)의 접촉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이루어지는바, 종래 면접촉에서 기인한 마찰저항이 원천적으로 배제됨으로써, 절삭부(1)에 전달되는 고속회전력이 홀 가공에 그대로 이용됨에 따라, 절삭모서리(20)의 삭제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는 절삭선단부(10)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2개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1개의 절삭모서리(120)에 비해 삭제력이 2배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2에 도시된 대한민국 특허 제10-0792649호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에서는 함몰면(111)과 돌출면(121)의 측면 사이에 배출로(140)를 형성함으로써, 절삭된 골(40)의 잔사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하여 골(40)의 잔사로 인해 마찰저항이 향상되어 절삭부(1)의 회전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 1, 2에서와 같이 테이퍼(130)가 함몰면(111) 외주의 최초경사모서리(131)에서 돌출면(121) 외주의 최후경사모서리(132)로 갈수록 회전중심축(C)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시 회전중심축(C)과 이루는 각도(θ')가 제일 큰 최초경사모서리(131)에서는 골(40)과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최대가 되고, 최후경사모서리(132) 쪽으로 갈수록 회전중심축(C)과 이루는 각도(θ")가 점점 작아짐에 따라, 골(40)과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최소가 됨으로써, 확공기의 상향으로의 전진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골(40)에 최초에 형성하는 홀 작업부터 원하는 직경까지의 홀 작업 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1, 2에 도시된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와는 달리 별도의 배출로(140)를 구성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절삭된 골(40)의 잔사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골(40)의 잔사로 인해 마찰저항이 향상되어 절삭부(1)의 회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배출로(140)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절삭부(1)의 상부에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사이 사이에 골보관홈(31)을 형성한다. 상기 골보관홈(31)은 절삭되는 골(40)의 잔사 즉, 자가골(43)이 절삭부(1)의 회전중에 자연스럽게 인입되어 퇴적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절삭부(1)가 골(40)을 천공하여 상악동(50) 내부로 상악동막(51)을 들어 올릴때에 골보관홈(31)에 퇴적된 자가골(43)이 상악동(50) 내부로 인입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임플란트 확공기의 측면에 형성된 최초경사모서리(131)와 최후경사모서리(132)의 경사각도(θ', θ")를 최초경사모서리(131)에서 최후경사모서리(132)로 회전할수록 작아지게 형성한 것처럼, 본 발명의 확공기에서도 도 3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외주 측면에 형성된 측면경사모서리(30)의 경사각도를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구성함으로써, 확공기의 상향 전진 속도가 빨라지게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면경사모서리(30)는 홀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것으로서,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2개의 절삭선단부(10)의 측면과 2개의 절삭모서리(20) 등 총4곳의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홀의 외주면의 삭제력이 더욱 향상되고 안정된 진원의 확보와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상악동 및 임플란트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방사선으로 촬영한 얼굴의 측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임플란트의 심재(60)가 식립되기 위한 골(40)과, 골(40)의 상부에 위치한 상악동(50)이 도시되었으며, 상악동(50)은 점막 형태의 상악동막(51)으로 보호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를 통해 골(40)을 신속하게 삭제하고, 절삭부(1)의 상부가 상악동막(51)과 접촉되기 전, 도 4에서와 같이 딱딱한 치밀골(41)을 원형의 골편(42)으로 절삭하여 골편(42)을 매개체로 하여 절삭부(1)의 상부가 상악동막(51)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상악동막(51)을 상악동(50) 내부로 들어올림으로써, 상악동막(51)이 손상되지 않는 방식으로 임플란트 심재(60)가 도 5의 (b)와 같이 상악동(50) 내부에 식립되도록 한다. 골(40)이 천공되어 상악동막(51)이 거상된 후에는 임플란트 심재(6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자가골(43)과 이식골(44)을 상악동(50) 내부로 충진함으로써, 임플란트 심재(6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는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선단이 뾰족한 2개의 절삭선단부(10)와, 골(40)과 선접촉이 되는 수평한 선형태의 2개의 절삭모서리(20)가 서로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인바, 상기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된 절삭선단부(10)로 인해 진원회전이 안정되고 삭제효율이 높아져 고속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삭제력과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골(40)과의 밀착시에도 대칭된 뾰족한 절삭선단부(10)로 인해 절삭 위치 선정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부(1)의 상부가 골(4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때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1)을 갖는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로 인해 골(40)과의 선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골(40)과의 마찰저항이 저하되면서 그만큼 본 발명의 삭제력이 증대되고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 형성된 골보관홈(31)으로 인해, 삭제되는 골(40)의 잔사가 자연스럽게 골보관홈(31)으로 인입되어 퇴적됨으로써, 골(40)의 잔사가 절삭부(1)의 회전에 마찰저항을 높이는 등의 방해를 가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골(40)이 천공되는 순간 골보관홈(31)에 퇴적된 자가골(43)이 상악동(50) 내부로 인입되면서 1차적으로 확공기의 구조에 의해 열린 골판을 2차적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함에 따라, 상악동막(51) 손상의 방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임플란트 심재(60)의 고정에 필요한 매립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 : 절삭부
2 : 연결부
10 : 절삭선단부
11 : 함몰면
20 : 절삭모서리
21 : 경사면
22 : 단턱
30 : 측면경사모서리
31 : 골보관홈
40 : 골
41 : 치밀골
42 : 골편
43 : 자가골
44 : 이식골
50 : 상악동
51 : 상악동막
60 : 심재
110 : 절삭선단부
111 : 함몰면
120 : 절삭모서리
121 : 돌출면
122 : 단턱
130 : 테이퍼
131 : 최초경사모서리
132 : 최후경사모서리
140 : 배출로
C : 회전중심축

Claims (1)

  1. 절삭부(1)의 상부에는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와 수평한 선형태의 절삭모서리(20)가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되, 상기 선단이 뾰족한 절삭선단부(10)의 일면은 절삭부(1)의 회전중심축(C)을 향해 하향 경사진 삼각형상의 함몰면(11)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한 선형태를 갖는 절삭모서리(20)의 일면은 절삭부(1)의 외주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삼각형상의 경사면(21)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호되는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사이에는 삭제되는 골(40)의 잔사가 인입되어 퇴적되는 골보관홈(31)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선단부(10)와 절삭모서리(20)의 외주 측면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경사모서리(30)의 경사각도는 절삭부(1)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20120021568A 2012-03-02 2012-03-02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127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68A KR101271703B1 (ko) 2012-03-02 2012-03-02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CN201380008617.1A CN104105457B (zh) 2012-03-02 2013-02-14 用于移植术的扩孔钻
JP2014553266A JP5896435B2 (ja) 2012-03-02 2013-02-14 インプラント施術用拡孔器
PCT/KR2013/001137 WO2013129790A1 (ko) 2012-03-02 2013-02-14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US14/372,201 US9826990B2 (en) 2012-03-02 2013-02-14 Reamer for implant surgery
DE112013000849.1T DE112013000849B4 (de) 2012-03-02 2013-02-14 Reibahle zur Implantat-Chirurgie
EP13754801.2A EP2821026B1 (en) 2012-03-02 2013-02-14 Reamer for implant surgery
RU2014138964/14A RU2602923C2 (ru) 2012-03-02 2013-02-14 Дрильбор для имплантационной хирурги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68A KR101271703B1 (ko) 2012-03-02 2012-03-02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703B1 true KR101271703B1 (ko) 2013-06-05

Family

ID=4886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568A KR101271703B1 (ko) 2012-03-02 2012-03-02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26990B2 (ko)
EP (1) EP2821026B1 (ko)
JP (1) JP5896435B2 (ko)
KR (1) KR101271703B1 (ko)
CN (1) CN104105457B (ko)
DE (1) DE112013000849B4 (ko)
RU (1) RU2602923C2 (ko)
WO (1) WO2013129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25A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덴티스 상악동 천공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8764A (zh) * 2016-11-09 2017-05-10 南宁市微牙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牙用扩孔骨钻
US11246606B2 (en) * 2019-08-12 2022-02-15 Biomet 3I, Llc Drill b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49B1 (ko) 2007-07-06 2008-01-09 안상훈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
KR20090056395A (ko) * 2007-11-30 2009-06-03 김영기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1013285B1 (ko) 2010-04-01 2011-02-09 (주) 시원 드릴비트 및 이를 구비한 드릴
KR20110039880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9132A (en) * 1980-02-28 1982-01-05 Thomas Adamson Face mill with adjustable cutting inserts
US4411563A (en) * 1981-07-31 1983-10-25 Elwood Moon Cutter device
US4830000A (en) * 1987-12-31 1989-05-16 Aspen Laboratories, Inc. Surgical drill
US5190548A (en) 1991-04-10 1993-03-02 Linvatec Corporation Surgical reamer
RU2318634C2 (ru) * 2005-04-13 2008-03-10 Валентин Алексеевич Настасенко Торцовая режущая, режуще-деформирующая и деформирующая фреза, рабочие пластины к ней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деформирующей фрезой
KR100630304B1 (ko) 2006-04-04 2006-10-02 안상훈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WO2008038307A1 (en) * 2006-09-25 2008-04-03 Piezosurgery S.R.L. Handpiece with surgical tool to perform holes in bone tissues.
JP5134379B2 (ja) * 2008-01-08 2013-01-30 株式会社若吉製作所 医療用切削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49B1 (ko) 2007-07-06 2008-01-09 안상훈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
KR20090056395A (ko) * 2007-11-30 2009-06-03 김영기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20110039880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013285B1 (ko) 2010-04-01 2011-02-09 (주) 시원 드릴비트 및 이를 구비한 드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25A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덴티스 상악동 천공 도구
KR102544369B1 (ko) 2021-05-31 2023-06-19 주식회사 덴티스 상악동 천공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7515A (ja) 2015-03-12
CN104105457A (zh) 2014-10-15
WO2013129790A1 (ko) 2013-09-06
JP5896435B2 (ja) 2016-03-30
US20150094725A1 (en) 2015-04-02
DE112013000849T5 (de) 2014-10-16
RU2602923C2 (ru) 2016-11-20
RU2014138964A (ru) 2016-04-27
US9826990B2 (en) 2017-11-28
EP2821026A4 (en) 2016-01-20
EP2821026B1 (en) 2016-10-19
EP2821026A1 (en) 2015-01-07
DE112013000849B4 (de) 2022-07-28
CN104105457B (zh)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947B2 (en) Device for cutting tissue
EP3446648B1 (en) Tissue-removing catheter with rotatable cutter
JP5685593B2 (ja) リブ付き外科用バー
KR10127170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1323553B1 (ko) 조직을 절제하고 연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713416B2 (ja) 組織除去用医療器具
KR100792649B1 (ko)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거상 확공기
JP2009501597A (ja) ビビリ対策稜形状を有する外科用バー
TW201235015A (en) Drill for dental surgery
EP3777750B1 (en) Drill bit
RU2744081C2 (ru) Конфигурация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с канавками и относящийся к ней способ
CN103930065B (zh) 钻具、钻具罩以及使用所述钻具和钻具罩的用于收集自体骨的手术器械
KR101206524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용 드릴
US20220233274A1 (en)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CN108882973A (zh) 用于在骨组织中形成非圆形腔的工具和方法以及包括该工具的套件
KR101355272B1 (ko) 단차진 마이크로케라톰 블레이드 홀더
JP2011160693A (ja) 替刃式チップソ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