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90B1 - 선박용 러더 - Google Patents

선박용 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90B1
KR101271690B1 KR1020110016698A KR20110016698A KR101271690B1 KR 101271690 B1 KR101271690 B1 KR 101271690B1 KR 1020110016698 A KR1020110016698 A KR 1020110016698A KR 20110016698 A KR20110016698 A KR 20110016698A KR 101271690 B1 KR101271690 B1 KR 10127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udder
rudder blade
rotates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234A (ko
Inventor
조희상
송인행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0Steering gear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H25/381Rudders with fl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러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는, 선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rudder blade) 및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랩부(flap part)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에 대향하는 측부의 반대쪽 타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를 구비한 지지부; 및 상기 곡형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기 곡형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곡형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형부에는 래크(rack)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러더{SHIP RUDDER}
본 발명은 선박용 러더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조종하기 위해 러더(rudder)가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러더는 선체에 결합되는 러더혼(rudder horn) 및 러더혼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러더 블레이드(rudder blad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러더는, 러더 블레이드가 러더혼에 대해 회동할 때 러더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유체역학적 힘에 의해 선체가 선회하게 된다.
최근 선박이 과거보다 대형화되면서 선박의 조종성능 향상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고양력(high lift) 러더를 적용하거나 러더의 표면적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고양력 러더로는 대표적으로 플랩 러더(flap rudder)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플랩 러더는 러더 블레이드와 힌지결합되는 플랩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하였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우며, 이를 설치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었다.
따라서, 이러한 링크장치의 크기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러더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구동부 없이 링크(link)장치의 크기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rudder blade) 및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랩부(flap part)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에 대향하는 측부의 반대쪽 타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를 구비한 지지부; 및 상기 곡형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기 곡형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곡형부와 연결되어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곡형부에는 래크(rac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곡형부의 래크에 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러더는,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곡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기 곡형부의 래크에 외접하여 상기 곡형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 상기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3 기어부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어(spur)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형부의 길이는,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상기 선체에 대한 최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곡형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 또는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곡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 및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에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를 구비한 지지부;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부가 상기 곡형부에 내접하여 상기 곡형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의 하부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곡형부에는 래크(rack)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어(spur)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형부의 길이는,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상기 선체에 대한 최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곡형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곡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부 없이 링크장치의 크기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러더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러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각도에 더해서 플랩부의 꺾이는 각도가 추가됨으로써, 러더 블레이드와 플랩부에 더 큰 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이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다 신속하게 선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다른 실시예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B-B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를 선체(1)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를 선체(1)의 선미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는 러더 스톡(rudder stock, 10), 러더 블레이드(rudder blade, 20), 플랩부(flap part, 30), 지지부(40), 제1 기어부(50), 제2 기어부(60), 제3 기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더 스톡(10)은, 막대모양의 축으로서, 일단부가 선체(1)의 선미부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러더 블레이드(20)에 결합된다.
러더 스톡(10)은 엔진(미도시)이나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러더 스톡(10)이 회전할 때 러더 블레이드(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러더 스톡(10)은, 엔진이나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러더 블레이드(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 스톡(10)은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 상에 배치된다.
러더 블레이드(20)는, 선체(1)가 선회할 때 유체역학적 힘이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러더 스톡(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플랩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 블레이드(2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러더 블레이드(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플랩부(30)는, 러더 블레이드(20)가 선체(1)에 대해 회동 시 동일한 방향으로 꺾임으로써, 러더 블레이드(20)에 더 큰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러더 블레이드(20)에 힌지결합되는 플랩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 제1 기어부(50),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선체(1)의 저면에 형성되며,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에 대향하는 측부의 반대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중심축(X1)에 대향하는 측부란, 회전 중심축(X1)을 마주보는 지지부(40)의 일측부를 의미한다.
지지부(40)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에 대향하는 선체(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40)는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과 이격된다. 또한, 지지부(40)는 러더 스톡(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40)는 선체(1)와 이격되어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는 본 실시예와 달리 선체(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곡형부(42)는,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부(42)가 회전 중심축(X1)에 대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형부(42)의 길이는, 러더 블레이드(20)의 선체(1)에 대한 최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러더 블레이드(20)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곡형부(42)의 길이도 이에 대응하여 커질 수 있으며, 러더 블레이드(20)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곡형부(42)의 길이도 이에 대응하여 작아질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곡형부(42)의 양측부에는, 후술하는 제1 기어부(50) 또는 제2 기어부(60)가 곡형부(4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stopper,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부(42)에는 톱니형상을 가진 래크(rack)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형부(42)에 래크가 형성됨으로써, 곡형부(42)가 제1 기어부(50) 또는 제2 기어부(60)와 기어결합되어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기어부(50)는, 플랩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플랩부(30)가 러더 블레이드(20)에 대해 회동하도록 곡형부(42)에 기어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부(50)는 플랩부(30)의 회전 중심축(X2)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기어결합이라 함은 곡형부(42)에 직접 맞물려서 결합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중간매개체(예를 들어,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와 같은 중간기어부)에 의해 연동되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후술할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를 통해 곡형부(4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기어부(50)는,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할 때마다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곡형부(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참조)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부(30)가 러더 블레이드(2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하는 각도에 더해서 플랩부(30)의 꺾이는 각도가 추가됨으로써, 러더 블레이드(20)와 플랩부(30)에 더 큰 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선체(1)가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다 신속하게 선회할 수 있다.
제1 기어부(50)는,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랩부(30)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기어부(50)가 회전함에 따라 플랩부(30)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기어부(50)는 플랩부(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기어부(50)는 공장에서 제조되는 과정에서 플랩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기어부(60)는, 제1 기어부(50)와 곡형부(42) 사이에 배치되며,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곡형부(42)의 래크에 기어결합되어 곡형부(42)를 따라 이동하도록 러더 블레이드(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기어부(70)는, 제1 기어부(50)와 제2 기어부(60) 사이에 배치되며,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제1 기어부(50)와 제2 기어부(60)에 각각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러더 블레이드(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는, 한 쌍이 서로 맞물려서 두 축(즉, 러더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 및 플랩부(30)의 회전 중심축(X2)) 사이에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곡형부(42)와 제1 기어부(5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부(60)는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할 때마다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곡형부(4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3 기어부(70)는 제2 기어부(60)와 맞물려서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기어부(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참조)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부(30)가 러더 블레이드(2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는 선체(1)의 저면과 이격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는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에 대향하는 선체(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지지부(40)는 본 실시예와 달리 러더 블레이드(20)의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부(50),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어(spur) 기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다른 실시예(101)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선박용 러더를 A-A 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기어부(50)가 곡형부(42)의 래크에 직접 외접하여 배치되는 것과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가 생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의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부(50)가 곡형부(42)의 래크에 외접하여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부(50)는, 제2 기어부(60) 및 제3 기어부(70) 없이도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할 때마다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곡형부(4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어부(50)가 회전함에 따라 플랩부(30)도 연동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참조)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부(30)가 러더 블레이드(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들(100, 101, 도 3 및 도 4 참조)에 따르면, 종래의 플랩형 러더에 비해 러더 블레이드에 힌지결합되는 플랩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링크장치의 크기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러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각도에 더해서 플랩부의 꺾이는 각도가 추가됨으로써, 러더 블레이드와 플랩부에 더 큰 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이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다 신속하게 선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2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B-B 선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200)는 러더 스톡(10), 러더 블레이드(20), 플랩부(30), 지지부(210), 제1 기어부(220), 제2 기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러더 스톡(10), 러더 블레이드(20), 플랩부(30)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용 러더(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유사함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더(200)는 지지부(210), 제1 기어부(220) 및 제2 기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의 저면에 형성되며,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에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곡형부(212)는,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을 중심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부(212)가 회전 중심축(X1)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형부(212)의 길이는, 러더 블레이드(20)의 선체(1)에 대한 최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러더 블레이드(20)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곡형부(212)의 길이도 이에 대응하여 커질 수 있으며, 러더 블레이드(20)의 최대 회전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곡형부(212)의 길이도 이에 대응하여 작아질 수 있다.
곡형부(212)의 양측부에는, 후술하는 제1 기어부(220)가 곡형부(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형부(212)에 톱니형상을 가진 래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기어부(220)는,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시, 제1 기어부(220)의 상부가 곡형부(212)에 내접하여 곡형부(212)를 따라 이동하도록 러더 블레이드(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어부(220)는 선체(1)의 저면과 이격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기어부(220)는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할 때마다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곡형부(2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기어부(220)의 하부에 치합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부(230)는, 러더 블레이드(20)의 회전 중심축(X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기어부(230)가 회전함에 따라 플랩부(30)도 연동되어 회전하기때문에, 러더 블레이드(20)가 회전하는 방향(도 6의 화살표 참조)과 동일한 방향으로 플랩부(30)가 러더 블레이드(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부(230)는, 제1 기어부(220)의 하부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플랩부(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부(230)는 지지부(210)와 이격된다.
이 경우, 제2 기어부(230)는 플랩부(3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기어부(230)는 제조과정에서 플랩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기어부(220) 및 제2 기어부(230)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어(spur) 기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플랩형 러더에 비해 러더 블레이드에 힌지결합되는 플랩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링크장치의 크기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러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각도에 더해서 플랩부의 꺾이는 각도가 추가됨으로써, 러더 블레이드와 플랩부에 더 큰 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이 선회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다 신속하게 선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선체 100, 200 : 선박용 러더
10 : 러더 스톡 20 : 러더 블레이드
30: 플랩부 40 : 지지부
42 : 곡형부 50 : 제1 기어부
60 : 제2 기어부 70 : 제3 기어부
210 : 지지부 212 : 곡형부
220 : 제1 기어부 230 : 제2 기어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선체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더 블레이드 및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힌지결합되는 플랩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에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는 곡형부를 구비한 지지부;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상부가 상기 곡형부에 내접하여 상기 곡형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의 하부에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형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에 기어결합되는 래크가 형성되되,
    상기 곡형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기어부의 상부는 상기 곡형부에 내접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 기어부의 하부는 상기 제2 기어부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2 기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랩부도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러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플랩부가 상기 러더 블레이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러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어(spur)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러더.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형부의 길이는,
    상기 러더 블레이드의 상기 선체에 대한 최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러더.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형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곡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러더.
KR1020110016698A 2011-02-24 2011-02-24 선박용 러더 KR10127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98A KR101271690B1 (ko) 2011-02-24 2011-02-24 선박용 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98A KR101271690B1 (ko) 2011-02-24 2011-02-24 선박용 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34A KR20120097234A (ko) 2012-09-03
KR101271690B1 true KR101271690B1 (ko) 2013-06-04

Family

ID=4710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98A KR101271690B1 (ko) 2011-02-24 2011-02-24 선박용 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4610B1 (en) * 2013-03-07 2013-11-19 Corning Townsend Spring loaded geared flap rudder
US20140251197A1 (en) * 2013-03-07 2014-09-11 Corning Townsend Spring-loaded geared flap structure
CN108725732A (zh) * 2018-06-13 2018-11-0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变式鱼尾舵
KR102054241B1 (ko) * 2019-06-28 2019-12-10 이상욱 플랩 러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498A (ja) * 1982-03-24 1983-09-29 Keisebun:Kk
JPS62181999A (ja) * 1986-02-06 1987-08-10 Taiyo Giken Kk 船舶フラツプ舵のフラツプ駆動機構
KR960013934A (ko) * 1994-10-21 1996-05-22 카, 안드레아 · 힐비히 선박을 위해 주동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적극적 조정기구로서 사용가능한 장치
US20100269745A1 (en) 2009-04-22 2010-10-28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Rudder f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498A (ja) * 1982-03-24 1983-09-29 Keisebun:Kk
JPS62181999A (ja) * 1986-02-06 1987-08-10 Taiyo Giken Kk 船舶フラツプ舵のフラツプ駆動機構
KR960013934A (ko) * 1994-10-21 1996-05-22 카, 안드레아 · 힐비히 선박을 위해 주동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적극적 조정기구로서 사용가능한 장치
US20100269745A1 (en) 2009-04-22 2010-10-28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Rudder f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34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90B1 (ko) 선박용 러더
KR102255356B1 (ko)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JP3174444U (ja) 電動船外機
KR101334566B1 (ko) 3절 링크 벡터추진기
CN102844235A (zh) 船舶用推进装置
US7418912B2 (en) Steering system and an associated vessel
KR101259079B1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20127659A (ko) 선박용 추진 장치
EP3507189B1 (en) Stabilizer fin for a watercraft
KR20070109731A (ko) 나선형 스크류와 이를 이용한 선박
JP2012081899A (ja) 船舶推進装置
CN100497087C (zh) 船舶舵/翼舵任意转角比传动装置
KR101523729B1 (ko) 러더 어셈블리
JP2016147549A (ja) 水陸両用車
KR101148065B1 (ko) 반전기어세트를 가지는 선박
CN101007567A (zh) 一种可侧向推进并能减少兴波阻力的船舶
KR100495257B1 (ko) 선박 방향타의 보조타 구동장치
WO2004113162A1 (en) Outboard drive for boats
EP0640052B1 (en) Propeller drive for boats
JP4448524B2 (ja) 一軸二舵システム
KR101236944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30055875A (ko) 타면적이 증가되는 선박용 러더
KR101335256B1 (ko) 터널식 스러스터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168280B1 (ko) 선박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KR101177881B1 (ko) 선박용 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