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07B1 -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07B1
KR101271607B1 KR1020130039136A KR20130039136A KR101271607B1 KR 101271607 B1 KR101271607 B1 KR 101271607B1 KR 1020130039136 A KR1020130039136 A KR 1020130039136A KR 20130039136 A KR20130039136 A KR 20130039136A KR 101271607 B1 KR101271607 B1 KR 10127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lide housing
window glass
leaf spring
spr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3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이 예상될 때 인출하여 유리표면에 접착시켜 둠으로써 강풍에 의한 창문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슬라이드하우징(40)을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커버(30)를 유리창프레임(20)에 설치하고, 창문유리(22)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밴드(60)가 감긴 드럼(50)을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며, 드럼(50)에 설치된 드럼기어(52)와 맞물린 평기어(54)를 갖는 회전노브(56)를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고, 하우징커버(30)에 설치된 너트(32)와 결합되는 이송스크류(42)를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며, 이송스크류(42)의 단부에 형성된 공구결합홈(44)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멍(46)을 슬라이드하우징(40)에 형성하고, 접착밴드(60)의 선단에 밴드인출손잡이(62)를 설치하며, 유리창프레임(20)의 하부 정면에 스프링가이드(70)를 설치하고, 판스프링걸림쇠(80)를 스프링가이드(70)에 설치하며,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에 걸리는 인출제한스토퍼(82)를 판스프링걸림쇠(80)에 절곡형성하고, 스프링가이드(70)에 형성된 인출용걸림구멍(72)과 수납용걸림구멍(74)에 번갈아 걸리는 일방향걸림편(84)을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하며, 후크부(86)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 전방측 단부에 형성하고, 측방향밀림방지홈(64)과 절곡편(88)을 밴드인출손잡이(62)와 후크부(86)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Architectural Window Glass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해 창문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이용하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창문프레임 속에 감아서 수납시키고 강풍이 예상될 때 인출하여 유리표면에 접착시켜 둠으로써 강풍에 의한 창문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창문은 사각틀 형태의 창문프레임 안쪽에 평판형으로 된 유리판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레일이 설치된 창틀프레임의 안쪽에 창문프레임이 삽입되어 미닫이 형태로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리창문은 강풍시에 유리창으로 풍압이 정면으로 작용되는 경우 유리가 갑자기 파손되어 실내로 유리파편이 튀면서 매우 위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리표면에 접착테이프를 엑스(X)자 모양 또는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부착하거나 유리표면에 물을 뿌리고 신문지 등을 유리표면에 뭍은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해서 부착하여 유리창의 파손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시간을 타투는 급한 상황에서는 신속히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국내특허 출원번호 제10-2011-0131431호(명칭: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유리창문의 실내측 좌측벽과 우측벽을 가로지르는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행거를 좌측벽과 우측벽에 설치하고,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을 파이프행거의 외측에 결합하며, 유리창문의 실내측에서 좌우방향으로 펼치거나 접기 위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신축이 자유로운 팬터그래프기구에 의해 연결하고,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에 미끄럼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시를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에 설치하며, 수직프레임과 유리창문 사이에 위치되어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패드를 수직프레임에 탈부착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강풍이 예상될 때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의 양단을 좌측벽과 우측벽에 설치된 파이프행거에 끼우도록 되어 있으나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 수직프레임, 팬터그래프기구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설치에 매우 큰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을 마치고 보관할 때에는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를 수직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분리되고 접은 상태라도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큰 힘(근력)을 들이지 않더라도 유리창문의 보강을 위한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보관시 별다른 점유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하우징을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커버를 유리창프레임의 상부 정면에 설치하고, 창문유리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밴드가 감긴 드럼을 슬라이드하우징에 설치하며, 드럼의 일측에 설치된 드럼기어와 맞물린 평기어를 갖는 회전노브를 슬라이드하우징의 정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하우징커버에 설치된 너트와 결합되는 이송스크류를 슬라이드하우징에 설치하며, 이송스크류의 단부에 형성된 공구결합홈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멍을 슬라이드하우징의 정면에 형성하고, 접착밴드의 선단에 밴드인출손잡이를 설치하며, 유리창프레임의 하부 정면에 스프링가이드를 설치하고,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판스프링걸림쇠를 스프링가이드에 설치하며, 스프링가이드의 후단에 걸리는 인출제한스토퍼를 판스프링걸림쇠의 상부에 절곡형성하고, 스프링가이드의 바닥면에 형성된 인출용걸림구멍과 수납용걸림구멍에 번갈아 걸리는 일방향걸림편을 판스프링걸림쇠의 하부에 형성하며, 밴드인출손잡이를 걸기위한 후크부를 판스프링걸림쇠의 상부 전방측 단부에 형성하고, 상호 결합되는 측방향밀림방지홈과 절곡편을 밴드인출손잡이와 후크부에 각각 형성하여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강풍이 예상될 때 드럼에 감긴 접착밴드를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인출하여 창문유리 표면에 부착하여 보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 약간 돌출되는 슬라이드하우징과 판스프링걸림쇠를 사용 후 하우징커버와 스프링가이드에 의해 유리창프레임 속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리창을 여닫는데 아무런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제한걸림편에 의해 돌출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판스프링걸림쇠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제한스토퍼에 의해 판스프링걸림쇠도 일정한 거리로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판스프링걸림쇠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걸림편이 스프링가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용걸림구멍과 수납용걸림구멍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걸림쇠이 자연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하우징의 인출 또는 수납시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송스크류 선단에 형성된 공구결합홈에 결합해서 이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핸들을 둘 필요가 없어 외관이 거추장스럽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하우징이 이송스크류에 의해 하우징커버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밴드인출손잡이에 의해 접착밴드가 풀리는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노브에 의해 접착밴드가 드럼에 감기는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하우징이 이송스크류에 의해 슬라이드하우징의 내측으로 진입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밴드인출손잡이를 후크부에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판스프링걸림쇠가 인출제한 길이까지 돌출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밴드인출손잡이가 판스프링걸림쇠에 걸린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판스프링걸림쇠를 스프링가이드에 밀어 넣기 전에 우선 일방향걸림편을 해제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걸림쇠가 스프링가이드에 진입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하우징과 하우징커버 및 드럼의 주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10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걸림쇠과 스프링가이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스크류와 스냅링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노브와 측판의 결합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인출손잡이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걸림쇠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가이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하우징(40)을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커버(30)를 유리창프레임(20)의 상부 정면에 설치하고, 창문유리(22)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밴드(60)가 감긴 드럼(50)을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며, 드럼(50)의 일측에 설치된 드럼기어(52)와 맞물린 평기어(54)를 갖는 회전노브(56)를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정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하우징커버(30)에 설치된 너트(32)와 결합되는 이송스크류(42)를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한다.
상기 접착밴드(60)는 창문유리(22)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형성되며, 천이나 비닐 등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유리창프레임(20)의 정면에 형성된 장방형상부구멍(24)으로 삽입하여 유리창프레임(20)의 내측 공간으로 진입시켜서 설치하며, 하우징커버(30)와 유리창프레임(20)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커버(30)의 전방측 상하부에 사각플랜지(34)를 형성하고, 유리창프레임(20)에 형성된 장방형상부구멍(24)의 상하부에는 사각플랜지(34)의 두께만큼 안쪽으로 밀려서 가공된 플랜지결합부(26)를 유리창프레임(20)에 형성하여 사각플랜지(34)와 플랜지결합부(26)의 밀착 후 동시 가공된 리벳구멍(34a)(26a)에 블라인드리벳(28)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슬라이드하우징(40)은 배면이 개방된 상자형태로 형성하며, 드럼(50)과 회전노브(56)의 조립을 위해 슬라이드하우징(40)은 절곡판(41)과 두 개의 측판(43)(45)으로 이루어진 분리된 상태로 만든 다음 측판(43)(45)에 형성된 원형구멍(43h)(45h)에 드럼(50)과 회전노브(56)를 조립한 상태에서 절곡판(41)과 측판(43)(45)을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또, 첨부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측판(45)에는 회전노브(56)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보스(45b)를 형성하며, 회전노브(56)를 정면으로 일부분 노출시키기 위한 노브구멍(47)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일측에 타공한다.
또한, 슬라이드하우징(40)이 전방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돌출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하우징커버(30)에 형성된 사각플랜지(34)의 안쪽면에 걸리는 돌출제한걸림편(48a)(48b)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상하부에 형성하며, 접착밴드(60)를 하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폭이 좁고 긴 밴드인출구멍(49)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하부에 형성하며, 이러한 밴드인출구멍(49)은 접착밴드(60)는 통과시키지만 밴드인출손잡이(62)는 걸리도록 구멍크기를 결정하여 정한다.
그리고, 접착밴드(60)의 선단에 설치된 밴드인출손잡이(62)가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저면에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하우징(40)이 하우징커버(30) 내측으로 진입될 때 간섭되지 못하도록 하우징커버(30)의 하측에 간섭방지커팅홈(36)을 형성한다.
또, 밴드인출손잡이(62)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일정하게 연속하는 예를 들어서, "L"자 모양의 단면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밴드(60)를 삽입하여 접착하기 위한 밴드결합홈(62a)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스크류(42)의 단부에는 육각렌치(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결합홈(44)을 형성하고, 이 공구결합홈(44)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멍(46)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정면에 형성하며, 접착밴드(60)의 선단에 밴드인출손잡이(62)를 설치한다.
또한, 이송스크류(42)를 지지하기 위해 슬라이드하우징(40)의 상부에 하측으로 절곡된 지지편(40a)을 형성하여 슬라이드하우징(40)에 형성된 노출구멍(46)과 함께 이송스크류(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이송스크류(42)의 조립은 슬라이드하우징(40)의 후방측에서 이루어지며, 노출구멍(46)과 중심이 일치되는 회전안내구멍(40b)을 지지편(40a)에 형성하여 지지편(40a)에 형성된 회전안내구멍(40b)을 관통해서 노출구멍(46)에 삽입하며, 이송스크류(42)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스크류(42)에 멈춤홈(42a)(42b)을 형성하고, 노출구멍(46)이 형성된 슬라이드하우징(40)의 안쪽면과 지지편(40a)의 정면에 걸리는 스냅링(42c)(42d)을 멈춤홈(42a)(42b)에 끼워서 이송스크류(42)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 하우징커버(30)에 설치된 너트(32)는 이송스크류(42)가 회전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으로 형성한다.
한편, 유리창프레임(20)의 하부 정면에 스프링가이드(70)를 설치하고,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판스프링걸림쇠(80)를 스프링가이드(70)에 설치하며,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에 걸리는 인출제한스토퍼(82)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에 절곡형성하고, 스프링가이드(70)의 바닥면에 형성된 인출용걸림구멍(72)과 수납용걸림구멍(74)에 번갈아 걸리는 일방향걸림편(84)을 판스프링걸림쇠(80)의 하부에 형성하며, 밴드인출손잡이(62)를 걸기위한 후크부(86)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 전방측 단부에 형성하고, 상호 결합되는 측방향밀림방지홈(64)과 절곡편(88)을 밴드인출손잡이(62)와 후크부(86)에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인출제한스토퍼(82)는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된 후크부(86)에 밴드인출손잡이(62)를 걸기 위해 후크부(86)와 스프링가이드(7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판스프링걸림쇠(80)을 전방측으로 인출할 때 판스프링걸림쇠(80)의 인출길이를 제한함으로써 판스프링걸림쇠(80)이 과도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가이드(70)는 유리창프레임(20)의 정면에 형성된 장방형하부구멍(25)으로 삽입하여 유리창프레임(20)의 내측 공간으로 진입시켜서 설치하며, 스프링가이드(70)와 유리창프레임(20)의 결합을 위해 스프링가이드(70)의 전방측 상하부에 결합플랜지(76)를 형성하고, 유리창프레임(20)에 형성된 장방형하부구멍(25)의 상하부에는 결합플랜지(27)의 두께만큼 안쪽으로 밀려서 가공된 플랜지결합홈(27)를 유리창프레임(20)에 형성하고, 결합플랜지(76)와 플랜지결합홈(27)의 밀착 후 동시 가공된 리벳구멍(27b)(76b)에 블라인드리벳(29)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판스프링걸림쇠(80)의 후단부에는 원형절곡부(81)를 형성하여 판스프링걸림쇠(80)를 오므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며,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된 인출제한스토퍼(82)는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또, 판스프링걸림쇠(80)의 전방측 하측단부에는 원형으로 말린 컬링부(83)를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동시에 사용시 날카로운 부위에 의해 베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가이드(70)의 전방측 상하부에는 판스프링걸림쇠(80)이 안쪽으로 진입되었을 때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된 후크부(86)와 컬링부(83)가 위치되는 자리파기홈(77)(78)을 형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은 창틀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풍이 예상되어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유리(22)를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창문유리(22)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 유리창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하우징(40)을 돌출시키기 위해 슬라이드하우징(40)의 노출구멍(46)에 위치되어 있는 이송스크류(42)의 공구결합홈(44)에 육각렌치(도시생략)를 결합해서 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이송스크류(42)를 회전시키게 되면, 슬라이드하우징(40)이 하우징커버(3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즉, 이송스크류(42)가 회전되면서 하우징커버(30)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3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송되면, 슬라이드하우징(40)이 스냅링(42c)(42d)에 걸려서 이송스크류(42)와 함께 돌출된다.
이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제한걸림편(48a)(48b)이 하우징커버(30)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플랜지(34)에 걸리게 되면, 슬라이드하우징(40)의 돌출이 멈추게 된다.
또, 슬라이드하우징(40)과 함께 판스프링걸림쇠(80)도 유리창프레임(20)으로부터 인출하여야 되는데,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가이드(70)에 형성된 자리파기홈(77)(78)에 손가락을 넣어서 판스프링걸림쇠(80)의 선단을 손으로 잡아서 오므리게 되면,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걸림편(84)이 수납용걸림구멍(74)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판스프링걸림쇠(80)를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판스프링걸림쇠(80)가 스프링가이드(70)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제한스토퍼(82)가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부에 걸리면, 판스프링걸림쇠(80)가 멈추면서 인출길이가 제한된다.
또, 판스프링걸림쇠(8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절곡부(81)는 판스프링걸림쇠(80)를 오므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오므릴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걸림쇠(80)을 앞으로 인출한 다음 밴드인출손잡이(62)를 이용해서 접착밴드(60)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드럼(50)에 감겨 있는 접착밴드(60)가 드럼(50)으로부터 풀려서 슬라이드하우징(40)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인출구멍(49)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밴드인출손잡이(62)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86)까지 하강시킨 다음 후크부(86)에 끼워서 걸게 되면, 후크부(86)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편(88)이 밴드인출손잡이(62)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밀림방지홈(64)에 결합되어 밴드인출손잡이(62)가 좌우측방향으로 밀려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즉,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제한스토퍼(82)가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부에 걸리도록 판스프링걸림쇠(80)을 제한 길이까지 인출하였을 때 스프링가이드(70)와 후크부(86) 사이로 밴드인출손잡이(62)가 진입할 수 있는 폭의 공간이 확보되어 밴드인출손잡이(62)를 후크부(86)에 끼울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판스프링걸림쇠(80)를 스프링가이드(70)의 안쪽으로 밀게 되면, 일방향걸림편(84)이 인출용걸림구멍(72)에 일치되는 순간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걸림편(8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인출용걸림구멍(72)에 걸리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들리게 되는데, 이때 판스프링걸림쇠(80)로부터 미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접착밴드(60)를 판스프링걸림쇠(80)에 거는 작업이 완료된다.
또, 접착밴드(60)가 도시예에서와 같이 다열로 설치된 경우 모두 인출하여 판스프링걸림쇠(80)에 걸면 되며, 이때 모든 접착밴드(60)를 창문유리(22) 표면으로 눌러서 접착하게 되면, 접착밴드(60)에 의해 창문유리(22)의 강도가 보강되어 강풍에 견디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용을 마친 접착밴드(60)를 드럼(50)에 감아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걸림쇠(80)를 오므리게 되면, 일방향걸림편(84)이 인출용걸림구멍(7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걸림이 해제되는데, 이 상태로 판스프링걸림쇠(80)을 잡아당기게 되면, 인출제한스토퍼(82)가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부에 걸리면서 스프링가이드(70)와 후크부(86) 사이에 밴드인출손잡이(62)를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후크부(86)로부터 밴드인출손잡이(62)를 분리한 다음 판스프링걸림쇠(80)를 스프링가이드(70)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판스프링걸림쇠(80)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86), 절곡편(88) 및 컬링부(83)가 자리파기홈(77)(78)으로 진입되며, 판스프링걸림쇠(8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걸림편(84)은 수납용걸림구멍(74)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창문유리(22)에 접착되어 있던 접착밴드(60)를 창문유리(22) 표면으로부터 떼어낸 다음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정면에 형성된 노브구멍(47)으로 일부 노출되어 있는 회전노브(56)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노브(56)의 회전력이 평기어(54)를 통해 드럼기어(52)로 전달되면서 드럼(50)이 회전되어 접착밴드(60)가 드럼(50)에 감기게 된다.
이후 접착밴드(6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던 밴드인출손잡이(62)가 슬라이드하우징(40) 저면에 걸리게 되면, 드럼(50)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드하우징(40)을 하우징커버(30) 내측으로 진입시키기 위해 이송스크류(4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공구결합홈(44)에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결합하고 도 5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스크류(42)에 의해 슬라이드하우징(40)이 하우징커버(30) 내측으로 진입되어 수납된다.
이때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저면에 걸려 있는 밴드인출손잡이(62)는 하우징커버(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간섭방지커팅홈(36)에 의해 걸리지 않고 무사히 하우징커버(3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하우징(40)은 하우징커버(30) 내측으로 진입되고, 판스프링걸림쇠(80)는 스프링가이드(70) 내측으로 진입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유리(22)를 개폐하는데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 유리창프레임 21 : 창틀프레임
22 : 창문유리 24 : 장방형상부구멍
25 : 장방형하부구멍 26 : 플랜지결합부
27 : 플랜지결합홈 26a,34a,27b,76b : 리벳구멍
28,29 : 블라인드리벳 30 : 하우징커버
32 : 너트 34 : 사각플랜지
36 : 간섭방지커팅홈 40 : 슬라이드하우징
40a : 지지편 40b : 회전안내구멍
41 : 절곡판 42 : 이송스크류
42a,42b : 멈춤홈 42c,42d : 스냅링
43,45 : 측판 45b : 원형보스
43h,45h : 원형구멍 44 : 공구결합홈
46 : 노출구멍 47 : 노브구멍
48a,48b : 돌출제한걸림편 49 : 밴드인출구멍
50 : 드럼 52 : 드럼기어
54 : 평기어 56 : 회전노브
60 : 접착밴드 62 : 밴드인출손잡이
62a : 밴드결합홈 64 : 측방향밀림방지홈
70 : 스프링가이드 72 : 인출용걸림구멍
74 : 수납용걸림구멍 76 : 결합플랜지
77,78 : 자리파기홈 80 : 판스프링걸림쇠
81 : 원형절곡부 82 : 인출제한스토퍼
83 : 컬링부 84 : 일방향걸림편
86 : 후크부 88 : 절곡편

Claims (1)

  1. 슬라이드하우징(40)을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커버(30)를 유리창프레임(20)의 상부 정면에 설치하고, 창문유리(22)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밴드(60)가 감긴 드럼(50)을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며, 드럼(50)의 일측에 설치된 드럼기어(52)와 맞물린 평기어(54)를 갖는 회전노브(56)를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정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하우징커버(30)에 설치된 너트(32)와 결합되는 이송스크류(42)를 슬라이드하우징(40)에 설치하며, 이송스크류(42)의 단부에 형성된 공구결합홈(44)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구멍(46)을 슬라이드하우징(40)의 정면에 형성하고, 접착밴드(60)의 선단에 밴드인출손잡이(62)를 설치하며, 유리창프레임(20)의 하부 정면에 스프링가이드(70)를 설치하고,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판스프링걸림쇠(80)를 스프링가이드(70)에 설치하며, 스프링가이드(70)의 후단에 걸리는 인출제한스토퍼(82)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에 절곡형성하고, 스프링가이드(70)의 바닥면에 형성된 인출용걸림구멍(72)과 수납용걸림구멍(74)에 번갈아 걸리는 일방향걸림편(84)을 판스프링걸림쇠(80)의 하부에 형성하며, 밴드인출손잡이(62)를 걸기위한 후크부(86)를 판스프링걸림쇠(80)의 상부 전방측 단부에 형성하고, 상호 결합되는 측방향밀림방지홈(64)과 절곡편(88)을 밴드인출손잡이(62)와 후크부(86)에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KR1020130039136A 2013-04-10 2013-04-10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KR10127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36A KR101271607B1 (ko) 2013-04-10 2013-04-10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36A KR101271607B1 (ko) 2013-04-10 2013-04-10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607B1 true KR101271607B1 (ko) 2013-06-11

Family

ID=4886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136A KR101271607B1 (ko) 2013-04-10 2013-04-10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430A1 (en) * 2006-07-14 2008-01-17 Ya Li Lin Shade without threading cords
KR20100006095A (ko) * 2008-07-08 2010-01-18 고영일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20120046958A (ko) *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스크린셔터형 도어의 바람차단장치
KR101217542B1 (ko) * 2012-10-16 2013-01-02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창호시설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1430A1 (en) * 2006-07-14 2008-01-17 Ya Li Lin Shade without threading cords
KR20100006095A (ko) * 2008-07-08 2010-01-18 고영일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20120046958A (ko) *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스크린셔터형 도어의 바람차단장치
KR101217542B1 (ko) * 2012-10-16 2013-01-02 주식회사 화신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창호시설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CA2782425C (en) Screen frame grasping and removal system
GB2470819A (en) Fabric gate
KR101856158B1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US8973216B1 (en) Grommet
KR101271607B1 (ko) 건축용 창문유리 보호장치
KR20090109519A (ko)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커버
KR200432787Y1 (ko) 테이프 커팅기의 커팅장치 개폐도어
US9994412B1 (en) Dispenser for rolled foil and wall assembly of same
KR102024040B1 (ko) 다기능 줄자
KR101660599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TWM516925U (zh) 羅曼簾掣捲繩之雙用安全繩扣
RU919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клейкой ленты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тери ее окончания
JP6419682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CN209019009U (zh) 一种可多次使用的便携式牙线用具
TW201404281A (zh) 機櫃
US20190024450A1 (en) Quick release idle end for a roller blind
JP5364415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KR102282220B1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CN215755764U (zh) 一种收线装置
JP6607658B2 (ja) プッシュラッチ付引戸クローザー
JP6964015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CN217044098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机器人折弯装置
WO2024093007A1 (zh) 一种简易安装的穿绳窗帘
KR101117518B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