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18B1 -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 Google Patents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18B1
KR101117518B1 KR1020090049358A KR20090049358A KR101117518B1 KR 101117518 B1 KR101117518 B1 KR 101117518B1 KR 1020090049358 A KR1020090049358 A KR 1020090049358A KR 20090049358 A KR20090049358 A KR 20090049358A KR 101117518 B1 KR101117518 B1 KR 10111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rames
doo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348A (ko
Inventor
윤일
Original Assignee
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 filed Critical 윤일
Priority to KR102009004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에 형성된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 인출홈이 형성된 상, 하 프레임; 상기 상, 하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결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 인출홈이 형성된 좌, 우 프레임; 상기 상, 하 프레임 및 좌, 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부에 구비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양단부가 회전 자재(自在)하게 결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롤을 지지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권취수단; 및 일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인출홈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장식막;를 포함한다.
도어, 장식막, 교체, 프레임, 권취수단

Description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DOOR CAPABLE OF REPLACING ORANMENTAL PATTERN}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에 형성된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씽크대, 옷장 등의 가구에 구비되는 도어나, 룸(room) 등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일면 또는 양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다. 이 장식무늬는 도어의 제작단계에서부터 형성되며 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처음에는 장식무늬에 의한 미감에 만족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싫증을 느끼게 된다. 이 상태에 이르렀을 때 사용자는 아직 폐기상태에 이르지 않은 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디자인과 색상이 표현된 가구로 교체하기도 하며, 룸 도어의 경우에도 인테리어 작업을 통해 새로운 룸 도어로 교체하게 된다. 하지만 새로 구입된 가구, 교체된 룸 도어 역시 하나의 도어에 한 종류의 디자인만을 표현하고 있고, 세월이 흐르면 역시 싫증을 느끼게 되어, 결국에는 빈번히 가구를 교체하거나 룸 도어를 교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종래 도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도어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표현되는 장식 무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및 세로 폭이 가변될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 인출홈이 형성된 상, 하 프레임; 상기 상, 하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결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 인출홈이 형성된 좌, 우 프레임; 상기 상, 하 프레임 및 좌, 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부에 구비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양단부가 회전 자재(自在)하게 결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롤을 지지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권취수단; 및 일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인출홈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장식막;를 포함한다.
그리고,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 하 프레임 및 좌, 우 프레임의 이웃하여 결합되는 개방된 각 단부를 통해 일측 및 타측이 삽입되며, 일측 및 타측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이격 형성된 코너 프레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 및 고정홀을 통해 고정 부재가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 하 프레임 사이 및 좌, 우 프레임 사이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홈을 통해 인출되는 장식막의 일측단에는 상기 인출홈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파지봉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봉의 단부에는 상기 장식막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파지봉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봉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의 인출홈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홈의 끝 부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려질 수 있는 걸림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막의 인출에 의해 도어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장식 무늬를 표현할 수 있되, 이러한 장식막의 교체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장식 무늬가 형성된 장식막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은 코너 프레임에 의해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조절될 수 있기 때 문에, 본 발명의 도어가 가구나 룸 출입구 사이즈에 대응하여 쉽게 가변되어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권취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1)는, 도어 프레임(100)과, 수납부(200)와, 장식막(300)이 포함된다.
도어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프레임(110, 120, 130, 140)으로 이루어져, 대체로 사각 형상을 이룬다. 상, 하 프레임(110, 12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좌, 우 프레임(130, 140)은 상하 단부가 상, 하 프레임(110, 120)의 좌우 단부와 연결되면서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 프레임(100)은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공간은 후술할 장식 막(3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의 도어(1)가 가구용 도어로 사용되는 경우 가구 본체(도시 생략)에서 미닫이 될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고, 여닫이 될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은 장식막(300)의 인출 또는 권취에 따라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도어 프레임(100)을 여닫지 않더라도, 가구 본체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막(300)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가구 본체 내부가 개폐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도어 프레임(100)은 가구 본체에서 여닫이 또는 미닫이되지 않게 고정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일측에는 수납부(200)가 형성된다.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은 상술한 공간을 바라보는 면을 말하는 것으로, 상 프레임(110)의 하면, 하 프레임(120)의 상면, 좌 프레임(130)의 우측면 및 우 프레임(140)의 좌측면을 말하며, 이 중 어느 하나가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일측이 된다.
수납부(200)에는 후술할 권취장치(400) 및 이에 권취된 장식막(300)이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수납부(200)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장식막(300)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201)이 형성된다.
수납부(200)의 구체적인 일 예로, 수납몸체(210)와 덮개(220)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수납몸체(210)는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일측(도 2에서는 일 예로 좌 프레임(130)의 우측면을 나타내고 있다)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종 단면 이 대체로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된다.(도 2에서는 일 예로 전방이 개방된 예가 제시된다.)
그리고 덮개(220)는 이 개방 측을 덮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수납몸체(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수납몸체(210)의 수납 공간을 개방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술한 인출홈(201)이 형성될 수 있도록 덮개(220)의 단부와 수납몸체(210)의 단부는 이격되며,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이 인출홈(201)이 된다.
그리고, 덮개(220)의 양단에는 직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막(300)의 상, 하단과 상, 하 프레임(110, 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덮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납부(2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몸체(210)와 덮개(220)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할 장식막(300)의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교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수납부(200) 내부의 수납 공간에는 권취장치(400)가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다. 그리고 이 권취장치(400)에는 장식막(300)이 롤 형태로 말리거나 풀릴 수 있게 구비된다.
장식막(300)은 종이, 가죽, 천, 수지 소재의 막 등 그 소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권취장치(400)에서 롤 형태로 말리거나 풀릴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막(300)은 일면 또는 양면에 장식 무늬가 형성되며, 따라서 도어 프레임(100)의 공간을 가린 상태에서는 일면 또는 양면 방향으로 장식 무늬에 의한 미감(美感)을 제공하게 된다.
장식막(300)은 권취장치(400)에 롤 형태로 말려진 상태에서 풀릴 수 있는데, 풀리는 과정에서 인출홈(201)을 통해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된 상태에서 장식막(300)의 끝단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타측, 즉 상술한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도 1에서는 우 프레임(140)의 우측면이 된다)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은 장식막(30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한편, 장식막(300)이 구비되는 권취장치(400)의 구체적인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권취롤러(410)와 고정체(420)로 이루어진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권취롤러(410)에는 장식막(300)이 그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말려지며, 권취롤러(410)의 양단부에는 고정체(420)가 결합된다. 고정체(420)는 권취롤러(410)의 단부가 회전 자재하게 결합되며, 수납부(200)의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420)의 고정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고정체(420)의 일측에 볼트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볼트 구멍에 대응하여 수납부(200)의 외측면에도 볼트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며, 양 볼트 구멍을 일치시켜 볼트 부재(도시 생략)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 다.
한편, 장식막(300)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장식막(300)를 당기는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권취롤러(410)로 자동으로 권취되는 것이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권취장치(400)는 이를 위해서 탄성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탄성체는 권취롤러(410)가 장식막(300) 인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권취롤러(410)가 장식막(300)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탄성체의 구체적인 일 예로는 도 3에 도시된 토션스프링(430)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스프링(430)의 결합 구조로는 고정체(420)의 내부로 권취롤러(41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430)의 일단이 권취롤러(41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체(42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는 권취롤러(410)의 일단부에서만 구비될 수 있고, 양단부에서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권취롤러(4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권취장치(400)에 있어서도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장식막(300)이 롤 형태로 말리거나 풀릴 수 있는 다양한 권취장치(4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권취롤러(41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탄성체가 구비되면, 장식막(300)을 당겨 인출할 때 권취롤러(410)가 인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체에 탄성력이 발생하며, 장식막(300)을 당기는 외력이 제거되면 발생된 이 탄성력에 의해 장식막(300)이 권취될 수 있다.
장식막(300)의 끝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봉(310)이 구비될 수 있다. 파지봉(310)은 장식막(300)을 당겨 인출할 때 당김이 용이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며, 또한, 장식막(300) 끝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인출된 장식막(300)이 굽어짐 없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장식막(300)이 인출되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을 가린 상태에서 장식막(300)의 끝단은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타측에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고정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 내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봉(310)이 구비된 일 예에서는 이 파지봉(310)의 일측에 걸쇠 형상의 걸쇠부(311)가 형성되고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타측에 이 걸쇠부(311)가 걸려질 수 있는 걸이부(101)가 형성되어, 걸쇠부(311)가 걸이부(101)에 걸려짐으로써 장식막(300)의 끝단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면 타측에 고정되는 일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고정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다양한 고정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도어(1)는 도어 프레임(100)의 가로 및 세로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즉 도어 프레임(1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코너 프레임(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가구 본체의 개구된 일측 또는 룸의 출입구는 그 가로 및 세로 폭이 도어 프레임(100)의 그것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1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면 도어 프레임(100)의 폭을 가구 본체의 폭 또는 룸 출입구의 폭에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어 프레임(100)의 상부 좌측의 귀퉁이에 구비되는 코너 프레임(150)를 도시하고 있으며, 비록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코너 프레임(150)은 도어 프레임(100)의 네 귀퉁이에 모두 구비된다.
코너 프레임(150)은 구체적으로 횡 프레임(151)과, 이 횡 프레임(151)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종 프레임(152)으로 이루어져 대체로 'ㄱ'형상을 갖는다.
횡 프레임(151)은 상, 하 프레임(110, 120)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종 프레임(152)은 좌, 우 프레임(130, 140)의 단부에 삽입 결합된다. 코너 프레임(150)이 이처럼 상, 하, 좌, 우 프레임(110, 120, 130, 140)과 결합됨으로써 상, 하 프레임(110, 120) 및 좌, 우 프레임(130, 140)이 서로 연결된다.
코너 프레임(150)이 상, 하, 좌, 우 프레임(110, 120, 130, 140)과 결합되는 구조의 일 예로, 횡 프레임(151) 및 종 프레임(152)의 각 일측면에 체결홀(153)이 형성되고, 상, 하 프레임(110, 120) 및 좌, 우 프레임(130, 140)의 각 일측면에 체결홀(153)에 대응하는 결합홀(102)이 형성되며, 볼트 등의 고정 부재(10)가 체결홀(153) 및 결합홀(102)에 결합됨으로써 코너 프레임(150)과 상, 하, 좌, 우 프레임(110, 120, 130, 140)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때, 도어 프레임(100)의 가로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횡 프레임(151)은 상, 하 프레임(110, 120)에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100)의 세로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종 프레임(152)도 좌, 우 프레임(130, 140) 에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것은 폭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술한 체결홀이 형성된 예에서는 이 체결홀(153)이 횡 프레임(151), 종 프레임(15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너 프레임(150)을 상, 하 프레임(110, 120) 및 좌, 우 프레임(130, 14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입하여, 즉 횡 프레임(151)을 상, 하 프레임(110, 120)으로부터, 종 프레임(152)을 좌, 우 프레임(130, 14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입하여 결합홀(102)을 적당한 위치의 체결홀(153)에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부재(10)로 결합함으로써 도어 프레임(100)의 가로 및 세로 폭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의 도어(1)에서 장식막(300)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을 가리게 되는 여러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막(300)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 전부를 가리되, 가로방향으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인출되는 사용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5(b),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0) 내측 공간을 구획하여 하나의 장식막(300)이 도어 프레임(100) 내측 공간의 일부를 담당하여 가리도록 하는 사용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도어 프레임(100)에는 2 이상의 장식막(300), 권취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200)는 장식막(300)의 크기에 대응하여 2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100)에는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 프레임(1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사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수의 장식막(300) 및 권취장치(400)를 도어 프레임(100)에 구비하면서 장식막(300)이 다양한 방향으로 인출되는 사용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권취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10; 고정 부재
100; 도어 프레임 101; 걸이부
102; 결합홀 110; 상 프레임
120; 하 프레임 130; 좌 프레임
140; 우 프레임 150; 코너 프레임
151; 횡 프레임 152; 종 프레임
153; 체결홀 190; 중간 프레임
200; 수납부 201; 인출홈
210; 수납몸체 220; 덮개
300; 장식막 310; 파지봉
311; 걸쇠부 400; 권취 장치
410; 권취롤러 420; 고정체
430; 토션스프링

Claims (7)

  1.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 하 프레임과, 상기 상, 하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면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좌, 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형상의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인출홈이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 권취장치에 롤 형태로 말리거나 풀릴 수 있게 구비되고,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홈을 통해 인출되며, 인출된 상태에서 끝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내측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리게 되고, 일면 또는 양면에 장식 무늬가 형성된 장식막;이 포함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에서 형성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된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의 개방 측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납몸체에 결합된 상기 덮개의 단부가 마주보는 상기 수납몸체의 단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인출홈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장식막이 권취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포함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네 귀퉁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 하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좌, 우 프레임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종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ㄱ' 형상의 코너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횡 프레임은 상기 상, 하 프레임에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가로 폭이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종 프레임은 상기 좌, 우 프레임에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세로 폭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 및 종 프레임은 상기 상, 하 프레임과 상기 좌, 우 프레임 각각에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상, 하 프레임 및 좌, 우 프레임은,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 및 체결홀로 결합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횡 프레임 및 종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식막의 끝단에는 파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일측에는 걸쇠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 타측에는 상기 걸쇠부가 걸려질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KR1020090049358A 2009-06-04 2009-06-04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KR10111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58A KR101117518B1 (ko) 2009-06-04 2009-06-04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358A KR101117518B1 (ko) 2009-06-04 2009-06-04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348A KR20100095348A (ko) 2010-08-30
KR101117518B1 true KR101117518B1 (ko) 2012-02-24

Family

ID=4275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358A KR101117518B1 (ko) 2009-06-04 2009-06-04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6259A (zh) * 2022-09-13 2022-11-08 陈亚十 一种铝合金门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429A (ja) * 1995-08-22 1997-03-04 Masanobu Yatsugu 遮光具内臓サッシ
KR200329031Y1 (ko) 2003-07-08 2003-10-04 강춘표 방충용 도어
KR200353784Y1 (ko) * 2004-03-29 2004-06-22 동양토탈 주식회사 도어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429A (ja) * 1995-08-22 1997-03-04 Masanobu Yatsugu 遮光具内臓サッシ
KR200329031Y1 (ko) 2003-07-08 2003-10-04 강춘표 방충용 도어
KR200353784Y1 (ko) * 2004-03-29 2004-06-22 동양토탈 주식회사 도어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348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3320B1 (en) Extendable roller screen for a window
US20160265275A1 (en) Consumable and disposable cartridges for laminar screens featuring straight and curved shapes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KR101117518B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가능한 도어
ITUB20151071A1 (it) Sistema perfezionato di tenuta laterale per schermature avvolgibili come ad esempio zanzariere e tende a rete
KR200205906Y1 (ko)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ITBO20100339A1 (it) Zanzariera avvolgibile a scorrimento orizzontale per porte e finestre
JP6741604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KR102282220B1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JP2574321Y2 (ja) ロール式網戸を構成する網の端部支持装置
ITRE980056A1 (it) Cabina doccia con pareti a scomparsa.
JP3056147B2 (ja) 網戸装置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JPH08151876A (ja) カ−テン網戸付横引サッシ
KR20010096441A (ko)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200446324Y1 (ko) 부품보관함
AU2010101394A4 (en) Retractable screen assembly
KR20100117756A (ko) 출입문용 방충망
US10791863B2 (en) Cordless covering for sliding glass doors and large windows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20110009619U (ko) 하단바 접이식 방충망 프레임
JPS5918070Y2 (ja) アコ−デオン式カ−テンの折畳み牽引装置
JP2007107336A (ja) シャッ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