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41A -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41A
KR20010096441A KR1020000037680A KR20000037680A KR20010096441A KR 20010096441 A KR20010096441 A KR 20010096441A KR 1020000037680 A KR1020000037680 A KR 1020000037680A KR 20000037680 A KR20000037680 A KR 20000037680A KR 20010096441 A KR20010096441 A KR 20010096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roove
handle
use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김기혁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2020000018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06Y1/ko
Publication of KR2001009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4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창문(20)와 창틀(10) 및 도어를 포함한 창호에 있어서, 일측에는 수납함(30)이 설치되며 창문(20)이 유도되는 레일홈(12) 사이에 유도홈(14)과 고정돌기(16)가 형성된 창틀(10)과, 수납함(30)내에 말려져 내장되어 확장되거나 탄성복원이 가능하며 유도홈(14)을 따라 창문(20)과 연동되기 위한 견인홈(42)이 측단부에 형성된 다용도막(40)과, 하단부가 고정돌기(16)에 걸릴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견인홈(42)에 걸리도록 형성된 견인걸쇠(24)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창문(20)에 형성된 관통홈(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설되는 손잡이(22)가 일체로 형성된 괘해정구(26)를 내설한 창문(20)을 포함하여 형성된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써, 필요시 창호에 방충기능과 차광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창문이 개방시에도 그 위치를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고정장치의 고급화로 인하여 상품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WINDOWS AND DOORS SYSTEM HAVING GUARDING INSECT AND SUNSHADING FUNCTION MULTIPLE THEREOF}
본 발명은 창호의 창문와 창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충 및 차광기능 등을 가지는 다기능의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와 창틀 및 도어를 포함한 창호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창문와 창틀이 설치된 건축물에서 필요시 개방되는 경우에는 창틀로부터 창문를 미닫거나 여닫도록 설계된다.
상기한 종래의 창호에는 외부와의 차단기능외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근래에는 방충 및 차광기능을 갖는 창문이 설치된다.
상기 다양한 기능중 방충기능을 겸비한 창호는, 창문의 외측으로 방충그물을 가지는 창틀이 별도로 설치되어 창문이 외부와 개방되는 경우에 공기의 소통은 가능하지만 벌레나 기타 날곤충이 내부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창호에 차광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튼을 창문 내측으로 설치한다.
상기한 방충창호는 설치후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여 전망을 해치거나 지속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며 샤시로 영구설치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상기의커튼은 창문이 열린경우 바람에 날리게 되어 차광기능을 완벽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창틀 일측에 방충 및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을 수납하는 수납함을 설치하여 창문에 선택적으로 연설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자유로이 방충 및 차광기능을 수행가능한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충 및 차광기능이외에도 창문이 열리는 경우에도 임의로 창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다기능의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과제는, 창문와 창틀 및 도어를 포함한 창호의 일측에는 수납함이 설치되며 상기 창문이 유도되는 레일홈 사이에 유도홈과 고정돌기가 형성된 창틀과, 상기 수납함내에 말려져 내장되어 확장되거나 탄성복원이 가능하며 상기 유도홈을 따라 상기 창문과 연동되기 위한 견인홈이 측단부에 형성된 다용도막과, 하강시 하단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지며 상기 견인홈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견인걸쇠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관통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설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괘해정구를 내설한 창문을 포함하여 형성된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막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막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용도막이 설치되는 원통구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괘해정구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괘해정구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틀 16 : 고정돌기
20 : 창문 21 : 관통홈
22 : 손잡이 23 : 설치홈
24 : 견인걸쇠 26 : 괘해정구
30 : 수납함 40 : 다용도막
42 : 견인홈 44 : 버팀편
45 : 프레임 46 : 중심축
48 : 원통구 49 : 탄성부재
50 : 고정구 52 : 지지편
54 : 고정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창호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창틀(10) 일측에는 방충기능이나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막(40)이 내설되는 수납함(30)이 설치된다. 본 수납함(30)은 개방이 가능하도록 도어(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35)는 창호를 건축물에 설치후 내설되는 다용도막(40)의 교체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다용도막(40)은 방충을 위한 그물창이거나 차광을 위한 스크린으로 형성가능하고, 수납함(30)에 축설되는 중심축(46)에 감져져 설치되는 상기 다용도막(40)은 통상의 리트랙팅(retracting)장치가 부가되므로 신장 및 탄성복원되어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다용도막(40)은 중심축(46)에 감겨진 상태이고, 신장시 다시 감겨지기 위한 리트랙팅장치는 상기 수납함(30)에 설치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막(40)의 중심축(46)에는 원통구(46)가 축설될 수 있다. 이 원통구(46)에는 상기 다용도막(40)의 종단부가 부착되며 내측에는 리트랙팅장치를 내설할 수 있다. 통상의 리트랙팅장치로부터 상기 다용도막(40)은 신장되어 펼쳐진 후에 다시 복원되어 상기 원통구(46)에 감겨진다. 이는 수납함(30)의 설계치수를 작게 하므로 창호시스템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막(40)의 중심축(46)이 축설되는 보스(33)가 형성된 축설구(32)가 상기 수납함(30)의 상하부 내측에서 고정부재(34)에 의하여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용도막(40)은 상기 축설부(32)를 매개로 상기 수납함(30)에 축설되어 내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다용도막(40)은 창문(20)의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고 신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동으로 원통구(46)에 감겨져 수납함(30)에 복원된다.
상기 다용도막(40)의 일단에는 상기 창문(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견인홈(42)이 형성된다.
통상의 다용도막(40)은 신장시 자체 유지력이 있는 재질로써, 펼쳐지게 되는 경우 늘어짐이나 찌그러짐없이 외형이 유지되지만 일반적으로 고가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막(40)의 상하단에는 프레임(45) 및 수직으로 외형유지를 위한 버팀편(44)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였다. 상기 프레임(45)과 상기 버팀편(44)은 일정이상의 약한 힘이 가해져도 탄성적으로 굴곡가능한 탄성박판으로 형성되므로 다용도막(40)이 상기 중심축(46) 혹은 원통구(48)에 감겨지는 경우 다용도막(40)과 같이 감겨지게 된다. 이로써, 상기 다용도막(40)은 저가의 방충망이나 재질과 관계없는 차광막을 설치하여도 외형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다용도막(40)의 설치비를 절감하였다.
한편, 상기 창문(20)에는 상기 다용도막(40)의 측방으로 내측에 괘해정구(26)가 내설된다. 상기 괘해정구(26)는 상기 다용도막(40)을 선택적으로 견인시키기 위한 것으로, 창문(20)의 개폐시 상기 다용도막(40)을 선택적으로 연동시켜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괘해정구(26)에는 상기 다용도막(40)의 견인홈(42)에 걸리는 견인걸쇠(24)가 형성된다. 상기 괘해정구(26)에 형성된 견인걸쇠(24)를 상기 견인홈(42)에 걸게 되면 창문(20)의 개폐에 따라 다용도막(40)이 연동가능하게 되므로 확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걸쇠(24)를 견인홈(42)에 걸기 위하여 즉, 괘해정구(26)의 조작을 위하여 상기 창문(20)에는 관통홈(21)이 개구되고, 상기 견인걸쇠(24) 및 괘해정구(26)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2)가 상기 관통홈(21)으로부터 창문(20) 외측으로 돌설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손잡이(22)를 사용하여 괘해정구(26)를 올려서 견인걸쇠(24)를 상기 다용도막(40)의 견인홈(42)에 끼워 견인걸쇠(24)와 견인홈(42)을 상호 괘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창문(20)은 창틀(10)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창틀(10)과 창문(20)에 각각 레일홈(12)과 레일(28)이 형성된다. 상기 창틀(10)에 형성된 레일홈(12)에 안치되는 창문(20)의 레일(28)은 창틀(10)에서 벗어남없이 슬라이딩된다. 상기 레일홈(12)의 사이에는 상기 창틀(10)의 슬라이딩과는 별도로 상기 다용도막(40)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홈(14)의 일측으로 상기 레일홈(12)과 유도홈(14) 사이에는 고정돌기(16)가 연속형성된다. 이는, 상기 다용도막(40)이 상기 창문(20)에 견인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다용도막(40)이 내장되는 수납함(30)의 리트랙팅을 위한 힘에 의하여 창문(20)이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창문(20)이 일부 개방된 경우, 개방된 소정위치에서 창문(20)과 다용도막(40)을 내부에서 고정시켜 외부의 간섭이나 침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돌기(16)의 단면형상은 일측이 단턱이며 타측이 슬라이딩가능한 경사가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괘해정구(26)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돌기(16)에 걸려질 수 있는 길이만큼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손잡이(22)를 사용하여 괘해정구(26)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괘해정구(26)의 하단은 상기 고정돌기(16)로부터 이탈가능하고, 괘해정구(26)를 사용하여 상기 다용도막(40)의 견인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창문(20)을 일부 개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괘해정구(26)의 하단은 상기 고정돌기(16)에 걸리게 되므로 창문(20)은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용도막(40)이 걸려진 상태에서 창문(20)의 개방은 자유롭게 되며 창문(20)을 닫는 경우에는 상기 괘해정구(26)를 들어올려 상기 고정돌기(16)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닫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 창문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창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창호과 같이 창문(20)을 창틀(10)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충기능 및 차광기능을 가지는 다용도막(4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창틀(10)의 일측에 설치된 수납함(30)에 내장된 다용도막(40)을 사용자가 인출시키고, 창문(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22)를 사용하여 견인걸쇠(24) 및 괘해정구(26)를 들어올린 후, 상기 견인걸쇠(24)를 상기 인출된 다용도막(40)의 견인홈(42)에 끼워서 걸리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용도막(40)은 창문(20)에 견인가능하게 연결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상기 창문(20)이 열려지게 되면 다용도막(40)은 창문(20)의 슬라이딩을 통하여 창틀(10)에 형성된 유도홈(14)을 따라 펼쳐지게 된다. 다용도막(40)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괘해정구(26)의 하단부는 상기 창틀(10)의 유도홈(14) 일측에 다수 형성된 고정돌기(16)에 접촉된 상태인 바, 고정돌기(16)의 경사를 따라 개방시에는 괘해정구(26) 하단은 해정상태이고, 창문(20)이 고정되면 괘해정구(26)의 하단은 고정돌기(16)의 단턱에 걸리므로 창문(20)은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창문(20)을 여는 정도에 따라 괘해정구(26)의 하단이 상기 고정돌기(16) 임의 위치에서 걸려지게 되므로 창문(20)과 다용도막(40)은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창호(20)를 열고싶은 위치에서 놓게 되어도 창문(20)과 다용도막(40)은 사용자의 뜻에 따라 그 위치가 고정가능하며 외부와의 차단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다용도막(40)이 펼쳐지게 되는 경우, 다용도막(40)에는 상하단의 프레임(45)과 수직방향의 버팀편(44)에 의하여 다용도막(40)이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최대한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막(40)을 다시 수납함(30)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22)를 들어올리면 괘해정구(26)에 형성된 견인걸쇠(24)는 상기 다용도막(40)의 견인홈(42)으로 부터 이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용도막(40)은 리트랙팅력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납이 가능하게 되고, 창문(20)과 다용도막(40)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함(30)은 도어(35)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35)의 개방시 다용도막(40)을 교체가 가능하므로, 다용도막(40)의 기능에 따라 방충망이나 차광막을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막(40)의 초기설치시 상기 수납함(30)의 조립이 완성되기 전에 상기 다용도막(40)이 설치되는 바, 상기 다용도막(40)은 방충망, 차광막 등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다용도막(40)의 용이한 교체를 위한 장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다.
상기 다용도막(40)의 종단부가 부착되어 감겨지는 원통구(48)는 상하부로 분할형성하고, 상기 원통구(48)의 중심인 중심축(46)은 플렉시블한 연동축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원통구(48)는 분할되고, 분할면에는 전단력에 대하여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탄성부재(49)를 개재하여 분할된 상기 원통구(48)를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원통구(48)는 소정의 전단력에 대하여 구부러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중심축(46)도 휘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다용도막(40)의 교체시에 원통구(48)를 휘게 하여 상기 수납함(30)에 재설치할 수 있게 되어 다용도막(40)의 교체가 원할해진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괘해정구(26)는 자중에 의하여 내려져 있는 상태이고, 상기 다용도막(40)을 견인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 괘해정구(26)가 창틀(10)의 고정돌기(16)에 걸려 위치고정후 다시 창문(20)을 닫기 위하여는 상기 괘해정구(26)를 들어올려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손잡이(22)을 들어올려야 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22)의 반복사용이 배제된 다른 실시예의 괘해정구(26)가 도 6에 도시되었다.
본 다른 실시예의 괘해정구(26)는 창문(20)에 내설된 괘해정구(26)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상승위치에 고정시키며 필요시에만 하강할 수있도록 고정구(5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50)는, 상기 손잡이(22)의 일측에 부착된 지지편(52)과, 상기 지지편(52)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편(5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54)은 탄성재로써 상기 지지편(52)을 중심으로 탄지가능하며 탄력에 의한 가용길이를 위하여 상기 괘해정구(26)의 후단까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50)는 상기 손잡이(22)의 종단높이보다 현저하게 작은 높이로 형성되므로 고정구(50)의 설치로 인한 외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창문(20)의 외측을 미려하게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설계한다.
상기 고정구(50)가 설치에 따라, 상기 손잡이(22)가 관통된 창문(20)의 관통홈(21)에는 일측으로 설치홈(23)이 연장형성되어 손잡이(22) 측방에 부착된 상기 고정구(50)가 관통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역시 상기 설치홈(23)의 종단높이는 상기 관통홈(21)의 종단높이보다 현저히 작다.
이는 상기 손잡이(22)와 상기 고정구(50)의 형성높이에 기인하는 바, 상기 관통홈(21)의 형성높이는 상기 손잡이(22)가 충분히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폭은 손잡이(22)와 고정구(50)의 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3)은 상기 고정구(50)가 상하이동이 되지 못하는 치수로 설계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7에 도시된 평단면도와 같이, 상기 고정구(50)는 지지편(52)으로부터 상기 고정편(54)의 일부가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길이로 상기 창문(20) 외측으로 미세하게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에 따라, 창문(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22)와 고정구(50)는 각각 창문(20)의 관통홈(21)과 설치홈(23)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홈(23)에는 상기 고정구(50)가 끼워져 관통된 상태이므로, 고정구(50)가 부착된 손잡이(22) 즉, 괘해정구(26)는 상승위치이다. 상기의 상태는 창문(20)이 개방된 상태이고, 만일 창문(20)이 닫혀지게 되면 창문(20)은 창틀(10)의 측방이나 상기 다용도막(40)의 측방에 접촉된다.
창문(20)의 측방에 설치된 상기 괘해정구(26)가 창틀(10)이나 다용도막(40)의 측방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고정구(50)의 고정편(54)은 창틀(10) 혹은 다용도막(40)의 측면에 눌려지게 됨과 동시에 괘해정구(26)를 탄지 및 압박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편(54)의 탄지에 의하여 고정구(50) 및 손잡이(22) 즉, 괘해정구(26)는 상승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창문(20)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50)의 고정편(54)이 탄성복원된다. 고정편(54)의 복원에 따라 고정편(54) 및 지지편(52)은 창문(20)의 설치홈(23)에 재위치되어 걸려진다. 그러므로 역시 괘해정구(26)는 상승위치를 유지한다.
만일, 상기 다용도막(40)을 견인시키거나 혹은 창문(20)을 일부개방한 위치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괘해정구(26)를 하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손잡이(22)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세하게 돌출된 고정편(54)을 살짝 누르면, 상기 고정편(54)은 탄력적으로 손잡이(22) 측방으로 휘어진다. 고정편(54)이 설치홈(23)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휘어지게 되므로 고정편(54)은 설치홈(23)에서 벗어나 관통홈(21)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손잡이(22)를 내리거나 혹은 자중에 의하여 손잡이(22)는 하강가능하여 고정구(50)는 관통홈(21)에서 하강되는 바, 결국 괘해정구(26)는 하강할 수 있다.
하강시 다용도막(40)을 견인하는 상태이거나 창문(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54)은 손잡이(22)를 따라 관통홈(21)내에서 하강되어 관통홈(21)의 측벽을 탄지하므로 그 위치의 고정이 확실시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다용도막(40)의 견인을 해제하거나 창문(20)의 재위치고정 및 닫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22)를 들어올리면 된다. 손잡이(22)의 상승에 의하여 고정구(50)의 고정편(54)은 탄발되는 중에 설치홈(23)의 위치에서 탄성복원되고, 고정편(54)이 설치홈(23)에 다시 끼워져 걸려지므로 괘해정구(26)는 상승위치를 유지한다.
이는, 괘해정구(26)를 항상 상승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괘해정구(26)가 하강되어 괘해정구(26)의 하단이 창틀의 고정돌기(16)에 연속접촉되어 발생되는 마모나 소음을 방지하고, 창문(20)을 내부에서 일시고정하여 외부와 차단시 고정장치의 고급화를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은, 창문(20)과 창틀(10)로 구성된 창호시스템에 별도로 수납함(30)을 설치하여 방충기능이나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막(40)을 내설시키고, 다용도막(40)에는 견인홈(42)를 형성시키며 창문(20)에는 견인걸쇠(24)을 형성하여 각각 필요시 상호 연결이 가능하므로 창문(20)의 개방에 따라 다용도막(40)이 펼쳐질 수 있게 되고,다용도막(40)이 펼쳐지게 되는 경우 창틀(10)의 고정돌기(16)에 의하여 창문(20)과 다용도막(40)이 임의고정되므로 그 위치조절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용도막(40)은 창문(2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면서 이탈과 동시에 다용도막(40)은 자동으로 수납함(30)에 수납이 가능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시스템은, 사용자의 뜻에 따라 필요시 창호에 방충기능과 차광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창문이 개방시에도 그 위치를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고정장치의 고급화로 인하여 상품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창문(20)와 창틀(10) 및 도어를 포함한 창호에 있어서,
    일측에는 수납함(30)이 설치되며 상기 창문(20)이 유도되는 레일홈(12) 사이에 유도홈(14)과 고정돌기(16)가 형성된 창틀(10)과,
    상기 수납함(30)내에 말려져 내장되어 확장되거나 탄성복원이 가능하며 상기 유도홈(14)을 따라 상기 창문(20)과 연동되기 위한 견인홈(42)이 측단부에 형성된 다용도막(40)과,
    하단부가 상기 고정돌기(16)에 걸릴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견인홈(42)에 걸리도록 형성된 견인걸쇠(24)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창문(20)에 형성된 관통홈(21)을 통해 외측으로 돌설되는 손잡이(22)가 일체로 형성된 괘해정구(26)를 내설한 창문(2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21)에는, 측방이 연장개구되어 설치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3)에는, 상기 손잡이(22) 측방에 형성되며 상기 괘해정구(26)의 위치를 선택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50)는 손잡이(22)일측에 형성된 지지편(52)과,
    상기 지지편(52) 일측에 부착되어 탄발가능하며 상기 손잡이(22)의 후단을 압지하는 고정편(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부 내측에 보스(33)가 형성된 축설구(32)가 고정수단(34)에 의해 상기 수납함(30) 내측 상하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스(33)에 축설되는 중심축(46)에는 탄성복원을 부여하기 위한 리트랙팅장치가 내설되는 원통구(48)에 상기 다용도막(40)이 부착되어 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막(40)이 감겨지는 상기 원통구(48)는 분할되어 중앙부에 탄성부재(49)가 개재되고,
    상기 중심축(46)은 플렉시블한 탄성재로 형성되어 상기 다용도막(40)은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막(20)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종단방향으로는 다수개의 버팀편(4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하단의 횡방향으로는 프레임(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1020000037680A 2000-03-31 2000-07-03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20010096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52U KR200205906Y1 (ko) 2000-07-03 2000-07-03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86 2000-03-31
KR20000017086 2000-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52U Division KR200205906Y1 (ko) 2000-07-03 2000-07-03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41A true KR20010096441A (ko) 2001-11-07

Family

ID=1966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680A KR20010096441A (ko) 2000-03-31 2000-07-03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4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80A (ko) * 2000-09-25 2001-01-05 이상철 차광 및 방충전용 창호시스템
KR20160091092A (ko) * 2015-01-23 2016-08-02 고태범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20190019742A (ko) * 2017-08-18 2019-02-27 (주)한국윈텍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337U (ko) * 1978-02-27 1979-09-06
US4493468A (en) * 1983-07-05 1985-01-15 Roach Thomas C Adjustable pipe fastener
KR950019208U (ko) * 1993-12-23 1995-07-24 윤병철 권취식 방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337U (ko) * 1978-02-27 1979-09-06
US4493468A (en) * 1983-07-05 1985-01-15 Roach Thomas C Adjustable pipe fastener
KR950019208U (ko) * 1993-12-23 1995-07-24 윤병철 권취식 방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80A (ko) * 2000-09-25 2001-01-05 이상철 차광 및 방충전용 창호시스템
KR20160091092A (ko) * 2015-01-23 2016-08-02 고태범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20190019742A (ko) * 2017-08-18 2019-02-27 (주)한국윈텍 슬라이딩 도어용 블라인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711B2 (en) Screen device
EP1158135B1 (en) Horizontally unfurled spring assisted furling screen for walkways
JP2016509145A (ja) 多機能収納式窓スクリーン
US20040108078A1 (en) Foldable window blind structure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0205906Y1 (ko)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20010096441A (ko)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JP7407315B2 (ja) コード規制部材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0205902Y1 (ko) 블라인드용 브라켓
JP2001234678A (ja) ロール型収納網戸
JPH08246769A (ja) 網 戸
JP2858241B2 (ja) 多段式たくし上げカ−テン
JP3056147B2 (ja) 網戸装置
JPH10299349A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装置
JP2574322Y2 (ja) ロール式網戸
JPH08151876A (ja) カ−テン網戸付横引サッシ
JPH0715997Y2 (ja) 引紐付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S62467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