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400B1 -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400B1
KR101271400B1 KR1020110062596A KR20110062596A KR101271400B1 KR 101271400 B1 KR101271400 B1 KR 101271400B1 KR 1020110062596 A KR1020110062596 A KR 1020110062596A KR 20110062596 A KR20110062596 A KR 20110062596A KR 101271400 B1 KR101271400 B1 KR 10127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solved air
air flotation
paper
skimmer
floc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761A (ko
Inventor
이병두
권순범
방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1006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4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는, 방류대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지; 상기 응집지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경유하도록 되어 있고,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을 스키머를 통해 제거하도록 된 용존공기부상조; 상기 응집지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용존공기부상조로 유입되는 지점에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이 미세기포에 부착되어서 용존공기부상조의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수단); 및 상기 응집지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어 응집지의 후단 상부에 누적되는 스컴을 수거하여 응집지에서 제거하는 응집지설치 스키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는, 응집지에서 발생된 스컴이 누적되는 응집지의 후단 상부와 용존공기부상조의 상부에 스키머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스키머에 의해 스컴이 수거되어 탈수기로 이송되어 탈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응집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으로 인해 용존공기부상조에서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방류수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에서 방류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성 물질, 색도, 조류 등(이하 "불순물"이라 함)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방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서 원수 또는 방류수(정수처리 과정 등을 거친 후 강이나 하천 등으로 방류되는 물)를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안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과 관계되는 용존공기부상법은, 처리대상인 원수나 방류수가 응집지(1) 또는 침전지를 경유하면서 응집, 침전되도록 한 후 용존공기부상조(2)의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가압조(3a)에서 물에 포화시킨 용존공기를 응집된 플럭이 포함된 물이 유입되는 용존공기부상조(2)의 하부에서 방출시켜 미세기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불순물이 용존공기와 결합되어 용존공기부상조의 상부로 부상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4-0049753호(이온화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정수처리방법)에는 일반적인 용존공기부상법에 이온화공기를 적용하여 용존공기부상법(DAF)에 의한 수처리 효과와 이온화공기에 의한 수처리를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 한국 특허등록 제10-0606555호(오존부상법과 입상활성탄 여과 조합을 통한 다기능 고효율 정수처리장치 및 정수방법)와 같이 일반적 용존공기부상법에 오존과 활성탄여과지를 적용하여 오존에 의한 수처리 효과와 활성탄여과지에 의한 여과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된 기술이 안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용존공기 부상법을 통해 방류수를 처리할 때는 방류수가 응집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거품형태의 스컴이 다량 발생된다.
특히, 스컴의 발생량은 겨울철에 더욱 많은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응집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은 응집지의 후단(용존공기부상조로 넘어가지 직전의 부분)에 누적된 후 결과적으로는 용존공기부상조로 유입됨으로써 용존공기부상조에서의 플럭 파괴현상을 유발함으로써 용존공기 부상법을 통한 수처리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존공기 부상법을 통해 방류수를 처리하되 응집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으로 인해 용존공기부상조에서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수처리 효율이 확보되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응집지에서 발생된 스컴이 누적되는 응집지의 후단 상부와 용존공기부상조의 상부에 스키머를 위치시키고, 상기 스키머에 의해 스컴이 수거되어 탈수기로 이송되어 탈수되도록 함으로써 응집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으로 인해 용존공기부상조에서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는, 방류대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지를 갖는다.
또, 응집지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경유하도록 되어 있고,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을 스키머를 통해 제거하도록 된 용존공기부상조를 갖는다.
또, 응집지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용존공기부상조로 유입되는 지점에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이 미세기포에 부착되어서 용존공기부상조의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수단을 갖는다.
또, 응집지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어 응집지의 후단 상부에 누적되는 스컴을 용존공기부상조의 상부로 보내는 응집지 상부설치 스키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는, 응집지에서 발생된 스컴이 누적되는 응집지의 후단 상부와 용존공기부상조의 상부에 스키머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스키머에 의해 스컴이 수거되어 탈수기로 이송되어 탈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응집지에서 발생되는 스컴으로 인해 용존공기부상조에서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용존공기부상법 이용 방류수 처리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가 적용된 정수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방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류수 처리장치도 종래와 같이 방류대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지(10)를 갖는다.
또, 응집지(10)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경유하도록 되어 있는 용존공기부상조(20)를 갖는다.
또, 응집지(10)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용존공기부상조(20)로 유입되는 지점에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이 미세기포에 부착되어서 용존공기부상조(20)의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수단(30)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응집지(10), 용존공기부상조(20), 미세기포발생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용존공기부상법을 통해 방류수를 처리하되 응집지(10)에서 발생되는 스컴으로 인해 용존공기부상조(20)에서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수처리 효율이 확보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응집지(10)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어 응집지(10)의 후단 상부에 누적되는 스컴을 수거하여 응집지(10)에서 스컴을 제거하는 응집지설치 스키머(40)를 구비한다.
또, 용존공기부상조(20)는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을 수거하여 용존공기부상조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키머(21)를 갖는 형태로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응집지설치 스키머(40)나 용존공기부상조(20)에 설치되는 스키머(21)는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런데 응집지(10)의 후단에 위치되는 응집지설치 스키머(40)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배관 등을 구비할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응집지설치 스키머(40)는 응집지(10)의 스컴을 용존공기부상조(20)의 상부(수면부)로 보내도록 구현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응집지설치 스커머(40)를 통해 응집지(10)의 후단에 스컴이 누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컴으로 인해 플럭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존공기부상법을 통한 수처리 효과가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존공기부상조(20)의 스키머(21)와 응집지설치 스키머(40)는 벨트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함께 구동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스컴의 제거효율도 우수하고, 경제적이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존공기부상조(20)의 스키머(21)와 응집지설치 스키머(40)를 통해 수거된 스컴은 탈수기(50)로 이동되어 탈수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수거된 불순물(스컴에 포함된 불순물)이 방류수의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수거된 스컴이 배슬러지조(유량 및 농도를 조절하는 조) 등을 경유하여 다시 응집지를 경유하게 하는 구조는 방류수의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수거된 스컴이 탈수되어 스컴에 포함된 불순물이 완전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는 응집제투입수단이고, 31은 가압조이다.
1. 응집지 2. 용존공기부상조
3a. 가압조 4. 응집제투입수단
10. 응집지 20. 용존공기부상조
21. 스키머 30. 미세기포발생수단
40. 응집지설치 스키머 50. 탈수기

Claims (4)

  1. 삭제
  2. 미세기포를 통해 방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법 사용 방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방류대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지(10);
    상기 응집지(10)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경유하도록 되어 있고,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을 스키머(21)를 통해 제거하도록 된 용존공기부상조(20);
    상기 응집지(10)를 경유한 방류대상수가 용존공기부상조(20)로 유입되는 지점에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이 미세기포에 부착되어서 용존공기부상조(20)의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수단(30); 및
    상기 응집지(10)의 후단 상부에 설치되어 응집지(10)의 후단 상부에 누적되는 스컴을 수거하여 응집지(10)에서 제거하는 응집지설치 스키머(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존공기부상조(20)의 스키머(21)와 응집지설치 스키머(40)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지설치 스키머(40)는 스컴을 용존공기부상조(20)의 수면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공기부상조(20)의 스키머(21)와 응집지설치 스키머(40)를 통해 수거된 스컴은 탈수기(50)로 이동되어 탈수공정을 거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KR1020110062596A 2011-06-28 2011-06-28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KR10127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596A KR101271400B1 (ko) 2011-06-28 2011-06-28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596A KR101271400B1 (ko) 2011-06-28 2011-06-28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61A KR20130001761A (ko) 2013-01-07
KR101271400B1 true KR101271400B1 (ko) 2013-06-05

Family

ID=478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596A KR101271400B1 (ko) 2011-06-28 2011-06-28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1317A (zh) * 2015-02-13 2015-06-03 浙江高和羊毛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气浮分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832B1 (ko) * 2021-09-29 2024-02-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통합 수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9A (ja) * 1991-12-27 1995-01-06 Miyoshi Shokai:Kk 油脂分離方法及びその分離装置
KR20090093781A (ko) * 2008-12-05 2009-09-02 한국수자원공사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KR100992430B1 (ko) 2010-03-12 2010-11-08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9A (ja) * 1991-12-27 1995-01-06 Miyoshi Shokai:Kk 油脂分離方法及びその分離装置
KR20090093781A (ko) * 2008-12-05 2009-09-02 한국수자원공사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KR100992430B1 (ko) 2010-03-12 2010-11-08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pp431-447. 2003. 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1317A (zh) * 2015-02-13 2015-06-03 浙江高和羊毛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气浮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61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623B1 (ko)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KR101000742B1 (ko) 장방형 침전지의 개조에 의한 인 제거효율 향상 방법
KR101576487B1 (ko) 가압공기부상법을 이용한 고효율 막여과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처리방법
KR101068551B1 (ko) 고도 수처리가 가능한 나선흐름의 저에너지형 슬러지 블랭킷 형태 고속침전조
KR101297293B1 (ko) 스컴 농축 기능을 구비한 부상 분리 장치
KR101271400B1 (ko) 응집지 스컴제거수단과 용존공기부상수단을 구비한 방류수 처리장치
KR101061982B1 (ko) 총인 제거를 위한 개선된 하·폐수처리시설
KR100898080B1 (ko) 가압 부상식 여과지
KR19980043088A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RU2563486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ений из водных потоков путем впрыскивания кислорода в бассейн флотации
KR20120111499A (ko)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녹조류 제거설비
Bauer et al. Enhanced rapid gravity filtration and dissolved air flotation for pre-treatment of river Thames reservoir water
KR200212210Y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RU2749711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0464716B1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JP3281161B2 (ja) 浄水処理装置
KR101885134B1 (ko)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JP3939970B2 (ja) 貯炭場排水の処理方法
JP4549000B2 (ja) 浮遊物質含有海水の浄化装置
CN205575747U (zh) 一种工业废水深度处理过滤装置
KR101045878B1 (ko)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JP7269148B2 (ja) ろ過処理方法及びろ過装置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2020069448A (ja) 浄水処理方法及び浄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