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995B1 - 벌꿀 농축장치 - Google Patents

벌꿀 농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995B1
KR101270995B1 KR1020110086604A KR20110086604A KR101270995B1 KR 101270995 B1 KR101270995 B1 KR 101270995B1 KR 1020110086604 A KR1020110086604 A KR 1020110086604A KR 20110086604 A KR20110086604 A KR 20110086604A KR 101270995 B1 KR101270995 B1 KR 10127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receiving space
air
case
d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662A (ko
Inventor
원승호
Original Assignee
(주)비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센 filed Critical (주)비센
Priority to KR102011008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9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8Spades; Shovels with ground abutment shoes or earth anchors for facilitating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꿀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는 외부와 연락하는 투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벌꿀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과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으로 수용공간으로 건공기를 주입하고 타단으로 내부 수용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건공기로 변환시켜 순환되도록 한 제습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와 연통되게 수용공간의 하부에 설치되며 파이프형상으로 길이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공들을 갖고 제습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건공기를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배출하여 벌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습공기를 발생하도록 한 공기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습장치는 건공기와 습공기를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을 통해 순환하도록 한 제습관; 상기 제습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통해 순환되는 습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과한 건공기를 데워 배출하도록 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 증발기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발생되는 데워진 건공기를 케이스의 내부수용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 팬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온의 가열기가 필요없이, 벌꿀에 과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고, 미온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벌꿀을 농축, 숙성함으로 인해 벌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양질의 벌꿀이 농축되는 벌꿀 농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벌꿀 농축장치{THE HONEY CONCENTRATOR}
본 발명은 벌꿀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용 공기의 응축, 증발과정으로 벌꿀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한 벌꿀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꿀은 꽃가루 특유의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 방향성 물질, 아미노산 등의 이상적인 종합영양성분 이외에 효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식품'이라고 하며, 포도당과 과당에 의한 피로회복 효과는 어떤 식품과도 비교할 수 없다.
이러한 벌꿀에는 자연산 벌꿀과 양봉에 의해서 숙성한 벌꿀이 있는데 대부분의 벌꿀이 양봉에 의한 것이다. 그런데 양봉에 의한 벌꿀이 숙성되기 전에는 상기 영양소 이외에도 수분을 다량 함유함으로 적정한 양보다 많은 수분을 제거하지 않으면 숙성되는 과정에서 상해버림으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5호에는 밀폐 가능한 개폐도어와 함께 내부 바닥면에 저장용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용기에 담긴 벌꿀의 순환경로로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상기 본체 내부 대응되는 양 벽면 간에 설치되어 상호 연계되는 복수의 사면선반과; 상기 저장용기 속 벌꿀을 빨아들여 상기 사면선반으로 인계하거나 별도로 회수 가능하게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구동펌프와; 상기 본체의 상단면 내부 공기 중의 온도를 떨어뜨려 응축함으로써, 상기 사면선반의 벌꿀에서 유발되는 포화증기 속 수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수분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 내·외부에 형성되는 열교환 장치인 수분추출수단을 포함하는 벌꿀 농축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첫째, 구조가 복잡하고 수분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둘째, 고온의 가열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함으로 인해 벌꿀에 함유된 각종 유효영양소 마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7605호, '벌꿀 농축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의 가열기가 필요없이, 벌꿀에 과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고, 미온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벌꿀을 농축함으로 인해 벌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양질의 벌꿀이 농축되는 벌꿀 농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는 외부와 연락하는 투입구를 가지며 내부에 벌꿀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과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으로 수용공간으로 건공기를 주입하고 타단으로 내부 수용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건공기로 변환시켜 순환되도록 한 제습장치; 및 상기 제습장치와 연통되게 수용공간의 하부에 설치되며 파이프형상으로 길이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공들을 갖고 제습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건공기를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배출하여 벌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습공기를 발생하도록 한 공기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습장치는 건공기와 습공기를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을 통해 순환하도록 한 제습관; 상기 제습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통해 순환되는 습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발기를 통과한 건공기를 데워 배출하도록 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 증발기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발생되는 데워진 건공기를 케이스의 내부수용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배출관은 서로 간격을 두고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통공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테이퍼진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습장치에는 습공기가 응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벌꿀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고온의 가열기가 필요없이, 벌꿀에 필요이상으로 과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고, 미온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벌꿀을 농축함으로 인해 벌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양질의 벌꿀이 숙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의 공기배출관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의 공기배출관의 상세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꿀 농축장치는 케이스(10), 제습장치(20), 공기배출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벌꿀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A)을 갖는 탱크 형상이다.
이때, 케이스(10)의 일단에는 내부의 수용공간(A)과 외부를 연락하여 벌꿀을 넣을 수 있는 투입구(11)를 구비한다.
또,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에는 벌꿀을 교반하여 수분의 제거를 단축하기 위한 교반기(15)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장치(20)는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과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설치된다.
제습장치(20)는 일단으로 수용공간(A)으로 건공기(Z)를 주입하고 타단으로 내부 수용공간(A)에서 발생되는 습공기(C)를 흡입하여 다시 건공기(Z)로 변환시켜 순환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제습장치(20)에는 습공기(C)가 응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4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습장치(20)에 의해 순환되는 습공기(C)와 건공기(Z)는 냉각, 가열의 반복작용으로 수분이 발생함으로 인해 이러한 수분의 제거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제습장치(20)는 제습관(21), 증발기(23), 응축기(25), 압축기(27), 팬(29)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관(21)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건공기(Z)와 습공기(C)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을 통해 순환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와 양단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23)는 제습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관(21)을 통해 순환되는 습공기(C)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즉, 증발기(23)는 습공기를 응축시켜 액화하여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에 수용되는 벌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응축기(25)는 증발기(23)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발기(23)를 통과한 건공기(Z)를 데워 배출한다.
이때, 응축기(25)를 통해 배출되는 건공기(Z)는 30도~40도의 미온이 되어 벌꿀에 과함유된 수분을 제거시 유효 영양소의 파괴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 한다.
상기 압축기(27)는 응축기(25), 증발기(23)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응축기(25)와 증발기(23)를 지나는 냉매를 순환하게 한다.
상기 팬(29)은 응축기(25)로부터 발생되는 데워진 건공기(Z)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습장치(20)는 제습기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관(30)은 제습장치(20)와 연통되게 수용공간(A)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배출관(30)은 파이프형상으로 길이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공(31)들을 갖는다.
즉, 공기배출관(30)은 제습장치(20)를 통해 공급되는 건공기(Z)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으로 배출하여 벌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습공기(C)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관(3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복 수개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공기배출관(30)의 통공(31)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경사진 형태로 하여 건공기 배출시 배출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온의 가열기가 필요없이, 벌꿀에 과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고, 미온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벌꿀을 숙성함으로 인해 벌꿀이 상하지 않고 벌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양질의 벌꿀이 농축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온의 가열기가 필요없이, 벌꿀에 과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고, 미온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벌꿀을 농축, 숙성함으로 인해 벌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여 양질의 벌꿀이 농축되는 벌꿀 농축장치를 제공한다.
10:케이스
11:투입구
15:교반기
20:제습장치
21:제습관
23:증발기
25:응축기
27:압축기
29:팬
30:공기배출관
31:통공
40:물통
A:수용공간
C:습공기
Z:건공기

Claims (5)

  1. 외부와 연락하는 투입구(11)를 가지며 내부에 벌꿀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A)을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과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으로 수용공간(A)으로 건공기(Z)를 주입하고 타단으로 내부 수용공간(A)에서 발생되는 습공기(C)를 흡입하여 다시 건공기(Z)로 변환시켜 순환되도록 한 제습장치(20); 및
    상기 제습장치(20)와 연통되게 수용공간(A)의 하부에 설치되며 파이프형상으로 길이를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공(31)들을 갖고 제습장치(20)를 통해 공급되는 건공기(Z)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으로 배출하여 벌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습공기(C)를 발생하도록 한 공기배출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습장치(20)는 건공기(Z)와 습공기(C)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을 통해 순환하도록 한 제습관(21);
    상기 제습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관(21)을 통해 순환되는 습공기(C)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 증발기(23);
    상기 증발기(23)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증발기(23)를 통과한 건공기(Z)를 데워 배출하도록 한 응축기(25);
    상기 응축기(25), 증발기(23)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압축기(27); 및
    상기 응축기(25)로부터 발생되는 데워진 건공기(Z)를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으로 배출하도록 한 팬(29)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농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관(3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농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1)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테이퍼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농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20)에는 습공기(C)가 응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4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농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수용공간(A)에는 벌꿀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5)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꿀 농축장치.
KR1020110086604A 2011-08-29 2011-08-29 벌꿀 농축장치 KR10127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04A KR101270995B1 (ko) 2011-08-29 2011-08-29 벌꿀 농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04A KR101270995B1 (ko) 2011-08-29 2011-08-29 벌꿀 농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662A KR20130023662A (ko) 2013-03-08
KR101270995B1 true KR101270995B1 (ko) 2013-06-04

Family

ID=4817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04A KR101270995B1 (ko) 2011-08-29 2011-08-29 벌꿀 농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18A (ko) 2021-11-30 2023-06-07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꿀 생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꿀 수분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18U (ko) 2015-09-02 2017-03-10 송화섭 가열용기 하부에 공기 발생기를 설치한 벌꿀 농축기.
KR101871635B1 (ko) * 2017-08-10 2018-08-02 곽명준 회류형 벌꿀농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69A (ko) * 2002-11-28 2004-06-05 김정호 액체농축기
KR20090113811A (ko) * 2009-10-13 2009-11-02 정방균 히트펌프를 이용한 분무건조기시스템
KR101007605B1 (ko) 2010-05-18 2011-01-12 김용준 벌꿀 농축기
KR20110031852A (ko) * 2009-09-21 2011-03-29 (주)써모텍 에너지 절약형 저온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769A (ko) * 2002-11-28 2004-06-05 김정호 액체농축기
KR20110031852A (ko) * 2009-09-21 2011-03-29 (주)써모텍 에너지 절약형 저온건조 시스템
KR20090113811A (ko) * 2009-10-13 2009-11-02 정방균 히트펌프를 이용한 분무건조기시스템
KR101007605B1 (ko) 2010-05-18 2011-01-12 김용준 벌꿀 농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618A (ko) 2021-11-30 2023-06-07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꿀 생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꿀 수분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662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2913B1 (en) Washer-dryer with a cooling water circuit
KR101037296B1 (ko) 건조장치
KR101270995B1 (ko) 벌꿀 농축장치
KR101314006B1 (ko) 감 건조기
KR10136627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팬어셈블리
US20160015841A1 (en) Condensation assembly and method
KR101070768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CN109971641A (zh) 封闭式微藻绿色采收烘存系统
KR101007605B1 (ko) 벌꿀 농축기
WO2017203085A1 (es) Sistema de desecado de sangre líquida
JP5923265B2 (ja) 蒸発濃縮装置および蒸発濃縮方法
CN207444586U (zh) 一种具有杀菌烘干功能的鞋柜
JPH066048B2 (ja) 連続式殺菌冷却乾燥装置
KR20100103148A (ko) 냉동기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160071544A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200395163Y1 (ko) 쇼케이스의 결로수 처리장치
KR100360677B1 (ko)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CN106123146A (zh) 双风机半导体深度除湿机及防霉衣柜、鞋柜、橱柜
KR101373027B1 (ko) 김 건조기
KR2009010239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74300B1 (ko) 진공건조기를 이용한 오징어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조 오징어
CN207907591U (zh) 一种烘干设备
CN204491252U (zh) 干衣机
CN2606872Y (zh) 食品冷冻干燥机
CN208952577U (zh) 一种锥形瓶沥水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