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027B1 - 김 건조기 - Google Patents

김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027B1
KR101373027B1 KR1020120024007A KR20120024007A KR101373027B1 KR 101373027 B1 KR101373027 B1 KR 101373027B1 KR 1020120024007 A KR1020120024007 A KR 1020120024007A KR 20120024007 A KR20120024007 A KR 20120024007A KR 101373027 B1 KR101373027 B1 KR 10137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aporator
air
lav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851A (ko
Inventor
윤 선 장
Original Assignee
윤 선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선 장 filed Critical 윤 선 장
Priority to KR102012002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2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김 건조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실은, 김이 건조되는 김 건조실에 있어서, 건조될 김이 정렬배치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 상부에 일렬로 복수 개 설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조체, 및 상기 증발기에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열(列)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제습냉각부; 상기 증발기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가 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제습냉각부를 통과한 냉기와 상기 공급부를 통과한 열기가 혼합되도록 상기 제습냉각부 하부에 구비된 상기 건조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혼합된 공기가 상기 건조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가 구비된 혼합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실을 사용함으로써, 공기 중의 절대 습도량을 낮추는 과정에서 김을 저온 건조시킴으로써, 김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다방향으로 송풍하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김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저용량의 압축기로도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의 초기 제작비용 및 구동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김 건조기{SEAWEED DRYER}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저온 건조시킴으로써, 김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용량의 압축기로도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94)은 일정 틀 내에서 사각형상으로 모양을 만든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발(92) 등과 같은 선반에 얹어 히터(H)에 의해 가열된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김을 건조시켰다. 그러니 이와 같이 뜨거운 바람에 의해 김을 건조할 경우, 김이 고온에 의해 변질되기 때문에 건조 완료된 김의 품질이 낮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7847호에 건조장치의 일 예를 개시하였다. 이 건조장치는 냉각사이클에 의하여 저온화된 냉각수를 냉매로 이용하여 김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고온 습윤한 공기를 응축시켜 제습한 후, 히터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온도를 일차적으로 낮추기 때문에 기존에 비하여 낮은 온도로 가열된다. 그러나 공기가 계속해서 가열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냉각 사이클의 냉각성능을 높이기 고용량의 압축기를 구비해야만 한다. 따라서, 히터가 구비된 김 건조기의 경우는 히터를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에너지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고용량의 압축기에 의해 초기 설비 및 유지 비용이 급증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건조과정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면서도 공기 내의 습기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저온으로 김을 건조함으로써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 중의 절대 습도량을 낮추는 과정에서 김을 저온 건조시킴으로써, 김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다방향으로 송풍하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김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저용량의 압축기로도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의 초기 제작비용 및 구동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김이 건조되는 김 건조실에 있어서,
건조될 김이 정렬배치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 상부에 일렬로 복수 개 설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조체, 및 상기 증발기에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열(列)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제습냉각부;
상기 증발기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가 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제습냉각부를 통과한 냉기와 상기 공급부를 통과한 열기가 혼합되도록 상기 제습냉각부 하부에 구비된 상기 건조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혼합된 공기가 상기 건조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가 구비된 혼합부;를 포함하는 김 건조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부는,
상기 냉기와 상기 열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
상기 건조부와 상기 혼합공간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제1격벽;
상기 공급부와 상기 혼합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격벽, 및
상기 냉기와 상기 열기가 상기 혼합공간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1격벽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벽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조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한 집수용기와 상기 집수용기에서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습냉각부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증발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부는 각각의 상기 증발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는 해수, 지하수, 및 지표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입력된 값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건조부의 바닥면에 결합된 댐퍼판이 형성되되,
상기 댐퍼판은 상단부가 상기 혼합부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판은 복수 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상기 혼합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댐퍼판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개의 열(列)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공급공간, 및
상기 공급공간 내에 구비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순환기체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부, 및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냉각부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의 상기 흡기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중의 절대 습도량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김을 건조시키는 온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 저온 건조시켜, 김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다방향으로 송풍하기 때문에 동일한 양의 김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저용량의 압축기로도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의 초기 제작비용 및 구동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김 건조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실은 열풍으로만 건조하던 종래의 김 건조실에 비해 김 건조실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냉각시켜, 실제 공기 내의 절대 습도량을 감소시킨 뒤 냉각을 위하여 응축기와 압축기 또는 보조 열원 등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기와 혼합시킨다. 따라서, 1차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절대적인 양을 감소시킨 뒤, 열기와 혼합시킴으로써, 공급될 공기 내의 포화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증발시킬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대습도량을 저하된 냉기를 열기와 혼합하여 건조부(110)에 공급함으로써, 김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온도가 종래에 비해 저온이더라도 증발시킬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가열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김을 건조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종래에 비해 낮아지기 때문에 김의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 것으로,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실은, 김이 건조되는 김 건조실에 있어서,
건조될 김이 정렬배치된 건조부(110);
상기 건조부(110) 상부에 설치된 증발기(122), 상기 증발기(122)에 의해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조체(124), 및 상기 증발기(122)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126)를 포함하는 제습냉각부(120);
상기 증발기(122)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34a) 및,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가 되는 응축기(134b)를 포함하는 공급부(130);
상기 제습냉각부(120)를 통과한 냉기와 상기 공급부(130)를 통과한 열기가 혼합되도록, 상기 제습냉각부(1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건조부(110)와 상기 공급부(130) 사이에 위치하고, 혼합된 공기가 상기 건조부(110)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148)가 구비된 혼합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냉각부(120)에는 복수개의 증발기(122)가 하나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제습냉각부(120)의 상기 송풍기(126)는 상기 증발기(122)가 배열된 열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22)는 상기 제1격벽(144)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냉각부(120)의 상기 송풍기(126')는 상기 증발기 배열의 행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즉, 공기가 상기 증발기(122)를 통과한 뒤 상기 혼합부(140)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건조부(110)는 혼합부(140)에서 혼합된 냉기와 열기가 송풍되는 곳으로 건조될 김이 배열되어 있다. 건조부(110)에 배열되어 있는 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은 공기와 접촉하면서 증발하게 되고, 김과 접촉한 공기는 상대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습도가 높아진 공기는 제습냉각부(120)로 이동하면서 증발기(122)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증발기(122)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 내의 수증기 포화량이 감소하게 되면서 공기의 절대습도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과정에서 절대습도량이 감소된 공기는 혼합부(140)의 송풍기(148)에 의해 혼합공간(142)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증발기(122)는 건조부(110)의 상부에 일렬로 복수개 위치하게 된다. 이때 냉각성능에 따라 증발기(122)는 복수개의 열(列)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습냉각부(120)에 구비되는 송풍기(126, 126')는 이와 같이 배열된 증발기(122)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동되는데, 특히 공기가 증발기(122)가 배열된 열(列)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송풍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126, 126')는 각각의 증발기(122)에 설치될 수도 있고, 증발기(122)가 배열된 하나의 열(列) 또는 하나의 행(行)당 한 대씩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126)가 증발기(122)가 구비된 열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혼합부(140)로부터 건조부(110)를 통과한 공기가 건조부(110) 내를 원활하게 순환한 후 혼합부(14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가 김 건조실 내를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부(110)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송풍기(126)가 증발기(122)가 구비된 행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절대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혼합부(140)를 통해 바로 건조부(110)로 유입되도록 하여 습도를 원활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122)를 통과한 냉기가 혼합부(140)로 바로 유입되지 않더라도 건조부(110) 내에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면 냉기의 절대습도량이 적기 때문에 냉기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대습도가 낮아지게 되고, 더욱 원활하게 김에 포함된 수분을 원활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조체(124)는, 상기 증발기(122)의 하부에 위치한 집수용기(124a)와 상기 집수용기(124a)에서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24b)을 포함한다. 즉, 증발기(122)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22) 내로 유입된 공기의 이슬점이 낮아지게 되면, 공기가 포화상태가 되면서 과포화된 양만큼 수분이 액체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물은 중력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증발기(122)의 하부에 위치한 집수용기(124a)에 모이게 된다. 집수용기(124a)에 모인 물은 집수용기(124a)와 유체연통되는 배수관(124b)을 통하여 배출된다. 여기서 집수용기(124a)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수관(124b) 형성위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22)는 냉동사이클에서 증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냉동사이클의 압축기(134a) 및 응축기(134b)를 포함하는 순환기체 공급기(134)는 김 건조실의 공급부(130)에 구비되어 있다. 압축기(134a)는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송출하게 되고, 압축기(134a)로부터 송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는 냉각수 등과 열교환하면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송출하게 된다. 즉, 압축기(134a) 및 응축기(134b)에서 송출된 냉매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공급공간(132) 내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공급공간(132) 내의 열기가 상승하면서 제2격벽(146)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열기는 제1격벽(144)과 제2격벽(146)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148)의 구동에 의해 혼합공간(142) 내로 유입된다. 혼합부(140)는 건조부(110)과 공급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습냉각부(120)는 건조부(11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혼합부(140)가 김 건조실의 행(行)방향으로 봤을 때 제습냉각부(120)와 공급부(130) 사이에 위치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혼합부(140)를 중심으로 양측에 공급부(130)와 제습냉각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열기가 바로 건조부(110)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증발기(122)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순환기체 공급기(134)의 열이 버려지지 않고 냉기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함으로써, 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춰서 김이 빠른 속도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열기는 건조부(11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기 위하여 제1격벽(144)에 차단벽(144a)을 연결형성할 수 있다. 즉, 차단벽(144a)에 의해 제1격벽(144)이 제2격벽(146)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1차적으로 송풍기(148)로 유입되지 못했던 열기가 건조부(110)로 유입되기 위하여 차단벽(144a)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는 동안 송풍기(148)에 의해 2차로 흡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건조부(110)와 상기 혼합공간(14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기공(144h)이 형성된 제1격벽(144), 상기 공급부(130)와 상기 혼합공간(142)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격벽(146), 및 상기 제1격벽(144)과 상기 제2격벽(14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송풍기(148)에 의해 형성된 혼합공간(142)에서는 상기 냉기와 상기 열기가 혼합된 뒤 제1격벽(144)에 형성된 통기공(144h)을 통해 건조부(110)에 유입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부(130)에서는 외기가 유입될 수도 있고, 김 건조실 내의 공기를 재순환시킬 수도 있는데, 증발기(122)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혼합부(140)에 공급할 공기를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130)는 공급공간(132)과 순환기체 공급기(134)를 포함하고, 흡기구(미도시)를 통하여 순환기체 공급기(134) 내에 공기가 유입된다. 순환기체 공급기(134)에는 증발기(122)를 통과하는 냉매가 연동되어 순환되는 압축기(134a)와 응축기(134b)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냉각부(134d)와 송풍기(134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냉각부(134d)에 사용되는 냉각수는 해수, 지하수, 및 지표수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김은 10월 무렵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에서 봄에 걸쳐 번식하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재배지에서 가까운 곳에서 건조를 진행한다. 즉, 겨울철 저온의 해수나 지하수, 및 지표수를 냉각수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김 건조실의 냉각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순환기체 공급기(134)에 설치되는 송풍기(134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기체 공급기(13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기체 공급기(134)에 유입된 공기는 보조냉각부(134d)의 설치위치에 따라 응축기(134b) 또는 보조냉각부(134d)를 1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공기가 흡입되는 위치에 응축기(134b)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보조냉각부(134d)를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측에 구비함으로써, 순환기체 공급기(134) 내로 유입된 공기가 보조냉각부(134d)에 의해 먼저 냉각된 이후에 응축기(134b)와 압축기(13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응축기(134b)가 흡기구에 위치한 경우, 공기가 응축기를 먼저 통과한 뒤에 보조냉각부(134d)와 압축기(13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순환기체 공급기(134) 내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134c)의 송풍방향에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혼합부(140)로 유입된다.
건조부(110)에는 혼합부(140)에서 배출된 공기가 건조될 김이 구비된 위치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댐퍼판(11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단부가 상기 건조부(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댐퍼판(112)이 형성되되, 상기 댐퍼판(112)은 상단부가 상기 혼합부(140)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판(112)은 복수 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상기 혼합부(140) 측으로 갈수록 상기 댐퍼판(112)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합부(140)측에 있는 댐퍼판(112)의 높이가 가장 짧고, 혼합부(140)에서 가장 먼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댐퍼판(112)이 높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김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김이 동일한 건조품질로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김의 양품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냉각부(129)는 상기 증발기(122)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입력된 값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포함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에서 목적하는 습도 값이 40% 내지 50%로 설정되어 있을 때 습도센서에서 인지하는 습도가 50%를 초과할 경우, 냉각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습도가 40% 내지 5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버터에서는 펌프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목적 범위를 초과할 경우, 펌프의 구동속도를 증가시켜 냉각수가 빠른 속도로 순환되도록 한다. 따라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습도센서에서 인식한 습도가 목적 범위 내에 해당할 때에는 펌프의 구동속도를 낮춤으로써 펌프를 구동시키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건조실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김 건조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증발기(122)가 배열된 열(列)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송풍기(126)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습냉각부(120)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증발기(122)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부(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냉각부(129)를 구비함으로써, 증발기(122)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조냉각부(129)는 증발기(122)에 공급되는 습윤한 공기의 온도를 먼저 낮춤으로써, 고용량의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증발기(122)의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qkfuad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건조부 112: 댐퍼판
120: 제습냉각부 122: 증발기
124: 배수구조체 124a: 집수용기
124b: 배수관 126: 송풍기
130: 공급부 132: 공급공간
134: 순환기체 공급기 140: 혼합부
142: 혼합공간 144: 제1격벽
144a: 차단벽 144h: 통기공
146: 제2격벽 148: 송풍기

Claims (17)

  1. 김이 건조되는 김 건조실에 있어서,
    건조될 김이 정렬배치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 상부에 일렬로 다수 배열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조체, 및 상기 증발기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제습냉각부;
    상기 증발기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가 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공급부;
    상기 제습냉각부를 통과한 냉기와 상기 공급부를 통과한 열기가 혼합되도록 상기 제습냉각부 하부에 구비된 상기 건조부와 상기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혼합된 공기가 상기 건조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동되는 송풍기가 구비된 혼합부; 및
    상기 제습냉각부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증발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입력된 값에 따라 상기 펌프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냉각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증발기가 하나의 열로 구비되고,
    상기 제습냉각부의 상기 송풍기는 상기 증발기가 배열된 열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냉기와 상기 열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
    상기 건조부와 상기 혼합공간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제1격벽;
    상기 공급부와 상기 혼합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격벽, 및
    상기 냉기와 상기 열기가 상기 혼합공간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냉각부의 상기 송풍기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뒤 상기 혼합부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1격벽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체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한 집수용기와 상기 집수용기에서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부는 각각의 상기 증발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해수, 지하수, 및 지표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건조부의 바닥면에 결합된 댐퍼판이 형성되되,
    상기 댐퍼판은 상단부가 상기 혼합부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판은 복수 개의 행으로 구비되되,
    상기 혼합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댐퍼판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복수개의 열(列)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공급공간, 및
    상기 공급공간 내에 구비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포함하는 순환기체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에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보조냉각부, 및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냉각부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부는 상기 순환기체 공급기의 상기 흡기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실.
KR1020120024007A 2012-03-08 2012-03-08 김 건조기 KR10137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07A KR101373027B1 (ko) 2012-03-08 2012-03-08 김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07A KR101373027B1 (ko) 2012-03-08 2012-03-08 김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51A KR20130102851A (ko) 2013-09-23
KR101373027B1 true KR101373027B1 (ko) 2014-03-11

Family

ID=4945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07A KR101373027B1 (ko) 2012-03-08 2012-03-08 김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4641A (zh) * 2016-07-18 2016-12-07 莆田秀屿区群韬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龙须菜烘干系统及烘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076A (ko) 2022-06-30 2024-01-08 최운창 광섬유를 이용한 김가공공장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603A (ja) * 2003-01-16 2004-08-05 Yunimakku:Kk モズクの乾燥方法及びモズク乾燥機
KR200362979Y1 (ko) * 2004-03-18 2004-09-22 김한국 농수산물 건조기
JP2010045981A (ja) * 2008-08-19 2010-03-04 Otsubo Tekko:Kk 海苔製造装置及び海苔製造装置に設置される除湿器
KR20110031852A (ko) * 2009-09-21 2011-03-29 (주)써모텍 에너지 절약형 저온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603A (ja) * 2003-01-16 2004-08-05 Yunimakku:Kk モズクの乾燥方法及びモズク乾燥機
KR200362979Y1 (ko) * 2004-03-18 2004-09-22 김한국 농수산물 건조기
JP2010045981A (ja) * 2008-08-19 2010-03-04 Otsubo Tekko:Kk 海苔製造装置及び海苔製造装置に設置される除湿器
KR20110031852A (ko) * 2009-09-21 2011-03-29 (주)써모텍 에너지 절약형 저온건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4641A (zh) * 2016-07-18 2016-12-07 莆田秀屿区群韬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龙须菜烘干系统及烘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51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US4532720A (en) Drying process and its apparatus utilizing a refrigeration cycle
CN105180556A (zh) 冰箱
CN206496592U (zh) 一种高效节能型多用途干燥机
CN1837452A (zh) 一种半导体除湿式干衣机及干衣方法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CN109855396B (zh) 一种空气热泵烘干机
CN206338896U (zh) 除湿机
CN109708440B (zh) 一种带有回风槽和除湿通道的空气热泵烘干机
KR101373027B1 (ko) 김 건조기
KR100381135B1 (ko) 제습장치
CN208154958U (zh) 一种热泵干燥设备
CN206821956U (zh) 一种闭式排湿和开式热风联合使用的热泵烟叶烘干房
KR101913720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KR20120087609A (ko) 저온저장고의 열교환장치
CN210107889U (zh) 一种带有回风槽和除湿通道的空气热泵烘干机
CN109855394B (zh) 一种带有回风槽的空气热泵烘干机
KR102095000B1 (ko) 제습기
KR20110029513A (ko) 액체식 제습장치
CN208209467U (zh) 一种户外端子箱智能除湿器
CN110530121A (zh) 一种木材烘干机
KR20130024715A (ko)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
KR102151940B1 (ko) 제습 건조기
KR101581457B1 (ko) 균일한 건조가 가능한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