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742B1 -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742B1
KR101270742B1 KR1020110072635A KR20110072635A KR101270742B1 KR 101270742 B1 KR101270742 B1 KR 101270742B1 KR 1020110072635 A KR1020110072635 A KR 1020110072635A KR 20110072635 A KR20110072635 A KR 20110072635A KR 101270742 B1 KR101270742 B1 KR 101270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rail
housing
elevator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469A (ko
Inventor
유제광
김일석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11007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4Other accessories on ladders, e.g. acoustical signalling devices, dismountable switchboards

Abstract

차대 위에 설치되고 한 쌍의 사다리 레일들을 구비한 사다리와, 사다리 레일들에 의해 안내되어 사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동작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에 있어서, 사다리에 채용되어 승강기를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리도록 안내하는 보조레일에 관한 것이다. 보조레일은 하우징과, 레일 로드 및 복귀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사다리 레일의 각 하측 부위에 설치된다. 레일 로드는 하우징에 대해 수납 또는 인출되며,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기가 사다리 레일의 최하측을 지나 하강할 때 승강기에 의해 밀려 하우징으로부터 사다리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인출된다. 복귀기구는 레일 로드가 승강기에 의해 밀려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기가 상승할 때 레일 로드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레일 로드를 하우징에 수납시킨다.

Description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Auxiliary rail for elevator of ladder truck}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승강기를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리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레일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 소방차는 사다리를 갖추고 있는 소방차로서, 고층 건물의 화재시 사다리에 의해 고층 건물에 소방관을 투입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다리 소방차의 사다리는 작은 붐대가 상대적으로 큰 붐대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소방차의 차대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사다리는 붐대들이 차대 위에 구비된 붐대용 동력원에 의해 펼쳐지면서 길어지거나 접히면서 짧아지게 된다.
한편, 사다리에는 화재시 소방관이나 구조자의 이동수단으로 기능하는 승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는 승강기용 동력원에 의해 사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동작한다. 승강기는 소방차의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려오게 되면, 소방관이 편리하게 승강기에 타고 내릴 수 있다.
사다리에는 승강기를 소방차의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릴 수 있도록 보조레일이 설치된다. 보조레일은 사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사다리에 수납 또는 인출된다. 따라서, 보조레일은 평상시에는 사다리에 수납되어 있다가 승강기를 지면까지 내릴 필요가 있을 때 인출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르면, 사다리에는 붐대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원 이외에 보조레일을 사다리에 대해 수납 또는 인출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다리는 중량이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명 구조시 보조레일을 구동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인명구조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다리의 중량을 줄이고 사다리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유리할 수 있으며, 인명구조시 구동시간을 감소시켜 인명구조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은, 차대 위에 설치되고 한 쌍의 사다리 레일들을 구비한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 레일들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사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동작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에 채용되어 상기 승강기를 상기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리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사다리 레일의 각 하측 부위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납 또는 인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가 상기 사다리 레일의 최하측을 지나 하강할 때 상기 승강기에 의해 밀려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사다리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인출되는 레일 로드; 및 상기 레일 로드가 상기 승강기에 의해 밀려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가 상승할 때 상기 레일 로드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레일 로드를 상기 하우징에 수납시키는 복귀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가 지면으로 내려지거나 지면으로부터 올려질 때, 레일 로드는 승강기용 동력원 이외에 별도의 동력원 없이 하우징에 대해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사다리의 중량을 줄이고 사다리의 구조도 단순화하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를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할 때, 레일 로드의 구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레일이 사다리차의 사다리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승강기가 보조레일의 안내를 받아서 사다리 레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복귀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복귀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복귀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복귀기구의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3에 있어서, 복원력 발생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3에 있어서, 복원력 발생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레일이 사다리차의 사다리에 채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승강기가 보조레일의 안내를 받아서 사다리 레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복귀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복귀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는 있어서, 복귀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사다리(10)는 사다리차, 예컨대 소방차의 차대 위에 설치되어, 고층 건물의 화재시 고층 건물에 소방관을 투입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다리(10)는 작은 붐대가 상대적으로 큰 붐대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붐대용 동력원에 의해 펼쳐지면서 길어지거나 접히면서 짧아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사다리(10)에는 승강기(20)가 설치된다. 승강기(20)는 승강기용 동력원(미도시)에 의해 사다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동작한다. 승강기용 동력원은 케이블과 와인더를 포함한 통상적인 동력원이 이용될 수 있다. 사다리(10)는 승강기(2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한 쌍의 사다리 레일(11)들을 구비한다. 승강기(20)는 화재시 소방관이나 구조자의 이동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승강기(20)는 소방관이 지상에서 편리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소방차의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사다리(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레일(100)이 설치된다. 보조레일(100)은 사다리 레일(11)의 각 하측에 설치된다. 승강기(20)는 보조레일(100) 쪽으로 하강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레일(100)의 안내를 받아 인출되어 지면으로 내려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사다리 레일(11)들 중 한 쪽에 보조레일(100)이 생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보조레일(100)은 사다리 레일(11)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보조레일(100)은 하우징(110)과, 레일 로드(120)와, 복귀기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사다리 레일(11)의 각 하측 부위에 설치된다. 하우징(110)은 레일 로드(1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레일 로드(120)는 사다리 레일(11)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하우징(110)에 수납 또는 인출 동작한다. 레일 로드(120)는 평상시에는 하우징(110)에 수납되어 있다가 승강기(20)를 지면까지 내릴 필요가 있을 때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다.
레일 로드(120)는 하우징(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기(20)가 사다리 레일(11)의 최하측을 지나 하강할 때 승강기(20)에 의해 밀려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를 위해, 레일 로드(120)의 하단에는 스토퍼(121)가 마련되고, 승강기(20)에는 푸싱 블록(21)이 마련될 수 있다. 푸싱 블록(21)은 승강기(20)가 사다리 레일(11)의 최하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스토퍼(121)의 상측 부위와 맞닿을 수 있게 위치된다.
복귀기구(130)는 레일 로드(120)가 승강기(20)에 의해 밀려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기(20)가 상승할 때, 레일 로드(120)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레일 로드(120)를 하우징(110)에 수납시킨다. 이때, 레일 로드(120)가 하우징(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부재(미도시)가 하우징(110)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보조레일(100)에 의하면, 레일 로드(120)는 평상시에 하우징(110)에 수납되어 있다가, 승강기(20)가 지면으로 내려지도록 사다리 레일(11)의 최하측으로 승강기용 동력원에 의해 하강하면, 승강기(20)의 푸싱 블록(21)이 레일 로드(120)의 스토퍼(121)와 맞닿게 된다. 이후, 승강기(20)가 승강기용 동력원에 의해 계속하여 하강하면, 레일 로드(120)의 스토퍼(121)는 승강기(20)의 푸싱 블록(21)에 의해 밀림에 따라 레일 로드(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다. 따라서, 승강기(20)는 레일 로드(120)의 안내를 받아서 지면으로 내려질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0)가 지면으로부터 올려지도록 승강기용 동력원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레일 로드(120)는 복귀기구(13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에 수납된다. 이후, 승강기(20)의 푸싱 블록(21)이 레일 로드(120)의 스토퍼(121)로부터 분리되면, 레일 로드(120)는 하우징(110)에 수납된 상태로 남게 되고, 승강기(20)는 계속하여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기(20)가 지면으로 내려지거나 지면으로부터 올려질 때, 레일 로드(120)는 승강기용 동력원 이외에 별도의 동력원 없이 하우징(110)에 대해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사다리(10)에 보조레일(100)을 위한 동력원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에 비해, 사다리(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사다리(10)의 구조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복귀기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움직 도르래(131)들과, 와이어(132), 및 복원력 발생부(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 도르래(131)들은 레일 로드(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와이어(132)는 일단이 레일 로드(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또한, 와이어(132)는 레일 로드(120)가 하우징(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될 때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을 좁히도록 움직 도르래(131)들에 감긴다.
복원력 발생부(133)들은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면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을 넓히려는 방향으로 움직 도르래(131)들에 복원력을 각각 작용한다. 예컨대, 복원력 발생부(133)들은 적어도 한 쌍의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은 가스가 압축되면 팽창되려는 힘을 이용한 것이다. 각각의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은 실린더(135)와 피스톤(136)을 구비한다.
실린더(135)는 내부에 가스가 채워진다. 피스톤(136)은 실린더(1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신장 동작한다. 피스톤(136)은 실린더(135)로부터 신장되는 외력을 받을 때 실린더(135) 내부의 가스를 압축 가능하게 실린더(135)에 설치된다. 가스는 피스톤(136)에 의해 압축을 받게 되면,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가스의 복원력이 피스톤(136)에 가해지게 되면, 피스톤(136)은 실린더(135)에 대해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은 움직 도르래(131)들의 이격된 공간 밖의 양측에 나뉘어 배치된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이 두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움직 도르래(131)들의 이격된 공간 밖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각 피스톤(136)은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신장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움직 도르래(131)들에 고정된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피스톤(136)들은 연결 브래킷(137)에 의해 두 개씩 묶여 하나의 움직 도르래(131)에 연결될 수 있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각 실린더(135)는 레일 로드(120)에 고정되어 레일 로드(120)의 이동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32)는 일단이 레일 로드(120)의 최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최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0)가 레일 로드(120)를 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레일 로드(120)가 하우징(110)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피스톤(136)들은 실린더(135)들에 각각 수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0)가 지면에 내려지도록 하강하면서 레일 로드(120)를 밀게 되면, 와이어(132)에 의해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피스톤(136)들이 실린더(135)들로부터 각각 신장된다. 이때, 피스톤(136)들은 실린더(135)들 내의 가스를 압축하게 되며, 압축된 가스는 피스톤(136)들의 수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기(20)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되면, 가스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36)들이 수축 동작하게 되어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일 로드(120)는 와이어(132)에 의해 하우징(110) 쪽으로 당겨져 하우징(110)에 수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귀기구(130)는 움직 도르래(131)들과, 와이어(132), 및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을 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레일 로드(120)가 인출되는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스트로크를 증가시키지 않고 레일 로드(120)의 복귀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귀기구(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예컨대, 하우징(110)에 별도의 브래킷(111)이 장착되고, 브래킷(111)에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실린더(135)들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132)는 일단이 레일 로드(120)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브래킷(111)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력 발생부(133)는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 대신 적어도 한 쌍의 인장 스프링(234)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 스프링(234)들은 전술한 신장식 가스 스프링(134)들의 설치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인장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각 일단이 움직 도르래(131)들에 고정되고, 각 타단이 레일 로드(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들에서는 복원력 발생부(133)는 신장 또는 인장되면 수축 또는 압축되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수축 또는 압축되면 신장 또는 인장되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력 발생부(133)는 적어도 한 쌍의 압축 스프링(334)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 스프링(334)들은 움직 도르래(131)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움직 도르래(131)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압축 스프링(334)들은 각 일단이 움직 도르래(131)들에 연결 브래킷(137)들을 매개로 고정되고, 각 타단이 레일 로드(120) 또는 하우징(110)의 브래킷(111)에 고정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334)들 대신 수축시 신장되려는 힘을 발생시키는 가스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사다리 11..사다리 레일
20..승강기 110..하우징
120..레일 로드 121..스토퍼
130..복원기구 131..움직 도르래
132..와이어 133..복원력 발생부
134..신장식 가스 스프링 234..인장 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차대 위에 설치되고 한 쌍의 사다리 레일들을 구비한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 레일들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사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동작하는 승강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에 채용되어 상기 승강기를 상기 차대로부터 지면까지 내리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사다리 레일의 각 하측 부위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수납 또는 인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가 상기 사다리 레일의 최하측을 지나 하강할 때 상기 승강기에 의해 밀려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사다리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인출되는 레일 로드; 및
    상기 레일 로드가 상기 승강기에 의해 밀려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가 상승할 때 상기 레일 로드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레일 로드를 상기 하우징에 수납시키는 복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기구는,
    상기 레일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한 쌍의 움직 도르래들;
    일단이 상기 레일 로드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 로드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될 때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을 좁히도록 상기 움직 도르래들에 감기는 와이어; 및
    상기 레일 로드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면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을 넓히려는 방향으로 상기 움직 도르래들에 복원력을 각각 작용하는 복원력 발생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들은,
    내부에 가스가 채워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해 신축 동작하며, 상기 실린더로부터 신장되는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실린더 내부의 가스를 압축 가능하게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한 쌍의 신장식 가스 스프링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장식 가스 스프링들은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이격된 공간 밖의 양측에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상기 피스톤이 신장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각 피스톤이 상기 움직 도르래들에 고정되며, 각 실린더가 상기 레일 로드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들은 적어도 한 쌍의 인장 스프링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 스프링들은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인장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이격된 공간 밖의 양측에 각각 나뉘어 배치되어, 각 일단이 상기 움직 도르래들에 고정되고, 각 타단이 상기 레일 로드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들은 적어도 한 쌍의 압축 스프링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 스프링들은 상기 움직 도르래들의 간격이 좁아질 때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움직 도르래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일단이 상기 움직 도르래들에 고정되고, 각 타단이 상기 레일 로드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KR1020110072635A 2011-07-21 2011-07-21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KR10127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35A KR101270742B1 (ko) 2011-07-21 2011-07-21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35A KR101270742B1 (ko) 2011-07-21 2011-07-21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69A KR20130011469A (ko) 2013-01-30
KR101270742B1 true KR101270742B1 (ko) 2013-06-03

Family

ID=4784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35A KR101270742B1 (ko) 2011-07-21 2011-07-21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807838T4 (tr) * 2015-05-19 2018-06-21 Iveco Magirus Kurtarma asansörü sistemi.
CN114572915A (zh) * 2022-03-18 2022-06-03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升降滑车及云梯消防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475Y1 (ko) * 2001-08-27 2001-12-28 주식회사 에스아이테코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475Y1 (ko) * 2001-08-27 2001-12-28 주식회사 에스아이테코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6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3446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меющее телескопическую входную лестницу
JP2004322823A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101270742B1 (ko)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AU2017320333B2 (en) Access device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US11267679B2 (en) Elevator car apron
JP6138513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揺れ抑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10775779B (zh) 电梯轿厢裙板
KR101230577B1 (ko)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CN214495308U (zh) 一种电梯可伸缩的爬梯
CN103010891A (zh) 断绳保护装置及救生舱
ES2900033T3 (es) Faldón de cabina de ascensor
CA2487442A1 (en) Rescue sleeve for buildings
JP641804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重りクリアランス測定装置及び釣合い重りクリアランス測定方法
CN212105601U (zh) 一种安全文明工地的升降机防护门
KR102026616B1 (ko) 이동식 사다리대차
CN220909080U (zh) 一种建筑施工拉升吊篮
CN219807629U (zh) 一种电梯紧急逃生装置
CN215167885U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
CN211180327U (zh) 一种光缆生产用钢铝带快速更换装置
JP7307518B1 (ja) リフトアップ式シェルター扉
CN217760079U (zh) 伸缩台板机构、泵车走台板总成及泵车
CN117361278A (zh) 一种电梯轿厢高稳定性升降结构
KR20100039764A (ko) 고가 사다리 소방차용 승강기와 레일의 결합구조
CN102992138A (zh) 断绳保护装置及救生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