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587B1 -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587B1
KR101269587B1 KR1020120155004A KR20120155004A KR101269587B1 KR 101269587 B1 KR101269587 B1 KR 101269587B1 KR 1020120155004 A KR1020120155004 A KR 1020120155004A KR 20120155004 A KR20120155004 A KR 20120155004A KR 101269587 B1 KR101269587 B1 KR 10126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ower generation
area
photovolta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현
김다슬
노서영
형정석
Original Assignee
권오현
주식회사 이든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현, 주식회사 이든스토리 filed Critical 권오현
Priority to KR102012015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도상에 존재하는 건물 및 토지를 기준으로 태양광발전 설비가 설치되는 거점과 지점을 설정한 후, 설정된 각 거점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적용하여 각 거점의 각 지점에 대한 태양광발전량 및 경제성을 추정하는 것이며, 또한 지도상에서 지붕이나 건물의 임대를 제공하는 자와 제공받고자 하는 자를 연결시켜주는 중개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지리정보 데이터, 지리정보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 발전추정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조건데이터입력단계; 발전예측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위치면적입력단계;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조건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단계; 및 연산된 발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ECONOMIC ANALYSIS AND INTERMEDIATION SYSTEM FOR PV-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도상에 존재하는 건물 및 토지를 기준으로 태양광발전 설비가 설치되는 거점과 지점을 설정한 후, 설정된 각 거점의 지점별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적용하여 각 거점의 각 지점에 대한 태양광발전량 및 경제성을 추정하는 것이며, 또한 지도상에서 지붕이나 건물의 임대를 제공하는 자와 제공받고자 하는 자를 연결시켜주는 중개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환경을 파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자원의 소모가 없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유, 석탄, 가스 등은 개발시 환경을 파괴하고, 연소 중에 발생되는 CO2의 발생으로 환경을 파괴하면서, 온실가스의 배출로 지구 환경을 훼손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친환경 에너지원의 개발이 주장되고 있고, 수력, 풍력, 태양광발전 등이 더욱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태양광발전은 태양이 비추는 지역이라면 장소 제한이 가장 적으며, 또한 소형의 시설에서부터 대형의 시설까지 운영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태양광발전의 실시에 있어서, 자신이 설치하고자 하는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량이라던가 수익 등을 미리 알고 설치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즉 태양광 발전 설비를 시공하기 전에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곳에서의 태양광발전량 추정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종래의 발전량 추정은 발전설비의 용량과 일조시간만을 반영하여 단순한 곱으로 이루어져서 계산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에 따라 태양광 발전량을 추정하게 되며,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일조량, 일조시간, 온도 등 기상 및 기후 조건을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계산이 어려우며, 전국적으로 일괄적인 조건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구분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설령 추정하더라도 그 값을 신뢰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국의 기상 및 기후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도 데이터 상에서 태양광 발전량이 추정될 거점부를 지점별로 분할하고, 분할된 지점별 거점에 대해 발전량 예측을 위한 데이터를 탑재하며, 발전량의 추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한 후, 발전량 추정을 위해 각 거점 또는 지점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독립변수를 상기 설정된 지점에 적용하여 각 거점의 지점에 대한 태양광발전량을 추정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발전 장치가 시설되는 장소의 면적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지도에서 폴리곤 선택을 통하여 자동으로 면적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량을 연산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건물 또는 토지가 필요한 자와 이를 보유하고 있는 자를 중개하기 위해 지도상에서 이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태양광발전 시설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 의뢰자와 설비를 시설하는 설비자의 견적과정을 수행하되 시설되는 발전량 및 시설 규모를 자연적으로 산출되어 제공함으로써 견적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리정보 데이터, 지리정보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 발전추정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조건데이터입력단계; 발전예측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위치면적입력단계;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조건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단계; 및 연산된 발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건데이터입력단계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지리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입력하는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입력하는 가중치데이터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는: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사량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입력하는 온도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입력하는 풍량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조시간정보입력단계;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입력하는 기후정보입력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면적입력단계는: 지리정보의 지번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지번선택단계; 선택된 지번에 대해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면적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입력단계는: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입력단계;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입력단계; 및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입력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적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단계는: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리딩하는 면적리딩단계; 선택된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를 리딩하는 독립변수리딩단계; 리딩된 독립변수에 가중치를 산입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단계; 및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단계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경제성분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표시단계는 연산된 매출액데이터 또는 비용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분석단계는: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단계;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단계;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단계; 및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리정보 데이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 발전량연산정보데이터, 환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연산하는 면적데이터연산부; 및 지리정보의 지번 데이터로부터 지점을 판별하고,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및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저장하는 독립변수정보저장부;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중치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독립변수정보저장부는: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사량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저장하는 풍량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조시간정보저장부;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저장하는 기후정보저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데이터연산부는: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연산부;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연산부; 및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연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부는: 지리정보의 지번을 선택한 지번정보로부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정보를 판별하는 지번정보판별부; 선택된 지번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와 리딩된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부;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상기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에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발전경제성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전경제성분석부는: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부;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부;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부; 및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견적을 산출하는 설치견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견적부는: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견적 의뢰자의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설치 면적데이터, 희망발전용량, 희망가격을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받고, 관리자단말기 측으로 입력된 지번정보, 면적데이터 및 발전량데이터를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견적입력승인부; 견적의뢰데이터를 설비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설비자단말기로부터 설비견적데이터를 전송받는 설비견적부; 및 다수 설비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비견적데이터를 의뢰단말기로 전송하고, 의뢰자에 의해 선택된 견적승인데이터를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견적과정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견적부는,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시설물의 임대 및 입찰과정을 수행하는 시설중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중개부는: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설비면적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시설매물정보입력처리부; 입찰자단말기 측으로 시설매물정보를 전송하고, 입찰자단말기로부터 매물입찰정보를 전송받아 입찰정보를 처리하는 입찰정보처리부;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다수 입찰자의 입찰정보들을 판별하여 입찰자를 선정하는 입찰과정처리부; 및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선정된 입찰자의 입찰정보를 임대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찰승인정보를 전송받아 입찰과정을 완료하는 입찰승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중개부는,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전국의 기상 및 기후 데이터를 기준으로 지도 데이터 상에서 태양광 발전량이 추정될 거점부를 권역별 또는 지점별로 분할하고, 분할된 지점별 거점에 대해 발전량 예측을 위한 데이터를 탑재하며, 발전량의 추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설정한 후, 발전량 추정을 위해 각 거점 또는 지점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독립변수를 상기 설정된 지점에 적용하여 각 거점의 지점에 대한 태양광발전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태양광발전 장치가 시설되는 장소의 면적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지도에서 폴리곤 선택을 통하여 자동으로 면적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량을 연산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건물 또는 토지가 필요한 자와 이를 보유하고 있는 자를 중개하기 위해 지도상에서 이를 연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태양광발전 시설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 의뢰자와 설비를 시설하는 설비자의 견적과정을 수행하되 시설되는 발전량 및 시설 규모를 자연적으로 산출되어 제공함으로써 견적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 시스템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화면에 표시된 지도정보에서 지번의 폴리곤 선택의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화면에 표시된 지도정보에서 지번의 폴리곤 선택의 결과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선택한 지번 및 면적으로 산출된 발전량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선택한 지번 및 면적으로 산출된 수익성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선택한 지번 및 면적으로 산출된 누적수익 정보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발전량 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발전량 예측 및 설치 가능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수익성 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절감비용 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CO2 감축량과 환산나무수 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실시로 산출된 종합리포트 정보의 일실시 표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 등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 등에서와 같이, 태양광발전 장치(PV-SYSTEM, Photovoltaic System)(미도시됨)가 설치될 지점, 면적 등을 분석하고, 태양광발전에 중요한 요소인 일사량정보, 온도정보, 풍량정보, 일조시간정보, 기후정보 등을 산입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발전경제성분석부(31)가 포함되어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을 구성하는 것으로, 태양광발전에 따른 설비 소요비용, 발전에 따른 매출예상액 등을 미리 산출하여 경제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를 위한 발전경제성분석부(31)에서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에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발전경제성분석부(31)가 포함된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에 더하여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과 연계하여 시설의 견적과정을 처리하는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40), 태양광발전 장치의 시설지를 임대하기 위한 과정을 처리하는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5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선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을 중점으로 상세 구성을 설명하며, 특히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을 먼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은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기에 앞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한 사용자로서, 사용자라 하면 자기 집이나 시설물에 설치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자, 시설업자, 본 발명의 각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자 또는 관리자, 중개업자, 기타 일반 사용자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접속하는 자 등이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가 될 것이고, 이처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설치 예상의 지점(지번)을 선택하고 면적을 선택함으로써 태양광발전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태양광발전에 있어서는, 설치되는 지점, 지역, 그리고 설치면적 등이 중요요소가 되며, 지점, 지역에 따른 기상상황이라던가 태양광발전 상황이 다르게 된다. 즉 태양광과 관련하여 기상상황이 대체로 1년 주기로 변화되기 때문에 1년 동안의 월별, 계절별 기상상황의 산정값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기상상황의 데이터들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독립변수'로써 산입되어 분석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양광발전에 있어서 기상상황과 관련된 독립변수의 예로써는 일사량데이터, 온도데이터, 풍량데이터, 일조시간데이터, 기후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독립변수들이 1년간의 데이터가 각 지점별로 저장되어 산입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치를 원하는 지번이나 지도에서 위치를 선택하게 되면,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서는 해당 선택된 지번이나 지도의 위치에 대해, 최근접 지점의 독립변수들(예 : 선택된 지점의 일사량데이터, 온도데이터, 풍량데이터, 일조시간데이터, 기후데이터 등)을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독립변수의 입력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첨부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정보제공기관의 각 단말기(예 : 지리정보 제공기관단말기, 일사량정보 제공기관단말기, 온도정보 제공기관단말기, 풍량정보 제공기관단말기, 일조시간정보 제공기관단말기, 기후정보 제공기관단말기 등으로, 기상청이나 통계청, 혹은 기상정보 제공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음)로부터 자동 업데이트 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리정보 제공기관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정보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 예정지를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된 지도의 위치는 지번으로 산출되어 진행되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실시되므로 수시로 바뀌는 전국(또는 전 세계 등)의 지리 정보를 바로바로 적용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들이 사용하더라도 최적, 최신의 지리정보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는, 지리정보 데이터,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 발전량연산정보데이터, 환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가 포함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의 적용에 있어서 전국 지점별로 일사량, 온도, 풍량, 일조시간, 기후 등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것이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하므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도 정보 또는 데이터 변환정보도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될 것이다.
아울러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지점을 선택한 다음에 설치를 원하는 면적을 입력하게 되고,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연산하는 면적데이터연산부(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지리정보의 지번 데이터로부터 지점을 판별하고,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및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부(23)가 마련된다.
이에 상기 데이터베이스(21)에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211);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저장하는 독립변수정보저장부(212); 및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중치데이터저장부(213) 등이 마련될 것이다.
또한 상기 독립변수정보저장부(212)에는,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사량정보저장부(2121);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정보저장부(2122);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저장하는 풍량정보저장부(2123);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조시간정보저장부(2124); 및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저장하는 기후정보저장부(2125) 등이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면적데이터연산부(22)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점의 설치면적을 연산하게 되며, 사용자가 면적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연산하는 양태도 다양하고 알맞게 마련되어 실시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설치 범위를 드래그하여 그림으로써 형성되는 폴리곤의 크기를 판별하여 면적을 연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연산부(221)가 마련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서 단지 설치하고자 하는 면적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영역만 그리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있어서 면적데이터연산부(22)의 폴리곤면적연산부(221)에서 자동으로 면적의 수치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지리정보에서는, 건물이나 지번 구분된 영역, 시설물 등이 활성화된 객체로 구분되어 지도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건물이나 시설물, 구분된 활성화된 객체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부분의 지번의 분석과 함께, 해당 선택된 부분의 크기를 산출하여 면적을 자동 계산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연산부(222)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화면에 활성화된 부분을 선택하면 활성객체면적연산부(222)에서 선택된 활성화된 영역의 면적의 수치를 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지번을 선택하고 면적은 수치를 입력하게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연산부(223)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의 면적데이터연산부(22)에서는 폴리곤면적연산부(221), 활성객체면적연산부(222), 수치면적연산부(223)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통하여 태양광발전 장치의 설치 면적을 연산하여 태양광발전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발전량연산부(23)에는, 지리정보의 지번을 선택한 지번정보로부터 지점별 정보를 판별하는 지번정보판별부(231); 선택된 지번의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와 리딩된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부(232); 및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부(233) 등을 포함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번과 관련된 지점의 독립변수를 리딩하게 되고, 리딩된 독립변수에 가중치를 산정하여 해당 지번의 단위발전량을 연산한 후, 단위발전량에 설치 면적의 데이터를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도 6 내지 도 10, 도 13, 도 14 등의 예시에서처럼 사용자로서 태양광발전 장치(미도시됨)를 설치하고자 하는 의뢰자, 시설 임대자, 임대된 시설에 입찰하고자 하는 입찰자, 시설 설비자, 일반 이용자,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 등으로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예 : 임대자단말기, 입찰자단말기, 의뢰단말기, 설비자단말기, 관리자단말기(13) 등)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내용이 표시되고, 화면의 지도에서 지번(지역)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은 해당 선택된 곳의 지점을 탐색하여,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를 리딩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선택된 곳의 단위발전량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예에서는 지도의 폴리곤을 형성하여 면적을 연산하는 예를 보이는 등, 사용자의 선택으로 태양광발전 장치의 시설이 설치되기 위한 면적을 연산한 후, 면적과 단위발전량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산된 발전량 데이터는 도 9, 도 10, 도 13, 도 14 등에서와 같이 필요에 알맞은 형태나 그래프 등으로 산출되어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는 것이다.
그 예로 연간발전량을 수치로써 표시될 수 있고, 산출된 설치면적, 설치용량, 월별 기상상황이나 조건 변화에 따른 발전량 변화 상황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등, 태양광발전 장치의 설치, 운영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태양광발전 분석데이터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에서와 같은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을 이용하여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태양광발전설치견적, 태양광발전 시설 중개 등의 다양한 활용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우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것이다.
즉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상기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에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발전경제성분석부(31)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이 마련된다.
이에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되고, 상기 발전경제성분석부(31)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의해 산출된 발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전에 따른 예상 매출액, 발전장치의 설치, 운영에 따른 비용 등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경제성분석부(31)의 세부 구성을 보면,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부(32);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부(33);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부(34); 및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부(35), 태양광 발전과 관련되어 기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데이터의 연산부가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1, 도 15, 도 16 등에서와 같이,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수익, 투자비용, 설치비용, 월매출액, 투자회수기간 등을 수치적 표시 및 그래프로의 표시 등이 제공될 것이다.
또한 도 12, 도 17 등에서와 같이 태양광발전을 통해 CO2감축량 및 나무로 환산된 경우의 나무의 수 등의 수치를 환산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을 통하여 산출되는 종합 데이터가 도 18의 예에서처럼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을 통하여 태양광발전 장치가 설치될 경우의 예상되는 발전량뿐만 아니라, 설치의 소요비용, 운영비용, 환경적 대치 측면에서의 CO2감축량이라던가 나무로의 환산 수치 등 다양한 산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태양광발전 설비의 적용에 따른 다양한 양태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30)의 제어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지리정보 데이터, 지리정보의 지점별 발전추정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조건데이터입력단계(S01)가 수행된다.
이러한 상기 조건데이터입력단계(S01)의 세부단계를 보면, 지리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지리정보입력단계(S11);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입력하는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S12); 및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입력하는 가중치데이터입력단계(S13) 등의 데이터입력단계가 수행된다.
이에 지리정보는 지리정보 제공기관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것이며, 기타 관리자에 의해 지리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리정보데이터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하에서 본 발명에서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지도정보, 지번정보, 건축물의 정보 등이 이용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지리정보입력단계(S11)는, 지점별지리정보구분처리부에 의해 입력된 지리정보가 반영된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해 입력된 분석대상이 되는 전국(또는 전세계)의 지리정보를 소정 간격의 위도와 경도로 나누어 매트릭스로 구분된 다수 지점으로 지리정보를 산출하는 지점별지리정보구분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S12)를 좀더 세분화하면,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사량정보입력단계(S121);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입력하는 온도정보입력단계(S122);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입력하는 풍량정보입력단계(S123);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조시간정보입력단계(S124); 및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입력하는 기후정보입력단계(S12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실시될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1)에서, 지리정보저장부(211)에 지리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독립변수정보저장부(212)에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저장하며, 가중치데이터저장부(213)에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독립변수정보저장부(212)에서, 일사량정보저장부(2121)에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저장하고, 온도정보저장부(2122)에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며, 풍량정보저장부(2123)에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저장하며, 일조시간정보저장부(2124)에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저장하고, 기후정보저장부(2125)에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독립변수데이터로, 지점별로 구분하여 일사량데이터, 온도데이터, 풍량데이터, 일조시간데이터, 기후데이터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독립변수 데이터들은 해당 기관이나 데이터 제공회사 등의 단말기에서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독립변수데이터는 전국의 도시별, 또는 군이나 시, 읍, 면, 동 등으로 하는 권역별로 독립변수가 정하여져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지도나 단말기에서 입력한 지번이나 지역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선택된 곳과 관련된 지점별 또는 권역별로 하여 독립변수 개별 데이터항목을 리딩하여 연산 데이터값으로 산입하게 된다.
지점별 구분의 예로는 전국(또는 전세계)을 지리정보 기반하에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나누어 지점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지점별지리정보구분단계에 의하여 나누게 되면, 전국을 예로 하면 전국을 소정 간격의 위도와 경도로 다수 나누어 각각 매트릭스의 행과 열로 전국을 나누게 된다. 그리하여 지점별 독립변수구분저장처리부에 의하여 매트릭스의 행과 열로 나누어지는 개별 지점별로, 일사량, 온도, 풍량, 일조시간, 기후 등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는 지점별 독립변수구분저장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지정한 지번이나 지역을 입력받게 되면, 해당 지번이나 지역의 행과 열로 구분된 매트릭스의 지점을 산출하게 되고, 이후 해당 지점에 대한 독립변수(예 : 일사량, 온도, 풍량, 일조시간, 기후 등) 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산출하게 된다.
또는 권역별로 나누는 실시예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번이나 지역의 권역을 판별하고, 해당 권역의 독립변수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산출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권역별 구분 또는 지점별 구분의 적용은 실시되는 시설이나 운영 여건 등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발전예측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위치면적입력단계(S02)가 수행된다.
즉 면적데이터연산부(22)에 의하여 실시되는 상기 위치면적입력단계(S02)는, 지리정보의 지번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지번선택단계(S21); 및 선택된 지번에 대해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면적입력단계(S22) 등에 의해 실시될 것이다.
이러한 면적데이터연산부(22)에 의한 상기 면적입력단계(S22)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면적의 입력데이터를 통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우선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입력단계(S221)가 수행된다.
즉 폴리곤면적연산부(221)에 의하여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입력단계(S222)가 수행된다.
즉 활성객체면적연산부(222)에 의하여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입력단계(S223)가 수행된다.
즉 수치면적연산부(223)에 의하여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처럼 입력된 지번 입력데이터로부터 지점을 판별하고, 선택된 지번의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가 리딩되고, 면적데이터를 통하여 발전량을 연산하게 된다. 즉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조건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단계(S03)가 수행된다.
이처럼 발전량연산부(23)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S05)가 수행된다.
이에 상기 발전량연산단계(S03)는, 즉 지번정보판별부(231)에 의하여 지리정보의 지번을 선택한 지번정보로부터 지점별 정보를 판별하고, 지점별로 구분된 데이터 영역에서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리딩하는 면적리딩단계(S31)와, 선택된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를 리딩하는 독립변수리딩단계(S32)가 수행된다.
그리고 리딩된 독립변수에 가중치를 산입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단계(S33)가 수행된다. 즉 단위발전량연산부(232)에 의하여 선택된 지번의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와 리딩된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것이다.
이후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단계(S34)를 수행한다. 즉 연간발전량연산부(233)에 의하여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연간발전량, 월간발전량, 설치면적, 설치용량 등 다양한 데이터로 수치적연산, 그래프의 연산 등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연산된 발전량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들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으로, 상기 발전량연산단계(S03)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경제성분석단계(S04)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표시단계(S05)는 발전경제성분석부(31)에서 연산된 상기 매출액데이터 또는 비용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경제성분석부(31)에 의한 상기 경제성분석단계(S04)의 상세 단계를 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것이다.
우선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단계(S41)가 수행된다.
즉 발전매출액연산부(32)에 의해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단계(S42)가 수행된다.
즉 발전비용연산부(33)에 의하여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이다.
또한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단계(S43)가 수행된다.
즉 CO2감축연산부(34)에 의하여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단계(S44)가 수행된다.
즉 환산나무수연산부(35)에 의하여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의해 제공된 태양광발전량을 살펴봄으로써 설치되는 태양광발전 장치의 시설견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40)을 살펴보기로 한다.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40)은,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견적을 산출하는 설치견적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설치견적부(41)에는,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견적 의뢰자의 의뢰단말기(15)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설치 면적데이터, 희망발전용량, 희망가격을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받고, 관리자단말기(13) 측으로 입력된 지번정보, 면적데이터 및 발전량데이터를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견적입력승인부(42); 견적의뢰데이터를 설비자단말기(16)로 전송하고, 설비자단말기(16)로부터 설비견적데이터를 전송받는 설비견적부(43); 및 다수 설비자단말기(16)로부터 입력된 설비견적데이터를 의뢰단말기(15)로 전송하고, 의뢰자에 의해 선택된 견적승인데이터를 의뢰단말기(15)로부터 입력받는 견적과정처리부(44)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설치견적부(41)는, 의뢰단말기(15)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40)을 통하여,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의뢰자는 의뢰단말기(15)를 통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의 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러한 입력데이터를 전송받은 설치견적부(41)에서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태양광발전에 예상되는 연간발전량 등의 발전관련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이처럼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량데이터와 함께 의뢰단말기(15)로부터 입력된 희망발전용량, 희망가격 등의 견적의뢰데이터는 견적입력승인부(42)에서 관리자단말기(13)로 전송되어 입력된 사항을 점검한 관리자에 의해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승인정보가 견적입력승인부(4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견적입력데이터의 승인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이후 견적의뢰데이터는 설비견적부(43)에 의해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게 될 설비자의 설비자단말기(16)로 전송되고 설비에 대한 설비견적데이터를 설비자단말기(16)로부터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설비자의 설비견적데이터는 견적과정처리부(44)에 의해 의뢰단말기(15)로 전송되고, 의뢰자는 자신이 원하는 견적데이터를 선택한 견적승인데이터가 견적과정처리부(44)에 의해 입력받아 견적절차를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뢰자 또는 설비자 등은 설치하게 될 지점이라던가 면적, 이로 인한 발전량이나 소요비용 등을 예상하여 견적과정을 맞춤형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에 의해 제공된 태양광발전량을 살펴봄으로써 설치되는 태양광발전 장치의 시설을 임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50)을 살펴보기로 한다.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50)은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게 될 지붕, 건물, 토지 등의 시설을 매물로 임대자가 등록을 하면, 이러한 시설 매물을 태양광발전장치의 설비운영자 또는 태양광발전 설비의 관련자(리스 등도 포함될 수 있음)가 입찰함으로써 중개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50)은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시설물의 임대 및 입찰과정을 수행하는 시설중개부(51) 등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시설중개부(51)에는, 임대자단말기(11)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설비면적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자단말기(13)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시설매물정보입력처리부(52); 입찰자단말기(12) 측으로 시설매물정보를 전송하고, 입찰자단말기(12)로부터 매물입찰정보를 전송받아 입찰정보를 처리하는 입찰정보처리부(53);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다수 입찰자의 입찰정보들을 판별하여 입찰자를 선정하는 입찰과정처리부(54); 및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선정된 입찰자의 입찰정보를 임대자단말기(11)로 전송하고, 임대자단말기(11)로부터 입찰승인정보를 전송받아 입찰과정을 완료하는 입찰승인처리부(55)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설중개부(51)는, 임대자단말기(11)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50)을 통하여,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장소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대자는 임대자단말기(11)를 통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의 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러한 입력데이터를 전송받은 시설중개부(51)에서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20)으로 전송하여 태양광발전에 예상되는 연간발전량 등의 발전관련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이처럼 전송받은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량데이터와 함께 임대자단말기(11)로부터 입력된 희망임대가격 등의 데이터는 시설매물정보입력처리부(52)에서 관리자단말기(13)로 전송되어 입력된 사항을 점검한 관리자에 의해 승인정보가 입력되면 승인정보가 시설매물정보입력처리부(5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견적입력데이터의 승인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이후 입력데이터, 임대데이터, 시설매물정보 등은 입찰정보처리부(53)에 의해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 장소의 입찰을 원하는 입찰자의 입찰자단말기(12)로 전송되고 설비에 대한 매물입찰정보를 입찰자단말기(12)로부터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입찰자의 매물입찰정보는 입찰과정처리부(54)를 통하여 입찰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입찰승인정보가 입찰승인처리부(55)에 의해 임대자단말기(11)로 전송하여 입찰과정을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임대자 또는 입찰자 등은 설비 임대를 원하는 지점이라던가 면적, 이로 인한 발전량이나 소요비용 등을 예상하여 임대 및 입찰과정을 맞춤형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1 : 임대자단말기 12 : 입찰자단말기
13 : 관리자단말기 15 : 의뢰단말기
16 : 설비자단말기
20 :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21 : 데이터베이스
211 : 지리정보저장부 212 : 독립변수정보저장부
213 : 가중치데이터저장부 22 : 면적데이터연산부
221 : 폴리곤면적연산부 222 : 활성객체면적연산부
223 : 수치면적연산부 23 : 발전량연산부
231 : 지번정보판별부 232 : 단위발전량연산부
233 : 연간발전량연산부
30 :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31 : 발전경제성분석부 32 : 발전매출액연산부
33 : 발전비용연산부 34 : CO2감축연산부
35 : 환산나무수연산부
40 :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
41 : 설치견적부 42 : 견적입력승인부
43 : 설비견적부 44 : 견적과정처리부
50 :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
51 : 시설중개부 52 : 시설물정보입력처리부
53 : 입찰정보처리부 54 : 입찰과정처리부
55 : 입찰승인처리부

Claims (16)

  1. 지리정보 데이터, 지리정보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 발전추정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조건데이터입력단계;
    발전예측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와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위치면적입력단계;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조건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단계; 및
    연산된 발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면적입력단계는:
    지리정보의 지번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지번선택단계;
    선택된 지번에 대해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면적정보를 입력하는 면적입력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면적입력단계는: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입력단계;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입력단계; 및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입력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적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데이터입력단계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지리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입력하는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입력하는 가중치데이터입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변수정보입력단계는: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사량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입력하는 온도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입력하는 풍량정보입력단계;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입력하는 일조시간정보입력단계;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입력하는 기후정보입력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단계는: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리딩하는 면적리딩단계;
    선택된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를 리딩하는 독립변수리딩단계;
    리딩된 독립변수에 가중치를 산입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단계; 및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단계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경제성분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표시단계는 연산된 매출액데이터 또는 비용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분석단계는: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단계;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단계;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단계; 및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제어방법.
  9. 지리정보 데이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 발전량연산정보데이터, 환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선택된 지점의 면적데이터를 연산하는 면적데이터연산부; 및
    지리정보의 지번 데이터로부터 지점을 판별하고,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 및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발전량을 연산하는 발전량연산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면적데이터연산부는: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폴리곤을 생성하여 폴리곤 크기로부터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폴리곤면적연산부;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에 활성화된 건물 또는 토지 객체를 선택하여 선택된 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활성객체면적연산부; 및
    선택된 지번의 지도상에서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위치(건물 또는 토지)의 면적에 대해 수치데이터를 입력하여 면적데이터를 산출하는 수치면적연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리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데이터를 저장하는 독립변수정보저장부;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의 가중치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중치데이터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독립변수정보저장부는: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사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사량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풍량데이터를 저장하는 풍량정보저장부;
    권역별 또는 지점별 일조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조시간정보저장부; 및
    권역별 또는 지점별 기후데이터를 저장하는 기후정보저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연산부는:
    지리정보의 지번을 선택한 지번정보로부터 권역별 또는 지점별 정보를 판별하는 지번정보판별부;
    선택된 지번의 권역별 또는 지점별 독립변수 데이터와 리딩된 독립변수의 가중치 데이터를 리딩하여 단위발전량을 연산하는 단위발전량연산부;
    단위발전량 데이터에 면적을 산입하여 연간발전량을 연산하는 연간발전량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12. 삭제
  13.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상기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에 의해 연산된 발전량데이터에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태양광발전에 따른 발전매출액데이터, 발전비용데이터, CO2감축데이터, 환산나무수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산출하는 발전경제성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경제성분석부는: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매출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월간, 연간 발전매출액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매출액연산부;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발전에 소요되는 공사비용, 운영비용, 행정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용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발전비용데이터를 연산하는 발전비용연산부;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CO2감축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CO2감축데이터를 연산하는 CO2감축연산부; 및
    연산된 연간발전량데이터에 환산나무수 환산데이터를 산입하여 환산나무수데이터를 연산하는 환산나무수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15.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견적을 산출하는 설치견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견적부는: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견적 의뢰자의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설치 면적데이터, 희망발전용량, 희망가격을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받고, 관리자단말기 측으로 입력된 지번정보, 면적데이터 및 발전량데이터를 포함한 견적의뢰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견적입력승인부;
    견적의뢰데이터를 설비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설비자단말기로부터 설비견적데이터를 전송받는 설비견적부; 및
    다수 설비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비견적데이터를 의뢰단말기로 전송하고, 의뢰자에 의해 선택된 견적승인데이터를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견적과정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견적부는, 의뢰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설치견적시스템.
  16.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및
    태양광발전 장치를 설치할 시설물의 임대 및 입찰과정을 수행하는 시설중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중개부는: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설비면적데이터를 전송받아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승인정보를 전송받아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시설매물정보입력처리부;
    입찰자단말기 측으로 시설매물정보를 전송하고, 입찰자단말기로부터 매물입찰정보를 전송받아 입찰정보를 처리하는 입찰정보처리부;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다수 입찰자의 입찰정보들을 판별하여 입찰자를 선정하는 입찰과정처리부; 및
    임대자의 시설매물정보에 대해 선정된 입찰자의 입찰정보를 임대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찰승인정보를 전송받아 입찰과정을 완료하는 입찰승인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중개부는, 임대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지번정보 및 시설면적데이터를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으로부터 연간발전량을 전송받고, 태양광발전 분석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산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 중개시스템.
KR1020120155004A 2012-12-27 2012-12-27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KR10126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004A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2-12-27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004A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2-12-27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587B1 true KR101269587B1 (ko) 2013-06-05

Family

ID=4886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004A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2-12-27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587B1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6618A (zh) * 2014-08-25 2014-11-19 南京田申田信息系统有限公司 基于地图的经济数据自动分析系统
KR20150137190A (ko) 2014-05-28 2015-12-09 양지혁 온라인 설치 시뮬레이션과 음영분석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영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60001800A (ko) * 2014-06-26 2016-01-07 (주)네모파트너즈엔이씨 해상풍력용 네모원가 스마트추정모듈을 통한 해상풍력 적정원가 보고장치 및 방법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WO2017073835A1 (ko) * 2015-10-30 2017-05-04 장영상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WO2019045262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하이메틱스 전력부하 전력소모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968166B1 (ko)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Gis 기반 신재생 에너지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980741B1 (ko) * 2018-01-16 2019-05-21 강문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 시뮬레이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90079973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20190079981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20200065879A (ko) 2018-11-30 2020-06-09 신나라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KR20200080607A (ko) *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적 및 경제적 적합성을 고려하는 건물 옥상 태양광 등급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4113A (ko) * 2019-01-02 2020-07-10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022910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사업개발 비즈니스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69338A (ko) 2019-12-03 2021-06-11 브이젠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유지보수비용 산정을 통한 유지보수역무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4181A (ko)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빈집 관리분석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10110536A (ko) * 2019-07-18 2021-09-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102300449B1 (ko)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KR20220061659A (ko) * 2020-11-06 2022-05-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다중모델의 병렬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0662A (ko) 2021-05-04 2022-11-1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유지보수역무 스케쥴링 시스템
KR20220151079A (ko) 2021-05-04 2022-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풍력 발전소의 운영유지보수 비용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1077A (ko) 2021-05-04 2022-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유지보수 비용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3449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엔벨롭스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KR20230066949A (ko) 2021-11-08 2023-05-16 한국전력공사 공간변수를 고려한 고정식 해상풍력 개발 원가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2542326B1 (ko) * 2022-11-08 2023-06-1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CN116305493A (zh) * 2023-05-11 2023-06-23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光伏节能幕墙的施工评价方法
KR20230140012A (ko) 2022-03-29 2023-10-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재생에너지원 및 이들의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p2x 시스템의 실시간 경제성 분석 방법
WO2024005260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지구루 태양광 발전장치의 투자 가치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98A (ko) * 2009-01-22 2010-07-30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량 예측 방법
KR20120110769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98A (ko) * 2009-01-22 2010-07-30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량 예측 방법
KR20120110769A (ko) * 2011-03-30 2012-10-1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 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90A (ko) 2014-05-28 2015-12-09 양지혁 온라인 설치 시뮬레이션과 음영분석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영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628459B1 (ko) * 2014-05-28 2016-06-08 양지혁 온라인 설치 시뮬레이션과 음영분석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영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60001800A (ko) * 2014-06-26 2016-01-07 (주)네모파트너즈엔이씨 해상풍력용 네모원가 스마트추정모듈을 통한 해상풍력 적정원가 보고장치 및 방법
KR101636374B1 (ko) * 2014-06-26 2016-07-06 (주)네모파트너즈엔이씨 해상풍력용 네모원가 스마트추정모듈을 통한 해상풍력 적정원가 보고장치 및 방법
KR20160022614A (ko) * 2014-08-20 2016-03-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KR101663369B1 (ko) * 2014-08-20 2016-10-07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태양광발전소의 경제성 검토 장치 및 방법
CN104156618B (zh) * 2014-08-25 2019-02-05 南京田申田信息系统有限公司 基于地图的经济数据自动分析系统
CN104156618A (zh) * 2014-08-25 2014-11-19 南京田申田信息系统有限公司 基于地图的经济数据自动分析系统
KR101733671B1 (ko) * 2015-10-30 2017-05-08 장영상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WO2017073835A1 (ko) * 2015-10-30 2017-05-04 장영상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US11329602B2 (en) 2017-08-31 2022-05-10 Hymat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power consumption by power load
WO2019045262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하이메틱스 전력부하 전력소모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079973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20190079981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2002548B1 (ko) * 2017-12-28 2019-07-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2109857B1 (ko) * 2017-12-28 2020-05-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1980741B1 (ko) * 2018-01-16 2019-05-21 강문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 시뮬레이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WO2019143102A1 (ko) * 2018-01-16 2019-07-25 강문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 시뮬레이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1893340B1 (ko) * 2018-04-04 2018-09-04 에너지코리아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 타당성 분석 시스템
KR101968166B1 (ko)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Gis 기반 신재생 에너지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5879A (ko) 2018-11-30 2020-06-09 신나라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시설 부지적합여부 판단시스템
KR102132096B1 (ko) * 2018-12-27 2020-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적 및 경제적 적합성을 고려하는 건물 옥상 태양광 등급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0607A (ko) *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적 및 경제적 적합성을 고려하는 건물 옥상 태양광 등급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4113A (ko) * 2019-01-02 2020-07-10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315623B1 (ko) * 2019-01-02 2021-10-22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127907A (ko) * 2019-01-02 2021-10-25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321673B1 (ko) * 2019-01-02 2021-11-05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530607B1 (ko) * 2019-07-18 2023-05-10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10110536A (ko) * 2019-07-18 2021-09-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20044459A (ko) * 2019-07-18 2022-04-08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신경망 기반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102380751B1 (ko) * 2019-07-18 2022-04-04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 평가 방법
KR20210022910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사업개발 비즈니스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KR102286051B1 (ko) * 2019-08-21 2021-08-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사업개발 비즈니스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69338A (ko) 2019-12-03 2021-06-11 브이젠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유지보수비용 산정을 통한 유지보수역무 최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4181A (ko)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빈집 관리분석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300449B1 (ko)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KR20220061659A (ko) * 2020-11-06 2022-05-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다중모델의 병렬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9272B1 (ko) 2020-11-06 2022-08-3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 다중모델의 병렬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0662A (ko) 2021-05-04 2022-11-1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유지보수역무 스케쥴링 시스템
KR20220151079A (ko) 2021-05-04 2022-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풍력 발전소의 운영유지보수 비용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1077A (ko) 2021-05-04 2022-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소의 운영유지보수 비용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3449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엔벨롭스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KR102623428B1 (ko) 2021-05-11 2024-01-10 주식회사 엔벨롭스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KR20230066949A (ko) 2021-11-08 2023-05-16 한국전력공사 공간변수를 고려한 고정식 해상풍력 개발 원가 계산 방법 및 장치
KR20230140012A (ko) 2022-03-29 2023-10-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재생에너지원 및 이들의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p2x 시스템의 실시간 경제성 분석 방법
WO2024005260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지구루 태양광 발전장치의 투자 가치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542326B1 (ko) * 2022-11-08 2023-06-1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CN116305493A (zh) * 2023-05-11 2023-06-23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光伏节能幕墙的施工评价方法
CN116305493B (zh) * 2023-05-11 2023-08-01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光伏节能幕墙的施工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587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Saretta et al. A review study about energy renovation of building facades with BIPV in urban environment
Melius et al. Estimating rooftop suitability for PV: a review of methods, patents, and validation techniques
Suri et al. Geographic aspects of photovoltaics in Europe: contribution of the PVGIS website
Almås et al. An approach to impact assessments of buildings in a changing climate
Adam et al. Methodologies for city-scale assessme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otential to inform strategic energy infrastructure investment
US200901774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lar mapping, determining a usable area for solar energy production and/or providing solar information
Camargo et al. Electricity self-sufficiency of single-family houses in Germany and the Czech Republic
US20210279378A1 (en) Photovoltaic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
KR101733671B1 (ko) 태양광 발전 온라인 설계와 인허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628459B1 (ko) 온라인 설치 시뮬레이션과 음영분석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영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ánchez-Aparicio et al. Ener3DMap-SolarWeb roofs: A geospatial web-based platform to compute photovoltaic potential
Aboushal Applying GIS Technology for optimum selection of Photovoltaic Panels “Spatially at Defined Urban Area in Alexandria, Egypt”
KR102002548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Schubert et al. Predicting drought on seasonal-to-decadal time scales
Du et al. Development of a REST API for obtaining site-specific historical and near-future weather data in EPW format
KR20190079973A (ko)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Morganti Spatial metric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rban form on microclimate and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 essential overview
Izkara et al. GIS-3D Platform to Help Decision Making for Energy Rehabilitation in Urban Environments
Dean et al. Analysis of web-based solar photovoltaic mapping tools
JP2011215672A (ja) 情報処理装置、発電出力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ooke Building energy modelling and mapping using airborne LiDAR
KR20200105268A (ko) 생명기후분석시스템 기반 도시의 주거지역과 숲의 인지온도 및 초과사망증가율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460279B1 (ko) 태양광 분산 에너지 자원의 정보 제공 시스템
Chandel et al. Solar Radiation Prediction Based on Hybrid Machine Learning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