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26B1 -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326B1
KR102542326B1 KR1020220147957A KR20220147957A KR102542326B1 KR 102542326 B1 KR102542326 B1 KR 102542326B1 KR 1020220147957 A KR1020220147957 A KR 1020220147957A KR 20220147957 A KR20220147957 A KR 20220147957A KR 102542326 B1 KR102542326 B1 KR 10254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a
area
rental
module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4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Terrestrial scenes taken from planes or by dr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PVA 공급자가 보유한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수요자의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Platform Mediating Installation Sit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반으로 동작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의 중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등 친환경 규제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신재생에너지설비를 대지내 설치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PV(photovoltaic) 패널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충분한 수량의 설치가 불가능해서 고가의 Color BIPV 패널 등을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대지내 설치비용이 증가됨과 동시에, 설치 된 신재생에너지 용량 대비 실질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저하 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대지외 설치라는 신규 시장의 형성을 통해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런데, 대지외 설치는 여러 가지 새로운 해결과제를 가질 것인데, 아직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점도 있지만, 대지외 설치사이트에 대한 거래 시장이 가진 불확정성, 불투명성, 거래의 비용이성, 정보 불충분, 거래 가치의 모호함등이 그 활성화를 저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면적의 사이트라고 하여도 사이트의 형상, 위·경도 및 기후 조건이나 주변건물의 음영과 지역지구 등의 건축개발 제한사항 등에 따라 설치가능면적 및 임대가치가 상이하여, 기존 부동산 거래와는 선호조건이나 특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 해소하고 활발한 대지외 설치사이트의 거래를 유도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복수의 중개 거래 플랫폼에 중복계약하거나 허위계약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실한 계약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발한 대지외 설치사이트의 거래를 유도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복계약하거나 허위계약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PVA 공급자가 보유한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수요자의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이 매칭한 결과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PVA 수요자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을 통하여 원화기반 블록체인 토큰의 구매를 실시하면 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하며, 계약이 성립되면 PVA 공급자 정보, PVA 수요자 정보, 거래 PVA 규모, PV 설치 용량, 계약 조건, 유지기간 및 PVA 공급자의 건축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사항을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정부기관 또는 민간기업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계약사항을 조회가능함으로써 이중 계약 또는 허위 계약의 판단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적어도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인터널 계약모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i) 대상건물에 있어서 건물옥상의 형상, 크기 및 방향이 특정된 건물옥상영역을 자동으로 확정하는 과정과, ii) 상기 건물옥상에서 기존설비가 차지하는 영역인 기존설비영역을 자동으로 추정하는 과정과, iii) 상기 건물옥상영역 및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을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기존설비영역의 추정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사진으로부터 공조설비, 냉각탑, 기존 PV 설비, 헬리패드, 안테나 및 연돌을 포함하는 것중에서 하나 이상을 객체인식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의 산출은, 상기 건물옥상영역에서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치가능영역에 표준 태양광설비를 자동배치하는 시뮬레이이션을 반복수행하여, 상기 배치가능영역안에서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최대로 배치될때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을 상기 PVA임대가능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는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3차원 건물정보와 용도지역지구정보를 포함하는 국가공간정보를 불러와, 현재 상기 대상건물의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하고, 미래 상기 주변건물의 가능한 증개축으로 인한 최대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상기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없는 경우의 PVA 발전량에 대비하여, 상기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있는 경우 손실되는 PVA 발전량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는 발전량 가중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량 가중치는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상기 대상 건물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일사량과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을 기초로 상기 대상 건물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며, 기준지역의 발전량과 상기 예상 발전량의 비율을 상기 발전량 가중치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가 제공한 신축 건축물의 개요 정보와 상기 신축 건축물의 대지 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계획 및 설비용량를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국가의무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며,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상기 대상건물의 대지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를 포함하는 대지 내 추가비용과, PVA 임차시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중개수수료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하는 대지 외 비용을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임차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PV 제품의 발전효율을 기준으로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이,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과 임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단, 복수의 대상건물을 조합한 경우 조합된 복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 사이의 차이가 최소 또는 임계값 이하로 되는 매칭을 서치할 수 있다.
상기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은,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에 비하여 상기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이 더 작은 경우, 표준 PV 패널보다 발전효율이 더 높은 PV 패널로 교체하여 산정한 발전용량이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에 상기 표준 PV 패널을 적용한 발전용량을 초과하도록 PV 패널을 교체한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며, 상기 표준 PV 패널은 공사비 대비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PV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옥상의 형상 및 방향과 기존 설비의 배치 상황을 반영하여 정확한 PV 임대가능면적을 원격에서 자동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실사 없이도 임대를 위해 등록하는 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VA 공급자에게 등록 즉시 PVA 임대가능면적과 이에 연동되는 PVA 임대료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어서, PVA 공급자로서는 간단한 정보 입력으로 임대 수익의 정도를 즉시 가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으로서도 현장 실사를 위한 인력투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미거래 상태(단순 등록상태)인 대상 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과 이에 연동되는 PVA 임대료를 미리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으므로, 중개 플랫폼 운영자의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여 불확정성, 불투명성 및 정보 불충분을 사전 제거함으로써 중개 거래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가의무기준의 만족여부를 즉시 자동 평가할 수 있고, 국가의무기준이 만족되지 못할 때 대지 내 추가 설치와, PVA 임차 및 설치 사이에서 어느 방안이 더 유리한지를 PVA 수요자에게 자동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VA 임차필요면적을 자동 산출하여 제시할 수 있으며, 아울러 PVA 매칭 모듈의 자동 매칭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기관 및 관련된 민간기업은 플랫폼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계약조건의 세부사항을 조회 할 수 있고, 계약 이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이중 계약 또는 허위 계약 등의 판단에 활용 할 수 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서 본 발명은 활발한 신축건물의 대지 외 설치사이트의 거래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PVA(PV installable Area)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영역(사이트)을 말하며,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에너지효율등급인증,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또는/및 신재생에너지자립률에 관한 의무를 가진 건축주나, RE100 추진 기관/기업 등을 대상으로, 타인 소유의 사이트(주로 건축물 상부의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기를 원하는 자에게 부지를 공급하는(중개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며, PVA는 위 중개 서비스의 대상이 된다. 아울러 블록체인기반 오픈형 네트워크를 활용한 계약정보 공유로 인해 정부기관 등 외부에서 계약조건 및 이행여부를 조회 가능하게 하여 중복계약 및 허위계약을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PVA 공급모듈(10), PVA 수요모듈(20), PVA 매칭 모듈(30) 및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을 포함하며, PVA 공급자(51), PVA 수요자(52), 블록체인 서비스업체(53), PV EPC 및 O&M사(54) 및 정부기관/민간기업(55)과 긴밀히 연계된다.
PVA 공급모듈(10), PVA 수요모듈(20), PVA 매칭 모듈(30) 및 블록체인 계약모듈(40)는 컴퓨터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PVA 공급자(51), PVA 수요자(52), 블록체인 서비스업체(53), PV EPC 및 O&M사(54) 및 정부기관/민간기업(55)은 사람 또는 단체를 지칭하는 것일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이들을 위해 사용되는 휴대단말,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PVA 공급자(51)는 PVA 공급 모듈(10)로 건축물의 주소를 포함하는 건축물 정보 및 임대가능기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PVA 공급 모듈(10)은 PVA 공급자(51)가 임대를 원하는 대상건물의 PVA 임대물건정보를 자동 획득 및 산출하고, 여러 PVA 공급자(51)가 임대를 위해 등록한 복수의 대상건물에 상응하는 복수의 PVA 임대물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도시 안됨)에 축적한다. PVA 임대물건정보는 건축물 주소, 소유주 정보, PVA 임대가능면적, 발전 손실비율, 발전량 가중치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한다.
PVA 임대 희망자인 PVA 공급자(51)가 건축물의 주소를 입력하는 등의 과정을 통하여 대상 건물을 등록하면(도 1의 ① 참조), PVA 공급 모듈(10)은 대상지의 건축물 대장 정보를 조회하여 이 중 소유주 정보를 불러오게 되며, PVA 공급 모듈(10)은 문자 인증과 같은 개인인증을 통해 대상지(대상 건물)의 실제 소유주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다음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소유주 인증 및 임대가능성을 1차 평가한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PVA 임대가능면적을 산출하는데, 먼저 대상건물에 있어서 건물옥상의 형상, 크기, 면적 및 배치정보(방향)이 특정된 건물옥상영역을 자동으로 확정한다. 공공 데이터베이스 상의 3차원 건물 정보, 항공지도 및 위성지도 등을 불러와 이를 바탕으로 대상 건물옥상의 형상, 크기, 면적 및 배치정보(방향)을 산출한다. 이러한 건물옥상영역의 정보는 3D의 데이터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건물옥상에서 기존설비가 차지하는 영역인 기존설비영역을 자동으로 추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AI 객체인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항공지도(항공사진) 또는 위성지도(위성사진)를 불러와 건물옥상영역에서 공조설비, 냉각탑,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 PV 설비, 헬리패드, 안테나, 옥탑, 승강기탑 및 연돌과 같은 것을 자동으로 객체인식하며, 객체인식된 기존설비가 차지하는 영역은 기존설비영역으로 하여 상기 3D의 데이터에 부가될 수 있다. 객체인식된 결과는 PVA 공급자의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되, 인식된 객체의 바운더리 및 객체에 대한 태킹과 함께 표시될 수 있어서, PVA 공급자의 확인, 추가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건물옥상영역 및 기존설비영역을 이용하여 PVA 임대가능면적을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PVA 임대가능면적의 산출은, 건물옥상영역에서 기존설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치가능영역에 표준 태양광설비를 자동배치하는 시뮬레이이션을 반복수행하되, 배치가능영역안에서 표준 태양광설비가 최대로 배치되는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찾는 방식으로 우선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PCB상에 부품을 자동 배치하는 방법, 반도체 회로 설계에서 소자를 자동 배치하는 방법 등에서 활용되는 기술을 간략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머신러닝기술을 활용하여 표준 태양광설비를 자동배치하는 시뮬레이이션을 반복수행할 수도 있다.
기본 옵션으로 표준 태양광설비는 남향으로 배치되는 데, 동일면적이라도 건물옥상의 방향에 따라 최대로 배치되는 표준 태양광설비의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리고 건물옥상의 형상, 배치가능영역(기존설비영역)의 형상에 따라 최대로 배치되는 표준 태양광설비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배치가능영역안에서 표준 태양광설비가 최대로 배치되는 시뮬레이션 케이스에서 표준 태양광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을 PVA 임대가능면적으로 결정한다(이때 인접하는 두 태양광설비 사이의 이격 공간은 PVA임대가능면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가용 옥상 면적을 가지더라도 옥상의 형상 및 방향과 기존 설비의 배치 상황에 따라 이용가능한 PV 임대가능면적이 전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옥상의 형상 및 방향과 기존 설비의 배치 상황을 반영하여 정확한 PV 임대가능면적을 원격에서 자동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실사 없이도 임대를 위해 등록하는 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VA 공급자에게 등록 즉시 PVA 임대가능면적과 이에 연동되는, 후술의 PVA 임대료 정보를 즉시 알려줄 수 있어서, PVA 공급자로서는 간단한 정보 입력으로 임대 수익의 정도를 즉시 가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으로서도 현장 실사를 위한 인력투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미거래 상태(단순 등록상태)인 대상 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과 이에 연동되는 후술의 PVA 임대료를 미리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으므로, 중개 플랫폼 운영자의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고 불확정성, 불투명성 및 정보 불충분을 사전 제거함으로써 중개 거래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실제 계약에 이르게 되는 경우 현장 실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PVA 임대가능면적 및 PVA 임대료를 확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아직 계약 단계에 이르지 못한 다수의 등록 물건에 대하여 일일이 PVA 임대가능면적 및 PVA 임대료 등을 정하기 위하여, 사이트에 실제 방문하여 임대가능한 영역의 형상과 크기를 실측함으로써 PVA 임대가능면적 등을 산출하는 것은 인력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기 때문에 결국 중개 비용의 상승을 불러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PVA 발전손실비율(간단히 '발전손실비율'이라고도 한다)를 산출하는데, PVA 발전손실비율은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후술할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된다.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없는 경우의 PVA 발전량에 대비하여,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있는 경우 손실되는 PVA 발전량의 비율이다.
PVA 공급 모듈(10)은 대상지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 영향을 음영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하는데, 공공 3차원 건물정보와 용도지역지구정보를 포함하는 국가공간정보를 불러와, 대상건물의 주변건물로 인한 현재의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대상건물의 위경도, 방향 및 옥상 높이와, 인접건물의 위치, 높이, 형상 및 방향이 변수로 개입되고 평균화된 태양 궤적이 가정될 수 있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미래 주변건물의 가능한 증개축으로 인한 최대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하는데, 인근 건물의 용도지역지구 기반 추후 개발가능성에 따른 음영영향을 음영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정한다. 이렇게 산출된 음영영향을 기반으로 현재 및 미래의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발전량 가중치를 산출하는데, 발전손실비율과 함께 발전량 가중치는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된다. PVA 공급 모듈(10)은 대상 건물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일사량과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을 기초로 대상 건물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며, 기준지역의 발전량과 예상 발전량의 비율을 발전량 가중치로 하여 산출한다. 발전량 가중치는 대상지(대상건물)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기후데이터(일사량, 일출일몰시간 등)를 기반으로 기준지역의 기후데이터(일사량, 일출일몰시간 등) 대비 예상 발전량의 비율을 산정하여 가중치로 결정한 것이다.
그리고 PVA 공급 모듈(10)은 대상건물의 PVA 임대료를 산정하는데, 임대 시점의 기 책정된 임대료 정보를 기반으로 한 단위면적당 PVA 임대료가 이용될 수 있다. 대상건물의 PVA 임대료는 [단위면적당 PVA 임대료 X PVA 임대가능면적 X (100% - 발전손실비율(%)) X 발전량가중치]의 수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발전손실비율은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이거나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이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가지고 함께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
PVA 공급자가 출력정보를 바탕으로 PVA공급에 동의한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자동계약체결을 위해 PVA 매칭모듈(30)의 PVA 공급 POOL(도시 안됨)에 등록된다(② 참조). 아울러 PVA 공급모듈에 의해 등록되고 산출된 정보들은 PVA 매칭모듈(30)로 전달된다.
PV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및 O&M(operation & management)社(54), 또는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업체는 업체정보(업체이름 및 시공면허 등), PV 패널의 스펙, PV CELL type 및 이에 따른 단가 정보 및 공사비 등의 입찰정보를 등록하고(③ 참조), 월별 유지관리 비용 및 조건 등을 PVA 수요모듈(20)을 통해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PVA 수요자(52)는 PVA 수요 모듈(20)를 통하여, 신축 건축물 정보 등을 등록하는데(④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PVA 수요자 정보(대상 기업 및 기관명, 신청자 정보, 신청자 개인인증), 신축 건축물 건축개요(사업명, 대지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축규모, 구조, 용도별시설면적,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비량,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생산량), 신축 건축물(대지) 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계획 및 설비용량 정보(PV, BIPV, Color BIPV, 풍력, 지열히트펌프, 연료전지 등), 및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등급 초과 달성목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PVA 수요 모듈(20)은 데이터베이스로서 PV, BIPV, Color-BIPV 등 태양광설비의 설치 각도 및 향에 따른 단위면적당 발전량 정보, 풍력, 지열히트펌프, 연료전지 등의 설치용량별 발전량 정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공사비(PV, BIPV, Color BIPV, 풍력, 지열히트펌프, 연료전지 등)를 이용할 수 있다.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52)로부터 대상 기업 및 기관명, 신청자 정보 등을 입력하고 문자인증등을 통해 신청자 개인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진행 할 수 있다. 그리고 PVA 수요 모듈(20)은 신축 건축물개요 기반으로 연면적을 산정하는데, PVA 수요자가 플랫폼에 입력한 신축 건축물 개요정보를 바탕으로 에너지효율등급인증 및 제로에너지인증의 의무 등급 산정을 위해 필요한 연면적을 산정한다.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가 플랫폼에 입력한 신축 건축물 개요 정보, 신축 건축물의 대지 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계획 및 설비용량 정보, 앞서 산정된 신축 건축물 개요 기반 인증용 연면적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국가의무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현재 신축 건축물 설계안의 에너지효율등급인증 등급 및 제로에너지인증 등급을 출력하며, 해당 연산을 기반으로 현재 신축 건축물 설계안 기준의 신재생에너지 자립률을 산출한다. 국가의무기준은 에너지효율등급인증 등급, 제로에너지인증 등급 및 신재생에너지 자립률에 관하여 의무로 충족해야할 등급 및 자립률일 수 있다.
이때, 인증등급이 의무기준에 미달하거나 신재생에너지 자립률이 의무기준에 미달될 때에는 의무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검토단계로 진행된다.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때, PVA 수요 모듈(20)은 대상건물의 대지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용량 및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를 포함하는 대지 내 추가비용과, PVA 임차시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용량 및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중개수수료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하는 대지 외 비용을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신축 건축물의 의무기준을 충족 시키기 위해 대지 내 추가로 설치가 필요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원별 용량 및 공사비를 산출하는데, 이때 PV EPC 업체가 등록해놓은 PV 스펙 및 공사비 정보를 기반으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제품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PVA의 임차시 인증 및 자립률의 기준을 충족하는 Off-site PV 설치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원별 용량 및 공사비를 산정한다. 이때 PV EPC 업체등이 등록해 놓은 PV 발전효율 별 공사비 정보를 기반으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제품을 기준으로 PVA 임차 필요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PVA 수요 모듈(20)은 PVA의 임차 필요여부를 판단하는데, 대지 내에서 의무기준이 충족된 경우의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대지 내 추가비용과 비교하여, PVA 임차시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중개 수수료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하는 대지 외 비용이 더 낮을 경우 PVA 임차가 필요함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PVA 임차가 필요 없음을 출력할 수 있다.
PVA 임차가 필요한 경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52)의 PVA 임차필요면적, 중개 수수료 및 PVA 임차 비용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여 PVA 수요자에게 출력하며, 이때 PVA 임차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제품을 기준으로 PVA 임차필요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에게 기준이 되는 PV 발전효율(기준 PV 발전효율) 및 PVA 임차에 따른 공사비 절감액 등을 더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가의무기준의 만족여부를 즉시 자동 평가할 수 있고, 국가의무기준이 만족되지 못할 때 대지 내 추가 설치와, PVA 임차 및 설치 사이에서 어느 방안이 더 유리한지를 PVA 수요자에게 자동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VA 임차필요면적을 자동 산출하여 제시할 수 있으며, 아울러 후술하는 PVA 매칭 모듈(30)의 자동 매칭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PVA 수요자는 PVA 수요 모듈을 통해 산출된 PVA 임차필요면적, 기준 PV발전효율, PVA 임차에 따른 공사비 절감액 및 중개 수수료, PVA 임차 비용 정보를 바탕으로 PVA 매칭 모듈(30)에 등록된 PVA Pool의 최적 매물을 조회할 수 있다(⑤ 참조). PVA 수요모듈은 입력 및 산출된 정보들은 PVA 매칭 모듈(30)로 전달된다.
PVA 매칭 모듈(30)은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PVA 임대물건정보와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한다.
PVA 매칭 모듈(30)은 PVA 임차필요면적과 임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단, 복수의 대상건물을 조합한 경우 조합된 복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 사이의 차이가 최소 또는 임계값 이하로 되는 매칭을 서치한다.
PVA 매칭 모듈(30)은 PVA 임차 필요면적 산정시 반영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제품을 기준으로 하여, PVA 임차 필요면적과 같거나 유사한 면적의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을 매칭한다. PVA 공급 POOL에 PVA 임차필요면적과 동일한 PVA 임대가능면적이 존재하지 않을 시, PVA 수요자는 PVA 공급계약 참여자의 수를 늘이거나, 설치되는 PV의 발전효율 변경에 따른 매칭 최적화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우선 PVA 매칭 모듈(30)은 PVA 임차필요면적과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 간 차이가 최소인 계약을 우선적으로 추천한다. 이때, PVA 임차 필요면적보다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이 더 작다면 이를 보충 할 수 있는 PVA 공급면적을 계약 참여자 수를 늘려서 추가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PVA 매칭 모듈(30)은 PVA 임차필요면적에 비하여 PVA 임대가능면적이 더 작은 경우, 표준 PV 패널(표준 PV 패널은 공사비 대비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PV 패널)보다 발전효율이 더 높은 PV 패널로 일부 패널을 교체하여 동일한 발전용량으로 더 적은 PVA 임차면적이 산정되도록 PV 패널을 교체한 것을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다.
PVA 임차 필요면적과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 간 차이가 최소인 계약을 우선적으로 추천하되, PVA 임차 필요면적보다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이 더 작다면, 기준으로 삼았던 표준 PV 패널 대비 발전효율이 더 높은 PV 패널으로 필요한 면적만큼 교체하여 산정된 결과값을 바탕으로, 동일하거나 초과된 발전용량이지만 PVA 임차 필요면적과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을 맞춘 공사비가 다소 상승된 대안을 자동으로 제시한다. 또한 이때의 PV 제품별 수량 및 면적과 공사비 변경사항을 출력한다.
아울러 PVA 매칭 모듈(30)은 부가적 사항들을 더 고려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동일 면적(또는 임계값이내에서 유사한 면적)의 PVA가 있을 경우, 임대가능기간, PVA 공급자 이력평가, 및 임대 사이트와의 거리(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 중에서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고려할 수 있다.
PVA 수요자는 PVA 수요모듈 및 PVA 매칭모듈의 산출 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Blockchain 기술이 적용된 원화기반 토큰 구매(⑥ 참조)를 실시하여 계약을 실행한다. PVA 매칭 모듈(30)이 매칭한 결과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PVA 수요자가 PVA 수요 모듈(20)을 통하여 Token Pool(61)로부터 원화기반 블록체인 토큰의 구매를 실시하면 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PVA 수요자의 토큰 구매 실시에 따른 Transaction 순서에 따라 최적 Match를 확정하도록 연동된다(⑦ 참조). 그리고 PVA 매칭 모듈(30)은 계약 체결 사실(및 계약 사항)을 블록체인 계약모듈(40)로 전달한다(⑧ 참조).
그리고 PVA 매칭 모듈(30)의 매치 결과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은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체결한다.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은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전달하여 기록한다. 계약이 성립되면 PVA 공급자 정보, PVA 수요자 정보, 거래 PVA 규모, PV 설치 용량, 계약 조건, 유지기간 및 PVA 공급자의 건축물 정보를 포함하는 계약사항을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한다. 또한, 계약 사항을 PVA 공급자에게 직접, 혹은 PVA 공급모듈 내 PVA 공급자 알림 시스템을 통해 통지하고, PVA 수요자에 직접, 혹은 PA 수요모듈 내 PVA 수요자 알림 시스템을 통해 통지하며, PV EPC 및 O&M 社에게 전달한다(⑨ 참조). 계약사항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위변조가 불가능한 사항으로 등록되게 한다.
PVA 공급자는 플랫폼 사업자와의 계약 내용에 따라 PVA 임대료로서 TOKEN 판매액을 정산 받는다(⑩ 참조). 정부기관 및 관련된 민간기업(55)은 플랫폼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 계약조건의 세부사항을 조회 할 수 있고(⑪ 참조), 계약 이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이중 계약 또는 허위 계약 등의 판단에 활용 할 수 있다. 즉, 정부기관 또는 민간기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계약사항을 조회가능함으로써 이중 계약 또는 허위 계약의 판단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계약의 중도 파기를 희망하는 PVA 공급자 또는 수요자는 플랫폼에서 계약프로그램이 미리 산정해놓은 잔여 계약기간별 위약금 및 PV발전설비 철거 비용을 조회 할 수 있으며 위약금 결재시 계약은 최종 파기된다. 파기된 계약은 정부기관 및 인증기관에 제출된 계약 기간의 이행 의무에 따라 잔여 기간을 이행하기 위하여 PVA 매칭모듈에 자동 재등록되며(⑫ 참조), PVA 매칭모듈의 우선조건에 따라 신규 거래보다 재계약 거래가 우선시되어 처리된다. 계약을 파기한 PVA 공급자 또는 수요자는 PVA 매칭모듈의 이력평가 프로세스에 따라 자동으로 파기 여부가 이력으로 기록되어 이후 매칭에 활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은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PVA 공급모듈(10), PVA 수요모듈(20) 및 PVA 매칭 모듈(30)을 포함하며, 다만 제 1 실시예에서 원화기반 블록체인 토큰으로 거래되는 대신, 금융기관(56)이 제공하는 금융거래 인프라(62)를 통해 PVA 임대료의 결재와 PVA 임대료의 정산이 수행되고 PAV 매칭모듈(30)은 금융거래 인프라(62)로부터 결재내역을 통보받아서 매칭을 확정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의 블록체인 계약모듈(40) 대신 인터널 계약모듈(45)을 구비하는 점 등이 주요 차이점이다.
인터널 계약모듈(45)은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자체의 데이터베이스(46)에 전달하여 기록한다. 계약이 성립되면 PVA 공급자 정보, PVA 수요자 정보, 거래 PVA 규모, PV 설치 용량, 계약 조건, 유지기간 및 PVA 공급자의 건축물 정보를 포함하는 계약사항을 자체의 데이터베이스(46)에 기록한다. 또한, 인터널 계약모듈(45)은 계약 사항을 PVA 공급자에게 직접, 혹은 PVA 공급모듈 내 PVA 공급자 알림 시스템을 통해 통지하고, PVA 수요자에 직접, 혹은 PA 수요모듈 내 PVA 수요자 알림 시스템을 통해 통지하며, PV EPC 및 O&M 社에게 전달한다(⑨ 참조).
정부기관 및 관련된 민간기업(55)은 플랫폼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46)에 대한 억세스 권한을 통해 관련 계약조건의 세부사항을 조회 할 수 있다(⑪ 참조).
계약의 중도 파기를 희망하는 PVA 공급자 또는 수요자는 플랫폼에서 계약프로그램이 미리 산정해놓은 잔여 계약기간별 위약금 및 PV발전설비 철거 비용을 조회 할 수 있으며 위약금 결재시 계약은 최종 파기된다. 파기된 계약은 정부기관 및 인증기관에 제출된 계약 기간의 이행 의무에 따라 잔여 기간을 이행하기 위하여 PVA 매칭모듈에 자동 재등록되며(⑫ 참조), PVA 매칭모듈의 우선조건에 따라 신규 거래보다 재계약 거래가 우선시되어 처리된다.
10 : PVA 공급모듈 20 : PVA 수요모듈
30 : PVA 매칭모듈 40 : 블록체인 계약모듈
45 : 인터널 계약모듈 46 : 데이터베이스
51 : PVA 공급자 52 : PVA 수요자
53 :블록체인 서비스업체 54 : PV EPC 및 O&M사
55 : 정부기관/민간기업 60 :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3)

  1.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으로서,
    PVA 공급자가 보유한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수요자의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i) 대상건물에 있어서 건물옥상의 형상, 크기 및 방향이 특정된 건물옥상영역을 자동으로 확정하는 과정과, ii) 상기 건물옥상에서 기존설비가 차지하는 영역인 기존설비영역을 자동으로 추정하는 과정과, iii) 상기 건물옥상영역 및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을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기존설비영역의 추정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사진으로부터 공조설비, 냉각탑, 기존 PV 설비, 헬리패드, 안테나 및 연돌을 포함하는 것중에서 하나 이상을 객체인식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의 산출은,
    상기 건물옥상영역에서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치가능영역에 표준 태양광설비를 자동배치하는 시뮬레이이션을 반복수행하여, 상기 배치가능영역안에서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최대로 배치될때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을 상기 PVA임대가능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이 매칭한 결과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PVA 수요자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을 통하여 원화기반 블록체인 토큰의 구매를 실시하면 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하며,
    계약이 성립되면 PVA 공급자 정보, PVA 수요자 정보, 거래 PVA 규모, PV 설치 용량, 계약 조건, 유지기간 및 PVA 공급자의 건축물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계약사항을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정부기관 또는 민간기업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계약사항을 조회가능함으로써 이중 계약 또는 허위 계약의 판단에 활용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4. 적어도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인터널 계약모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i) 대상건물에 있어서 건물옥상의 형상, 크기 및 방향이 특정된 건물옥상영역을 자동으로 확정하는 과정과, ii) 상기 건물옥상에서 기존설비가 차지하는 영역인 기존설비영역을 자동으로 추정하는 과정과, iii) 상기 건물옥상영역 및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을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기존설비영역의 추정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사진으로부터 공조설비, 냉각탑, 기존 PV 설비, 헬리패드, 안테나 및 연돌을 포함하는 것중에서 하나 이상을 객체인식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에 의한 상기 PVA 임대가능면적의 산출은,
    상기 건물옥상영역에서 상기 기존설비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배치가능영역에 표준 태양광설비를 자동배치하는 시뮬레이이션을 반복수행하여, 상기 배치가능영역안에서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최대로 배치될때 상기 표준 태양광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을 상기 PVA임대가능면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는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3차원 건물정보와 용도지역지구정보를 포함하는 국가공간정보를 불러와, 현재 상기 대상건물의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하고, 미래 상기 주변건물의 가능한 증개축으로 인한 최대 음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현재 PVA 발전손실비율 및 상기 미래 PVA 발전손실비율은, 상기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없는 경우의 PVA 발전량에 대비하여, 상기 주변건물로 인한 음영이 있는 경우 손실되는 PVA 발전량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는 발전량 가중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량 가중치는 PVA 임대료의 산출에 이용되며,
    상기 PVA 공급 모듈(10)은,
    상기 대상 건물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일사량과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을 기초로 상기 대상 건물의 예상 발전량을 산출하며, 기준지역의 발전량과 상기 예상 발전량의 비율을 상기 발전량 가중치로 산출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7. 블록체인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으로서,
    PVA 공급자가 보유한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수요자의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계약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가 제공한 신축 건축물의 개요 정보와 상기 신축 건축물의 대지 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계획 및 설비용량를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국가의무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며,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상기 대상건물의 대지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를 포함하는 대지 내 추가비용과, PVA 임차시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중개수수료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하는 대지 외 비용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8. 적어도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대물건정보를 산출하고 복수의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를 축적하는 PVA 공급 모듈(10);
    PVA 임차필요면적을 포함하는 PVA 임차조건정보를 산출하는 PVA 수요 모듈(20);
    적어도 상기 PVA 공급 모듈(10)이 축적한 상기 PVA 임대물건정보와 상기 PVA 수요 모듈(20)이 산출한 PVA 임차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을 수행하는 PVA 매칭 모듈(30);
    상기 PVA 매칭 모듈(30)의 매칭에 따라 계약이 성립된 계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인터널 계약모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수요자가 제공한 신축 건축물의 개요 정보와 상기 신축 건축물의 대지 내 신재생에너지 원별 설치계획 및 설비용량를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국가의무기준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며,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상기 대상건물의 대지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국가의무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를 포함하는 대지 내 추가비용과, PVA 임차시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사비, 중개수수료 및 PVA 임대료를 포함하는 대지 외 비용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PVA 수요 모듈(20)은,
    PVA 임차시 공사비 대비 PV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PV 제품의 발전효율을 기준으로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을 산출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이,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과 임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단, 복수의 대상건물을 조합한 경우 조합된 복수의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의 합) 사이의 차이가 최소 또는 임계값 이하로 되는 매칭을 서치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VA 매칭 모듈(30)은,
    상기 PVA 임차필요면적에 비하여 상기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이 더 작은 경우,
    표준 PV 패널보다 발전효율이 더 높은 PV 패널로 교체하여 산정한 PVA 임차 필요면적이 상기 표준 PV 패널을 적용한 PVA 임차필요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대상건물의 PVA 임대가능면적보다 같거나 작아지도록 PV 패널을 교체한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며,
    상기 표준 PV 패널은 공사비 대비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PV 패널인,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KR1020220147957A 2022-11-08 2022-11-08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KR10254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57A KR102542326B1 (ko) 2022-11-08 2022-11-08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57A KR102542326B1 (ko) 2022-11-08 2022-11-08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659A Division KR20240066945A (ko) 2023-02-03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326B1 true KR102542326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957A KR102542326B1 (ko) 2022-11-08 2022-11-08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KR102089719B1 (ko) * 2019-10-15 2020-03-16 차호권 기계 설비 공사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031420A (ko) * 2018-09-14 2020-03-24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량 예측 장치
KR20220036815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세수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KR20220142005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태양광 발전소의 데이터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KR20200031420A (ko) * 2018-09-14 2020-03-24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량 예측 장치
KR102089719B1 (ko) * 2019-10-15 2020-03-16 차호권 기계 설비 공사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36815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세수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KR20220142005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태양광 발전소의 데이터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banca et al. Energy efficiency services for residential buildings: market situation and existing potentials in the European Union
Melius et al. Estimating rooftop suitability for PV: a review of methods, patents, and validation techniques
US7512540B2 (en) Automated new energy technology consulting and demand aggregation system and method
Booth et al. Net zero energy military installations: A guide to assessment and planning
Ardani et al. Non-Hardware (" Soft") Cost-Reduction Roadmap for Residential and Small Commercial Solar Photovoltaics, 2013-2020
Salkin The key to unlocking the power of small scale renewable energy: Local land use regulation
Gumerman et al. Evaluation framework and tools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Jo et al. Implementation of a large-scale solar photovoltaic system at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 Illinois, USA
KR102542326B1 (ko)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KR20240066945A (ko)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US11004145B2 (en) Converting solar output measure to commercial rent per square area
Richards et al. Portfolio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opportunities
Barrett Ownership structures an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irport solar projects in the USA
Lisell et al. Feasibility study of economics and performance of solar photovoltaics in Nitro, West Virginia
Adejoro Solar PV for Decentralised Generation for Commercial Buildings in Nigeria: A Case Study of the Architecture Building at Kogi State Polytechnic
Kaluba Innovative Green Finance for Renewable Energy Interventions in Gap Housing for South Africa: A Case Study of Rooftop PV for Windmill Park Residential Complex, Johannesburg
Lorand Renewable energy guide for highway maintenance facilities
Baither et al. SYST 495 Technical Report
Nemo Where Are All the Solar Panels?
Valmiki et al. Commercial and Multifamily CO2 Heat Pump Water Heater Market Study and Field Demonstration
Pittakaras Zero Energy Buildings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applied analysis for the design of zero energy building in hot climate countries
Alhammami Solar Energy Estimation: Khalifa City’s Case Study
Chen et al. District Energy in Cities Initiative: Rapid assessment of five-Bhopal
Dean et al. Integrating Photovoltaic Systems into Low-Income Housing Developments: A Case Study on the Creation of a New Residential Financing Model and Low-Income Resident Job Training Program, September 2011 (Brochure)
Hanover FHWA Renewable Energy Implementation at State DOTs Peer Ex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