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815A -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815A
KR20220036815A KR1020200165829A KR20200165829A KR20220036815A KR 20220036815 A KR20220036815 A KR 20220036815A KR 1020200165829 A KR1020200165829 A KR 1020200165829A KR 20200165829 A KR20200165829 A KR 20200165829A KR 20220036815 A KR20220036815 A KR 2022003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repaid
tokens
toke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선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수
Publication of KR2022003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생산객체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c) 선불토큰을 소유한 전력생산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정보와 전력소비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매칭되는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d) 전력망으로부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된다.

Description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ENERGY TRADING SYSTEM BASED ON PREPAID TOKEN ISSUANCE}
본 발명은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할 전력에 대해 선불토큰을 발행하고, 사용할 전력량만큼의 선불토큰을 전력소비객체에 선판매하여, 전력 생산 및 수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후불과금에 의한 과금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 전력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 거래 방식은 전력생산객체와 전력소비객체가 자신들의 전력선에 스마트미터 등을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전력량의 생산이나 소비를 계측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관리주체는 일정한 운영 주기마다(예를 들면, 1달) 생산되거나 소비된 전력량을 합산하여, 전력소비객체로 과금하게 된다.
이때, 운영기간 동안 블랙아웃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주체는 전력의 생산이나 소비량을 일정기간 단위로 지속적으로 예측하며, 필요에 따라 외부 기관(예를 들면, 전력거래소)에서 부족한 전력을 사오거나, 남은 전력을 팔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 기관에서 일정 시간 이전에 전력을 미리 사두거나 파는 경우 더 많은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여유를 두고 미리 거래하지 못한 전력을 급하게 거래하거나, 미처 거래하지 못하고 남은 잉여 전력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비싸게 구매하거나 싸게 판매하도록 되어 있어, 이를 예측하고 얼마나 잘 관리하는가가 관리주체의 중요한 이슈 사항으로 부상된다.
한편, 가상발전소를 운영하는 업체의 경우 전력의 부족함이 예측되는 경우 전력소비객체에게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이를 통지하여, 해당 기간 동안 감축되는 전력의 양을 알려주고, 감축에 성공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운영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의 예측에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사용된 전력에 대한 금액은 후불제로 정산되기 때문에 정산이 완료되기 이전에 과금 상태를 미리 알기 힘든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에 대한 선불토큰을 블록체인 망을 통해 발행하고, 전력소비객체가 선불토큰을 통해 전력을 구매하기 위한 거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거래 시스템이 가지던 운영주체가 전력의 발전량과 소비량을 예측하여 거래하거나, 전력에 대한 후불제 시스템이 가져오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생산객체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c) 선불토큰을 소유한 전력생산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정보와 전력소비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매칭되는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d)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 단계는 전력생산객체의 생산능력에 관한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생산객체가 선언한 선불토큰의 개수가 발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불토큰이 개수만큼 발행이 불가능하면, 전력생산객체로 경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 이전에 선불토큰의 과거 거래 가격과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상기 (a) 단계에서 선언한 생산가능한 전력량과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선언한 소비예정인 전력량을 참고하여, 상기 전력생산객체로 상기 선불토큰의 전력량 단위 별 예상 가격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선불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 망에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전력소비객체로 구매 가능한 선불토큰에 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내의 각 선불토큰에 대한 정보는 구매가능한 선불토큰의 개수 및 단위 선불토큰 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전력량, 가격, 생산에너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는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이 상기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입금되면, 선불토큰에 대한 소유권을 전력소비객체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 중 일부를 전력생산객체로 제공하고,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응하는 전력 생산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남은 대금을 전력생산객체에게 지급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큰 경우,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부족량만큼 추가로 선불토큰을 발행하고, 부족량에 대응하는 전력을 외부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부터 구매하여 전력소비객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적은 경우,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잔여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다른 전력소비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 판매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 이후 전력소비객체가 구매한 선불토큰에 대응되는 전력을 소비하지 못하면 잉여 전력에 대응되는 대금의 전부 환불 또는 일부를 환불하고, 잉여 전력을 다른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거나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전력생산객체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을 발행하고, 선불토큰을 소유한 전력생산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정보와 전력소비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매칭되는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전력을 공급하고,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력생산객체가 생산하는 전력에 대한 선불토큰을 블록체인 망을 통해 발행하고, 전력소비객체가 선불토큰을 통해 전력을 구매하기 위한 거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거래 시스템이 가지던 운영주체가 전력의 발전량과 소비량을 예측하여 거래하거나, 전력에 대한 후불제 시스템이 가져오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생산 전, 매우 이른시간에 전력을 구매/판매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력수급이 급할 때, 외부 전력거래소에서 구매/판매하는 것보다 금전적인 이득을 관리주체와 생산주체, 소비주체 모두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내부에서 거래소를 운영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수료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거래소에 LP 형태로 참여를 하게 되면, 전력의 값을 명시적으로 생산주체와 소비주체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전력감축시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가격을 알려주고 감축을 유도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더 효율적이다.
또한, 전력을 수급할 때, ESS(에너지 저장시스템), 외부전력거래소 등을 활용할지에 대한 전략을 세울 시간상의 여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력생산량에 대해서 미리 인센티브가 부여된 금액으로 토큰을 판매할 경우에는, 생산자에 대한 동기부여가 더 견고해짐으로서, 전력 수급이 선언한대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력생산객체가 자신의 신용도에 따라, 전력의 생산비용의 일부를 토큰판매를 통해 미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금을 운용함에 있어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토큰을 통한 거래 과정에서 전력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전체적인 예측 신뢰도가 상승하고, 각 주체의 개별적 사정을 우선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관리자 운영 리스크가 줄어듦으로써 예측의 책임이 분산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자 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토큰 히스토리를 블록체인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토큰의 발행과 소유가 계약 용량처럼 자동 운영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객체에게 선구매 토큰량이 정해져있어서,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소비객체가 토큰량을 자율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 발행 기반 에너지를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의 거래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선불토큰 발행 기반 에너지를 거래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원활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에너지를 전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 다양한 에너지 거래에 적용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 발행 기반 에너지를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서버(100), 전력생산객체(200) 및 전력소비객체(300)로 구성되고, 서버(1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블록체인 망(4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운영주체인 서버(100)는 생산자/소비자에 대응되는 전력생산객체(200)와 전력소비객체(300)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되거나 소비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가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만큼 선불토큰을 발행하게 된다.
이때, 선불토큰이란 전력소비객체(300)가 사용하려는 전력량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록체인에서 발행되는 일종의 암호화폐 또는 토큰을 뜻한다. 이때,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선불토큰 내에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월 5일에서 10월 12일까지 일주일 단위로 생산되는 전력량을 기준으로 서버(100)가 선불토큰을 발행하거나, 1000kWh의 전력량만큼의 생산을 기준으로 서버(100)가 선불토큰을 발행하게 된다.
또한, 선불토큰의 최초의 발행주체는 전력을 생산한 전력생산객체(200)일 수 있고, 선불토큰의 가격은 시장자율경쟁원리에 시장 내에서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선불토큰 그 자체를 발행하는 주체는 서버(100)나(이는 관리 주체로 전력거래소가 포함될 수 있다.) 전력생산객체(20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선불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블록체인 망(400)에서 발행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선불토큰이 포함되는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과 선불토큰의 거래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이 추가로 기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300)로부터 선불토큰의 구매를 위한 구매 정보를 수신하면, 구매 정보가 포함하는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판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구매 정보란 전력소비객체(300)가 선불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몇 개의 선불토큰을 구매할 것인지 혹은 특정 전력량에 대응되는 선불토큰을 구매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거래가 완료된 이후, 전력생산객체(200)는 판매한 선불토큰만큼의 전력을 전력망에 공급하고, 전력소비객체(300)는 구매한 선불토큰에 대응하는 전력을 전력망으로부터 수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산객체(200)는 전력(에너지)을 생산하는 객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신재생에너지 생산발전소(태양광발전소, 지력발전소, 풍력발전소 등) 등이 전력생산객체(200)에 해당될 수 있고, 선불토큰 내에서도 에너지의 종류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비객체(300)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을 소비하는 객체를 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은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직접 생산된 전력을 수신하기에 전력소비객체(300)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망(400) 내의 각각의 객체에게 분산되어 저장됨으로써, 각 생성된 정보의 보안과 검증수준을 높이고, 산출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여러 객체에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데이터는 선불토큰 거래에 관한 데이터로서,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과 선불토큰의 거래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 거래일자 등이 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100), 전력생산객체(200) 및 전력소비객체(300)의 담당자는 각각 서로의 단말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불토큰을 이용한 전력의 거래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 전력생산객체(200)란 전력생산객체 단말(미도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객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 혹은 거치용 단말기의 일종인 데스크탑 등의 단말일 수 있으며, 그 외 CPU를 내장한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망은 서버(100)와 각각의 객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데이터베이스(140), 주문 시스템 모듈(150) 및 토큰 관리 모듈(160)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 각 객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및 블록체인 망(4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각 객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및 블록체인 망(4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기 위한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선불토큰을 거래하기 위한 전력생산객체(200) 및 전력소비객체(300)에 대한 정보 및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선택적 실시예로, 블록정보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망(400)에 저장되되, 블록체인 망(400)은 퍼블릭 블록체인망, 컨소시움 블록체인망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블록체인 망(400)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선불토큰을 거래하기 위한 전력생산객체(200) 및 전력소비객체(300)에 대한 정보 및 선불토큰의 거래정보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주문 시스템 모듈(150)은 선불토큰을 판매하기 위한 모듈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전력소비객체(300) 또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 또는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각 객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각 객체가 원하는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 또는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주문 시스템 모듈(15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다른 전력거래소 에서 판매하는 전력에 대한 거래가 전력소비객체(300)에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소비객체(300)는 다른 전력거래소의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없기에, 서버(100)가 속한 관리 주체가 다른 전력거래소로부터 전력을 구매하고, 구매된 전력에 해당되는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전력소비객체(300)로 판매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소비객체(300)는 자신이 구매한 선불토큰에 대한 전력이 다른 전력거래소의 전력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토큰 관리 모듈(160)은 선불토큰을 생성하거나, 거래가 완료된 선불토큰에 대해 소유권을 변경하거나,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140), 주문 시스템 모듈(150) 및 토큰 관리 모듈(160)은 별도의 객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전력생산객체(200) 혹은 전력소비객체(300)에 소속된 단말의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거나, 판매 주문과 외부 주문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판매 서버가 별도로 구비되거나, 선불토큰의 관리를 위한 모듈이 전력생산객체(200) 혹은 전력소비객체(300)에 구비되거나, 그 외 다른 외부 영역에 독립된 객체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생산 가능한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S31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기 설정된 앞으로의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지만, 필요에 따라 전력소비객체(300)도 상기의 기 설정된 앞으로의 기간에 소비하게 되는 전력량을 서버(100)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의 생산능력에 관한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생산객체(200)가 선언한 선불토큰의 개수가 발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언한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해당 전력생산객체(200)가 전력생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전력생산객체(200)로 경고메시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의 생산능력을 가늠하고, 공급이 불가능한 전력생산량에 대응되는 선불토큰 생성을 선언하는 경우, 이를 모니터링하여 경고를 수행함으로써, 이미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응되는 전력량을 전력소비객체(300)가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을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생산능력을 가늠하는 것은 해당 전력생산객체(200)가 그 동안의 소정 기간 동안 생산한 전력량을 기초로 임계생산전력량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고, 임계생산전력량과 해당 전력생산객체(200)가 선언한 생산가능전력량과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10) 이후 서버(100)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선불토큰을 발행한다(S32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수신한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 단위의 선불토큰을 발행한다. 발행된 선불토큰의 최초 소유권은 전력생산객체(200)로 등록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버(100)의 승인 또는 서버(100)를 운영하는 관리주체의 승인 하에, 전력생산객체(200)가 자신의 소유권으로된 선불토큰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발행할 수도 있다.
선불토큰의 발행은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하여 블록체인 망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선불토큰의 가격은 시장경쟁체제에서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320) 이전에 서버(100)는 미리 선언된 전력생산량과 전력소비량 및 선불토큰의 과거 가격을 기초로 예상가격을 산정하여 이를 전력생산객체(200)와 전력소비객체(300)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거 1kWh 에 대한 선불토큰의 가격이 100원이고, 과거의 전력생산량 대비 전력소비량 수치보다 최근 선언된 전력생산량 대비 전력소비량 수치가 더 적다면, 선불토큰의 예상가격을 90원으로 하향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뿐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선불토큰의 예상가격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 혹은 전력소비객체(300)로 선불토큰의 예상 가격을 제공하고, 실제 선불토큰이 판매될 시 가격의 오차율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선불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전력을 제공하게 되는 기간과 전력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거래소에서는 1월1일0시0분~15분 선불토큰A, 1월1일0시 15분~30분 선불토큰B 등으로 나누고 전력량을 토큰당 1kWh로 설정하여 선불토큰을 발매할 수 있으나, 실제로 시간이나 용량을 정확히 나누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선불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기간과 전력량을 임의로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와 전력소비객체(300)간의 선불토큰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3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전력생산객체(200)로부터 선불토큰의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전력소비객체(300)로부터 선불토큰의 구매를 위한 구매 정보를 수신하면, 서로 매칭되는 구매 및 판매만큼의 선불토큰 개수가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실시예로 선불토큰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선불토큰의 가격이 오를 수 있고,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선불토큰의 가격이 내려갈 수 있다. 즉, 자유시장의 원레 의해 선불토큰의 가격이 자율적으로 정해지거나 거래될 수 있다.
한편, 단계(S330)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큰 경우 서버(100)는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부족량만큼 추가로 선불토큰을 발행한다. 이때, 부족량에 대응하는 전력을 외부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부터 구매하여 전력소비객체(300)로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단계(S330)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적은 경우, 서버(100)는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잔여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다른 전력소비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 판매하게 된다. 즉, 서버(100)는 남는 선불토큰을 자체 구매하고, 해당 선불토큰을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게 된다. 이러한, 선거래는 실제 사용기간에 비해 빠르게 이루어지기에 전력을 저렴한 값에 구매하거나, 비싸게 판매할 수 있는 강점이 된다.
한편, 전력량에 대해 외부 전력거래소에서 전력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것보다, 현재 존재하는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거나 추가 저장하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전력량을 전력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ESS에 추가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전력소비객체(300)가 구매한 선불토큰을 모두 소진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소비를 막지 못하기에,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전력의 추가 사용량에 대한 패널티를 적용하게 된다.
한편, 단계(S310)에서 전력에 대한 생산 혹은 소비의 선언이 종료된 후, 실제로 전력이 운영되어야 하는 시간까지 소정의 여유가 있다.
이때, 서버(100)나 혹은 제 3의 운영 주체는 선불토큰의 거래시장을 개장하고, 정해진 기간 이내에 수요에 맞는 선불토큰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발행된 선불토큰이 상기의 기 설정된 기간에 대한 선언임으로 결국 사용될 수 있는 기간이 한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폐장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운영 기간 이전에 조기 종료하거나, 운영 기간 종료시간까지 운영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선불토큰은 시장원리에 의해 가격이 정해진다고 설명했다. 이때, 서버(100)는 토큰시장에 LP(liquidity provider)형태로 참여할 수 있고, 거래는 블록체인 망(400) 내에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수행되어 시장운영에 대한 수수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토큰거래시장이 열려 있는 동안, 선불토큰을 가진 주체(이는 전력소비객체(300)를 포함)는 선불토큰을 자유롭게 매각할 수 있다. 한편, 토큰거래시장이 종료된 이후 발행된 선불토큰만큼 전력생산객체(200)가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면 패널티를 받게 되고, 전력소비객체(300)가 구매한 선불토큰만큼 전력을 소비하지 못하면, 해당 선불토큰은 소멸하거나 서버(100)로부터 일정양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토큰의 거래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300)로 구매가능한 선불토큰 리스트를 제공한다(S410).
구매가능한 선불토큰 리스트는 상기에 언급된 단계(S330) 및 현 단계(S410) 이전에, 각 전력생산객체(200) 가 선언한 전력량 또는 각 전력생산객체(200) 별 발행된 선불토큰 개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리스트는 보유한 상기 선불토큰의 개수 및 판매 단위(판매 단위는 선불토큰의 기 설정된 기간 이내의 전력량을 뜻한다.), 가격, 에너지 종류(예를 들어, 재생에너지, 외부에너지(한국전력과 같은 외부객체로부터 수급한 에너지), 화력에너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1. 선불토큰: 재생에너지/100kWh(2020.10.1~2020.10.8)/4ea
2. 선불토큰: 화력에너지/200kWh(2020.10.1~2020.10.8)/10ea
3. 선불토큰: 외부에너지/150kWh(2020.10.8~2020.10.15)/1ea
상기와 같이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리스트화된 정보를 전력소비객체(300)의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전력소비객체(300)의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여 원하는 선불토큰을 구매하게 된다.
한편, 단계(S410) 이전에 서버(100)가 속한 관리 주체는 선불토큰 거래시장을 개장하거나 폐장할 수 있다. 이때, 거래시장이 운영되는 동안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300)에 이를 알리고, 상기의 리스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거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선불토큰은 발행된 선불토큰의 사용이 유효한 토큰으로만 판매하게 된다. 이는 발행된 선불토큰이 선언된 사용 기간에 사용되지 못하면 폐기되기에 시장이 개장되는 기간에는 사용기간이 유효한 선불토큰만을 판매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전력소비객체(300)로부터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대금의 입금여부를 확인하고(S420),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선불토큰의 소유권을 변경한다(S430).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이 입금되면, 선불토큰에 대한 소유권을 구매 정보를 제공한 전력소비객체(300)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서버(100)는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 중 일부를 전력생산객체(200)로 제공하고,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응하는 전력 제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남은 대금을 상기 전력생산객체의 계좌로 지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력소비객체(300)가 100만원이라는 선불토큰의 대금을 지불하면, 서비스 주체는 전력생산객체(200)로 대금의 일부인 20만원만을 전달하게 된다. 이후, 전력생산객체(200)가 선불토큰분량의 전력지급이 완료된 시점에서 나머지 80만원을 제공하게 된다. 만약, 선불토큰의 가격을 우선적으로 전력생산객체(200)로 제공하게 되는 경우 전력생산객체(200)가 거래된 선불토큰만큼의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거나, 서비스가 나빠질 수 있기에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정리하면, 선불토큰에 대한 발행은 보편적으로 전력생산객체(200)의 자의적인 선언에 의해 진행되고,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전력 생산량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소비객체(300)에서는 선불토큰의 가격에 맞는 대금을 모두 지불하더라도, 리스크 관리상 전력생산객체(200)에는 지불된 대금의 일부만 선지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액을 서버(100)에서 차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블록체인 망(400)에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기록되기에 신뢰성을 가지게 된다.
전력소비객체(300)는 기 설정된 기간동안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전력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력생산객체(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판매한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망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생산객체(200)가 선언한 만큼의 전력을 모두 생산해내는 경우, 모두 생산 완료한 시점에 판매한 선불토큰의 대금을 모두 지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력생산객체(200)가 미리 선언한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대응하는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페널티를 받을 수 있다. 페널티는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 기간동안 선불토큰 발행이 제한된다거나, 선불토큰의 거래가격의 10%는 제외한 후 대금지급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비객체(300)가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전력을 소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소비못한 전력량에 대응하는 이미 지급한 선불토큰은 소멸될 수 있다. 또는 서버(100)에 의해 다른 매개체로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전력소비객체(300)가 구매한 선불토큰에 대응되는 전력을 소비하지 못하면, 잉여 전력에 대응되는 대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불하고 잉여 전력을 다른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거나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잉여 전력이 다른 전력거래소에 판매되는 경우, 전력의 판매 행위가 한참 이른 시간에 진행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력이 생산되거나 소비되는 실제 기간에도 급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판매되어 전력소비객체(300)에 전력이 제공이 완료된 선불토큰이나, 선불토큰이 선언된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판매가 되지 못한 선불토큰은 폐기된다. 이때, 완전하게 사용되거나 판매되지 못한 선불토큰에 대한 기록도 블록체인 망(400)에 그 데이터가 저장되어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서버 200: 전력생산객체
300: 전력소비객체 400: 블록체인 망

Claims (13)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력생산객체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c) 상기 선불토큰을 소유한 상기 전력생산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정보와 상기 전력소비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매칭되는 상기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상기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d)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한 상기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력생산객체의 생산능력에 관한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선언한 상기 선불토큰의 개수가 발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불토큰이 상기 개수만큼 발행이 불가능하면, 상기 전력생산객체로 경고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선불토큰의 과거 거래 가격과 상기 전력생산객체가 상기 (a) 단계에서 선언한 생산가능한 전력량과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선언한 소비예정인 전력량을 참고하여, 상기 전력생산객체로 상기 선불토큰의 전력량 단위 별 예상 가격대를 제공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불토큰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 망에서 발행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 가능한 선불토큰에 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내의 각 선불토큰에 대한 정보는 구매가능한 선불토큰의 개수 및 단위 선불토큰 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전력량, 가격, 생산에너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이 상기 전력소비객체로부터 입금되면, 상기 선불토큰에 대한 소유권을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변경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판매된 상기 선불토큰에 대한 대금 중 일부를 상기 전력생산객체로 제공하고, 상기 판매된 선불토큰에 대응하는 전력 생산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남은 대금을 상기 전력생산객체에게 지급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큰 경우,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부족량만큼 추가로 선불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부족량에 대응하는 전력을 외부 전력생산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부터 구매하여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제공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기 설정된 미래의 기간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의 수요가 선불토큰의 공급보다 적은 경우,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해당하는 선불토큰의 잔여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다른 전력소비객체 또는 전력거래소로 판매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전력소비객체가 구매한 상기 선불토큰에 대응되는 전력을 소비하지 못하면 잉여 전력에 대응되는 대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불하고, 상기 잉여 전력을 다른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거나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
  12.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력생산객체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선불토큰을 발행하고, 선불토큰을 소유한 전력생산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판매정보와 전력소비객체로부터의 선불토큰에 대한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서로 매칭되는 선불토큰의 개수만큼 선불토큰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전력소비객체로 구매한 선불토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전력량만큼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선불토큰은 전력생산객체의 식별정보, 전력생산기간, 소유주의 식별정보, 공급되는 에너지의 종류, 및 토큰 당 공급가능한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의한 선불토큰 발행 기반으로 에너지를 거래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00165829A 2020-09-16 2020-12-01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KR20220036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9376 2020-09-16
KR1020200119376 2020-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15A true KR20220036815A (ko) 2022-03-23

Family

ID=8096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29A KR20220036815A (ko) 2020-09-16 2020-12-01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6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326B1 (ko) * 2022-11-08 2023-06-1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326B1 (ko) * 2022-11-08 2023-06-13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체인기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사이트 중개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electric power grids, microgrids, grid elements, and/or electric power networks
US11436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Nojavan et al. Uncertainty-based electricity procurement by retailer using robust optimization approach in the presence of demand response exchange
Mihaylov et al. NRGcoin: Virtual currency for trading of renewable energy in smart grids
US7373221B2 (en)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Mihaylov et al. Nrg-x-change-a novel mechanism for trading of renewable energy in smart grids
KR102094137B1 (ko) 전력거래 중계방법
US20120259760A1 (en) Hybrid energy market and currency system for total energy management
JP6411247B2 (ja) 電力アグリゲータシステム、電力取引方法、及び電力取引プログラム
Sgouridis et al. Tangible and fungible energy: Hybrid energy market and currency system for total energy management. A Masdar City case study
Cervigni et al. Wholesale electricity markets
WO2020231288A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купли-продаж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20220036815A (ko) 선불토큰 발행 기반의 에너지 거래 시스템
KR102542717B1 (ko) 유연 수요 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KR102589568B1 (ko) P2p 전력 거래 자동 중개 장치 및 방법
Good et al. Business cases
CN11444522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电力需求响应交易方法及系统
Cazalet Transactional energy market information exchange (TeMIX)
KR102520234B1 (ko) 마켓 플레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너지 거래 시스템 및 에너지 거래 방법
KR102502818B1 (ko) 전력수급 최적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602709B1 (ko) P2p 전력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240161210A1 (en) Electric power transaction system, and electric power transaction method
KR20220155164A (ko) 블록체인 기반의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 방법
KR20220154535A (ko) 태양광발전에 있어서의 프로슈머와 소비자간 양방향 전력 거래시스템 및 방법
US20180158151A1 (en) Managing volatility risk in variable priced ut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