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857B1 -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857B1
KR102109857B1 KR1020170182112A KR20170182112A KR102109857B1 KR 102109857 B1 KR102109857 B1 KR 102109857B1 KR 1020170182112 A KR1020170182112 A KR 1020170182112A KR 20170182112 A KR20170182112 A KR 20170182112A KR 102109857 B1 KR102109857 B1 KR 10210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area
effectiv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973A (ko
Inventor
이상규
강경완
이성풍
권승호
최원용
한민우
김현덕
홍현주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8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지역에 대한 정확한 면적 정보, 발전량 정보 및 수익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이 제공된다.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주소정보에 따른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하고, 유효 면적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며, 유효 면적 및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Photovoltaic generation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power generation amount and profitabilit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지 또는 건물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고자 할 때의 발전량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석탄 또는 가스 등을 이용한 발전은 환경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연소 중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지구 환경을 훼손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수력, 풍력, 태양광 등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발전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원의 발전설비는 환경을 파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원의 소모가 없는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 태양광 발전은 태양이 비추는 지역이라면 발전설비의 설치가 가능하여 장소 제한이 가장 적고, 또한 소형의 발전설비에서부터 대형의 발전설비까지 운영자가 원하는 다양하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선호되고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의 운영자는 발전설비의 설치에 앞서 설치 지역의 면적 또는 위치 등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또는 수익성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발전설비의 설치를 결정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의 발전량 또는 수익에 대한 정보를 일반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다. 다시 말해, 태양광 발전설비의 시공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발전설비가 설치될 장소의 발전량 예측 및 이에 따른 수익 예측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발전설비의 용량 및 태양의 일조시간을 반영한 계산식에 따라 태양광발전의 발전량을 예측하여 수익을 예상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예측 방식은 발전설비가 설치될 지역의 지형정보 또는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예측된 결과를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여 운영자의 발전설비 설치 의도를 반영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지역에 대한 정확한 예측 정보와 함께 발전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운영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에 따른 발전량 및 수익성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주소정보에 따른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효 면적 및 상기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예측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한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 면적 및 상기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면적, 상기 유효 발전량 및 상기 사용자 수익을 포함하는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지역에 대한 정확한 면적 정보, 발전량 정보 및 수익성 정보와 함께 발전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에 따른 발전량 및 수익성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면적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발전량 예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면적 산출부의 유효 면적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발전량 산출부의 유효 발전량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사용자, 다시 말해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발전량 및 수익성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예측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발전설비 설치업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정보입력부(110), 유효성 판단부(120), 예측모듈(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300)와 통신하면서 각종 정보, 예컨대 토지정보, 기상정보, 설비정보 등과 같은 정보들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발전량 및 수익성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300)는 각각이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정보, 예컨대 사용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정보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정보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후술될 예측모듈(130)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 또는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20)는 정보입력부(11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 중에서 주소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20)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역, 즉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토지정보 또는 지역정보를 제공받고, 이로부터 설치 예정지역의 토지 유형 또는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예측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주소지, 즉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불가를 통보할 수 있다.
예측모듈(130)은 유효성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를 위한 면적,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성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예측모듈(130)은 면적 산출부(131), 발전량 산출부(133), 수익성 분석부(135) 및 가중치 제어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면적 산출부(131)는 사용자 정보의 주소정보로부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면적은 해당 설치 예정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최대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면적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면적 산출부(131)는 총 면적 산출부(211), 이미지 분석부(213) 및 유효 면적 산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총 면적 산출부(211)는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전체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총 면적 산출부(21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지적도 정보를 제공받고, 이로부터 설치 예정지역의 전체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213)는 설치 예정지역의 위성지도 이미지로부터 해당 지역의 대지와 건물이 각각 점유하고 있는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213)는 설치 예정지역에서 대지의 점유 면적과 건물의 점유 면적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서로 다른 색상의 픽셀을 갖는 이미지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총 면적 산출부(211)에서 산출된 전체 면적과 이미지 분석부(213)에서 분석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 비율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가중치 제어부(137)로부터 제공된 제1가중치(a1)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중치(a1)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유효 면적은 제1가중치(a1)에 따라 전체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소정의 가중치를 입력한 경우에,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제1가중치(a1)를 대신하여, 즉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가중치를 우선순위로 적용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이미지 분석부(213)에서 출력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지에 대한 유효 면적과 건물에 대한 유효 면적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산출된 각 유효 면적에 대해 제1가중치(a1)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면적 산출부(13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전체 면적을 산출한 뒤, 소정의 가중치, 예컨대 제1가중치(a1)를 적용하여 설치 예정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효 면적은 이미지 분석부(213)에서 분석된 대지와 건물 각각의 점유 면적 비율에 따라 대지와 건물 각각에 대한 유효 면적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복수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면적 산출부(131)는 각 주소정보의 연관성을 판단하여 복수의 주소정보에 대한 통합 전체 면적 및 통합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면적 산출부(13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공된 지적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주소정보가 서로 인접된 연결되는 주소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주소정보가 연결된 주소지라면, 면적 산출부(131)는 복수의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설치 예정지역 전체의 통합 전체 면적 및 이로부터 통합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소정보가 연결된 주소지가 아니라면, 면적 산출부(131)는 복수의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설치 예정지역의 각각의 전체 면적 및 이로부터 각각의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면적 산출부(131)는 제1가중치(a1)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면적 산출부(131)는 해당 설치 예정지역의 대지와 건물 각각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발전량 산출부(133)는 면적 산출부(131)에서 산출된 유효 면적에 기초하여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태양광 발전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발전량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전량 산출부(133)는 총 발전량 예측부(221) 및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기 산출된 유효 면적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총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유효 면적에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된 것을 가정하고, 그 발전설비의 운영에 따라 일간, 월간 및 연간의 총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총 발전량은 유효 면적에 설치되는 발전설비의 최대 발전 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유효 면적의 지역, 즉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기후정보 및 토지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유효 면적에 설치될 수 있는 발전설비에 대한 설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기후정보, 토지정보 및 설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총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기후정보는 설치 예정지역의 일사량, 풍속, 풍향, 온/습도 및 태양고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지정보는 설치 예정지역의 토지형질 및 경사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정보는 유효 면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설비의 규격, 용량 및 설치 가이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예측된 총 발전량으로부터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가중치 제어부(137)에서 제공된 제2가중치(a2)에 기초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2가중치(a2)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유효 발전량은 제2가중치(a2)에 따라 총 발전량보다 작은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이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 안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한 제3가중치(a3)에 기초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제3가중치(a3)를 우선 순위로 적용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가중치(a3)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의 값일 수 있으며, 유효 발전량은 제3가중치(a3)에 의해 총 발전량보다 작은 크기 또는 동일한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전량 산출부(133)는 기 산출된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면적에 따라 발전설비의 운용 시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는 총 발전량을 예측하고, 그로부터 설치 예정지역에서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효 발전량은 총 발전량보다 작은 값으로 산출되거나 또는 총 발전량과 동일한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예측모듈(130)의 수익성 분석부(135)는 기 산출된 유효 면적과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서의 사용자의 수익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수익성 분석부(135)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공된 발전단가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발전량에 대한 사용자의 수익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수익성 분석부(135)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공된 토지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 대비 유효 발전량에 따른 사용자의 수익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수익성 분석부(135)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투자비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익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수익성 분석부(135)는 사용자의 투자비용과 발전단가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발전량에 대한 사용자 투자비용 대비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수익성 분석부(135)는 사용자 투자비용에 대한 금융사의 이자수익성을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 수익과 함께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앞서 설명한 예측모듈(130)의 예측 결과물, 예컨대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을 포함하는 현재 예측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현재 예측 결과물을 일간, 월간 및 연간에 따른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과 유사한 결과물을 유사 사례로 제공받고, 이를 현재 예측 결과물과 함께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측모듈(130)로부터 출력된 현재 예측 결과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예측모듈(130)에 의해 기 출력된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기존 예측 결과물을 표시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50)는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의 설치 예정지역,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사용자 수익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결과물을 유사 사례로 선택하여 표시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160)는 예측모듈(130)의 현재 예측 결과물에 기초하여 다수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업체들(500_1~500_N) 중에서 최적의 설치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부(160)는 선택된 최적의 설치 업체에 대한 정보, 예컨대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이력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택부(160)는 예측모듈(130)에 의해 예측된 유효 발전용량 및 사용자 수익에 기초하여 최적의 설치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다수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면적, 발전량 및 수익성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 예컨대 가중치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의 면적 및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한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성 예측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 또는 발전설비 용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의 정보입력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2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의 주소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10).
유효성 판단부(120)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토지정보 또는 지역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주소정보에 따른 주소지의 토지 유형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예측모듈(130)의 동작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발전설비의 설치 불가가 통보될 수 있다.
이어,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성이 판단되면, 예측모듈(130)의 면적 산출부(131)는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S20).
도 5는 면적 산출부의 유효 면적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면적 산출부(131)의 총 면적 산출부(21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공된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지적도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예정지역의 전체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S110).
이와 함께, 이미지 분석부(213)는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위성지도 이미지로부터 상기 지역에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을 분석할 수 있다(S120).
이어,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설치 예정지역의 전체 면적과 이에 대한 대지와 건물 각각의 점유 면적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S130).
이때,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가중치 제어부(137)로부터 제공된 제1가중치(a1)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중치(a1)는 0~1의 소수 형태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유효 면적 산출부(215)는 분석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에 기초하여 전체 면적에서 대지의 유효 면적과 건물의 유효 면적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면적 산출부(131)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가중치에 기초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면적 산출부(131)는 사용자 가중치를 우선 순위로 반영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가중치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는 값일 수 있으며, 유효 면적은 전체 면적보다 작은 크기 또는 동일한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즉, 면적 산출부(131)는 분석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에 기초하여 전체 면적에서 유효 면적을 산출하되, 제1가중치(a1) 및 사용자 가중치 중 하나를 반영하여 유효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예측모듈(130)의 발전량 산출부(133)는 기 산출된 유효 면적에 대한 유효 발전량을 예측하여 산출할 수 있다(S30).
도 6은 발전량 산출부의 유효 발전량 산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전량 산출부(133)의 총 발전량 예측부(221)는 면적 산출부(131)에서 산출된 유효 면적에 대해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총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총 발전량은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의 기후정보 및 토지정보와 상기 예정지역에 설치된 발전설비의 설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예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예측된 총 발전량에서 유효 면적에 대한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유효 발전량 산출부(223)는 가중치 제어부(137)에서 제공된 제2가중치(a2)를 이용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2가중치(a2)는 0~1의 소수 형태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발전량 산출부(133)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가중치, 예컨대 제3가중치(a3)에 기초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발전량 산출부(133)는 제3가중치(a3)를 우선 순위로 반영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3가중치(a3)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는 값일 수 있으며, 유효 발전량은 총 발전량보다 작은 크기 또는 동일한 크기로 산출될 수 있다.
즉, 발전량 산출부(133)는 총 발전량에서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되, 제2가중치(a2) 및 제3가중치(a3) 중 하나를 반영하여 유효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유효 면적과 유효 발전량이 산출되면, 예측모듈(130)의 수익성 분석부(135)는 유효 면적 및 유효 발전량으로부터 사용자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에 따른 수익성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S40).
수익성 분석부(135)는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제공된 토지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유효 면적의 토지비용 대비 유효 발전량에 따른 사용자의 수익성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수익성 분석부(13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투자비용에 기초하여 유효 발전량에 따른 사용자의 수익성을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수익성 분석부(135)는 사용자의 투자비용에 대한 이자수익 예상치 예측하고, 이를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에 따른 수익성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표시부(140)에 의해 예측모듈(130)에서 산출된 현재 예측 결과물, 즉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될 수 있다(S50). 이때, 표시부(140)는 저장부(150)로부터 기 저장된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과 유사한 결과물을 유사 사례로 제공받고, 이를 현재 예측 결과물과 함께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50)는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의 설치 예정지역,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사용자 수익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결과물을 유사 사례로 선택하여 표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태양광 발전 예측 시스템(100)의 선택부(160)는 예측모듈(130)에서 산출된 현재 예측 결과물에 기초하여 다수의 설치 업체들(500_1~500_N) 중에서 최적의 설치 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선택부(160)는 선택된 최적의 설치 업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100)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의 발전량 및 수익성 예측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설치 예정지역에 대하여 정확한 설치 유효 면적,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을 예측 및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유효 면적,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을 예측 및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100: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110: 정보입력부
120: 유효성 판단부 130: 예측모듈
131: 면적 산출부 133: 발전량 산출부
135: 수익성 분석부 137: 가중치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60: 선택부 211: 총 면적 산출부
213: 이미지 분석부 215: 유효 면적 산출부
221: 총 발전량 예측부 223: 유효 발전량 산출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사용자 단말

Claims (22)

  1.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주소정보에 따른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유효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효 면적 및 상기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예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주소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상기 예측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토지정보 및 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모듈은,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상기 유효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한 상기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는 발전량 산출부;
    상기 유효 면적 및 상기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발전단가정보, 토지가격정보 및 사용자 투자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는 수익성 분석부; 및
    상기 면적 산출부 및 상기 발전량 산출부 각각에 가중치를 제공하는 가중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면적 산출부는,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전체 면적을 산출하는 총 면적 산출부;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을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분석된 대지와 건물의 점유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면적으로부터 상기 유효 면적을 산출하되, 상기 가중치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1가중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 가중치 중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유효 면적을 산출하는 유효 면적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사용자가중치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으며,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유사 사례로 제공받아 현재 예측 결과물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현재 예측 결과물에 기초하여 다수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업체들 중에서 최적의 설치 업체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상기 현재 예측 결과물의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결과물을 상기 유사 사례로 제공하며,
    상기 발전량 산출부는,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총 발전량을 예측하는 총 발전량 예측부; 및
    상기 총 발전량으로부터 상기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되, 상기 가중치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2가중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제3가중치 중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며, 상기 제3가중치를 우선순위로 이용하여 상기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는 유효 발전량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중치 및 상기 제3가중치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기재된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예정지역에 대한 주소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면적 산출부에서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발전량 산출부에서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한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유효 면적 및 상기 유효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 수익을 수익성 분석부에서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모듈에서 상기 유효 면적, 상기 유효 발전량 및 상기 사용자 수익을 포함하는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효성 판단부에서 상기 주소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토지정보 및 지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지적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전체 면적을 총 면적 산출부를 통해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위성지도 이미지로부터 상기 설치 예정지역에서 대지 및 건물 각각의 점유 면적을 이미지 분석부를 통해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대지 및 건물의 점유 면적에 따라 상기 전체 면적으로부터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상기 유효 면적을 유효 면적 산출부를 통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 면적은 상기 전체 면적에 가중치 제어부로부터 제공 받은 제1가중치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가중치 중에서 하나를 반영한 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1가중치 및 상기 사용자 가중치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는 값이며,
    상기 사용자 가중치는 상기 제1가중치보다 우선순위로 반영되고,
    발전량 산출부에서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유효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면적에 대한 총 발전량을 총 발전량 예측부에서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총 발전량으로부터 상기 설치 예정지역의 상기 유효 발전량을 유효 발전량 산출부에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효 발전량은 상기 총 발전량에 가중치 제어부로부터 제공 받은 제2가중치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제3가중치 중에서 하나를 반영한 값으로 산출되고,
    상기 제2가중치 및 상기 제3가중치는 0~1 사이의 소수 형태를 갖는 값이고,
    상기 제3가중치는 상기 제2가중치보다 우선 순위로 반영되며,
    수익성 분석부에서 상기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투자비용의 이자수익 예상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자수익 예상치와 상기 사용자 수익을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된 발전단가정보, 토지가격정보 및 사용자 투자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수익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다수의 기존 예측 결과물들 중에서 현재 예측 결과물의 유효 면적, 유효 발전량 및 사용자 수익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결과물을 유사 사례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유사 사례를 상기 현재 예측 결과물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다수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업체들 중에서 최적의 설치 업체를 선택부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설치 업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0182112A 2017-12-28 2017-12-28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210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12A KR102109857B1 (ko) 2017-12-28 2017-12-28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12A KR102109857B1 (ko) 2017-12-28 2017-12-28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73A KR20190079973A (ko) 2019-07-08
KR102109857B1 true KR102109857B1 (ko) 2020-05-12

Family

ID=6725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12A KR102109857B1 (ko) 2017-12-28 2017-12-28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54B1 (ko) 2021-04-05 2022-09-19 주식회사 풍성인더스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77B1 (ko) * 2019-12-18 2021-01-05 주식회사 솔라뱅크 태양광 에너지 사업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CN114022217A (zh) * 2021-11-16 2022-02-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分布式光伏发电投资收益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6579591B (zh) * 2023-07-13 2023-09-29 山西景骏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功率预测的建筑光伏安装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JP2016122408A (ja) * 2014-12-25 2016-07-07 地域エネルギ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JP2016122408A (ja) * 2014-12-25 2016-07-07 地域エネルギ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54B1 (ko) 2021-04-05 2022-09-19 주식회사 풍성인더스 태양광 발전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73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857B1 (ko)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US106921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energy management strategies
KR101269587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US89589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decision-making in water supply networks and/or water supply operations
US9934334B2 (en) Designing and installation quoting for solar energy systems
JP5743881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需要家端末及び電力管理装置
JP7079662B2 (ja) 電力需要予測システム、学習装置及び電力需要予測方法
US913670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12022137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sset management optimization
US20100305931A1 (en) Wireless network design simulation package
US10846715B2 (en) Energy ope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2283487B1 (ko) 실시간 위성자료와 수치모델자료를 이용한 머신러닝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시스템
JP6605181B2 (ja) 運転制御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運転制御方法および運転制御プログラム
Deetjen et al. Modeling the optimal mix and location of wind and solar with transmission and carbon pricing considerations
Schwarz et al. Two-stage stochastic, large-scale optimization of a decentralized energy system: a case study focusing on solar PV, heat pumps and storage in a residential quarter
KR102002548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US2021033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production in an electrical power grid
KR102028601B1 (ko) 시설물의 에너지 사용량 예측 방법 및 장치
Rhodes et al. Impacts of large, flexible data center operations on the future of ERCOT
JP2015156770A (ja) 運転計画支援プログラム、運転計画支援方法および運転計画支援装置
EP4102673A1 (en) Assessing carbon footprint of a hybrid power plant
Rodríguez-Gómez et al. Data driven tools to assess the location of photovoltaic facilities in urban areas
Xie et al. Data-driven stochastic optimization for power grids scheduling under high wind penetration
Bertheau et al. Assessment of microgrid potential in southeast Asia based on the application of geospatial and microgrid simulation and planning tools
KR20190048083A (ko) Bim 시스템을 이용한 bipv 설계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설계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