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428B1 -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428B1
KR102623428B1 KR1020210100325A KR20210100325A KR102623428B1 KR 102623428 B1 KR102623428 B1 KR 102623428B1 KR 1020210100325 A KR1020210100325 A KR 1020210100325A KR 20210100325 A KR20210100325 A KR 20210100325A KR 102623428 B1 KR102623428 B1 KR 10262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wer generation
solar
modu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449A (ko
Inventor
윤성
한승연
조영재
강진숙
이미숙
이진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벨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벨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벨롭스
Priority to US17/742,29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64768A1/en
Publication of KR2022015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부; 재배대상 작물과, 상기 작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설정조건 및 상기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동작되는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 상기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의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발전량 산출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수확량정보를 산출하는 수확량정보 산출부; 및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에 기반하여,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위한 최적조건을 산출하는 최적조건 선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은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작물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작물은 상기 태양광패널에 기반하여 일사량 변화가 발생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and crop production prediction modeling system}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력량과 작물 생산량 통합 예측 모델링을 기반으로 태양광 시스템 디자인 및 경작 작물의 선정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농업을 지을 수 있는 환경의 부지 상부에 태양광 시설을 계획할 때에 전력생산과 작물생산에 보다 효과적인 구조적 설계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90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농업을 지을 수 있는 환경의 부지 상부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동일 부지에서 전력 생산과 작물 생산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토지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로 인한 일사량 변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하부 농지에 최적의 미세환경(micro-environment)을 조성해 줄 수 있는 태양광 시스템 디자인 선정 및 그에 맞는 최적의 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 패널 하부 작물에 도달하는 일사량의 감소를 정확히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작물을 선정하는 것이 그 기본 기술이며, 나아가 태양광 발전 패널에 의한 그림자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하부 작물의 생산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거나 극심한 기후변화 환경에서는 작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 작물을 각각의 작물 성장 특성(광포화도 등)에 따라 과학적으로 선별하여 보다 효과적인 작물 생산량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부; 재배대상 작물과, 상기 작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설정조건 및 상기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동작되는 태양광발전설비; 상기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발전량을 산출하는 발전량 산출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수확량정보를 산출하는 수확량정보 산출부; 및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에 기반하여,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위한 최적조건을 산출하는 최적조건 선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은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작물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작물은 상기 태양광패널에 기반하여 일사량 변화에 노출되도록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량 산출부는, 상기 태양광발전설비가 상기 설정조건 중 하나인 제1설정조건으로 설정되면,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제1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발전량을 산출하는 스페시피케이션 모듈과, 상기 태양광발전설비가 상기 설정조건 중 다른 하나인 제2설정조건으로 설정되면,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제2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발전량을 산출하는 지오메트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설정조건은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타입 및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인버터 타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설정조건은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조물의 높이, 상기 구조물 상호간의 피치 디스턴스(pitch distance),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조물의 방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량 산출부는, 상기 제1발전량과 상기 제2발전량을 기반으로 발전량 획득값을 생성하고, 상기 발전량 획득값을 기반으로 발전량 예측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발전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로 제공하는 발전량 예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에 적어도 일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에 적어도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오메트리 모듈은, 상기 제2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패널 하부에 위치된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1일사량을 포함하는 제1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상기 태양광패널 하부에서 상기 작물을 포함하도록 지정된 임의영역인 센서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예측 또는 획득하는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을 이용하거나 혹은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과 별도로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과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태양광패널에 의해 상기 작물에 드리워지는 그림자의 변화에 따른 일사량의 분포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포인트는 다수로 지정되며,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각각의 상기 센서포인트 별로 예측 또는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일사량으로 상기 기상정보의 일사량을 대체하는 대체정보 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대체된 상기 제2일사량과 상기 제1변수정보에 대한 모델링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하는 성장정보 산출모듈과, 상기 성장정보를 기반으로 수확량 예측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수확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에 제공하는 수확량 예측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변수정보는, 상기 작물에 대한 발아조건정보(예: 작물이 발아하는 온도적특징 등), 상기 작물의 건중량정보, 상기 작물에 맺힌 열매의 중량정보, 광이용효율정보(예: 광조사 대비 생장 속도에 따른 효율 등), 엽면적정보(예: 설정기준 범위내에서 포함되는 잎의 면적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은, 내부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수를 추측해 작물 생산결과와 비교를 통한 시행착오법(Trial and error)을 거쳐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제1변수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상기 제1변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에 제공하는 제1변수정보 제공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은,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후보조건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최적후보조건이 기 설정조건에 부합하면 최적조건으로 산출하되, 상기 최적조건은 최적의 작물 후보(예: 노지 수확량 대비 수확량 비교, 최적의 작물 도출 기반), 작물의 생산량 값, 작물의 키로그람당 매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변수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제1변수정보와 별개인 제2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은, 상기 제2일사량정보, 상기 제1변수정보 및 상기 제2변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장정보는 상기 작물의 높이에 관한 높이정보 등을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높이정보를 통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포인트상의 상기 일사량변화값을 재측정하여 제2일사량변화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체정보 처리모듈,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 로 순차 반복하여 설정 횟수로 루프(loop) 동작되며, 상기 루프는 적어도 일단위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포인트는 상기 작물의 높이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증가가 이루어진 상기 작물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으로 보정되며,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확장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센서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예측 또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는 제1기상데이터와 제2기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기상데이터는 기상관측소로부터 획득한 실측 기상데이터값인 메테오놈(Meteonorm)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상데이터는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 예측값인 나사 파워(NASA Power) 정보값과, 관측수단의 기상관측에 따른 관측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패널은 제1태양광패널 내지 제3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는, 상기 작물이 위치된 재배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베이스구조부와, 상기 베이스구조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1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패널과, 상기 베이스구조부의 상부에 상기 제1이동패널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2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패널과, 상기 베이스구조부의 상부에 상기 제1이동패널 타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3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이동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제1이동패널 내지 상기 제3이동패널의 슬라이딩에 기반하여, 상기 피치 디스턴스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농업을 지을 수 있는 환경의 부지 상부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동일 부지에서 전력 생산과 작물 생산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토지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패널로 인한 일사량 변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하부 농지에 최적의 미세환경(micro-environment)을 조성해 줄 수 있는 태양광 시스템 디자인 선정 및 그에 맞는 최적의 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의 하부 작물에 도달하는 일사량의 변화를 정확히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작물을 선정하고, 나아가 태양광 발전 패널에 의한 그림자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하부에 위치된 작물의 생산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거나 극심한 기후변화 환경에서는 작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 작물을 각각의 작물 성장 특성(예: 광포화도 등)에 따라 과학적으로 선별하여 보다 효과적인 작물의 예측(예: 생산량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태양광 패널과 작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작물의 생장에 따른 센서포인트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의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100)은 기상정보 제공부(110), 제어모듈(115), 작물(121), 구조물(미도시),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 발전량 산출부(130), 수확량정보 산출부(140),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 및 최적조건 선정모듈(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은 태양광패널(122)을 포함한다. 상기 발전량 산출부(130)는 스페시피케이션 모듈(131), 지오메트리 모듈(132), 발전량 예측모듈(133)을 포함한다.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는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 대체정보 처리모듈(142), 성장정보 산출모듈(143) 및 수확량 예측모듈(14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은 데이터베이스(151), 추출부(152) 및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은 토양정보 제공부(161), 대기정보 제공부(162) 및 경작정보 제공부(16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참조)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110)는 기상정보를 수요처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요처는 발전량 산출부(130),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 상기 태양광발전설비(120)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110)는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에 적어도 일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태양광발전설비(120)에는 적어도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110)는 제1기상데이터와 제2기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상데이터는 기상관측소로부터 획득한 실측 기상데이터값인 메테오놈(Meteonorm)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상데이터는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 예측값인 나사 파워(NASA Power)정보값과, 관측수단의 기상관측에 따른 관측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사 파워정보는 일단위, 일평균 데이터만 있고, 상기 관측값(예: 제1기상데이터 등)은 강수량 등 작물 생산에 필요한 추가적인 기후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양자를 복합적 사용하여 상호간의 보완이 이루어지도록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는 상기 설정조건 중 하나인 제1설정조건으로 설정된다. 상기 발전량 산출부(130)의 상기 스페시피케이션 모듈(131)은 이러한 설정된 상기 제1설정조건과 상기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제1발전량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제1설정조건은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타입 및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모듈, 인버터 타입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는 상기 설정조건 중 다른 하나인 제2설정조건으로 설정된다.
상기 발전량 산출부(130)의 상기 지오메트리 모듈(132)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제2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제2발전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설정조건은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를 이루는 구조물의 높이, 상기 구조물 상호간의 피치 디스턴스(pitch distance),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를 이루는 적어도 일부 구조물의 방위각, 기울기각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15)은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 중 적어도 상기 태양광패널(122)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설정조건으로 상기 태양광패널(122)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지오메트리 모듈(132)은 상기 제어모듈(115)과 연동되어 상기 제2발전량을 산출한다.
상기 발전량 산출부(130)의 상기 발전량 예측모듈(133)은 상기 제1발전량과 상기 제2발전량을 기반으로 발전량 획득값을 생성하고, 상기 발전량 획득값을 기반으로 발전량 예측정보를 산출한다.
이러한 상기 발전량 예측모듈(133)은 상기 발전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170)로 제공한다. 상기 제1발전량과 상기 제2발전량은 적어도 일단위로 합산되며,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170)은 상기 최적조건을 연간 단위로 산출한다.
한편 상기 지오메트리 모듈(132)은 상기 제2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패널(122) 하부에 위치된 상기 작물(121)에 조사되는 제1일사량을 포함하는 제1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한다.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의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은 상기 태양광패널(122) 하부에서 상기 작물(121)을 포함하도록 지정된 임의영역인 센서포인트(SP)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포인트(SP)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121)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3D Raytracing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 또는 시뮬레이션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은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이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하거나 다른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값을 획득한다.
상기 센서포인트(SP)는 하부 작물 분포를 나타내며 1~4제곱미터당 하나의 센서 포인트 영역을 가지며 포인트는 각 영역의 센터에 위치한다. 하부 작물에 도달하는 일사량은 3D raytracing 모델링을 통해 각 센서포인트(SP)별 일사량을 예측하며 상기 센서포인트의 상기 일사량은 상기 각 영역의 평균 일사량 값으로 취급한다
상기 센서포인트(SP) 역시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별도의 다른 설정수단을 통하여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은,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과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태양광패널(122)에 의해 상기 작물(121)에 드리워지는 그림자의 변화에 따른 일사량의 분포도값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센서포인트(SP)는 다수로 지정되며,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각각의 상기 센서포인트(SP) 별로 예측 또는 획득된다.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의 상기 대체정보 처리모듈(142)은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일사량으로 상기 기상정보의 일사량을 대체한다.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은 제1변수정보를 수요처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의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143)은 대체된 상기 제2일사량과 상기 제1변수정보에 대한 모델링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121)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140)의 수확량 예측모듈(144)은 상기 성장정보를 기반으로 수확량 예측정보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확량 예측모듈(144)은 상기 수확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17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변수정보는 상기 작물(121)에 대한 발아조건정보(예: 작물(121)이 발아하는 온도적특징 등), 상기 작물(121)의 건중량정보, 상기 작물(121)에 맺힌 열매의 중량정보, 광이용효율정보(예: 광조사 대비 생장 속도에 따른 효율 등), 엽면적정보(예: 설정기준 범위내에서 포함되는 잎사귀가 얼마나 들어가 있는지 정도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151)는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된다.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의 상기 추출부(15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1)로부터 변수를 추측해 작물 생산결과와 비교를 통한 시행착오법(Trial and error)을 거쳐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제1변수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150)의 상기 제1변수정보 제공부(153)는 상기 추출된 상기 제1변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143)로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170)은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후보조건을 산출한다, 여기서 최적조건 선정모듈(170)은 산출된 상기 최적후보조건이 기 설정조건에 부합하면 최적조건으로 산출한다. 상기 최적조건은 태양광 발전량, 태양광 kWh당 매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최적의 작물 후보, 작물의 생산량 값, 작물의 키로그람당 매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은 제1변수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제1변수정보와 별개인 제2변수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143)은, 상기 제2일사량정보, 상기 제1변수정보 및 상기 제2변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121)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변수정보는 토양정보, 대기정보 및 경작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의 상기 토양정보 제공부(161)는 재배 상기 작물(121)이 재배를 위한 토양의 종류에 관한 토양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의 상기 대기정보 제공부(162)는 상기 작물의 재배를 위한 대기 이산화탄소농도에 관한 대기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160)의 상기 경작정보 제공부(163)는 상기 작물(121)에 적용되는 경작법에 관한 경작법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성장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예: 일 단위 등)로 가정하여 상기 성장정보를 산출한다.
이러한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143)은 상기 작물(121)의 높이에 관한 높이정보, 건중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에 제공한다.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은 상기 높이정보를 통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포인트(SP)상의 상기 일사량변화값을 재측정하여 제2일사량변화값을 제공한다.
상기 대체정보 처리모듈(142),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143),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은 나열된 순서대로 순차 반복하여 설정 횟수로 루프(loop) 동작된다. 이때 상기 루프는 적어도 일단위로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포인트(SP)는 다양한 형태로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포인트(SP)는 상기 작물을 포함하는 일정한 필드(F)상에 점으로 표현/설정이 가능하며, 이는 해당 그리드(grid)를 대표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포인트(SP)는 상기 작물을 포함하되 수평방향상의 평면으로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포인트(SP)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물을 포함하되 수직방향의 평면으로 설정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포인트(SP)는 상기 작물을 포함하는 입체형으로 설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센서포인트는 설정된 영역의 센터에 위치하며, 도출된 포인트에서의 일사량값은 영역의 평균값으로 취급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된 영역은 작물분포를 최대한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해서 최대 4제곱미터의 크기이며 그 이하로 설정된다
아울러 상시 센서포인트(SP)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그리드 형태가 상기 입체형 공간의 내부에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포인트(SP)는 상기 작물(121)의 높이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이 생장하여 기존의 제1높이(H1)에서 생장에 따라 상기 제1높이(H1)보다 증가된 제2높이(H2)로 높이 증가되면, 상기 센서포인트(SP) 역시 상기 제1높이(H1)에서 상기 제2높이(H2)로 대응하여 상기 작물(121)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으로 보정된다.
한편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141)은 상기 확장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센서포인트(SP)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121)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예측 또는 획득한다. 한편 상기 작물(121)의 키 높이는 기존대비 감소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축소영역으로서 동일하게 응용되어 적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100)은, 상기 작물(121)이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상기 태양광패널(122)의 하부에서 일정한 재배영역(PL)내에 위치된다. 상기 태양광패널(122)은 상기 재배영역(PL) 상에 일정하게 위치되고, 상기 작물(121)은 상기 태양광패널(122)에 의하여 일사량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100)은, 태양광패널(122), 피치관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패널(122)은 제1태양광패널(122), 제2태양광패널(122) 및 제3태양광패널(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치관리모듈은 베이스구조체(211), 제1이동패널(212), 제2이동패널(213), 제3이동패널(214), 제1간극조절모듈(215), 제3이동패널(214) 및 제2간극조절모듈(2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215)은 제1가동구조물(2151), 제1연결체(2152), 제1접촉체(2153), 제2연결체(2155), 제2접촉체(2156)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215)은 제2가동구조물(3151), 제3연결체(3152), 제3접촉체(3153), 제4연결체(3155) 및 제4접촉체(3156)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피치관리모듈은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120)의 피치 디스턴스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기 피치관리모듈은 상기 작물이 위치된 재배영역(PL)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패널(212)은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패널(212)은 상부에 상기 제1태양광패널(122)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이동패널(213)은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의 상부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212) 일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이동패널(213)은 상부에 상기 제2태양광패널(122)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이동패널(214)은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의 상부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212) 타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이동패널(214)은 상부에 상기 제3태양광패널(122)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구조체(2110)와 상기 제1이동패널(212) 내지 상기 제3이동패널(214)은 상기 재배영역의 상기 작물의 측면부로 위치된다. 상기 태양광패널(122)은 상기 제1이동패널(212) 내지 상기 제3이동패널(214)의 슬라이딩에 기반하여, 상기 피치 디스턴스가 조절된다.
상기 피치관리모듈의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215)은 상기 제1이동패널(212)과 상기 제2이동패널(213)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215)의 상기 제1가동구조물(2151)은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212)과 상기 제2이동패널(21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215)의 상기 제1접촉체(2153)는 상기 제1가동구조물(2151)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1연결체(2152)를 통해 상기 제1이동패널(212)에 접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215)의 상기 제2접촉체(2156)는 상기 제1가동구조물(2151)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제2연결체(2155)를 통해 상기 제2이동패널(213)에 접한다.
상기 제1접촉체(2153)와 상기 제2접촉체(2156)는 각각 상기 제2이동패널(213)이 상기 제1이동패널(212)로 근접하는 정도를 제한하거나, 근접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진퇴 유동된다.
한편 상기 피치관리모듈의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315)은 상기 제1이동패널(212)과 상기 제3이동패널(214)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 구비된다.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315)의 상기 제2가동구조물(3151)은 상기 베이스구조체(211)상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212)과 상기 제3이동패널(214)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315)의 상기 제3접촉체(3153)는 상기 제2가동구조물(3151)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3연결체(3152)를 통해 상기 제1이동패널(212)에 접한다.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315)의 상기 제4접촉체(3156)는 상기 제2가동구조물(3151)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제4연결체(3155)를 통해 상기 제3이동패널(214)에 접한다.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3153)와 상기 제4접촉체(3156)는 각각 상기 제3이동패널(214)이 상기 제1이동패널(212)로 근접하는 정도를 제한하거나, 근접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1접촉체(2153)의 높이방향 외측에는 제1이동체(2154)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체(2154)는 인접하는 상태인 상기 제2이동패널(213)의 상부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체(2156)의 높이방향 외측에는 제2이동체(2157)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이동체(2157)는 인접하는 상태인 상기 제2이동패널(213)의 상부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체(3153)의 높이방향 외측에는 제3이동체(3154)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이동체(3154)는 인접하는 상태인 상기 제1이동패널(212)의 상부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4접촉체(3156)의 높이방향 외측에는 제4이동체(3157)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4이동체(3157)는 인접하는 상태인 상기 제3이동패널(214)의 상부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소들은 모델링을 위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것은 물론 이에 기반하여 실제적인 장치와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발명은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기상정보제공부
120: 영농형태양광 발전설비
130: 발전량 산출부
131: 스페시피케이션 모듈
132: 지오메트리 모듈
133: 발전량 예측모듈
140: 수확량정보 산출부
141: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
142: 대체정보 처리모듈
143: 성장정보 산출모듈
144: 수확량 예측모듈
150: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
160: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
170: 최적조건 선정모듈
SP: 센서포인트
S: 태양
L: 빛
F: 필드

Claims (17)

  1.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제공부;
    재배대상 작물과, 상기 작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며, 설정조건 및 상기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동작되는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
    상기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발전량을 산출하는 발전량 산출부;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수확량정보를 산출하는 수확량정보 산출부; 및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에 기반하여,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위한 최적조건을 산출하는 최적조건 선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은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작물 상부로 위치되며, 상기 작물은 상기 태양광패널에 기반하여 일사량 변화가 발생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전량 산출부는,
    상기 태양광발전설비가 상기 설정조건 중 하나인 제1설정조건으로 설정되면,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제1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제1발전량을 산출하는 스페시피케이션 모듈과,
    상기 태양광발전설비가 상기 설정조건 중 다른 하나인 제2설정조건으로 설정되면, 상기 기상정보와 상기 제2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제2발전량을 산출하는 지오메트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설정조건은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타입 및 상기 태양광발전설비의 인버터 타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설정조건은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조물의 높이, 상기 구조물 상호간의 피치 디스턴스(pitch distance),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조물의 방위, 각도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 산출부는,
    상기 제1발전량과 상기 제2발전량을 기반으로 발전량 획득값을 생성하고, 상기 발전량 획득값을 기반으로 발전량 예측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발전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로 제공하는 발전량 예측모듈을 더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에 적어도 일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영농형태양광발전설비에 적어도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메트리 모듈은,
    상기 제2설정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태양광패널 하부에 위치된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1일사량을 포함하는 제1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상기 태양광패널 하부에서 상기 작물을 포함하도록 지정된 임의영역인 센서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센서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예측 또는 획득하는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을 이용하거나 혹은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과 별도로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일사량 정보값과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태양광패널에 의해 상기 작물에 드리워지는 그림자의 변화에 따른 일사량의 분포도값을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포인트는 다수로 지정되며,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은 각각의 상기 센서포인트 별로 예측 또는 획득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상기 제2일사량 정보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일사량으로 상기 기상정보의 일사량을 대체하는 대체정보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제1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1변수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확량정보 산출부는,
    대체된 상기 제2일사량과 상기 제1변수정보에 대한 모델링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하는 성장정보 산출모듈과,
    상기 성장정보를 기반으로 수확량 예측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수확량 예측정보를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로 제공하는 수확량 예측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변수정보는,
    상기 작물에 대한 발아조건정보, 상기 작물의 건중량정보, 상기 작물에 맺힌 열매의 중량정보, 광이용효율정보, 엽면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조건 선정모듈은,
    상기 발전량과 상기 수확량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후보조건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최적후보조건이 기 설정조건에 부합하면 최적조건으로 산출하되,
    상기 최적조건은 최적의 작물 후보, 작물의 생산량 값, 작물의 키로그람당 매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제1변수정보에 기반하거나 상기 제1변수정보와 별개인 제2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2변수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변수정보는 토양정보, 대기정보 및 경작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은,
    상기 제2일사량정보, 상기 제1변수정보 및 상기 제2변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작물의 성장에 관한 성장정보를 산출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은 상기 작물의 높이에 관한 높이정보, 건중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높이정보를 통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포인트상의 상기 일사량변화값을 재측정하여 제2일사량변화값을 제공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정보 처리모듈, 상기 성장정보 산출모듈 및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순차 반복하여 설정 횟수로 루프(loop) 동작되며, 상기 루프는 적어도 일단위로 동작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포인트는
    상기 작물의 높이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증가가 이루어진 상기 작물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으로 보정되며,
    상기 일사량변화값 획득모듈은,
    상기 확장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센서포인트에 대응하여 상기 작물에 조사되는 제2일사량에 관한 제2일사량 정보값을 예측 또는 획득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제공부는 제1기상데이터와 제2기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기상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기상데이터는 기상관측소로부터 획득한 실측 기상데이터값인 메테오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상데이터는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 예측값인 나사 파워(NASA Power)정보값과, 관측수단의 기상관측에 따른 관측값을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은 제1태양광패널 내지 제3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설비는 상기 피치 디스턴스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치관리모듈은,
    상기 작물이 위치된 재배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베이스구조체와,
    상기 베이스구조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1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동패널과,
    상기 베이스구조체의 상부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2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패널과,
    상기 베이스구조체의 상부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 타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3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이동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제1이동패널 내지 상기 제3이동패널의 슬라이딩에 기반하여, 상기 피치 디스턴스가 조절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관리모듈은,
    상기 제1이동패널과 상기 제2이동패널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구조체상에 구비되는 제1간극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간극조절모듈은,
    상기 베이스구조체상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과 상기 제2이동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가동구조물과,
    상기 제1가동구조물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1연결체를 통해 상기 제1이동패널에 접하는 제1접촉체와,
    상기 제1가동구조물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제2연결체를 통해 상기 제2이동패널에 접하는 제2접촉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체와 상기 제2접촉체는 각각 상기 제2이동패널이 상기 제1이동패널로 근접하는 정도를 제한하거나, 근접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진퇴 유동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관리모듈은,
    상기 제1이동패널과 상기 제3이동패널사이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구조체상에 구비되는 제2간극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간극조절모듈은,
    상기 베이스구조체상에서 상기 제1이동패널과 상기 제3이동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제2가동구조물과,
    상기 제2가동구조물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제3연결체를 통해 상기 제1이동패널에 접하는 제3접촉체와,
    상기 제2가동구조물의 타측으로 구비되는 제4연결체를 통해 상기 제3이동패널에 접하는 제4접촉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3접촉체와 상기 제4접촉체는 각각 상기 제3이동패널이 상기 제1이동패널로 근접하는 정도를 제한하거나, 근접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진퇴 유동되는,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KR1020210100325A 2021-05-11 2021-07-30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KR10262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42,295 US20220364768A1 (en) 2021-05-11 2022-05-11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and crop production prediction mode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0637 2021-05-11
KR1020210060637 2021-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49A KR20220153449A (ko) 2022-11-18
KR102623428B1 true KR102623428B1 (ko) 2024-01-10

Family

ID=8423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25A KR102623428B1 (ko) 2021-05-11 2021-07-30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4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JP2017145565A (ja) * 2016-02-15 2017-08-24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48B1 (ko) * 2017-12-28 2019-07-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2131413B1 (ko) * 2018-08-09 2020-07-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일사량 조절이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76938B1 (ko) 2019-04-09 2021-07-13 주식회사 다스코 케이블 지지식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67811B1 (ko) * 2019-05-24 2021-06-22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Rnn 기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의 현재 상태 및 미래 상태 예측 시스템
KR102317305B1 (ko) * 2019-12-19 2021-10-27 (주)아이엠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87B1 (ko) 2012-12-27 2013-06-05 권오현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태양광발전 경제성분석 시스템 및 중개시스템
JP2017145565A (ja) * 2016-02-15 2017-08-24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49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amri et al. Water budget and crop modelling for agrivoltaic systems: Application to irrigated lettuces
Cossu et al.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the solar radiation distribution inside the main commercial photovoltaic greenhouse types in Europe
CN106455496B (zh) 适于作物的电力产生方法
Casadesús et al. A general algorithm for automated scheduling of drip irrigation in tree crops
CN109982559A (zh) 控制农业生产区域
CN102736596A (zh) 基于作物信息融合的多尺度温室环境控制系统
Kuijpers et al. Lighting systems and strategies compared in an optimally controlled greenhouse
US11957094B2 (en) Centralized predictive controller for management and optimal operation of microgrid powered greenhouses
KR102283487B1 (ko) 실시간 위성자료와 수치모델자료를 이용한 머신러닝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시스템
KR10237486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관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7439273A (zh) 温室用的日照量调整装置
KR102002548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 예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량 및 수익 예측 방법
KR102623428B1 (ko) 영농형 태양광의 발전량 및 작물생산량 예측 모델링 시스템
Willockx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agrivoltaic system for a pear orchard
van Mourik et al. Improving climate monitoring in greenhouse cultivation via model based filtering
Chaudhari et al. Spatial wheat yield prediction using crop simulation model, GIS, remote sensing and ground observed data
KR102502580B1 (ko)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최적 어레이 설계 방법 및 장치
Plaščak et al. An overview of precision irrigation systems used in agriculture
El Hendouzi et al. Forecasting of PV power application to PV power penetration in a microgrid
Guo et al. Effects of adjusting cropping systems on utilization efficiency of climatic resources in Northeast China under future climate scenarios
Torrente et al. Simulation model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in agrivoltaic Mediterranean greenhouses and its effect on crop water needs
Zaina et al. Evaluation of smart irrigation systems in hot-arid climates for green roofs and walls: case of Doha, Qatar
US20220364768A1 (en)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and crop production prediction modeling system
Bakker Model application for energy efficient greenhouses in The Netherlands: Greenhouse design, operational control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Man et al. Predicting sunlight availability for vertical shelves using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