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384B1 -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 Google Patents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384B1
KR101268384B1 KR1020110078880A KR20110078880A KR101268384B1 KR 101268384 B1 KR101268384 B1 KR 101268384B1 KR 1020110078880 A KR1020110078880 A KR 1020110078880A KR 20110078880 A KR20110078880 A KR 20110078880A KR 101268384 B1 KR101268384 B1 KR 10126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ody
curved
line member
hole
strength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772A (ko
Inventor
장의형
Original Assignee
장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의형 filed Critical 장의형
Priority to KR102011007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3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1Coating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는 정해진 길이(L)의 곡선 형상을 가지고,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수지체와; 수지체의 내부에 수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선 부재를 포함하여, 수지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는 곡선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수지체가 선 부재(line member)에 의해 강도 보강되어 수지체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Curved resin body by insert injection molding of reinforcement line member}
본 발명은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곡선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수지체가 선 부재(line member)에 의해 강도 보강되도록 하여 수지체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 관한 것이다.
수지(resin) 소재는 일반적으로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각종 물품이나 제품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수지 소재는 정해진 형상의 캐비티(cavity)를 가지는 금형 내부로 사출되어 캐비티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 형상의 물품/제품으로 성형됨에 따라, 수지 소재에 사출성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물품이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복잡한 형상의 물품이나 제품의 제조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지 소재는 곡률을 가지는 다양한 곡선 형상의 물품이나 제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곡선형 수지체가 단순히 수지 소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경우 곡선형 수지체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곡선형 수지체가 낮은 강도를 가지게 되면, 외력에 의해 곡선형 수지체가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었고, 이로써 곡선형 수지체의 내구성이 떨어져 곡선형 수지체가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곡선형 수지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는 실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선 부재(line member)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순한 구성으로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선 부재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간격유지구가 수지체 내부에 배치되어 선 부재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체의 품질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는, 정해진 길이(L)의 곡선 형상을 가지고,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의 내부에 상기 수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선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수지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서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된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선 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기 간격유지구가 상기 수지체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다수개의 돌출편과 요홈이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편과 요홈이 파형(波形)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에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수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는, 선 부재가 간격유지구를 관통하여 곡선형 수지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단순한 구성으로도 곡선형 수지체의 강도, 품질,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곡선형 수지체가 사용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의 수직 단면도;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의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내부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구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수지체, 곡선형 수지체, 강도보강용 선 부재, 사출성형, 인서트 사출성형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10)는 수지 소재가 사출성형되어 곡선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선 부재(line member)(20)가 인서트 사출성형된 수지체(10)로 이루어진다.
수지체(10)는 정해진 길이(L)의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수지체(10)의 소재로는 다양한 종류의 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선 부재(20)는 수지체(10)의 내부에 수지체(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수지체(10)와 동일한 곡선 형상으로 수지체(10)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선 부재(20)로는 와이어, 철사, 고강도 섬유 등이 사용되고, 이와 같은 선 부재(20)를 통해 수지체(10)의 강도가 보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체(10)가 자체적으로 완결되는 하나의 완성품으로 제조될 경우 도 1의 (a)에서와 같이 선 부재(20)가 수지체(10)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지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체(10)가 별도의 블록체(40), 평판체 등의 물품이나 제품과 일체로 연결될 경우 도 1의 (b)에서와 같이 선 부재(20)가 수지체(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지체(10)와 물품/제품 간 연결부위로 선 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지체(10)와 물품/제품 간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10)는 선 부재(20)가 관통하는 간격유지구(30)를 구비한다. 간격유지구(30)는 중앙부에 관통홀(32)을 형성하고, 관통홀(32) 외측으로 정해진 형상의 돌출편(34)을 연장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구(30)은 선 부재(20)가 수지체(10)의 내부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한다. 즉, 선 부재(20)는 간격유지구(30)의 관통홀(32)을 관통하여 간격유지구(30)에 끼워지고, 간격유지구(30)는 수지체(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선 부재(20)는 수지체(10) 내부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구(30)는 선 부재(20)가 수지체(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에 따라 얇은 두께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간격유지구(30)는 정중앙에 관통홀(32)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지체(10)의 수평단면 가장자리 둘레에 간격유지구(30)의 둘레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선 부재(20)가 수지체(10)의 정중앙을 관통하여 수지체(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체(10)는 내부에 다수개의 간격유지구(30)가 수지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체(10)는 수지체(10)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 내부에 선 부재(20)와 간격유지구(30)가 배치되면서 수지 소재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내부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구(30)는 다수개의 돌출편(34)과 다수개의 요홈(36)이 관통홀(32)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되게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통홀(32)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편(34)과 다수개의 요홈(36)은 파형(波形)을 이루며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간격유지구(30)가 요홈(36)을 가짐으로써 사출금형의 내부에 간격유지구(30)가 배치될 시 사출되는 수지 소재가 간격유지구(30)의 요홈(36)을 통해 간격유지구(30)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수지체(10)의 사출성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구(30)는 돌출편(34)과 요홈(36)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지 소재가 간격유지구(30)를 보다 원활하고 안정되게 통과하여 수지체(10)의 성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돌출편(34)과 요홈(36)은 반원형상, 호형상, 타원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지체(10)의 표면 둘레에 배치되는 돌출편(34)의 끝단부는 평면이나 완만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수지체(10) 표면으로 외력이 작용할 시 수지체(10)와 돌출편(34) 간 물성 차이로 인해 돌출편(34)이 수지체(1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수지체 20 : 선 부재
30 : 간격유지구 32 : 관통홀
34 : 돌출편 36: 요홈
40 : 블록체

Claims (5)

  1. 정해진 길이(L)의 곡선 형상을 가지고,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의 내부에 상기 수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선 부재(line member)를 포함하여,
    상기 수지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된 간격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선 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기 간격유지구가 상기 수지체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다수개의 돌출편과 요홈이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교번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관통홀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편과 요홈이 파형(波形)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수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KR1020110078880A 2011-08-09 2011-08-09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KR10126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80A KR101268384B1 (ko) 2011-08-09 2011-08-09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80A KR101268384B1 (ko) 2011-08-09 2011-08-09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772A KR20130016772A (ko) 2013-02-19
KR101268384B1 true KR101268384B1 (ko) 2013-05-31

Family

ID=4789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80A KR101268384B1 (ko) 2011-08-09 2011-08-09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3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13Y1 (ko) * 2002-11-27 2003-03-11 주식회사 대영통신 멘홀의 소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13Y1 (ko) * 2002-11-27 2003-03-11 주식회사 대영통신 멘홀의 소음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772A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466B2 (en) Base portion, inter-dental clean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dental cleaning tool
JP2013188299A5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及び歯間清掃具
CN106239903B (zh) 树脂制品
US20160235233A1 (en) Molded composite garment hanger and mol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68384B1 (ko) 강도보강용 선 부재가 인서트사출된 곡선형 수지체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JP2013075504A (ja) スプルブッシュ、ピンポイントゲートブッシュ及び成形用金型
JP5341720B2 (ja) 発泡成形品の成形装置
JP2017065113A5 (ja) 射出成形金型、成形品の製造方法、ドーム型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金型部品
CN105082456B (zh) 用于定子注塑模具的型芯及具有其的定子注塑模具
CN108819091B (zh) 连接结构
CN206698428U (zh) 一种用于连接的固定装置及扬声器模组
JP4444096B2 (ja) ゲート処理成形品
KR100984765B1 (ko) 금속날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농기구
KR20160134643A (ko) 칫솔용 핸들체, 칫솔, 및 칫솔용 핸들체의 제조방법
CN106965376B (zh) 一种嵌件注塑产品的浮动嵌件定位模具结构
US10404002B2 (en) Insulating body for a plug connector
US20180236698A1 (en) Mold assembly for molding car door handle and method for molding car door handle using the assembly
US11684127B2 (en) Plastic product disposed on a strap
JP5471197B2 (ja) Dsi成形で中空体を成形する製造方法
CN219133110U (zh) 注塑模具以及注塑产品
US202200631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dental cleaning tool
CN106352230B (zh) 塑料柱体
JP6986828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およ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US8052410B2 (en) Plastic injection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