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269B1 - 김구이용 화덕 - Google Patents

김구이용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269B1
KR101267269B1 KR1020110079476A KR20110079476A KR101267269B1 KR 101267269 B1 KR101267269 B1 KR 101267269B1 KR 1020110079476 A KR1020110079476 A KR 1020110079476A KR 20110079476 A KR20110079476 A KR 20110079476A KR 101267269 B1 KR101267269 B1 KR 101267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inner cylinder
oven
roas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183A (ko
Inventor
강연수
Original Assignee
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수 filed Critical 강연수
Priority to KR102011007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2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구이용 화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김을 굽기 때문에 맛 좋은 구운 김을 제공함과 동시에 김을 구울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김구이용 화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공간에 설치되되, 숯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구이용 화덕{A laver baking for brazier}
본 발명은 김구이용 화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김을 굽기 때문에 맛 좋은 구운 김을 제공함과 동시에 김을 구울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김구이용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을 구울 때에는 가스불이나 연탄불로 김을 굽기 때문에 가스불 또는 연탄불에서 배출되는 인체에 해로운 일산화탄소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불가피하게 일산화탄소를 흡입하게 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탄불을 이용하여 김을 구울 때에는 연탄으로 인한 냄새가 김에 베게 되어 김의 맛을 떨어드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51239호 " 김 구이기"가 제시되어 있다.
즉, 특허등록 제10-651239호의 김구이기는 양념을 바른 김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김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기히터가 내장된 롤러가 구비되며, 전기히터가 내장된 롤러의 상부에는 김을 이송시키도록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김은 전기히터가 내장된 롤러와 이 롤러의 상부에 구비되어 김을 다림질하는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김이 상, 하부에 구비된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김에 열이 가해져 김이 구워지는 방식으로 하여 많은 양의 김을 단시간에 구워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김구이기는 대량의 구운 김을 공급할 수는 있으나,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김에 간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김을 굽게 됨으로써, 직접 불에 굽는 김에 비해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숯불을 이용하여 김을 직접 가열 방식으로 굽게 됨으로써, 맛 좋은 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숯불을 이용하여 김을 굽게 되어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외통과 내통으로 분리되고 내통에는 숯이 수용됨으로써, 타고남은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통의 하부에 재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재받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숯이 탈 때 발생하는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김구이용 화덕은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공간에 설치되되, 내측에 숯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통은 측부에 공기공급공이 형성되고, 이 공기공급공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속되는 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통의 측부에 형성되되,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타측부 측면에는 통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의 측부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에 인출되게 재받이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은 수용공간의 하단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지지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통의 상단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2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통의 상부에는 석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김을 직접 가열 방식으로 굽게 됨으로써, 맛 좋은 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숯불을 이용하여 김을 굽게 되어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통과 내통으로 분리되고 내통에는 숯이 수용됨으로써, 타고남은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의 하부에 재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재받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숯이 탈 때 발생하는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김구이용 화덕은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을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을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100)은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부(112)가 형성된 외통(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통(110)은 상부 직경은 크고 하부 직경은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110)은 측부에 외부로부터 공간부(112)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공(114)이 형성되고, 이 공기공급공(114)의 가장자리 3면에는 가이드돌기(116)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116)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면서 공기공급공(114)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재(12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외통(110)의 외측부에 형성된 공기공급공(114)의 타측부 측면에는 공기공급공(114)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통풍공(11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통(110)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손잡이(1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0)의 내측에는 숯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용공간(212)이 형성된 내통(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통(210)은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내통(210)의 하부를 커버하는 다수개의 지지봉(21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내통(210)의 수용공간(212)에 수용된 숯이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214)의 상부에 안착되고, 외통(110)의 공기공급공(114)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가 다수개의 지지봉(214) 사이 공간을 통하여 숯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이 지지봉(214)의 사이를 통하여 숯이 탈 때 발생하는 재가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내통(10)의 측부 상단에는 내통(210)이 외통(11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외통(1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손잡이(21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100)은 먼저, 외통(110)의 공간부(112)에 수용되도록 내통(210)을 결속시키되, 내통(210)의 상단 측부에 형성된 제2손잡이(216)가 외통(110)의 상부에 지지되어 내통(210)이 외통(11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단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통(210)의 수용공간(212)에 숯을 투입하게 되면 숯은 내통(2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봉(214)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내통(210)에 숯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숯에 불을 점화시키게 되면 김을 굽기 위한 모든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통(110)에 내통(210)을 안착시키기 전에 내통(210)에 숯을 수용시키고, 숯에 불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내통(210)을 외통(110)에 안착시키거나, 점화된 숯을 내통(210)에 담은 다음 안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통(210)에 수용된 숯에 불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김을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통(110)의 측부에 형성된 공기공급공(114)은 조절부재(120)를 이용하여 공기공급공(114)의 개방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공기공급공(114)으로 공급된 외부공기는 내통(210)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봉(214) 사이를 통하여 내통의 수용공간(212)으로 공급되어 내통(210)에 수용된 숯불의 화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김구이용 화덕(100)을 이용하여 김을 숯불에 직접 굽는 방식으로 김을 굽게 되어 맛 좋은 구운 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공(114)의 타측부에 형성된 통풍공(118)이 형성되어 공기공급공(114)으로 공급된 공기가 외통(110)의 공간부(112)에 정체되지 않고 통풍공(118)을 통하여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외통(110)의 공간부(112)로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210)의 수용공간(212)에 수용되어 숯이 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는 내통(2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봉(214)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져 외통(110)의 공간부(112) 하부에 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외통(110)의 외측부에 제1손잡이(119)가 형성됨으로써, 김구이용 화덕(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210)에 구비된 제2손잡이(216)를 이용하여 외통(110)으로부터 내통(21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통(110)에 내통(210)의 설치시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통(110)의 상단부에는 김을 올려놓고 김을 구울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 절개홈(113)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113)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재받이부재(1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내통(210)에 수용된 숯불에 김을 구울 때 숯이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는 내통(21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봉(214)의 사이 공간으로 떨어져 외통(110)의 하부에 구비된 재받이부재(140)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재받이부재(140)에 쌓인 재는 외통(110)의 절개홈(113)으로부터 재받이부재(140)를 인출시켜 재를 버리고, 다시 절개홈(113)으로 재받이부재(140)를 끼워 외통(110)의 내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받이부재(140)가 외통(110)의 절개홈(113)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숯불에서 발생하는 재를 모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용 화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화덕 110 : 외통
112 : 공간부 113 : 절개홈
114 : 공기공급공 116 : 가이드돌기
118 : 통풍공 119 : 제1손잡이
120 : 조절부재 130 : 석쇠
140 : 재받이부재 210 : 내통
212 : 수용공간 214 : 지지봉
216 : 제2손잡이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공간에 설치되되, 숯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통은 측부에 공기공급공이 형성되고, 이 공기공급공 가장자리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속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외통의 하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에 인출되게 재받이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내통의 상단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2손잡이가 외통의 상단 측부로 돌출어 외통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용 화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측부에 형성되되,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타측부 측면에는 통풍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용 화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측부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용 화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수용공간 하단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지지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용 화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부에는 석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용 화덕.
KR1020110079476A 2011-08-10 2011-08-10 김구이용 화덕 KR10126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76A KR101267269B1 (ko) 2011-08-10 2011-08-10 김구이용 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476A KR101267269B1 (ko) 2011-08-10 2011-08-10 김구이용 화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83A KR20130017183A (ko) 2013-02-20
KR101267269B1 true KR101267269B1 (ko) 2013-05-23

Family

ID=4789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476A KR101267269B1 (ko) 2011-08-10 2011-08-10 김구이용 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13B1 (ko)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66Y1 (ko) 2000-08-01 2000-12-15 이상규 화덕용 구이판
KR200280207Y1 (ko) * 2002-03-26 2002-07-02 고승한 숯불구이기의 화덕 인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66Y1 (ko) 2000-08-01 2000-12-15 이상규 화덕용 구이판
KR200280207Y1 (ko) * 2002-03-26 2002-07-02 고승한 숯불구이기의 화덕 인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13B1 (ko)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183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169B1 (ko)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US20080268121A1 (en) Barbecue firebox and method of operation
EP32447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harcoal combustion for cooking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100052585A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의 점화장치
GB2528854A (en) Portable burner and oven assembly
KR101267269B1 (ko) 김구이용 화덕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20200010800A (ko) 구이장치
CN105212778B (zh) 生物智能电烤炉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101036899B1 (ko) 구이기
KR101561874B1 (ko) 조리효율 향상 구조형 화덕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CN110081443B (zh) 一种生活垃圾处理用干湿分离处理的焚烧装置
CN209186419U (zh) 一种用于烧烤炉的引火板调节装置
KR101721369B1 (ko)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200452266Y1 (ko) 이동식 버너가 구비된 구이장치
AU2011101631A4 (en) Combined Barbecue and Heater
CN109044119A (zh) 一种用于烧烤炉的引火板调节装置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