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760B1 -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760B1
KR101266760B1 KR1020120013833A KR20120013833A KR101266760B1 KR 101266760 B1 KR101266760 B1 KR 101266760B1 KR 1020120013833 A KR1020120013833 A KR 1020120013833A KR 20120013833 A KR20120013833 A KR 20120013833A KR 101266760 B1 KR101266760 B1 KR 10126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ale
wires
wire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1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은 회전접속부의 외주 일측에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된 암 클립과; 회전접속부의 외주 일측에 상기 암 클립의 와이어 고정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된 수 클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암 클립의 회전접속부의 상단에 톱니형상의 수 접속링이 형성되고, 수 클립의 회전접속부의 내부에 수 상기 접속링과 접속되는 톱니형상의 암 접속링이 마련되며, 상기 수 클립의 하단에 탄성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암 클립의 회전접속부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구멍의 내부 하부에 걸림턱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작은 크기의 와이어의 정리는 물론 크기가 큰 와이어 및 다수의 와이어도 한꺼번에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 A MULTI CLIP FOR WIRES }
본 발명은 다수의 와이어 및 배선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와이어 및 전체 배선의 크기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하나의 멀티 클립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 및 와이어는 와이어 정리용 클립으로 정리를 하는 예가 많은데, 종래에는 와이어 및 전체 배선의 크기별로 다수의 와이어 정리용 클립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작은 크기의 와이어 및 배선의 경우 작은 크기의 와이어 정리용 클립을 사용하고, 큰 크기의 와이어 및 배선의 경우 큰 크기의 와이어 정리용 클립을 사용하는 등 와이어 및 배선의 크기에 맞는 와이어 정리용 클립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케이블 타이(CABLE TIE)의 경우 여러 가지 크기의 와이어 및 다수의 와이어를 정리하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체결 후에 남는 부분에 대해서 2차적으로 커팅을 하기 때문에 폐기물 증가와 작업 공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고장 수리를 할 때에는 케이블 타이를 잘라버려야 하므로 재사용이 불가하며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24990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5800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크기가 큰 와이어의 정리는 물론 다수의 와이어도 한꺼번에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고장 수리 후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은 회전접속부의 외주 일측에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된 암 클립과; 회전접속부의 외주 일측에 상기 암 클립의 와이어 고정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가 마련된 수 클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은 상기 암 클립의 회전접속부의 상단에 톱니형상의 수 접속링이 형성되고, 수 클립의 회전접속부의 내부에 수 상기 접속링과 접속되는 톱니형상의 암 접속링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 클립의 하단에 탄성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암 클립의 회전접속부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구멍의 내부 하부에 걸림턱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에 있어서, 상기 수 클립의 탄성걸림부는 하단부에 뾰족한 투입안내부가 마련되고, 투입안내부의 상단에 걸림턱이 마련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은 양 와이어 고정부를 오므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은 크기의 와이어의 정리는 물론 크기가 큰 와이어 및 다수의 와이어도 한꺼번에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회전접속부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오므려진 양 와이어 고정부가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되고, 와이어 및 배선 정리 작업 과정에서 일부분을 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와이어 및 배선의 고장 수리시에는 암 클립으로부터 수 클립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평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분해 저면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양 와이어 고정부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양 와이어 고정부가 오무려진 상태의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평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분해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은 암 클립(110)과 수 클립(1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에 있어서 암 클립(110)은 링형 회전접속부(111)의 외주 일측에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112)가 마련된 형태로 구성되고, 수 클립(120)도 원판형의 회전접속부(121)의 외주 일측에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122)가 마련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암 클립(110)의 와이어 고정부(112)와 수 클립(120)의 와이어 고정부(12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상기 암 클립(110)의 회전접속부(111)의 상단에는 톱니형상의 수 접속링(113)이 형성되고, 수 클립(120)의 회전접속부(121)의 내부에는 수 상기 접속링(113)과 접속되는 톱니형상의 암 접속링(123)이 마련된다.
한편 수 클립(120)의 하단에는 탄성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되고, 암 클립(110)의 회전접속부(111)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구멍(114)의 내부 하부에는 걸림턱부(115)가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클립(120)의 탄성걸림부(124)는 하단부에 뾰족한 투입안내부(124a)가 마련되고, 투입안내부(124a)의 상단에 걸림턱(124b)이 마련되며, 3개의 절개부(124c)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은 수 클립(120)의 탄성걸림부(124)는 암 클립(110)의 접속구멍(114)으로 삽입하면 탄성걸림부(124)의 걸림턱(124a)이 접속구멍(114) 내부 하부에 마련된 걸림턱부(115)에 걸리게 되어 암 클립(110)과 수 클립(120)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에 있어서 암 클립(110)과 수 클립(120)이 결합될 때에는 암 클립(110)의 수 접속링(113)이 수 클립(120)의 암 접속링(123)에 접속되며, 수 접속링(113)의 외주면과 암 접속링(123)의 내주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회전접속부(111)(121)는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양 와이어 고정부가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양 와이어 고정부가 오무려진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을 사용하여 와이어 및 배선을 정리하고자 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암 클립(110)의 와이어 고정부(112)와 수 클립(120)의 와이어 고정부(122)가 벌어지도록 암 클립(110)과 수 클립(120)을 조립하고,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의 사이로 전선 및 배선을 투입한 다음 도 4와 같이 양 회전접속부(111)(121)를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로 와이어 및 배선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은 양 회전접속부(111)(121)의 회전에 의해 오므려지는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이루는 폐공간의 크기를 일정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은 크기의 와이어의 정리는 물론 크기가 큰 와이어 및 다수의 와이어도 한꺼번에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클립(100)은 작은 크기의 와이어 및 배선을 정리할 때나 큰 크기의 와이어 및 배선을 정리할 때에 와이어 및 배선의 크기에 맞게끔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이루는 폐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면 간편하게 와이어 및 배선을 정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에 있어서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이루는 폐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양 회전접속부(111)(121)의 회전시킬 때에는 톱니형상의 수 접속링(113)과 암 접속링(123)이 ‘따르륵 따르륵’하는 소리를 내게 되고 손 끝에 걸리는 감각을 제공하게 되므로 청각적으로 또한촉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조절상황을 알려줄 수 있게 되며, 양 회전접속부(111)(12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오므려진 양 와이어 고정부(112)(122)가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와이어 및 배선 정리 작업 과정에서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100)의 일부분을 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와이어 및 배선의 고장 수리시에는 암 클립(110)의 접속구멍(114) 하부로 돌출된 수 클립(120)의 탄성걸림부(124)의 투입안내부(124a)를 눌러 직경을 축소시킨 다음 수 클립(120)을 잡아당기게 되면 암 클립(110)으로부터 수 클립(12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와이어 및 배선을 수리를 마친 후에는 다시 암 클립(110)과 수 클립(120)을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멀티 클립
110 : 암 클립
111 : 회전접속부
112 : 와이어 고정부
113 : 수 접속링
114 : 접속구멍
115 : 걸림턱부
120 : 수 클립
121 : 회전접속부
122 : 와이어 고정부
123 : 암 접속링
124 : 탄성걸림부
124a : 투입안내부
124b : 걸림턱
124c : 절개부

Claims (2)

  1. 회전접속부(111)의 외주 일측에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112)가 마련된 암 클립(110)과; 회전접속부(121)의 외주 일측에 상기 암 클립(110)의 와이어 고정부(112)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 원호형의 와이어 고정부(122)가 마련된 수 클립(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 클립(110)의 회전접속부(111)의 상단에 톱니형상의 수 접속링(113)이 형성되고, 수 클립(120)의 회전접속부(121)의 내부에 수 상기 접속링(113)과 접속되는 톱니형상의 암 접속링(123)이 마련되며,
    상기 수 클립(120)의 하단에 탄성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되고, 암 클립(110)의 회전접속부(111)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구멍(114)의 내부 하부에 걸림턱부(1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클립(120)의 탄성걸림부(124)는 하단부에 뾰족한 투입안내부(124a)가 마련되고, 투입안내부(124a)의 상단에 걸림턱(124b)이 마련되며, 다수의 절개부(124c)가 방사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KR1020120013833A 2012-02-10 2012-02-10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KR10126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33A KR101266760B1 (ko) 2012-02-10 2012-02-10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833A KR101266760B1 (ko) 2012-02-10 2012-02-10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760B1 true KR101266760B1 (ko) 2013-05-28

Family

ID=4866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833A KR101266760B1 (ko) 2012-02-10 2012-02-10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64B1 (ko) * 2018-12-27 2020-06-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체결 클립
KR20220153295A (ko) * 2021-05-11 2022-11-1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66Y1 (ko) 2000-06-03 2000-11-15 이처술 전선용 지지구
KR200442100Y1 (ko) 2008-07-21 2008-10-10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66Y1 (ko) 2000-06-03 2000-11-15 이처술 전선용 지지구
KR200442100Y1 (ko) 2008-07-21 2008-10-10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64B1 (ko) * 2018-12-27 2020-06-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체결 클립
KR20220153295A (ko) * 2021-05-11 2022-11-18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KR102607228B1 (ko) * 2021-05-11 2023-11-29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9268A1 (en) Radial seal assembly, end seal and trocar
KR101266760B1 (ko)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EP2772068B1 (en) Cable collector
CN103491466B (zh) 扬声器单元
CN103795015A (zh) 一种理线盒
WO2016026162A1 (zh) 螺纹紧固组件
KR200463864Y1 (ko) 고리가 구비된 전선 결속밴드
US8973216B1 (en) Grommet
US9425553B2 (en) Cord coupling securement device
CN203826882U (zh) 一种理线盒
JP2009225738A (ja) 電線保護管用鳥類飛来防止装置
KR101094743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US797216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KR101288883B1 (ko) 배선정리장치
JP3174451U (ja) 鳥害防止具
JP3183199U (ja) 掛け式綴具
JP5558856B2 (ja) 締結具および締結具部品
JP2015104148A (ja) 鳥害防止具及び鳥害防止装置
KR101506531B1 (ko) 밸브 핸들 고정용 클램프
KR102055745B1 (ko) 와이어 튕김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EP3096412A1 (en) Plate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coupling parts
KR20170000024U (ko) 케이블 고정기구
JP2015033274A (ja) 配電線用絶縁カバー
CN205142461U (zh) 一种头戴式耳机
JP2012170301A (ja) 支線把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