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228B1 -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 Google Patents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228B1
KR102607228B1 KR1020210060697A KR20210060697A KR102607228B1 KR 102607228 B1 KR102607228 B1 KR 102607228B1 KR 1020210060697 A KR1020210060697 A KR 1020210060697A KR 20210060697 A KR20210060697 A KR 20210060697A KR 102607228 B1 KR102607228 B1 KR 10260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tating body
bracket
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295A (ko
Inventor
홍정민
장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은 고정바디(10)의 후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16)가 완철(70)의 장홀(72)에 끼워진 후 90도 회전될 때 걸림력과 마찰력에 의해 브라켓과 완철(70)이 견고히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클램프(40)의 반월판(46)이 스프링(48)의 탄발력에 의해 케이블삽입홈(12)을 향해 전후진되면서 사이 거리를 자동 조절해 줌과 동시에 강한 탄발력으로 케이블을 눌러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규격(굵기)에 제한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고, 케이블에 가해지는 체결조임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고정바디(10)에 설치된 개폐부재(52)와 회전바디(30)에 형성된 걸림부재(54)에 의한 잠금부(50)에 의해 원터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ONE-TOUCH BRACKET FOR CABLE TERMINAL CONNECTION MOUNTING}
본 발명은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단접속재가 설치되는 케이블(특고압 지중선)과 전주의 완철을 브라켓의 고정바디와 회전바디에 의해 조립할 때 체결볼트와 너트의 사용없이 원터치 끼움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단접속재라 함은 케이블(특고압 지중선)의 단말 처리를 위한 수단으로, 전기적 스트레스가 심한 케이블의 단말부에 설치하여 절연물질의 전기적 방전과 절연파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 단말에 설치되는 종단접속재를 취부하고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종래에 제안된 등록실용신안 제20-0236577호의 종단접속재용 브라켓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미도시됨)에 고정된 완철(300)에 종단접속재(100)에 연결되는 케이블(200)의 하부를 감싼 상태로서 하부브라켓(10)를 볼트로서 고정하고, 상기 하부브라켓(10)의 볼트체결공(11)에 인서트 결합된 체결너트(15)에 체결볼트(50)로서 상기 케이블(200)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상부브라켓(20)을 조립한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10)은 상기 하부브라켓(10)의 볼트체결공(11)과 나사체결공(12)은 내부에 체결너트(15)를 각각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볼트체결공(11)의 체결너트(15)에 상기 체결볼트(50)로 상기 상부브라켓(20)과 조립되고, 상기 나사체결공(12)에 접지동판(30)이 접지나사(40)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접지동판(30)은 상기 하부브라켓(10)의 후방 및 하방에 요설된 삽입홈(14)에 절곡상태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종단접속재용 브라켓은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10)의 좌우측이 2쌍의 체결볼트(50)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각각 조립되고, 완철(300)의 일측과 맞닿는 하부브라켓(10)의 좌우측이 또 다른 2쌍의 체결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각각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200)과 완철(300)을 연결하는 상부브라켓(20)과 하부브라켓(10)을 4쌍의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일이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여야 하므로 케이블(200)에 가해지는 체결조임력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전기품질의 저하는 물론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577호(2001.06.20.)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브라켓의 고정바디와 완철을 회전록킹에 의해 조립되도록 제작하고, 브라켓의 고정바디와 회전바디를 원터치 끼움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전기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은, 케이블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경첩부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에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경첩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대응되게 맞물린 암수 한 쌍의 요철부; 및 상기 암수 한 쌍의 요철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상기 회전바디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연결봉; 상기 회전바디의 바깥면에서 상기 연결봉의 일측단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연결봉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과 대치되는 반월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볼트의 나사면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봉의 일측단 중앙에 삽입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는 상기 회전바디의 바깥면에 걸리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반월판과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의 외주에 끼워지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잠금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에 탄발 지지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폐부재는, 상기 고정바디에 형성된 작동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미는 힘에 의해 후진되는 수직봉; 상기 고정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홀 내의 상기 수직봉의 중앙과 직각으로 결합되는 아이볼트; 및 상기 작동홀 내에서 상기 아이볼트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수직봉이 전진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고정바디의 후면 중앙에는 완철의 장홀에 삽입 후 회전 시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록킹돌기는, 상기 고정바디의 후면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사각축; 및 상기 사각축의 끝단에 상하 돌출되어 상기 장홀을 통과한 후 90도 회전 시 상기 장홀과 교차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사각축은 상기 완철의 두께와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장홀의 상하면 폭과 대응되는 둘레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사각축의 둘레 모서리에는 상기 사각축이 상기 장홀의 상하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도록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은 케이블을 완철에 고정작업할 때 록킹돌기, 클램프, 잠금부에 의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원터치 브라켓은 고정바디의 후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가 완철의 장홀에 끼워진 후 90도 회전될 때 걸림력과 마찰력에 의해 브라켓과 완철이 견고히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원터치 브라켓은 클램프의 반월판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케이블삽입홈을 향해 전후진되면서 사이 거리를 자동 조절해 줌과 동시에 강한 탄발력으로 케이블을 눌러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규격(굵기)에 제한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고, 케이블에 가해지는 체결조임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원터치 브라켓은 고정바디에 설치된 개폐부재와 회전바디에 형성된 걸림부재에 의한 잠금부에 의해 원터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종단접속재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종단접속재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브라켓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바디에 설치되는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디와 개폐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6(a)(b)(c)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브라켓의 동작 구성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디측 록킹돌기의 회전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브라켓이 완철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은, 안쪽 중앙에 반월형으로 케이블삽입홈(12)이 형성된 고정바디(10); 상기 고정바디(10)의 일측과 경첩부(2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12)의 공간을 감싸도록 회전되는 회전바디(30); 상기 회전바디(3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12)에 삽입된 케이블(1)을 상기 케이블삽입홈(12)을 향해 가압되도록 고정하는 클램프(40); 및 상기 고정바디(10)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30)의 일측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12)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잠금부(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경첩부(20)는, 상기 고정바디(10)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3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맞물리는 암수 한 쌍의 요철부(22); 및 상기 암수 한 쌍의 요철부(22)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암수 한 쌍의 요철부(22)가 회전되도록 삽입되는 고정핀(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회전바디(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연결봉(42); 상기 회전바디(30)의 바깥면에서 상기 연결봉(42)의 길이측 일측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봉(42)이 상기 관통홀(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볼트(44); 및 상기 연결봉(42)의 길이측 타측단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14)과 대치하도록 배치되는 반월판(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봉(42)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3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봉(42)이 상기 관통홀(32)을 통해 전후진되도록 슬라이딩될 때 유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44)의 나사면은 상기 관통홀(32)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봉(42)의 일측단 중앙에 삽입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44)의 머리는 상기 회전바디(30)의 바깥면에 걸리도록 상기 관통홀(3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월판(46)과 상기 회전바디(30)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42)을 매개로 지지되어 상기 반월판(46)을 상기 케이블삽입홈(12) 쪽으로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48)이 설치되되, 상기 스프링(48)은 상기 연결봉(42)의 외주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50)는, 상기 고정바디(10)의 일측에 탄발 지지되는 개폐부재(52); 및 상기 회전바디(30)의 일측에 상기 개폐부재(52)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52)는, 상기 고정바디(10)에 형성된 작동홀(14)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54)가 미는 힘에 의해 후진되는 수직봉(56); 상기 고정바디(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홀(14) 내의 상기 수직봉(56)의 중앙 높이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아이볼트(58); 및 상기 작동홀(14) 내에서 상기 아이볼트(58)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수직봉(56)이 전진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바디(10)의 후면 중앙에는 완철(70)의 장홀(72)에 삽입 후 회전 시 결합되는 록킹돌기(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돌기(16)는, 상기 고정바디(10)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완철(70)의 두께와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장홀(72)의 상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사각축(16a); 및 상기 사각축(16a)의 끝단에 상하 돌출되어 상기 장홀(72)을 통과한 후 90도 회전 시 상기 장홀(72)과 교차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축(16a)의 둘레 모서리에는 상기 사각축(16a)이 상기 장홀(72)의 상하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도록 빗면(16c)이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종단접속재(3)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을 완철(7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바디(10)의 후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16)의 체결부재(16b)를 도 7(a)와 같이 눕힌 상태에서 완철(70)의 장홀(72)과 일치하도록 끼움과 동시에 통과시킨 후, 도 7(b)와 같이 브라켓의 전체를 잡고 일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도 8과 같이 사각축(16a)이 장홀(72)의 상하 폭에 맞닿는 상태에서 사각축(16a)의 둘레에 형성된 빗면(16c)에 의해 강제로 회전됨과 동시에 체결부재(16b)를 세워주게 됨으로써 체결부재(16b)의 길이측은 장홀(72)의 길이측과 교차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완철(70)의 두께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16b)와 고정바디(10)의 후면이 맞닿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바디(10)의 일측에 설치된 아이볼트(58)를 잡아 당기면, 이 아이볼트(58)의 끝단과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봉(56)이 후진되면서 수직봉(56)에 걸려있던 회전바디(30)의 걸림부재(54)가 분리됨으로써 도 6(a)와 같이 고정바디(10)의 일측과 경첩부(20)에 의해 연결된 회전바디(30)가 회전되고, 후진되었던 수직봉(56)은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다가 작동홀(14)에 걸리면서 처음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바디(10)의 케이블삽입홈(12)에 미도시된 케이블을 안착시킨 후, 회전바디(30)를 고정바디(10)측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부재(54)의 끝단이 회전바디(30)의 중앙에 설치된 반월판(46)이 미도시한 케이블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바디(30)의 걸림부재(54)를 원터치식으로 눌러주면, 이 걸림부재(54)의 끝단은 고정바디(10)의 작동홀(14)에 설치된 수직봉(56)과 접촉됨과 동시에 걸림부재(54)의 끝단측 곡면과 수직봉(56)의 외주측 곡면이 접하여 미끄러지는 마찰에 의해 수직봉(56)이 도 6(b)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후진되었다가 걸림부재(54)의 끝단에 형성된 오목형상부와 일치할 때 스프링(60)이 미는 탄발력에 의해 도 6(c)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다시 전진됨으로써 수직봉(56)과 걸림부재(54)가 서로 대응되게 맞물리게 된다.
이때, 회전바디(30)에 설치된 클램프(40)의 반월판(46)은 반월판(46)과 회전바디(30)의 안쪽면 사이에 연결봉(42)의 외주에 끼워진 스프링(48)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면서 고정바디(10)의 케이블삽입홈(12)에 안착된 미도시한 케이블을 강한 압력(탄발력)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케이블삽입홈(12)과 반월판(46)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고 원터치 브라켓에 고정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은 케이블(1)을 완철(70)에 고정작업할 때 록킹돌기(16), 클램프(40), 잠금부(50)에 의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원터치 브라켓은 고정바디(10)의 후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록킹돌기(16)가 완철(70)의 장홀(72)에 끼워진 후 90도 회전될 때 걸림력과 마찰력에 의해 브라켓과 완철(70)이 견고히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원터치 브라켓은 클램프(40)의 반월판(46)이 스프링(48)의 탄발력에 의해 케이블삽입홈(12)을 향해 전후진되면서 사이 거리를 자동 조절해 줌과 동시에 강한 탄발력으로 케이블을 눌러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규격(굵기)에 제한없이 모든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고, 케이블에 가해지는 체결조임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원터치 브라켓은 고정바디(10)에 설치된 개폐부재(52)와 회전바디(30)에 형성된 걸림부재(54)에 의한 잠금부(50)에 의해 원터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및 체결공구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간소화 및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케이블 3 : 종단접속재
10 : 고정바디 12 : 케이블삽입홀
14 : 작동홀 16 : 록킹돌기
16a : 사각축 16b : 체결부재
16c : 빗면 20 : 경첩부
22 : 요철부 24 : 고정핀
30 : 회전바디 32 : 관통홀
40 : 클램프 42 : 연결봉
44 : 볼트 46 : 반월판
48 : 스프링 50 : 잠금부
52 : 개폐부재 54 : 걸림부재
56 : 수직봉 58 : 아이볼트
60 : 스프링 70 : 완철
72 : 장홀

Claims (11)

  1. 후면 중앙에 완철의 장홀에 삽입 후 회전 시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안쪽 중앙에 반월형으로 케이블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경첩부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에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첩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과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대응되게 맞물린 암수 한 쌍의 요철부; 및
    상기 암수 한 쌍의 요철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회전바디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연결봉;
    상기 회전바디의 바깥면에서 상기 연결봉의 일측단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연결봉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삽입홈과 대치되는 반월판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측에 탄발 지지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회전바디의 일측에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면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봉의 일측단 중앙에 삽입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는 상기 회전바디의 바깥면에 걸리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월판과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의 외주에 끼워지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고정바디에 형성된 작동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미는 힘에 의해 후진되는 수직봉;
    상기 고정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홀 내의 상기 수직봉의 중앙과 직각으로 결합되는 아이볼트; 및
    상기 작동홀 내에서 상기 아이볼트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수직봉이 전진되도록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고정바디의 후면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사각축; 및
    상기 사각축의 끝단에 상하 돌출되어 상기 장홀을 통과한 후 90도 회전 시 상기 장홀과 교차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각축은 상기 완철의 두께와 대응되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상기 장홀의 상하면 폭과 대응되는 둘레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각축의 둘레 모서리에는 상기 사각축이 상기 장홀의 상하면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도록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KR1020210060697A 2021-05-11 2021-05-11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KR10260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97A KR102607228B1 (ko) 2021-05-11 2021-05-11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97A KR102607228B1 (ko) 2021-05-11 2021-05-11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95A KR20220153295A (ko) 2022-11-18
KR102607228B1 true KR102607228B1 (ko) 2023-11-29

Family

ID=8423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97A KR102607228B1 (ko) 2021-05-11 2021-05-11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4414B (zh) * 2023-09-22 2024-03-22 河北鸿宇通信器材有限公司 一种线缆架空用夹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60B1 (ko) * 2012-02-10 2013-05-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KR101995032B1 (ko) * 2019-01-31 2019-07-0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및 지중 송전선로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77Y1 (ko) 2001-03-27 2001-10-10 평일산업 주식회사 종단접속재용 지지브라켓
KR20060085801A (ko) * 2005-01-25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KR20140002181U (ko) * 2012-10-09 2014-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용접 장비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60B1 (ko) * 2012-02-10 2013-05-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KR101995032B1 (ko) * 2019-01-31 2019-07-01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가공 및 지중 송전선로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95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44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4759729A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849649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915751B2 (en) Male coaxial connectors having ground plane extensions
US7114986B1 (en) Electrical cord connector apparatus
US7918687B2 (en) Coaxial connector grip ring having an anti-rotation feature
CN102640356B (zh) 弹力接线端子
US4628159A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EP2600468A2 (en) Coaxial cable connector for securing cable by axial compression
KR102607228B1 (ko) 케이블 종단접속재 취부용 원터치 브라켓
EP30326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arrangement
US8882548B2 (en) Cam clamp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1237093A (zh) 电连接器
US7338306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power cable retaining structure
CN210517224U (zh) 一种三脚安全插座
US7645173B2 (en) Adjustable cable connector wire guide and connecto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CN216044904U (zh) 一种紧固螺栓组件
CN110676633B (zh) 一种安全三脚插座
CN210576503U (zh) 接线端子
CN103236610B (zh) 安全稳固的电源插头插座系统
CN100536247C (zh) 电线夹具
JPH049005B2 (ko)
CN110534960B (zh) 一种电源连接器
KR20140087424A (ko) 고전압용 와이어 접지장치
CN215870000U (zh) 抽屉柜电路分配转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