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688B1 - 착유기 - Google Patents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688B1
KR101266688B1 KR1020087003033A KR20087003033A KR101266688B1 KR 101266688 B1 KR101266688 B1 KR 101266688B1 KR 1020087003033 A KR1020087003033 A KR 1020087003033A KR 20087003033 A KR20087003033 A KR 20087003033A KR 101266688 B1 KR101266688 B1 KR 10126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milking machine
main body
milking
pressur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455A (ko
Inventor
미쯔오 다시로
신이찌 가따오까
Original Assignee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66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변형되는 부재에 대응한 부위를 세정하기 쉬워,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것을 위해 수용 용기(11)와, 착탈부(25)를 갖는 착유기 본체(21)와, 상기 착유기 본체에 장착된 부압 발생 부재(30) 및 그 조작 수단을 갖는 착유기이며, 상기 착유기 본체가, 착유 직경 확대부(22)와, 소밸브실(26)과, 상기 소밸브실과 연통하고 착유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하는 부압 발생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부(41)를 갖고, 부압 발생 부재가, 상기 조작 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재)(35)와, 탄성을 갖는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부(53)와,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벽부(31)와, 상기 벽부의 내측에 상기 벽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벽부보다도 얇은 두께로 됨으로써, 상기 결합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변형됨으로써 상기 부압을 생성하는 변형부(32)를 구비하는 구조로 한다.
수용 용기, 착유기 본체, 착탈부, 결합부, 변형부

Description

착유기{MILK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수동 혹은 기계 구동되는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착유할 수 있는 착유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어머니의 유방에 접촉되는 나팔 형상으로 직경 확대된 착유부 즉 착유 직경 확대부를 구비한 착유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착유시에 부압에 의해 미스트 상태로 된 모유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하지 않도록, 착유기 본체의 상단부 등에 요소(凹所)를 형성하고, 이 요소 내에 다이어프램 등의 변형되는 부재를 수용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에 핸들 등의 조작 수단을 연결하고, 핸들의 왕복 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반복하여 끌어올림으로써 부압을 형성하는 수동 착유기로서 특허 문헌 1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과 대략 공통되는 구성을 구비한 착유기는 몇 가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내지 4 등).
또한, 핸들측에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이 요부 내에 다이어프램을 수용함으로써, 착유기 본체측으로부터의 통기로를 통해, 부압을 전달하는 형식의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5 참조).
또한, 착유기 본체 상부에 실린더를 배치하고, 실린더에 컵 형상 다이어프램을 배치하고 밀폐함으로써, 기계 등의 부압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변형되고, 그 변형에 수반하여 착유기 본체 내를 부압으로 하는 착유기로서, 특허 문헌 6에 기술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미국 특허 제5749850호
특허 문헌 2 : 미국 특허 제6749582호
특허 문헌 3 : WO2003/013628
특허 문헌 4 : WO2004/000390
특허 문헌 5 :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39330호
특허 문헌 6 : 미국 특허 제5009638호
그런데, 이들 착유기에서는, 다이어프램 등의 변형부를 수용한 요소나 요부에, 역류한 모유나 미스트 상태의 모유가 침입하는 일이 있다.
한편, 착유기는 유아 등에게 주는 모유를 채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침입한 모유 등이 있는 경우, 착유 후 이것을 용이하고 또한 깨끗하게 세정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착유기에서는, 상기 모유 미스트 등이 다이어프램 등의 수용부에 침입한 경우, 상기 수용부는 경질의 수지의 성형부이기 때문에, 작은 틈으로 스며든 모유 미스트나 잔재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특히 변형되는 부재에 대응한 부위를 세정하기 쉬워,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착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제1 발명에 있어서는, 모유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착유기 본체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부와, 상기 착유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착유기 본체에 장착된 부압 발생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을 갖는 착유기이며, 상기 착유기 본체가, 사용자의 유방에 접촉되는 선단부를 향해 직경 확대된 착유 직경 확대부와, 상기 수용 용기에 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유 직경 확대부와 연통된 소밸브실과, 상기 소밸브실과 연통하고 착유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하는 부압 발생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가, 상기 조작 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탄성을 갖는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벽부와, 상기 벽부의 내측에 상기 벽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벽부보다도 얇은 두께로 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변형됨으로써 상기 부압을 생성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착유기에 의해 달성된다.
제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착유기 본체를 상기 착탈부에 의해 수용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착유 직경 확대부가 개방된 선단부를 사용자의 유방에 대어,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상기 부압 발생 부재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유방으로부터 흡인된 모유가 상기 소밸브실을 거쳐 상기 수용 용기에 떨어뜨려져 저류된다.
이 경우, 부압 발생 부재에 있어서는, 착유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착탈되는 구성이며, 착유기 본체에는 그 장착부에 대해 착탈부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결합부를 통해 조작 수단으로부터 부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변형부가 변형됨으로써, 상기 모유 흡인을 위한 부압이 생성된다.
이 부압 발생 부재는,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부,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벽부, 변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압 발생 부재를 착유기 본체로부터 제거하면, 본체측에는, 종래의 착유기와 같이, 변형부, 즉 다이어프램 등을 수용하기 위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경질의 요부 혹은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세정하기 어려운 상기 요소 등에 모유의 잔재 등이 달라붙어 불결한 기구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부압 발생분 부재는,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유기 본체로부터 제거하여 세정할 때에는, 작업자의 손의 힘으로 변형시켜, 구석구석까지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부압 발생 부재의 착탈부는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벽부와 일체이기 때문에, 이 벽부를 잡고 착탈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소밸브실로의 통로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착유에 수반하여, 부압 발생 부재 내측 등으로 스며든 모유가 있어도, 장착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소밸브실을 거쳐 수용 용기로 유도되므로, 부압 발생 부재 내측 등에 고이기 어렵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는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본체측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측 플랜지부의 하측에 본체측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장착부보다도 약간 큰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의 상측에 부압 발생측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착탈부가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측 홈부의 하측에는, 상기 착탈부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장착할 때에 있어서는, 본체측 플랜지부에 부압 발생측 홈부가, 본체측 홈부에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가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압 발생 수단에 의한 밀폐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의 외면측이 상기 위치 결정부에 접촉하여, 그 이상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착탈부의 일부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부로 들어가게 하도록 함으로써 장착하기 쉽고, 장착 상태의 확인도 용이하다.
제4 발명은,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강성을 갖는 벽부가, 원통 형상으로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통 형상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지고, 상기 변형부로서 상기 되접어 꺾어진 부분보다 끝의 부분을 박육으로 형성하여 설치한 내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형부와 상기 벽부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변형부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해 반복하여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의 상기 복귀시에, 착유기 본체 내의 부압에 수반하여 상기 변형부와 상기 벽부의 대향면이 서로 닿아 조작음을 발생하고, 그것이 불쾌한 소리로 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제5 발명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부와 별체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가늘게 연장하여 선단부에 상기 조작 수단과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기단부가 넓게 직경 확대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가, 상기 변형부의 하단부가 상기 원통 형상의 하부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바닥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면부의 중앙에 형성한 통공에 대해, 아래로부터 상기 보스부를 삽입 관통하여 착탈되는 구성이며,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보스부의 외경이, 상기 구멍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보스부의 외경이, 통공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밀폐를 유지하면서, 세정시 등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그 보스부를 상기 변형부와 일체의 상기 바닥면부의 통공에 대해 삽입 분리하는 것만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매우 착탈이 용이하다.
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부와 별체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가늘게 연장하여 선단부에 상기 조작 수단과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기단부가 넓게 직경 확대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는, 상기 변형부의 하단부가 상기 원통 형상의 하부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바닥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면부의 중앙에 형성한 통공에 대해, 아래로부터 상기 보스부를 삽입 관통한 형태로, 상기 결합부가 경질의 수지로, 상기 변형부가 이것보다도 연질의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2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일체 성형에 의한 제조 비용의 상승은 있지만, 부압 발생 부재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되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워진다.
제7 발명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는, JIS-K6253(ISO7619)에 있어서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가 HS 30 내지 70 정도이고, 또한, 상기 강성을 구비한 벽부의 두께가 1.5 ㎜ 내지 3.0 ㎜ 정도로 되고, 상기 변형부의 두께가 1.0 ㎜ 내지 2.5 ㎜ 정도로 되고,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부와 별체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강성을 구비한 벽부의 외면에는 보강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경도가 30보다 작으면 벽부에 변형이 및 생성되는 부압이 작아진다. 경도가 60을 초과하면 조작 수단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이 커져 부압 형성시의 조작이 힘들어진다.
변형부의 두께가 1.0 ㎜보다 작으면 변형시의 고무 탄성에 의한 연신 변형이 커지고, 생성되는 부압은 작아져 버린다. 두께가 2.5 ㎜를 초과하면, 조작 수단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이 커져 부압 형성시의 조작이 힘들어진다.
강성을 구비한 벽부의 두께가 1.5 ㎜보다 작으면, 부압 형성시, 상기 벽부가 좌굴해 버린다. 즉 불필요한 변형을 발생하여, 충분한 부압 생성을 할 수 없다. 벽부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면, 착유기 본체로의 장착시에 상기 벽부가 그다지 변형되지 않으므로,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착유기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착유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의 (a)는 도2의 부분 확대도, 도3의 (b)는 도3의 (a)의 G-G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착유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착유기의 개략 단면도.
도6은 도5의 부압 발생 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착유기의 개략 단면도.
도8은 착유기의 부압 발생 부재의 결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부호의 설명]
11 : 수용 용기
20 : 착유기
21 : (착유기) 본체
22 : 착유 직경 확대부
30 : 부압 발생 부재
31 : (제1) 벽부
32 : 변형부[(제2) 벽부]
33 : 바닥면부
35 : 결합부(재)
61 : 조작 수단(핸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부여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착유기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도1은 착유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착유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착유기의 착유기 본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4는 착유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착유기(20)는, 착유기 본체(21)(이하,「본체」라 함)와, 조작 수단인 핸들(61)과, 착유한 모유를 저류하기 위한 수용 용기로서의 보틀(11)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61)은 착유기 본체(21)와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틀(11)은,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장착 오목부를 형성한 넓은 바닥 면적을 구비하는 지지 베이스(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 잘 쓰러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지지 베이스(12)의 이면측은, 보틀(11)로부터 제거하여 후술하는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개구를 덮도록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1)의 부압 발생 부재(30)를 장착한 상부에는, 대략 돔 형상의 후드(15)가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후드(15)는 핸들(61)의 부위가 잘라져 있어, 상기 핸들(61)을 피해 장착됨으로써, 부압 발생 부재(30) 등을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후드(15)가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체(21)는, 전체가 비교적 가볍고 튼튼한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술폰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21)는 상기 보틀(11)과 착탈되는 착탈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착탈부(25)는,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평한 통 형상 부분이며, 내측에 암나사부(25a)를 구비하고 있고, 보틀(11)의 병 입구의 주위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틀(11)은 착유기(20)의 전용품이라도 좋고, 착탈부(25)에 적합한 젖병 등을 이용해도 좋고, 또한, 성형된 용기가 아니 고, 주머니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21)의 착탈부(25)의 상부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선단부가 직경 확대되어 개방된 원뿔 형상 혹은 나팔 형상의 착유 직경 확대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개구측에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부(2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완충부(28)는 착유시에 착유 직경 확대부(22)가 유방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자극을 저감하여, 통증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완충부(28)의 내주면에는, 사용자의 유륜 근방에 자극을 부여하는 볼록부(28a)가 복수 군데, 예를 들어, 상하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착유부 통기로(23)는 통기 및 착유한 모유의 통로가 되고, 하방으로 절곡하여 보틀(11)측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착유부 통기로(23)의 개구는, 본체(21)와 보틀(11)과의 착탈부(25)의 내측이며, 소밸브실(2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착유부 통기로(23)의 하방을 향하는 부분(23a)과 인접하여, 격벽(24)을 통해 또 하나의 통기로(27)가 마련되어 있다. 통기로(27)의 하단부 개구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밸브실(26) 내에서 착유부 통기로의 하방을 향하는 부분(23a)과 연통되어 있다.
통기로(27)의 상단부는, 도3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43)가 되고, 상기 개구(43)를 둘러싸도록 대략 원형으로 넓어지는 장착부(41)로 되어 있다. 장착부(41)는 부압 발생 부재(30)를 장착하는 부분이다. 부압 발생 부재(3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장착부(41)의 상면은 상기 개구(43)를 향해 약간 하강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2)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밸브실(26)은,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가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중공 형상의 캡 형상의 형태이며, 하단부측의 양 측벽(26b, 26c)은 박육으로 되어 하단부를 향해 서로 폭이 서서히 접근하도록 형성된 탄성체의 경사벽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로 되어 있다. 양 측벽(26b, 26c)이 접근한 하단부에는 슬릿(26d)이 형성되어 있어, 착유한 모유가 소밸브실(26)의 중공 내에 소정량까지 저류되면, 그 중량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압력의 변화에 수반하여, 슬릿(26d)이 개방되어, 모유가 보틀(11) 내에 떨어뜨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사벽의 하단부에 슬릿(26d)을 형성함으로써, 부압시에 보틀(11) 내의 공기가 소실(26)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착유기 본체(21)의 착탈부(25)에 인접한 부위에는, 보틀(11) 내에 모유가 고였을 때에 있어서의 압력을 밀어내도록 외기와 보틀(11) 내를 연통하는 작은 통공(29)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발생 부재(30)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편평한 바닥이 있는 원통체에 가까운 형태이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발생 부재(30)는, 외측에서 기립하여, 그 외경을 유지할 정도의 강성을 구비하는 제1 벽부(31)와, 그 상단부가 일체로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지고, 상기 되접어 꺾어진 부분보다 끝의 부분을 박육 으로 형성하여 설치한 내측 벽부로서의 제2 벽부(32)를 갖고 있다. 이 제2 벽부(32)는 변형부이며, 그 하단부는 원통 형상의 하부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비교적 넓은 내측 바닥부인 바닥면부(33)로 되어 있다.
즉, 제1 벽부(31)도 제2 벽부(32)도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재료의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강성이 부여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1 벽부(31)는 변형되지 않지만, 제2 벽부(32)는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량의 부압을 확보하도록 제1 벽부(31)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압 발생 부재(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61)이 조작됨으로써, 변형부인 제2 벽부(32)가 변형되고, 바닥면부(33)와 장착부(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간(S)의 용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S)과 통기로(27), 소밸브실(26)을 통해 연통된 착유부 통기로(23)(도2 참조)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부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벽부 즉, 제1 벽부(31)는 거의 변형하지 않고, 장착부(41)에 대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3의 (a)의 G-G선 단면도인 도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벽부(31)의 외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52)가 형성되어, 더욱 그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또한, 변형부인 제2 벽부(32)와 제1 벽부(31)의 대향면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벽부(31)의 내면측에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형부인 제2 벽 부(32)가 반복하여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의 상기 복귀시에, 제2 벽부(32)와 제1 벽부(31)의 대향면이 서로 닿아 조작음을 발생하고, 그것이 불쾌한 소리로 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변형부인 제2 벽부(32)를 변형시키기 위해, 결합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재)(35)는, 변형부인 제2 벽부(32)와는 다른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35)는, 예를 들어, 전체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가 넓게 직경 확대된 평평한 원반 형상의 베이스부(36)를 갖고 있고, 베이스부(36)의 바닥면이 본체(21)측의 내부 공간(S)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재)(35)는, 상기 베이스부(36)와 일체로 그 위에 형성되고,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충분히 큰 외경을 구비한 낮게 기립하는 보스부(37)와, 상기 보스(34)로부터 비교적 가늘게 연장되는 연장부(37a)를 구비하고, 또한 연장부(37a)의 선단부에는 단면원 또는 타원 혹은 장원(長圓) 형상 등의 팽출부 혹은 직경 확대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38)를 갖고 있다.
바닥면부(33)의 중앙부에는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부압 발생 부재(30)와 결합부(재)(35)를 별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호 34는 통공으로 되고, 보스부(37)의 외경보다도, 통공(34)이 약간 작은 내경으로 되어 바닥면부(33)의 이면으로부터 보스부(37)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확실하게 밀폐를 유지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세정시 등에 착탈 이 용이하다.
이에 대해, 바닥면부(33)나 통공(34)에 대해, 결합부(재)(35)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2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조 비용은 그만큼 높아지지만, 부압 발생 부재(30) 전체가 일체의 부품이 되어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압 발생 부재(30)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 형상으로 된 착탈부(53)에 의해, 착유기 본체(21)의 대략 원 형상으로 되어 착탈부(53)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으로 된 장착부(41)의 주연부(47)에 대해 착탈된다.
부압 발생 부재(30)의 착탈부(53)는, 제1 벽부(31)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그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인 내향 플랜지(53a)와, 그 상측이며 내측에 형성된 부압 발생측 홈부인 내측 홈(53b)을 갖고 있어, 전체적으로 소정의 고무 형상의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장착부(41)의 주연부(47)에는, 외향의 이중으로 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부(41)의 상단부이며, 외측으로 돌출한 본체측 플랜지부인 제1 플랜지(44)와, 제1 플랜지(44)의 하방이며, 착탈부(53)의 하단부 및 상기 제1 플랜지(44)보다도 큰 외경을 구비한 위치 결정 수단인 제2 플랜지(45)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1 플랜지(44)와 제2 플랜지(45) 사이가 직경 축소됨으로써 내측으로 들어간 본체측 홈부인 외측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부압 발생 부재(30)의 제1 벽부(31)와 제2 벽 부(32)로 이루어지는 벽면을 꽉 잡고, 잡은 위치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착탈부(53)의 하단부인 내향 플랜지(53a)의 외면을, 위치 결정 수단인 제2 플랜지(45)의 상향 단부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그 내향 플랜지(53a)를 외측 홈(46) 내에 걸은 상태에서, 잡고 있지 않은 측의 손가락으로 걸은 위치를 가볍게 누르면서 잡은 측의 손으로 부압 발생 부재(30)를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걸은 위치 이외의 내향 플랜지(53a)가 변형되면서 제1 플랜지(44)를 타고 넘어 본체측 홈부(46)로 들어간다. 그와 같이 하면, 전체적으로 착탈부(53)가 주연부(47)에 장착되어, 제1 플랜지(44)가 내측 홈(53b)으로 들어가는 동시에, 내향 플랜지(53a)가 외측 홈(46)으로 들어가, 밀폐를 유지한 상태로 장착된다.
이에 의해, 부압 발생 부재(30)는 매우 간단하게 장착된다. 즉, 제2 플랜지(45)는, 내향 플랜지(53a)의 두께보다도 약간 제1 플랜지(4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장착시에 내향 플랜지(53a)가 외측 홈(46)을 타고 넘지 않도록 돌출한 리브로 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부압 발생 부재(30)를 제거할 때에는, 제1 벽부(31)를 손으로 잡은채로 외측으로 넓히는 것만으로, 상기 내향 플랜지(53a)가, 외측 홈(46)으로부터 벗어나 제1 플랜지(44)를 타고 넘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플랜지(46)를 제1 플랜지(44)와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부분적으로 제1 플랜지(44)보다도 돌출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측면 모서리측에 절결을 형성하여, 다른 쪽 손가락 으로 누르기 쉽게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여기서, 부압 발생 부재(30)의 제1 벽부(31), 제2 벽부(32), 바닥면부(33)는,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비교적 탄성이 풍부한 유연한 재료, 즉, JIS-K6253(ISO7619)에 있어서의 A형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가 HS 30 내지 70 정도의 합성 수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나 이소프렌 고무, SEBS(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등의 엘라스토머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벽부(31)의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의 두께가 1.5 ㎜ 내지 3.0 ㎜로 되고, 제2 벽부(32)를 구성하는 재료의 두께가 1.0 ㎜ 내지 2.5 ㎜로 된다.
부압 발생 부재(30)의 경도가 30보다 작으면 제1 벽부(31)에 변형 및 생성되는 부압이 작아진다. 경도가 60을 초과하면 후술하는 핸들(61)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이 커져 부압 형성시의 조작이 힘들어진다.
제2 벽부(32)의 두께가 1.0 ㎜보다 작으면 변형시의 고무 탄성에 의한 연신 변형이 커지고, 생성되는 부압은 작아져 버린다. 두께가 2.5 ㎜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핸들(61)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이 커져 부압 형성시의 조작이 힘들어진다.
제1 벽부(31)의 두께가 1.5 ㎜보다 작으면, 부압 형성시, 상기 벽부가 구부러져 버린다. 즉 불필요한 변형을 발생시켜, 충분한 부압 생성을 할 수 없다. 제1 벽부(31)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면, 착유기 본체(21)로의 장착시에 상기 벽부가 그다지 변형되지 않으므로,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1)의 상부에 있어서, 착유부(22)가 연장되는 위치와 반대 위치에는, 핸들(61)을 장착하기 위한 아암(48)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아암(48)은 그 선단부가 부압 발생 부재(3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30)의 상단부를 초과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는, 상기 아암(48)의 선단부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지지축부(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아암(48)의 대략 중앙을 따라 아암 리브(48a)가 형성되어 있어, 낙하시 등에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를 높여주고 있다.
핸들(61)은, 전체적으로 비교적 튼튼하고 경량인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등으로 성형된 성형품이다.
즉, 핸들(61)은 도1이나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긴 부재이며, 상단부가 수평으로 두 갈래로 갈라진 홈으로 이루어지는 피결합부(62)를 갖고 있어,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35)의 결합부(38)에 대한 피결합부(62)와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핸들(61)의 타단부(63)는 하방에 위치하여 약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레버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핸들(61)은 본체(21)에 대해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도2의 고정 상태에서는, 핸들(61)의 일단부 근방의 위치에 설치한 베어링부(64)에 의해, 아암(48) 선단부의 지지축(4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61)의 타단부의 외측에는 2색 성형 등에 의해 미끄럼 방지부(6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위에 조작자가 손을 대어 조작함으로써 도2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11)에 대해 근접/이격하도록 왕복 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63a)는, 별도 재료로 형성하지 않아도, 핸들(61)의 대응 부위의 표면에 주름 가공이나 리브를 설치하는 등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높이는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이에 따라서, 핸들(61)의 선단부가 되는 피결합부(62)는, 지지축부(49)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핸들(61)을 보틀(11)에 근접하도록 조작함으로써, 화살표 B2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부압 발생 부재(30)의 변형부인 제2 벽부(32)가 도2의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변형된다. 이로 인해, 바닥면부(33)와 장착부(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간(S)의 용적이 증대되면, 이 내부 공간(S)에 공기가 들어온 만큼 착유부 통기로(23)의 공기가 들어와, 착유부(22)의 직경 확대된 선단부에 사용자의 유방이 접촉되어 있으면, 밀폐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착유부 통기로(23)가 부압으로 된다.
이 부압에 의해, 착유된 모유는, 착유부 통기로(23)의 하방을 향하는 부분(23a)으로부터 소밸브실(26)로 들어간다. 상기 소밸브실(26)에 어느 정도 모유가 고인다. 이때, 양 측벽(26b, 26c)은 박육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압에 수반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변형되어, 슬릿(26d)이 확실하게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유가 누출되는 일은 없다.
사용자가 핸들(61)을 조작하여, 보틀(11)에 가장 근접한 상태로 되면, 상단부(62)가 상한 위치 C로 이동하게 되어, 핸들(61)의 내측의 단부가 대향하는 위치 결정부(45)의 외측 모서리에 접촉하여,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서는, 변형부인 제2 벽부(32)는, 중간까지 젖혀 올려진 상태로 머무르게 되므로, 원래의 형상인 도2에 나타내는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귀하고자 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61)에 가하고 있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제2 벽부(32)가 복원되고자 하는 힘에 의해, 상단부(62)가 화살표 B1 방향으로 이동하고, 핸들(61)이 보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압 발생 부재(30)의 변형부인 제2 벽부(32)가 도2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로 인해, 바닥면부(33)와 장착부(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간(S)의 용적이 감소하여, 부압이 해제되었을 때의 압력의 변화에 수반하고, 또한 고인 모유의 중량에 기인하여, 양 측벽(26b, 26c)의 선단부측이 개방되고, 슬릿(26d)이 개방되어, 모유는 보틀(11) 내에 떨어뜨려진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핸들(61)의 조작에 수반하여, 부압 발생 부재(30)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부압이 맥동하도록 부여되고 착유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착유기(20)에 따르면,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착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압 발생 부재(30)는, 착유기 본체(21)의 장착부(41)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부(53),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제1 벽부(31), 변형부인 제2 벽부(32)가 탄성을 구비한 수지에 의해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부압 발생 부재(30)를 착유기 본체(21)로부터 제거하면, 상기 착유기 본체(21)측에는, 종래의 착유기와 같이, 변형부, 즉 다이어프램 등을 수용하기 위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요부 혹은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세정하기 어려운 상기 요소 등에 모유의 잔재 등이 달라붙어 불결한 기구로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부압 발생 부재(30)는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유기 본체(21)로부터 제거하여 세정할 때에는, 작업자가 착탈부(53) 부근에 손가락을 대어, 외측으로 가볍게 변형시키도록 하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제거한 부압 발생 부재(30)는 전체가 유연한 재료이기 때문에 구석구석까지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착유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6은 그 부압 발생 부재를 하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5에 있어서, 착유기 본체(71)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고, 동등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이다.
착유기 본체(71)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보틀 등의 착탈부(25-1)가 형성되고, 또한 착유(직경 확대)부(22)가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들은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이다. 또한, 착유기 본체의 통기로(23)의 바닥면과 착탈부(25-1)의 내측의 공간과의 경계에는 작은 통공(76, 76)이 형성되고, 밸브체(75)가 부압 형성 부재(30-1)에 의한 부압의 형성ㆍ해제에 수반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승강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고, 이 통공(76, 76)과 밸브체(75)로 소밸브실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형성 부재(30-1)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압 형성 부재(30)와 대략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부압 형성 부재(30)가 상하로 변형되는 형태의 것인 것 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부압 형성 부재(30-1)는「풀무」형식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압 형성 부재(30-1)의 중앙에서 병렬한 산(山) 형상으로 약간 높게 되어 있는 영역 사이의 골(谷) 형상의 구간이 변형부(32-1)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형부(32-1)는 벽 형상이 아니고, 주름 형상의 풀무 본체이다.
그리고, 변형부(32-1)의 주위를 이루는 영역은, 변형부(32-1)보다도 높은 강성을 구비한 벽부 혹은 형상 유지부(31-1)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벽부(31)에 상당하고, 핸들(61-1)이 조작되었을 때, 변형되지 않고 그 외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발생 부재(30-1)의 형상 유지부(31-1)의 깊이측의 부위에는, 하방으로 개구한 제1 장착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발생 부재(30-1)의 형상 유지부(31-1)의 앞의 부위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제2 장착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구멍(73)에는, 본체(21)에 기립하여 형성한 장착 돌기(72)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부압 발생 부재(30)는 장착 돌기(72)의 삽입과, 착탈부(53-1) 및 장착부(41-1)의 결합에 의해 본체(71)에 고정된다.
제2 장착 구멍(74)에는, 조작 수단으로서의 핸들(61-1)의 상단부(62-1)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된다.
즉, 형상 유지부(31-1)는, 변형되지 않는 강성 부재인 핸들 상단부(62-1)측과 장착 돌기(72)측에 배치되어 있고, 핸들(61-1)의 조작이나 발생한 부압 등에 의 해, 부압 발생 부재(30-1)가 불필요하게 변형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핸들(61-1)은 지지축(49)에 의해, 상기 지지축(4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핸들(61-1)의 하단부(63-1)측이 조작자의 손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조작되면, 부압 발생 부재(30)의 변형부(32-1)는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ㆍ복귀한다.
즉, 핸들 하단부(63-1)가 도시하지 않은 보틀측으로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변형부(32-1)가 핸들(61-1)의 상단부(62-1)에 의해 화살표 C2 방향으로 끌려서, 상단부(62-1)가 C2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형부(32-1)가 연신되어, 내부 공간(S)이 커지면, 착유부 통기로(23) 내부는 부압이 된다. 이때, 밸브체(75)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통공(76, 76)이 폐색되기 때문에, 부압은 착유부 통기로(23) 내의 영역에 한정되게 된다.
그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힘을 느슨하게 하면, 변형부(32-1)가 도5의 상태로 복원되는 힘에 의해, 핸들(61-1)의 상단부(62-1)가 화살표 C1측으로 이동하여 부압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착유부(22)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때, 밸브 밸브체(75)는 부압의 해제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통공(76, 76)으로부터 보틀 내에 모유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착유기(70)에 있어서도, 특히 변형되는 부재인 부압 발생 부재(30-1)가 전체적으로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소하기 쉬워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착유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7의 구성에 있어서, 도2 및 도3 실시 형태(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기 본체인 보틀(11-1)은, 중앙부가 약간 가늘고, 상단부 개구가 크게 직경 확대된 변형 보틀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착탈부(25)에는 상하로 관통된 링 형상의 어댑터(8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80)를 개재하여 상기 보틀(11-1)이 장착되어 있다.
즉, 보틀(11-1)의 상단부의 개구가 제1 실시 형태의 보틀(11)보다도 크고, 이와 같은 보틀(11-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댑터(81)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체(21)의 착탈부(25)에 대해서는, 상기 어댑터(80)의 가는 직경의 상부(82)가 삽입되어, 그 수나사부와, 착탈부의 암나사부(25a)가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틀(11-1)의 상단부는, 어댑터(81)의 직경 확대된 하부(83)가 장착되어 있다. 즉, 어댑터(81)의 하부(83)의 암나사부(83a)에 보틀(11) 개구부 외측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본체측의 착탈부(25)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보틀(11)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댑터(81)를 사용하여 개구가 큰 보틀(11-1)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착유기(20-1)에 있어서는, 착유기 본체(21)의 하단부에 설치한 소밸브 실(26-1)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중공 형상의 캡 형상의 형태이지만, 하단부측의 양 측벽(26b, 26c)의 기단부가 소실밸브(26-1)의 본체로의 장착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단부측의 양 측벽(26b, 26c)은, 이들 하단부가 보다 예각적으로 접하고 있고, 이에 의해, 부압을 형성할 때의 압력의 변화율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밸브실(26-1)의 기단부 외주에 설치한 플랜지 형상의 손잡이(26e)는, 제1 실시 형태의 것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청소시 등에 있어서의 소밸브실(26-1)의 본체(21)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완충부(28)에 있어서의 볼록부(28a-1)는,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내경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돌조와 같이 형성하여, 밀봉부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 볼록부(28a-1)가, 착유 직경 확대부(22)의 각도가 바뀌는 굴곡 위치에 배치되고, 볼록부(28a-1)의 착유 직경 확대부(22)측은 공동으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유방을 접촉시킴으로써, 볼록부(28a-1)와 유방이 각각 변형되어 양자가 밀착되기 때문에, 발생시킨 부압이나, 착유된 모유가 착유 직경 확대부(22)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착유기(20-2)에서는, 그 핸들(61-2)의 내측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63b)를 추가하여,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압 발생 부재(30)의 결합부(재)(35)는, 도7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도8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35-1)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서로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부(35-1)의 보스부(37)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7a)는 그 길이 방향의 복수 부위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보스부(37)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38-1), 제2 결합부(38-2), 제3 결합부(38-3)의 3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에는, 도4에 잘 나타나 있는 핸들(61)의 선단부의 피결합부(62)가, 택일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결합되는 각 결합부의 높이 위치에 따라서, 제1 위치(L1, L2, L3)의 각 높이 위치에 핸들(61)의 피결합부(62)가 결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2의 화살표 B를 따른 왕복 운동의 스트로크가 변화하게 되기 때문에, 생성되는 부압의 크기에 관해, 사용자가 적절한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수단(61)은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로 하고 있지만, 결합부(재)(35)에 연결 가능한 전동에 의한 구동 장치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장착부(41)는 상방에 면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통기로(23)를 따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배치해도 좋고, 이때, 부압 발생 부재(30)측의 통기로(27)는 장착부(41)의 한쪽으로 기운 위치에 형성하여, 모유가 흘러내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개개의 구성은 전부 반드시 필요로 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일부를 생략할 수 있고,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성과 조합하여 다른 구성의 조합 하에서 실시되어도 좋고,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Claims (7)

  1. 모유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에 대해 착유기 본체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부와, 상기 착유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착유기 본체에 장착된 부압 발생 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을 갖는 착유기이며,
    상기 착유기 본체가,
    사용자의 유방에 접촉되는 선단부를 향해 직경 확대된 착유 직경 확대부와,
    상기 수용 용기에 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착유 직경 확대부와 연통된 소밸브실과,
    상기 소밸브실과 연통하고, 착유하기 위한 부압을 생성하는 부압 발생 부재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가,
    상기 조작 수단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탄성을 갖는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부와,
    상기 착탈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구비한 벽부와,
    상기 벽부의 상단을 내측으로, 또한 하방을 향해서 되접어 꺾어지도록 하여 상기 벽부와 일체로 설치된 부분이고, 또한 상기 벽부보다도 얇은 두께로 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변형됨으로써 상기 부압을 생성하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소밸브실로의 통로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착유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본체측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측 플랜지부의 하측에 본체측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장착부보다도 약간 큰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압 발생측 플랜지부의 상측에 부압 발생측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착탈부가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측 홈부의 하측에는, 상기 착탈부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강성을 갖는 벽부가, 원통 형상으로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통 형상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지고, 상기 변형부로서 상기 되접어 꺾어진 부분보다 끝의 부분을 박육으로 형성하여 설치한 내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형부와 상기 벽부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부와 별체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가늘게 연장하여 선단부에 상기 조작 수단과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기단부가 넓게 직경 확대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가, 상기 변형부의 하단부가 원통 형상의 하부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바닥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면부의 중앙에 형성한 통공에 대해, 아래로부터 상기 보스부를 삽입 관통하여 착탈되는 구성이며,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보스부의 외경이, 상기 통공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발생 부재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변형부와 별체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가늘게 연장하여 선단부에 상기 조작 수단과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기단부가 넓게 직경 확대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압 발생 부재는, 상기 변형부의 하단부가 원통 형상의 하부를 폐색하도록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한 바닥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면부의 중앙에 형성한 통공에 대해, 아래로부터 상기 보스부를 삽입 관통한 형태로, 상기 결합부가 경질의 수지로, 상기 변형부가 이것보다도 연질의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7. 삭제
KR1020087003033A 2005-08-09 2008-02-05 착유기 KR101266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0790 2005-08-09
JPJP-P-2005-00230790 2005-08-09
PCT/JP2006/304248 WO2007017968A1 (ja) 2005-08-09 2006-03-06 搾乳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455A KR20080034455A (ko) 2008-04-21
KR101266688B1 true KR101266688B1 (ko) 2013-05-28

Family

ID=3772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033A KR101266688B1 (ko) 2005-08-09 2008-02-05 착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49188B2 (ko)
JP (1) JP4413231B2 (ko)
KR (1) KR101266688B1 (ko)
CN (1) CN101232909B (ko)
AU (1) AU2006277515C1 (ko)
TW (1) TWI361702B (ko)
WO (1) WO2007017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582B2 (en) 2002-04-30 2004-06-15 The First Years Inc. Pumping breast milk
EP1818067B1 (de) * 2006-02-13 2008-11-12 Trimed AG Milchpumpe
JP5079364B2 (ja) * 2007-03-27 2012-11-21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CN201064581Y (zh) * 2007-07-04 2008-05-28 程克勇 手动吸奶器
ITPR20070089A1 (it) * 2007-11-14 2009-05-15 Medel S P A Apparato per estrarre latte da una mammella e relativo gruppo pompa.
CN101474433A (zh) * 2009-01-06 2009-07-08 张连盛 吸奶器仿生吸奶装置
US8398584B2 (en) 2009-01-16 2013-03-19 Learning Curve Brands, Inc. Breast pump and method of use
WO2011005286A1 (en) * 2009-06-22 2011-01-13 Lansinoh Laboratories, Inc. Breast milk collection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JP5441524B2 (ja) * 2009-07-01 2014-03-12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TWI483751B (zh) * 2009-09-18 2015-05-11 Richell Corp Manual Extruder
CN102019001B (zh) * 2009-09-18 2015-05-20 株式会社利其尔 手动吸奶器
ES2543612T3 (es) * 2009-09-22 2015-08-20 Medela Holding Ag Copa para el pecho para extraer leche materna humana
CH703813A1 (de) 2010-09-17 2012-03-30 Medela Holding Ag Membranvakuumpumpe.
CN102068721A (zh) * 2011-01-08 2011-05-25 蒋一新 手动按摩吸奶器
EP2502639A1 (en) * 2011-03-21 2012-09-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breast pump
JP5681554B2 (ja) * 2011-04-22 2015-03-11 ピジョン株式会社 手動搾乳器
JP5726622B2 (ja) * 2011-04-28 2015-06-03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RU2622448C2 (ru) * 2011-10-04 2017-06-15 Медела Холдинг Аг Вакуумный насос
CN102764457B (zh) * 2012-08-13 2015-01-14 广州健士婴童用品有限公司 负压可调的吸奶器
USD766420S1 (en) * 2012-09-06 2016-09-13 Mapa Gmbh Breast pump
DE202012008803U1 (de) * 2012-09-14 2013-12-16 Mapa Gmbh Manuelle Muttermilchpumpe
WO2014112078A1 (ja) 2013-01-17 2014-07-24 ピジョン株式会社 手動搾乳器
CN105343949B (zh) * 2015-12-03 2017-07-07 陈俊波 一种手动吸乳器
EP3456366B1 (en) * 2016-05-11 2020-12-23 Pigeon Corporation Manual breast pump
JP6965043B2 (ja) * 2017-06-30 2021-11-10 ピジョン株式会社 手動搾乳器
EP3700603A1 (de) * 2017-10-24 2020-09-02 Medela Holding AG Brustpumpe
JP7280667B2 (ja) * 2018-06-05 2023-05-24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D898184S1 (en) 2019-01-29 2020-10-06 Handi-Craft Company Breast pump valve
CN114401755B (zh) * 2019-09-20 2023-12-08 贝亲株式会社 吸奶器
AU2021325443A1 (en) * 2020-08-11 2023-04-06 Annabella Tech Ltd. A breast milk extraction kit comprising a breast milk pump and a pumping device
CN113841623B (zh) * 2021-09-15 2022-10-21 佩利奥(上海)科技有限公司 宠物自动投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3628A1 (en) * 2001-08-06 2003-02-20 Handley Kuester Limited Breast pump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952A (en) 1885-12-08 Albeet a
US50457A (en) 1865-10-17 Improvement in breast-pumps
US37677A (en) 1863-02-17 Improvements breast-pumps
US108882A (en) 1870-11-01 Improvement in breast-pumps
US3229635A (en) * 1964-02-12 1966-01-18 George K Oss Rocket nozzle diaphragm seal
GB8422861D0 (en) * 1984-09-11 1984-10-17 Avent Medical Ltd Single handed breast pump
JPS63252161A (ja) 1987-04-09 1988-10-19 ジェクス株式会社 搾乳器
US4886494A (en) * 1987-04-09 1989-12-12 Yasuo Morifuji Milking apparatus
CH676795A5 (ko) * 1989-03-01 1991-03-15 Ameda Ag
US5358476A (en) 1990-08-17 1994-10-25 Aurora Search Ltd. Breast pump adapter for filling infant nursers having disposable lin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5232194A (en) * 1992-09-21 1993-08-03 Zurn Industries, Inc. Diaphragm assembly
JP3260231B2 (ja) * 1993-09-27 2002-02-25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5479850A (en) * 1993-10-22 1996-01-02 The Andersons Apparatus and method for a breadmaking machine
US5624395A (en) * 1995-02-23 1997-04-29 Cv Dynamics, Inc. Urinary catheter having palpitatable valve and ballo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2299027B (en) * 1995-03-24 1999-02-17 Cannon Rubber Ltd Diaphragm breast pump
US6749582B2 (en) * 2002-04-30 2004-06-15 The First Years Inc. Pumping breast milk
GB0214525D0 (en) 2002-06-24 2002-08-07 Samson Ilan Breast pump
US7727182B2 (en) * 2002-08-23 2010-06-01 Medela Holding Ag Manual breastpump with stimulation fea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3628A1 (en) * 2001-08-06 2003-02-20 Handley Kuester Limited Breas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7968A1 (ja) 2007-02-15
CN101232909B (zh) 2012-12-05
AU2006277515A1 (en) 2007-02-15
US20070078383A1 (en) 2007-04-05
AU2006277515B2 (en) 2012-02-23
KR20080034455A (ko) 2008-04-21
JP4413231B2 (ja) 2010-02-10
AU2006277515C1 (en) 2013-01-31
TW200706193A (en) 2007-02-16
TWI361702B (en) 2012-04-11
US7749188B2 (en) 2010-07-06
JPWO2007017968A1 (ja) 2009-02-19
CN101232909A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688B1 (ko) 착유기
JP4969262B2 (ja) 搾乳器
JP5204533B2 (ja) 搾乳器
JP4467498B2 (ja) 搾乳器
JP2008237522A (ja) 搾乳器
KR20070024673A (ko) 모유 착유기
JP5726622B2 (ja) 搾乳器
EP2946798B1 (en) Manual breastpump
EP1532992B1 (en) Manual breast pump
US9216245B2 (en) Manual breast pump
EP2376138B1 (en) A motorized head for a breast pump
JP4969034B2 (ja) 搾乳器
KR101064047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328656Y1 (ko) 조립이 간편한 진공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