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47B1 - 진공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47B1
KR101064047B1 KR1020080099187A KR20080099187A KR101064047B1 KR 101064047 B1 KR101064047 B1 KR 101064047B1 KR 1020080099187 A KR1020080099187 A KR 1020080099187A KR 20080099187 A KR20080099187 A KR 20080099187A KR 101064047 B1 KR101064047 B1 KR 10106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ibration member
cleaned
vibra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112A (ko
Inventor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47B1/ko
Priority to RU2010152558/12A priority patent/RU2442523C1/ru
Priority to EP09766785.1A priority patent/EP2319380B1/en
Priority to US12/999,183 priority patent/US8713753B2/en
Priority to AU2009261077A priority patent/AU2009261077B2/en
Priority to PCT/KR2009/002797 priority patent/WO2009154360A2/ko
Publication of KR2010004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진동 유닛; 및 상기 진동 유닛이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청소기, 노즐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노즐{Nozzle for 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저장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와,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가 포함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흡입 노즐을 피청소면에 대해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흡입 노즐을 이용하여 침구 류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침구 류가 상기 흡입 노즐에 밀착되어 공기가 상기 흡입 노즐로 원활히 흡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침구 류에 미세 먼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흡 입 노즐로 침구 류의 미세 먼지가 상기 흡입 노즐로 원활히 흡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피청소면의 먼지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특정 피청소면에서의 청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는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에 구비되어 피청소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 부재; 상기 진동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 상기 진동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 부재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진동 부재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돌기 부재에 안착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진동 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진동 부재가 피청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림에 따라 피청소면의 먼지가 피청소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구 류와 같은 피청소면의 청소 시, 진동 부재에 의해서 상기 침구 류 등이 흡입부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먼지가 흡입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재질의 피청소면의 청소 시,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진동 부재가 피청소면을 두드릴 때 발생되는 반력이 흡수 되므로,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을 두드릴 때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노즐(1)에는, 외형을 이루는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후측에 연결되는 연결관(30)과,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일부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 유닛(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노즐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관(30)은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 연장관, 연결 호스 등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일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는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52)이 구비된다. 상기 먼지통(52)은 상기 노즐 본체(10)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연결관(30)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11)와,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부재(11)와 결합되는 베이스(16)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 부재(11)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12)가 결합된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외부에서 진동 부재(후술함)의 작동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커버 부재(11) 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 보스(도 4의 17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6)에는 진동에 의해서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진동 부재(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에는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19)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9)는 상기 진동 부재(1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흡입부(19)는 상기 진동 부재(110)와 상기 연결관(3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18)은 상기 베이스(18)의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부재(110)는 상기 수용 공간에서 진동하 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110)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진동 부재가 피청소면, 일 례로, 침구 류를 두드려서, 상기 침구류의 먼지가 상기 침구 류에서 털어지게 되고, 털어진 먼지는 상기 흡입부(19)를 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도 3은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100)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 유닛은, 상기 진동 부재(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120)의 동력을 상기 진동 부재(1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30)와, 상기 구동원(120)에 의해서 진동하는 진동 부재(11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은 구동 모터(12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 모터(120)는 상기 베이스(16)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 모터(120)의 축(122)은 상기 노즐(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구동 모터(120)의 전방에서 상기 축(122)과 결합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16)의 상방에서 상기 베이스(16)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18)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21)을 관통한 상태에 서 상기 진동 부재(110)와 연결된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는, 상기 구동 모터(120)에 의해서 회전 운동되는 회전 바디(131)와, 상기 회전 바디(131)에서 상기 모터 축(122)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 결합부(132)와, 상기 회전 바디(13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부(135)와, 상기 축 결합부(132)와 상기 가이드부(135)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링(133)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축 결합부(132)가 형성되는 원판부(131a)와 상기 원판부(131a)로부터 상기 노즐(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통부(131b)가 포함된다.
상기 원판부(131a)의 직경은 상기 원통부(131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131a)와 상기 원통부(131b)는 동심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원통부(131b)의 둘레에 구비된다.
상기 축 결합부(132)는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 결합부(132)에 상기 모터 축(122)이 결합되면, 상기 모터 축(122)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은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상기 베어링(13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3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35)와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대 운동한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대략 역 "U"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5)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결합부(136)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35)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회전 구속부(134)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 구속부(134)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관통홀(21)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구속부(134)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35)의 회전 운동이 상기 가이드부(135)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진동 부재(110)의 하면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의 진동 과정에서 피청소면을 직접적으로 두드리는 다수의 돌기 부재(112)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 부재(112)는 상기 진동 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 부재(11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진동 부재(1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35)의 제 1 결합부(136)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제 2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결합부(136)에는 상기 제 2 결합부(114)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공간(1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 공간(137)에는 상기 제 2 결합부(114)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13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138)는 일례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38)의 일단은 상기 제 1 결합 부(136)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결합부(11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110)는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3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노즐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구동 모터(120)의 축(122)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이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에서 편심되므로,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은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에 대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31)의 회전력은 상기 가이드부(135)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135)는 상기 회전 구속부(134)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가이드 부(135)는 상기 회전 바디(131)와 동일하게 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 바디(131)와 상대 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부(135)의 한 쌍의 제 1 결합부(136)는 교대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부(136)의 상하 운동에 의해서 상기 진동 부재(110)는 진동한다. 상세히, 상기 진동 부재(110)의 일측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타측단은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진 동 부재(110)의 일측단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타측단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진동 부재(1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돌기 부재(112)는 피청소면을 타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먼지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이물은 상기 흡입부(19)를 통하여 상기 노즐(1) 내부로 흡입된다.
이하에서는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른 노즐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청소면이 침구 류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진동 부재(110)는 상기 침구 류를 두드려 먼지가 상기 침구 류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침구 류를 노즐의 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침구류와 같은 피청소면이 상기 흡입부(19)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먼지가 상기 흡입부(19)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 부재(110)가 침구 류를 가압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 부재(110)는 반력을 받으나, 상기 침구 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반력은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138)의 탄성력 보다 작아 상기 진동 부재(110)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1)에 대해서 슬라이딩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침구 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진동 부재(110)에 가해지는 반력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보다 클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진동 부재(110)는 상기 가이드부(131)에 대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청소면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진동 부재(110)의 가압에 따라 상기 피청소면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 부재의 가압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소음의 발생은 적 다.
한편, 피청소면이 일 례로 같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진동 부재(110)가 피청소면을 가압할 때, 상기 피청소면은 상기 진동 부재의 가압력을 거의 흡수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진동 유닛이 상기 피청소면에서 가해지는 반력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탄성 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의 반력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므로, 상기 진동 부재가 단단한 재질의 피청소면을 두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부(136)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138)에 의해서 상기 피청소면의 반력이 흡수되어 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소음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저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를 소음 저감부라 이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진동 부재가 단단한 재질의 피청소면을 두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동 부재(140)는, 상부 바디(141)와 하부 바디(1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바디(143)에는 다수의 돌기 부재(15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바디(141) 및 하부 바디(143)에는 체결 부재(S)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42, 14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5)의 제 1 체결부(136)에는 상기 체결홀(142, 144)을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S)가 체결되는 체결홈(139)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바디(143)에는 상기 각 돌기 부재(150)가 관통하기 위한 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각 돌기 부재(150)는 상기 하부 바디(142)의 상방에서 상기 홀(145)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 부재(150)는 상기 홀(145)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바디(142)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부재(150)에는 상기 홀(145)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바디(143)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51)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 부재(140)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 부재(15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160: 소음 방지부라고도 할 수 있음)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160)는 일단이 상기 상부 바디(14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돌기 부재(150)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 부재(150)는 피청소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진동 부재(140)에 대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 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부(135)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
도 3은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는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에 구비되어 피청소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 부재;
    상기 진동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
    상기 진동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 부재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진동 부재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돌기 부재에 안착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진동 부재가 상기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진동 부재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99187A 2008-06-18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6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87A KR101064047B1 (ko) 2008-10-09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RU2010152558/12A RU2442523C1 (ru) 2008-06-18 2009-05-27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EP09766785.1A EP2319380B1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12/999,183 US8713753B2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U2009261077A AU2009261077B2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PCT/KR2009/002797 WO2009154360A2 (ko) 2008-06-18 2009-05-27 진공 청소기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87A KR101064047B1 (ko) 2008-10-09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12A KR20100040112A (ko) 2010-04-19
KR101064047B1 true KR101064047B1 (ko) 2011-09-08

Family

ID=4221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87A KR101064047B1 (ko) 2008-06-18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826A (zh) * 2022-03-29 2022-05-24 深圳市银舍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吸头和吸尘器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05B1 (ko) * 2004-12-30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05B1 (ko) * 2004-12-30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12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61077B2 (e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7377008B2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101356519B1 (ko) 진공 청소기
RU2005127984A (ru) Пылесос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101064047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CN101242769A (zh) 真空吸尘器
KR101414658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340207B1 (ko) 진공 청소기
AU2009354999B2 (en) Visualization device for dust collection of vacuum cleaner
KR101012937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5691015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1052158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100095041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19607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182188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JP6718208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6043960B2 (ja) 電気掃除機
KR100988719B1 (ko) 진공 청소기
KR10105217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RU2442523C1 (ru)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20100040116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269369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의 흡입 파이프 구조
KR20090122521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2017023166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