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116A - 진공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116A
KR20100040116A KR1020080099191A KR20080099191A KR20100040116A KR 20100040116 A KR20100040116 A KR 20100040116A KR 1020080099191 A KR1020080099191 A KR 1020080099191A KR 20080099191 A KR20080099191 A KR 20080099191A KR 20100040116 A KR20100040116 A KR 2010004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opening
dust container
nozz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116A/ko
Priority to US12/999,183 priority patent/US8713753B2/en
Priority to PCT/KR2009/002797 priority patent/WO2009154360A2/ko
Priority to RU2010152558/12A priority patent/RU2442523C1/ru
Priority to EP09766785.1A priority patent/EP2319380B1/en
Priority to AU2009261077A priority patent/AU2009261077B2/en
Publication of KR2010004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먼지가 저장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먼지통; 및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에는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기, 노즐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노즐{Nozzle for 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저장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와,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가 포함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흡입 노즐을 피청소면에 대해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흡입 노즐을 이용하여 침구 류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침구 류가 상기 흡입 노즐에 밀착되어 공기가 상기 흡입 노즐로 원활히 흡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침구 류에 미세 먼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흡 입 노즐로 침구 류의 미세 먼지가 상기 흡입 노즐로 원활히 흡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는 집진 장치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청소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청소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침구류와 같은 피청소면의 청소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먼지가 저장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먼지통; 및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에는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은,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먼지가 저장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먼지통; 및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개폐 유닛에는,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 본체에 먼지통에 구비됨에 따라 청소 여부 및 먼지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노즐 본체에서 먼지통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 다.
또한, 상기 먼지통으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다수의 유로로 나뉘어 유동하므로, 상기 먼지통 내에서 공기가 전체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먼지통 내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에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동 부재가 피청소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림에 따라 상기 노즐이 침구류와 같은 피청소면에서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침구류와 같은 피청소면의 먼지가 피청소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노즐(1)에는, 외형을 이루는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의 후측에 연결되는 연결관(30)과,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일부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 유닛(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노즐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관(30)은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 연장관, 연결 호스 등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일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510)이 포함된다. 상기 먼지 통(52)은 상기 노즐 본체(10)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서 먼지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는 상기 연결관(30)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노즐 본체(10)는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11)와,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부재(11)와 결합되는 베이스(16)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 부재(11)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12)가 결합된다. 상기 전면 커버(12)는 외부에서 진동 부재(후술함)의 작동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커버 부재(11) 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 보스(도 4의 17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6)에는 진동에 의해서 피청소면을 두드리는 진동 부재(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에는 피청소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19)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9)는 상기 진동 부재(1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흡입부(19)는 상기 진동 부재(110)와 상기 연결관(3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18)은 상기 베이스(18)의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부재(110)는 상기 수용 공간에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110)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진동 부재가 피청소면, 일 례로, 침구 류를 두드려서, 상기 침구류의 먼지가 상기 침구 류에서 털어지게 되고, 털어진 먼지는 상기 흡입부(19)를 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도 3은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본체(10)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100)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 유닛(100)은, 진동 부재(110)와, 상기 진동 부재(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120)의 동력을 상기 진동 부재(1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은 구동 모터(12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 모터(120)는 상기 베이스(16)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 모터(120)의 축(122)은 상기 노즐(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구동 모터(120)의 전방에서 상기 축(122)과 결합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16)의 상방에서 상기 베이스(16)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18)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16)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진동 부재(110)와 연결된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는, 상기 구동 모터(120)에 의해서 회전 운동되는 회전 바디(131)와, 상기 회전 바디(131)에서 상기 모터 축(122)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 결합부(132)와, 상기 회전 바디(13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부(135)와, 상기 축 결합부(132)와 상기 가이드부(135)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링(133)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축 결합부(132)가 형성되는 원판부(131a)와 상기 원판부(131a)로부터 상기 노즐(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통부(131b)가 포함된다.
상기 원판부(131a)의 직경은 상기 원통부(131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판부(131a)와 상기 원통부(131b)는 동심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원통부(131b)의 둘레에 구비된다.
상기 축 결합부(132)는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 결합부(132)에 상기 모터 축(122)이 결합되면, 상기 모터 축(122)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은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상기 베어링(13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3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35)와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대 운동한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대략 역 "U"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135)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결합부(126)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25)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회전 구속부(134)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 구속부(134)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관통홀(21)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구속부(134)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135)의 회전 운동이 상기 가이드부(135)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진동 부재(110)의 하면에는 상기 진동 부재(110)의 진동 과정에서 피청소면을 직접적으로 두드리는 다수의 돌기 부재(112)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 부재(112)는 상기 진동 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 부재(11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진동 부재(1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35)의 제 1 결합부(136)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제 2 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먼지 분리 유닛(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19)를 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으로 흡입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으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서 상기 연결관(30)로 바로 배출되고,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 내에서 먼지 분리 과정 을 거친다.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부(520)와, 상기 먼지 분리부(52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510)이 포함된다.
상기 먼지 분리부(520)는 상기 노즐 본체(10)에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먼지통(510)은 상기 노즐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520)를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상기 먼지 분리부(510)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부(521)가 포함된다. 상기 싸이클론부(522)의 일측에는 공기 및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구(522)가 형성되고, 상기 싸이클론부(522)의 타측에는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5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522)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523)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먼지통(510)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싸이클론부(522) 내부에는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부(5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가이드부(525)의 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는 상기 흡입구(5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의 일부가 곧바로 상기 공기 배출구(52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522)와 상기 공기 배출구(526)를 연통시키는 연통 유로(5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먼지통(510)은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510)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10)에는 상기 먼지통 내부로 상기 노즐 본체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홀(512)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홀(512)은 개폐 유닛(530)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 유닛(530)에는 상기 먼지통(5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가압 버튼(531)과, 상기 가압 버튼(531)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흡입홀(512)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534)와, 상기 가압 버튼(5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 부재(534)는 상기 먼지통(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 버튼(531)과 결합된다. 상기 가압 버튼(531)에는 상기 개폐 부재(534)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32)는 상기 먼지통(510)의 외측에서 상기 먼지통(510)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510)을 관통한 상기 결합부(532)와 상기 개폐 부재(534)는 일 례로 스크류(539)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534)에는 상기 흡입홀(512)을 통하여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53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먼지통(510)과 상기 가압 버튼(531)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먼지통(510)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 버튼(531)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개폐 부재(534)가 상기 흡입홀(512)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도 8은 먼지통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먼지 분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 버튼(531)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534)가 상기 흡입홀(512)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개폐 부재(534)가 상기 흡입홀(5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534)는 상기 흡입홀(512)이 형성되는 상기 먼지통(510)의 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버튼(531)을 가압하면, 상기 가압 버튼(531)에 연결된 상기 개폐 부재(310)가 상기 가압 버튼(53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홀(531)은 개방되어, 상기 먼지통(510) 내부와 상기 먼지통(510) 내부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홀(531)이 개방되면, 상기 먼지통(510)의 내벽과 상기 개폐 부재 사이에는 흡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 1 유로(5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유로(552)를 유동하여 상기 싸이클론부(521) 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534)에 다수의 관통홀(536)이 형성되므로,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관통홀(536)을 관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521) 측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관통홀(536)을 관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52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일련의 유로를 제 2 유로(554)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홀(536)은 상기 제 2 유로(554)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상기 개폐 부재(534)는 상기 제 2 유로(554)의 일부를 정의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로(554)는 상기 먼지통(51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로(552)는 상기 제 2 유로(554)의 외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552) 및 제 2 유로(554)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521)의 먼지 배출부(523)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521) 내부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싸이클론부(521)의 외면과 상기 먼지통(510) 내면 사이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부(521)의 외면과 상기 먼지통(510) 내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면, 상기 싸이클론부(521)와 상기 먼지통(510) 사이에 저장된 먼지가 공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 배출부(523)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먼지 배출부(523)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부(523) 내부로 흡입된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 공기를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먼지통(5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상기 먼지통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공기와 함께 상기 싸이클론부(52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여, 상기 먼지통(510)에서 먼지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먼지통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먼지통(510)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부(521) 내부로 흡입된 상기 먼지통(510)의 먼지 및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526)를 통하여 배출된 후에 상기 연결관(30)으로 이동하 게 된다.
이 때, 상기 먼지통(510)으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다수의 유로(552, 554)로 나뉘어 유동하므로, 상기 먼지통(510) 내에서 공기가 전체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먼지통(510) 내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510)에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 버튼(531)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부재(540)에 의해서 상기 가압 버튼(531)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개폐 부재(534)는 상기 흡입홀(512)을 차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노즐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구동 모터(120)의 축(122)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회전 바디(131)는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을 기준으로 회전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이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에서 편심되므로, 상기 회전 바디(131)의 중심(C2)은 상기 모터 축(122)의 중심(C1)에 대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31)의 회전력은 상기 가이드부(135)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135)는 상기 회전 구속부(134)에 의해서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기 가이드 부(135)는 상기 회전 바디(131)와 동일하게 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 바디(131)와 상대 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부(135)의 한 쌍의 제 1 결합부(136)는 교대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부(136)의 상하 운동에 의해서 상기 진동 부재(110)는 진동한다. 상세히, 상기 진동 부재(110)의 일측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타측단은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진동 부재(110)의 일측단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타측단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진동 부재(1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돌기 부재(112)는 피청소면을 타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먼지가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이물은 상기 흡입부(19)를 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노즐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으로 유입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5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521)의 내벽을 나선 유동하게 되며, 이 과저에서 공기와 먼지는 원심력 차이에 의해서 분리된다.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는 상기 먼지 배출부(523)에서 배출되어 상기 먼지통(510) 내에 저장된다.
반면, 먼지와 분리된 공기(도 7에서 실선으로 표시)는 상기 배출 가이드부(525)를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526)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 유닛(50)에서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통(510)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압 버튼(531)을 가압한다. 상기 먼지통(510)에 저장된 먼지의 배출 과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 버튼(531)의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먼지통에 저 저장된 먼지가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먼지통(510)을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분리하여 상기 먼지통(510)의 먼지를 직접 배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먼지통(510)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먼지통(510)에서 먼지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먼지통(510)이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 임과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청소기 본체에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일 것이 요구된다. 반면, 상기 먼지통(510)을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분리시켜 상기 먼지통(510)에서 먼지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의 저면도.
도 3은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노즐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먼지통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먼지 분리 유닛의 단면도.

Claims (8)

  1.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먼지가 저장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먼지통; 및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에는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로에는, 상기 개폐 유닛과 상기 먼지통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개폐 유닛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 유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의 외측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에는,
    상기 먼지통 내부에서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와,
    상기 먼지통 외부에서 상기 개폐 부재와 연결되는 가압 버튼과,
    상기 가압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는 상기 개폐 부재를 관통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6.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먼지가 저장되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는 먼지통; 및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개폐 유닛에는, 상기 흡입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에는,
    상기 먼지통 내부에서 상기 흡입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먼지통 외부에서 상기 개폐 부재와 연결되는 가압 버튼이 포함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개폐 부재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이 상기 흡입홀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흡입홀이 형성되는 상기 먼지통의 일면에 밀착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20080099191A 2008-06-18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100040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91A KR20100040116A (ko) 2008-10-09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12/999,183 US8713753B2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PCT/KR2009/002797 WO2009154360A2 (ko) 2008-06-18 2009-05-27 진공 청소기의 노즐
RU2010152558/12A RU2442523C1 (ru) 2008-06-18 2009-05-27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EP09766785.1A EP2319380B1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U2009261077A AU2009261077B2 (en) 2008-06-18 2009-05-27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191A KR20100040116A (ko) 2008-10-09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16A true KR20100040116A (ko) 2010-04-19

Family

ID=4221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91A KR20100040116A (ko) 2008-06-18 2008-10-09 진공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1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393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218068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4482009B2 (ja) 塵埃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TWI747142B (zh) 清掃機
KR102022098B1 (ko) 청소기
KR20100088360A (ko) 아지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41117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KR101340207B1 (ko) 진공 청소기
KR102328244B1 (ko) 청소기
KR20190127652A (ko) 청소기
KR20100040116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70087357A (ko) 진공 청소기
KR102037329B1 (ko) 청소기
KR102022096B1 (ko) 청소기
KR101052158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0988719B1 (ko) 진공 청소기
KR20110048511A (ko) 진공 청소기
KR20060125956A (ko) 집진 유니트
KR20190128137A (ko) 청소기
KR101306739B1 (ko) 진공 청소기
US20230404347A1 (en) Cleaner
KR20100095041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64047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394919Y1 (ko) 집진 유니트
KR20070099323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