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34B1 - 일체형 트랙볼 - Google Patents

일체형 트랙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234B1
KR101266234B1 KR1020100070333A KR20100070333A KR101266234B1 KR 101266234 B1 KR101266234 B1 KR 101266234B1 KR 1020100070333 A KR1020100070333 A KR 1020100070333A KR 20100070333 A KR20100070333 A KR 20100070333A KR 101266234 B1 KR101266234 B1 KR 10126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ball
rotation
cap
present
track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33A (ko
Inventor
민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7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2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안기 또는 호롭터에서 검안기 헤드의 X,Y,Z 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선택을 하나의 트랙볼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트랙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안기 헤드를 스텝모터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트랙볼을 설치하여 트랙볼의 회전으로 X,Z축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트랙볼의 외측에 설치된 회전캡으로 Y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며, 트랙볼이 설치된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선택스위치의 접점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일체형 트랙볼{omitted}
본 발명은 검안기 또는 호롭터에서 검안기 헤드의 X,Y,Z 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선택을 하나의 트랙볼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트랙볼에 관한 것이다.
자동 검안기는 광학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구의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고, 안구에서 반사된 광의 영상을 광검출 센서로 검출한 후 이를 분석하여 피검안의 굴절력, 난시력, 난시축 등 다양한 시력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검안기 헤드는 X,Y,Z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기존의 검안기는 검안기 헤드를 죠이 스틱을 이용하여 X,Y,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죠이 스틱을 이용하는 방식은 조작자가 수작업으로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방식이어서, 현재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죠이 스틱을 이용하는 경우 조작자의 손목 힘과 회전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를 X,Y,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나, 스텝모터를 이용하는 검안기의 경우 트랙볼과 선택스위치 또는 마우스를 구비함으로써 트랙볼의 회전과 선택스위치의 입력 신호를 인식한 후 이를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스텝모터의 구동신호로 절환시켜 원하는 만큼의 X,Y,Z 축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켜 안구에 포커싱을 맞춤으로써 다양한 시력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트랙볼을 사용하되 상기 트랙볼은 검안기 헤드를 X,Y,Z 축의 3 방향으로 선택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선택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한 것이어서, 구조적으로 트랙볼 이외에 기구를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검안기 헤드를 트랙볼 회전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스텝모터의 구동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트랙볼 만으로 검안기 헤드의 X,Y,Z 축 방향 이동이 되지 않음은 물론 트랙볼과는 별도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검안기의 조작에 따른 기구가 간단화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안기 헤드를 스텝모터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트랙볼을 설치하여 트랙볼의 회전으로 X,Z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트랙볼의 외측에 설치된 회전캡으로 Y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며, 트랙볼이 설치된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선택스위치의 접점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트랙볼과 회전캡을 이용하여 X,Y,Z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 후 트랙볼을 하부로 눌러 선택 스위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안기에서 하나의 일체형 트랙볼을 설치함으로써 검안기 헤드의 X,Y,Z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트랙볼을 누르는 동작으로 작업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트랙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안기뿐만 아니라 호롭터에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호롭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회전캡이 도수변화를 단계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캡에 스텝돌기를 설치함으로써 호롭터에서의 사용시 스텝별로 도수를 간편하게 선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택스위치 작동 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택스위치 작동 후 상태도
본 발명은 검안기의 헤드를 X,Y,Z 축 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트랙볼에 관한 것으로, 일체형 트랙볼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를 X,Y,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볼을 굴려 X,Z축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트랙볼을 감싸는 회전캡의 회전으로 Y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트랙볼을 눌러 트랙볼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하강시켜 선택스위치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별도의 스위치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트랙볼을 이용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으로 모니터가 설치되는 검안기에서 몸체의 하측으로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일체형 트랙볼(100)을 설치하는 것으로, 일체형 트랙볼(100)을 이용하여 X,Y,Z 축 방향의 이동과 선택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트랙볼(100)은 볼 마우스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으로, 손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트랙볼(10)과, 상기 트랙볼(10)의 하부를 받쳐주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트랙볼(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30)와, 상기 트랙볼(10)을 감싸는 회전캡(50)과, 상기 회전캡(5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60)와, 상기 회전캡(50)과 회전봉(20)이 설치되고 트랙볼(10)을 받치며 하부에서 스프링(70)으로 받쳐지는 프레임(80)과, 상기 프레임(80)의 눌림을 검출하는 선택 스위치(90)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일체형 트랙볼(100)은 트랙볼(10)을 이용하여 두 방향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기존에 사용되는 트랙볼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는 트랙볼(10)의 외부를 감싸는 회전캡(50)을 이용하여 또 다른 한 방향으로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트랙볼(10)을 누르는 힘으로 선택스위치(90)를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일체형 트랙볼(100)을 이용하여 검안기를 조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임(80)은 하부에 스프링(70)을 매개로 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80)의 하측으로 선택스위치(90)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80)이 하부로 이동할 때 선택스위치(9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80)은 평상시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높이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선택스위치(90)는 프레임(80)이 하부로 눌릴 때만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80)의 상측으로 회전봉(20)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봉(2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삼각형의 각 변을 구성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각각의 회전봉(20)에는 일측에 회전봉(20)의 회전량과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엔코더(30)를 설치한다.
여기서 회전봉(20)을 정삼각 형태로 배열하는 것은 상기 회전봉(20)의 상부에 놓이는 원형볼로 이루어진 트랙볼(10)이 놓일 때 3개의 회전봉(20)에 동일한 압력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랙볼(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봉(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엔코더(30)는 회전봉(20)의 회전을 포토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검출하게 되는 통상의 부품으로써 기존의 트랙볼 회전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봉(20)의 상측으로 트랙볼(10)을 올린 후 트랙볼(10)의 외측으로 회전캡(50)을 씌우되 상기 회전캡(50)의 중앙에 트랙볼(10)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캡(50)의 상부 외측은 고정링(51)을 끼워 트랙볼(10)이 이탈되지 않고 회전캡(50)의 내측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캡(50)의 하측에는 엔코더(60)를 설치하여 회전캡(5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하며, 여기서 사용되는 엔코더(60)도 기 사용되고 있는 엔코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프레임(80)은 하부를 스프링(70)으로 받쳐지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80)의 하측으로 선택 스위치(90)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80)이 하부로 눌리는 경우에만 선택 스위치(9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일체형 트랙볼(100)은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되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검안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스위치나 마우스 등을 설치하지 않고, 일체형 트랙볼(100)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의 이동과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검안기에 설치되어 검안기 헤드를 X,Y,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트랙볼(10)을 손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봉(20)이 트랙볼(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봉(20)의 회전은 엔코더(30)에서 검출하게 되며, 상기 엔코더(30)에서 회전량과 회전방향이 검출되면,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는 검안기 헤드의 상하 좌우 이동을 조절하게 되며, 검안기 헤드에 설치된 스텝모터를 구동시켜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트랙볼(10)을 손으로 회전시키면 트랙볼(10)의 회전은 회전봉(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를 엔코더(30)에서 검출하여 검안기 헤드의 스텝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트랙볼(10)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구조는 기존의 검안기 헤드 이동 방식과 같다.
본 발명은 트랙볼(10)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의 위치를 잡은 후에는 회전캡(50)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어주게 되는 것으로, 회전캡(5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회전캡(50)의 회전을 엔코더(60)에서 검출하여 마이콤에 전달함으로써 마이콤에서는 회전캡(50)의 회전량과 방향에 따라 인 포커스 또는 아웃 포커스 동작을 취하여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즉, 회전캡(50)의 좌우 회전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지 않고, 일체형 트랙볼(100)을 구성하는 회전캡(50)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추게 되므로, 사용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이 트랙볼(10)을 이용하여 위치를 조정하고, 회전캡(50)을 이용하여 초점을 맞춘 후에는 그 위치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선택스위치를 설치하여 선택하지 않고, 트랙볼(10)을 하부로 눌러주는 동작만으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트랙볼(10)을 하부로 누르면 스프링(70)을 압착시키며 프레임(8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프레임(80)의 이동은 프레임(80)의 하부에 설치된 선택 스위치(90)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선택 스위치(90)의 눌림은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인식하여 초점거리를 저장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 트랙볼(100)을 이용하여 검안기 헤드의 이동과 초점을 잡아주는 동작 및 초점거리를 선택하는 과정까지 수행하게 되므로, 검안기에서 하나의 일체형 트랙볼(100)만 설치하게 되어 심플한 디자인이 가능하며, 또한 일체형 트랙볼(100)을 이용하여 검안기의 구동이 모두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 조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체형 트랙볼(100)은 호롭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호롭터에 적용시키는 경우 트랙볼(10)은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움직이는데 사용되고, 회전캡(50)은 렌즈를 회전시켜 도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즉, 호롭터로 시력측정을 하는 경우는 화면에 커서가 표시되어 트랙볼(10)로 커서를 움직이도록 하는 한편 회전캡(50)을 회전시켜 렌즈를 한 단계씩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트랙볼(10)의 회전을 엔코더(30)에서 감지하여 호롭터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스텝모터를 구동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회전캡(50)은 시력 측정용 렌즈를 한 단계씩 이동시키는 것으로, 회전캡(50)에는 원호상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스텝돌기를 형성시켜 회전캡(50)의 회전시 스탭돌기가 한 단계씩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텝돌기가 한 단계씩 선택될 때마다 시력 측정용 렌즈가 한 칸씩 이동하게 함으로써 시력 측정용 렌즈를 한 단계씩 이동시키는 과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체형 트랙볼(100)을 호롭터에 사용하는 경우 시력 측정용 렌즈가 한 단계씩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캡(50)의 내측으로 원호상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스텝돌기를 형성하게 하고, 회전캡(50)을 회전시키면 스텝돌기가 한 칸씩 이동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롭터에서 오차 없이 시력 측정용 렌즈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10 : 트랙볼 20 : 회전봉
30 : 엔코더 50 : 회전캡
60 : 엔코더 70 : 스프링
80 : 프레임 90 : 선택 스위치

Claims (2)

  1. 검안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손으로 회전시키는 트랙볼(10)과, 상기 트랙볼(10)의 하부를 받쳐주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트랙볼(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2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30)와, 상기 트랙볼(1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트랙볼(10)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노출되게 하는 회전캡(50)과, 상기 회전캡(5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60)와, 상기 회전캡(50)과 회전봉(20)이 설치되고 트랙볼(10)을 받치며 하부에서 스프링(70)으로 받쳐지는 프레임(80)과, 상기 프레임(80)의 눌림을 검출하는 선택 스위치(9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랙볼.
  2. 제1항에 있어서, 트랙볼(10)을 감싸는 회전캡(50)에는 원호상을 갖고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스텝돌기를 형성시켜 회전캡(50)의 회전시 스탭돌기가 한 단계씩 선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트랙볼.
KR1020100070333A 2010-07-21 2010-07-21 일체형 트랙볼 KR10126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33A KR101266234B1 (ko) 2010-07-21 2010-07-21 일체형 트랙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33A KR101266234B1 (ko) 2010-07-21 2010-07-21 일체형 트랙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33A KR20120008933A (ko) 2012-02-01
KR101266234B1 true KR101266234B1 (ko) 2013-05-21

Family

ID=4583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33A KR101266234B1 (ko) 2010-07-21 2010-07-21 일체형 트랙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2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33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23B1 (ko) 검안 장치용 컨트롤러, 검안 시스템, 검안 장치용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
JP6629756B2 (ja) フォロプタ及び前記種類のフォロプタを使用して屈折度を測定する方法
JP4873906B2 (ja) 検眼装置
JP2001340296A (ja) 検眼システム
US9662007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CN102648842A (zh) 眼科装置
JP2007282671A5 (ko)
JP6294722B2 (ja) 眼科装置
KR101266234B1 (ko) 일체형 트랙볼
JP2015112438A (ja) 眼科装置
JP2005143903A (ja) 眼科装置
KR101096086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검안기 제어 장치
JP4620428B2 (ja) 眼科装置
JP5231746B2 (ja) 眼科装置
KR20110105491A (ko) 검안기와 호롭터 일체형 콘트롤 장치
JP6253896B2 (ja) 眼科装置
JP5785441B2 (ja) 眼科装置
JP5106593B2 (ja) 眼科装置
CN107440676B (zh) 自觉式验光装置用控制器及自觉式验光装置
JP2004329361A (ja) 検眼装置
JP2005095355A (ja) 眼科装置
JP2007061314A (ja) 眼科装置
JP2003235803A (ja) 眼科装置
JP2002010979A (ja) 眼科装置
JP7043758B2 (ja) 眼科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ジョイステ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