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117B1 - 안전 벨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117B1
KR101266117B1 KR1020120111182A KR20120111182A KR101266117B1 KR 101266117 B1 KR101266117 B1 KR 101266117B1 KR 1020120111182 A KR1020120111182 A KR 1020120111182A KR 20120111182 A KR20120111182 A KR 20120111182A KR 101266117 B1 KR101266117 B1 KR 10126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occupant
magne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진
Original Assignee
최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진 filed Critical 최범진
Priority to KR102012011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벨트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안전 벨트 어셈블리는, 차량의 각 좌석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전 벨트가 수납되는 안전 벨트 수납통; 상기 각 좌석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 벨트의 끝단에 결합된 클립이 체결되는 버클; 및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의 상기 안전 벨트의 풀림을 검출하여 차량 탑승자의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벨트 어셈블리{SAFETY BELT ASSEMBLY}
본 발명은 안전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안전 벨트는 자동차, 버스 등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의 좌석에 장착한 띠를 말하며, 차량의 충돌, 급브레이크, 진동, 또는 동요가 있을 때, 탑승자가 좌석에서 튕겨져 나오거나 실내의 설치물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차량 운전석의 안전 벨트 착용을 확인하여 경고하는 기능만이 있기 때문에, 운전자 이외의 승객이 안전 벨트를 착용했는지의 유무는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고속 주행 중 안전 벨트의 착용 의무화가 운전자를 포함한 전체 승객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차량 승객들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996호(2012.07.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는, 차량의 좌석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전 벨트가 수납되는 안전 벨트 수납통; 상기 좌석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 벨트의 끝단에 결합된 클립이 체결되는 버클; 및 탑승자의 상기 안전 벨트 착용시,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 상기 안전 벨트가 착용 길이만큼 인출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시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 벨트 상의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자석; 및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들의 자기력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시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 벨트 상의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광 반사체; 및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에 구비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유닛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탑승자의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차량 좌석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으로 버스(BUS)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는 버스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차량 좌석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10)는 안전 벨트 수납통(100), 버클(200), 감지 유닛(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안전 벨트 수납통(100)은 각 좌석(S)의 일측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안전 벨트(SB)를 수납한다. 안전 벨트(SB)는 벨트 릴(110)에 감긴 상태로 안전 벨트 수납통(100)에 수납되고, 벨트 릴(100)에 작용하는 태엽 스프링(미도시)의 감김력에 의해 감긴 상태가 유지된다.
버클(200)은 각 좌석(S)의 타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버클(200)은 좌석(S)의 탑승자를 기준으로 안전 벨트 수납통(100)의 반대 위치에 구비된다. 버클(200)에는 안전 벨트(SB)의 끝단에 결합된 클립(C)이 체결된다.
탑승자가 안전 벨트(SB)를 착용하기 위해 클립(C)을 잡고 당겼을 때, 태엽 스프링(미도시)이 긴장 상태로 감기면서 안전 벨트(SB)가 안전 벨트 수납통(100)으로부터 인출되고, 이와 반대로 탑승자가 당겼던 클립(C)을 놓았을 때, 태엽 스프링(미도시)이 긴장 상태로부터 풀리는 복원력에 의해, 인출된 안전 벨트가 본래의 감긴 상태로 되돌아가 안전 벨트 수납통(100)에 수납된다.
감지 유닛(300)은, 탑승자의 안전 벨트(SB) 착용시, 안전 벨트 수납통(100)으로부터 안전 벨트(SB)가 착용 길이만큼 인출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일 예를 들면, 감지 유닛(300)은 복수 개의 자석들(310), 자력 센서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석들(310)은 안전 벨트(SB)의 착용 길이에 대응하는 안전 벨트(SB) 상의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자력 센서부(320)는 안전 벨트 수납통(100)에 제공되고, 자석들(310)의 자기력을 검출한다.
안전 벨트(SB)의 착용을 위해, 탑승자가 클립(C)을 잡아당겨 버클(200)에 체결하면, 안전 벨트(SB)가 착용 길이만큼 안전 벨트 수납통(10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안전 벨트(SB)에 결합된 자석들(310)은 자력 센서부(320)의 검출 가능 위치에 놓이고, 자력 센서부(320)는 자석들(310)의 자기력을 검출한다. 자력 센서부(320)의 자기력 검출에 의해 안전 벨트(SB)가 착용 길이만큼 인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탑승자의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감지 유닛(300)의 자력 센서부(320)로부터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부(400)는 제어부(3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탑승자의 안전 벨트(SB) 착용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400)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 어셈블리가 차량, 즉 버스의 각 좌석에 설치되면, 각 좌석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벨트를 착용한 탑승 인원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감지 유닛(300)이 자석들(310)과 자력 센서부(320)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자석들(310)은 복수 개의 광 반사체들로 대체되고, 자력 센서부(320)는 광 센서부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광 센서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광 반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광 반사체들은 안전 벨트(SB)의 착용 길이에 대응하는 안전 벨트(SB) 상의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광 센서부는 안전 벨트 수납통(100)에 제공된다. 광 센서부의 발광부는 안전 벨트(SB)를 향해 광을 방출하고, 광 센서부의 수광부는 안전 벨트(SB) 상의 광 반사체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한다.
안전 벨트(SB)의 착용을 위해, 탑승자가 클립(C)을 잡아당겨 버클(200)에 체결하면, 안전 벨트(SB)가 착용 길이만큼 안전 벨트 수납통(10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발광부가 방출하는 광은 안전 벨트(SB) 상의 광 반사체들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수광부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 신호는 제어부(330)로 전송되고, 제어부(330)는 표시부(400)가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4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전 벨트 수납통 110: 벨트 릴
200: 버클 300: 감지 유닛
310: 자석 320: 자력 센서
400: 표시부 C: 클립
S: 좌석 SB: 안전 벨트

Claims (4)

  1. 차량의 좌석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전 벨트가 수납되는 안전 벨트 수납통;
    상기 좌석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 벨트의 끝단에 결합된 클립이 체결되는 버클; 및
    탑승자의 상기 안전 벨트 착용시,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 상기 안전 벨트가 착용 길이만큼 인출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시 안전 벨트 수납통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 벨트 상의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자석; 및
    상기 안전 벨트 수납통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들의 자기력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탑승자의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어셈블리.
KR1020120111182A 2012-10-08 2012-10-08 안전 벨트 어셈블리 KR10126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82A KR101266117B1 (ko) 2012-10-08 2012-10-08 안전 벨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82A KR101266117B1 (ko) 2012-10-08 2012-10-08 안전 벨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117B1 true KR101266117B1 (ko) 2013-05-27

Family

ID=4866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82A KR101266117B1 (ko) 2012-10-08 2012-10-08 안전 벨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1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55B1 (ko) 2016-02-02 2017-06-2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클립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GB2555712A (en) * 2016-09-23 2018-05-09 Ford Global Tech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lus-two-point belt reminder
US10000186B2 (en) 2016-04-11 201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lus-two-point belt reminder
GB2559238A (en) * 2016-11-30 2018-08-01 Ford Global Tech Llc Belt assembly allowing payout measurement
US10150446B2 (en) 2016-04-11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ayout measurement
US10384639B2 (en) 2016-09-23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us-two belt reminde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075A (ja) * 2005-02-01 2006-08-17 Tkj Kk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075A (ja) * 2005-02-01 2006-08-17 Tkj Kk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655B1 (ko) 2016-02-02 2017-06-2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클립 감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US10000186B2 (en) 2016-04-11 201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lus-two-point belt reminder
US10150446B2 (en) 2016-04-11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ayout measurement
GB2555712A (en) * 2016-09-23 2018-05-09 Ford Global Tech Llc Belt assembly including plus-two-point belt reminder
US10384639B2 (en) 2016-09-23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us-two belt reminder system
GB2559238A (en) * 2016-11-30 2018-08-01 Ford Global Tech Llc Belt assembly allowing payout measurement
US10272872B2 (en) 2016-11-30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assembly allowing payout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117B1 (ko) 안전 벨트 어셈블리
KR101739265B1 (ko) 안전 벨트 착용 감지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8195365B2 (en) Operator restraint system
EP2762355B1 (en) Signal transceiver apparatus
ATE382515T1 (de) Sicherheitsgurt-warnvorrichtung
EP3508385B1 (en) Wearing detection apparatus, imaging apparatus, restraint device, and wearing detection program
US6793243B2 (en) Airbag deployment rate sensor with spool brake
KR101131947B1 (ko) 도로 공사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경보장치
JP2006248285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EP3398896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US9557163B2 (en) Head restrai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d restraint
KR20160061160A (ko) 안전벨트 착용 판단 시스템
JP2018202953A (ja) 後付けシートベルト着用検知センサー装置
KR102458287B1 (ko) 택배 트럭 안전제어기
KR20130129651A (ko) 시트벨트 클러치
US11858444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0487346Y1 (ko) 차량 정보 표시 장치
WO2009133450A3 (en) Safety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KR20100090103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착용감지장치
US20170334391A1 (en) Buckle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JP2559498B2 (ja) 安全ベルト装置の再引締方法及びその装置
JP4165296B2 (ja) ベルト拘束対象判別装置
JP2020185923A (ja) スライド装置、及び、スライド装置用の発光装置
KR101801860B1 (ko) 안전체험 시뮬레이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