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186B1 -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186B1
KR101265186B1 KR1020130021099A KR20130021099A KR101265186B1 KR 101265186 B1 KR101265186 B1 KR 101265186B1 KR 1020130021099 A KR1020130021099 A KR 1020130021099A KR 20130021099 A KR20130021099 A KR 20130021099A KR 101265186 B1 KR101265186 B1 KR 10126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ers
bracket
pier
bia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환
정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3002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상(引上)잭(jack)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인상잭을 놓을 수 있도록 교각에 설치되는 브라켓(bracket)으로서, 인상잭(400)이 설치되며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체(10); 지지체(10)를 교축방향 상부 측면(201)에 밀착시키는 밀착판(20);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원호형의 상면을 가지고 있는 편향부재(30); 및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져 설치되는 긴장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은 긴장 와이어(40)에 대해 인장력으로 작용하고, 긴장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은 편향부재(30)의 표면에 연직한 방향의 가압력으로 가해져서 편향부재(30)에 의해 교각(200)의 상면에 가해지게 되어, 브라켓 설치를 위하여 교각에 관입되는 앵커볼트의 수를 줄여서 교각의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와이어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편향부재에 교각 상면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교각 상면의 손상을 방지하며,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에 따른 인상잭의 반력을 효율적으로 교각으로 전달하여 브라켓의 지지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며, 교각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Bracket for Hydraulic Jack and Install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인상잭을 설치하여 인상잭으로부터의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과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 교량의 통수단면 확보 등의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인상(引上)잭(jack)을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인상잭을 놓을 수 있도록 교각에 브라켓(bracket)을 설치함에 있어서, 인상잭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반력을 와이어의 인장력과 앵커볼트의 전단력에 의해 지지하도록 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브라켓 설치를 위하여 교각에 근입되는 앵커볼트의 수를 줄여서 교각의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편향부재(deviator 부재)를 교각 상면에 설치하고 와이어의 인장력이 편향부재에 의해 교각 상면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교각 상면의 손상을 방지하며,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에 따른 인상잭의 반력을 효율적으로 교각으로 전달하여 브라켓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며, 교각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과, 이러한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공용 중에, 교량의 교좌장치를 교체하거나,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 아래쪽의 통수단면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리고 교각의 상부 높이를 더 높여야만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상잭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필요한 높이만큼 들어 올린 상태에서 교좌장치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상잭을 설치하고 인상잭이 교량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릴 때 발생하는 반력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의 설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495호에는 이러한 브라켓을 설치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495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켓(1)을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에서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부재를 교각(200)의 상단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고,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의 하단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빔 부재(102)를 설치하고 상기 빔 부재 위에 인상잭(400)을 배치하여 상기 인상잭(400)이 신장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릴 때 발생하는 반력을 빔 부재(102)와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를 통해서 교각(200)의 상단 모서리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브라켓(1)을 구성하였다. 참고로 도면부호 300은 교좌장치(300)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브라켓(1)의 경우,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이,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 및 교축직각방향의 빔 부재(102)의 단면력에 의해 전달하여야 하므로, 각 부재는 상당한 크기의 단면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브라켓(1)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브라켓(1)의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취급 및 설치가 매우 어려우며, 브라켓(1)의 제작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은 결국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가 접하는 교각(200)의 상단 모서리에 집중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교각(200) 상단 모서리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지압 파괴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도 가지고 있다. 비록 종래 기술에서 교축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 사이에 교축방향으로 봉 부재(103)를 설치하여 ㄱ자로 절곡된 부재(101)를 연결하고 있으나, 상기 교축방향의 봉 부재(103)는,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모멘트 때문에 ㄱ자 절곡부재가 교각(200)의 상단 모서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495호의 종래 기술에 의한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단순화한 형태로 브라켓을 제작하고,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1)을 직접 교각의 교축방향 측면에 부착 설치하는 방안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2에는 이와 같이 앵커볼트(104)를 교각의 측면에 근입시켜 설치한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켓(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앵커볼트(104)의 교각 관입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종래의 브라켓(1)의 경우에는, 인상잭으로부터의 반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브라켓(1)을 설치하려면 많은 개수의 앵커볼트(104) 또는 큰 직경의 앵커볼트(104)를 교각(200)에 측면에 근입시켜 설치하여야 하는데, 앵커볼트(104)를 근입함에 따라 교각(200)에는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앵커볼트(104)의 개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앵커볼트(104)의 직경이 커질수록 교각(200)의 손상이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2495호(2004. 10. 15.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리고 교각의 상부 높이를 더 높이는 시공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인상잭을 배치하여 인상잭이 교량 상부구조물을 들어올릴 때 발생하는 반력을 교각으로 전달하는 브라켓을 설치함에 있어서, 브라켓을 이루는 부재의 단면력에 의해 인상잭의 반력을 지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브라켓을 이루는 부재의 규모를 축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을 교각에 부착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앵커볼트의 크기를 줄이거나 그 사용 개수를 줄여서, 앵커볼트의 설치로 인한 교각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용 인상잭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에 설치되는 브라켓으로서, 인상잭이 설치되도록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교각의 교축방향 상부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교각의 교축방향 상부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지지체를 교축방향 상부 측면에 밀착시키는 밀착판; 교각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앙 상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형의 상면을 가지고 있는 편향부재; 및 상기 편향부재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교각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양단이 지지체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거더를 인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상잭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은 와이어에 대해 인장력으로 작용하고, 와이어에 대한 인장력은 편향부재의 표면에 연직한 방향의 가압력으로 가해져서 편향부재에 의해 교각의 상면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과, 이러한 브라켓을 교각에 설치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는 긴장된 상태로 양단이 지지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의 지지체에 작용하는 인상잭으로부터의 반력의 대부분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므로, 브라켓의 밀착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에 근입설치하는 앵커볼트의 개수를 크게 줄여서 최소화시키거나 앵커볼트의 직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앵커볼트의 근입 설치에 의해 야기되는 교각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휘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의 설치작업 축소에 따른 작업공정 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도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상잭을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을 이루는 부재의 단면력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브라켓을 이루는 부재 즉, 지지체와 밀착판의 두께나 크기, 또는 재료 강성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경량화도 이룰 수 있게 되어 취급 등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인상잭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을 와이어에 대한 인장력으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힘을 다시 편향부재에 의해 교각의 상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작용하게 만들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 상면에서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교각에 지압 파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교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편향부재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편향부재가 교축방향으로 교각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교각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본 발명의 브라켓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교각 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복수개의 편향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교각 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교각 상면에 단차가 형성된 경우에 복수개의 편향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교각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편향부재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도 6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선 C-C에 따른 편향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프레임에 의해 편향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된 편향부재에 대한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켓을 교각의 상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앵커볼트를 교각의 측면에 근입시켜 설치한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교각(200) 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에서는 거더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은, 각각 인상잭(400)이 설치되도록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부착 설치되는 밀착판(20)과;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앙 상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형의 상면을 가지는 편향부재(30)와; 상기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교각(200)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며 긴장된 상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체(10)에 결합됨으로써 지지체(10)에 대해 상향의 힘을 가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 와이어(4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지지체(10)는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체(10)는 각각 교각(200)의 2개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 즉, 교축방향으로 교각을 바라보았을 때 보이게 되는 교각의 측면에 각각 마주하여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체(10)에는 각각 인상잭(400)이 놓이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지지체(10) 각각에는 와이어(4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0)는 짝수개의 쌍으로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와이어(40)가 구비되는 경우, 지지체(10)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와이어(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와이어(40) 사이에 인상잭(400)이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와이어(40)의 일단은 교각(200)에서 일측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설치된 지지체(1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40)의 타단은 상기 교각(200)의 상면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맞은편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배치된 지지체(10)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와이어(40)의 단부를 용이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10)에는 경사진 형태의 정착판(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40)가 상기 교각(200)의 상면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됨에 있어서, 교각(200) 상면에 설치된 편향부재(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편향부재(30)는 상면이 볼록한 원호형태로 곡선진 부재로서, 상기 와이어(40)가 교각(200)의 상면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위치에서 교각(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어(40)는 상기 편향부재(30)의 볼록한 원호형태의 상면에 밀착한 상태로 교각(200)의 상면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와이어(40)의 양단은 한 쌍의 지지체(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이렇게 와이어(40)를 배치함에 있어서 와이어(4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의 지지체(10)에서는 와이어(40)의 일단을 단순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와이어(40)가 상기 편향부재(30)의 볼록한 원호형태의 상면에 밀착한 상태로 교각(200)의 상면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한 후, 와이어(40)를 당겨서 긴장한 상태에서 와이어(40)의 타단을 교축방향으로 반대에 위치하는 지지체(10)에 고정 정착함으로써 와이어(4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4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인상잭으로부터의 반력을 와이어(40)가 긴장력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판(20)은 지지체(10)를 상기 교축방향 상부 측면(201)에 밀착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지지체(10)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착판(20)이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부착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체(10) 역시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밀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밀착판(20)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부착 설치될 수도 있지만, 앵커볼트(104)를 밀착판(20)에 관통시켜 교각(200)에 근입 설치함으로써 밀착판(20)이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104)를 이용하는 경우, 지지체(10)와 밀착판(20)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체(10)에 작용하는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의 일부는 밀착판(20)과 앵커볼트(104)를 통하여 교각(200)으로 전달된다. 즉,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은 와이어(40)에 대해 인장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104)에 대해서는 전단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10)에 작용하는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의 대부분은 와이어(4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밀착판(20)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200)에 근입 설치하는 앵커볼트(104)의 개수는 크게 줄어들어 최소화되거나 또는 앵커볼트(104)의 직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앵커볼트(104)의 근입 설치에 의해 야기되는 교각(200)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브라켓(1)이 교각(200)에 설치되고, 이러한 브라켓(1)에 인상잭(400)이 배치되어 인상잭(400)의 신장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도시를 생략함)을 들어 올리게 되면, 이 때 발생되는 인상잭(400)으로부터의 반력은 브라켓(1)의 지지체(10)에 대해 연직한 하향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40)의 양단이 각각 지지체(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직 하향의 반력은 상기 와이어(40)에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앵커볼트(104)의 전단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지지된다. 특히, 와이어(40)가 긴장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 반력의 상당 부분은 상기 와이어(40)의 상향 긴장력에 의해 상쇄된다. 즉, 인상잭(400)으로부터의 하향 반력의 대부분은 와이어(40)의 상향 긴장력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체(10)와 밀착판(20), 그리고 앵커볼트(104)를 통해서 교각(200)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반력은 매우 작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밀착판(20)을 설치하고 밀착판(20)으로부터의 연직 반력을 교각(200)에 전달하기 위하여 교각(200)에 근입 설치하는 앵커볼트(104)의 개수가 크게 줄어들어 최소화되거나 앵커볼트(104)의 직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 결과로서 앵커볼트(104)의 근입 설치에 의해 야기되는 교각(200)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편향부재(30)가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40)는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4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이러한 인장력은 결국 편향부재(30)의 표면에 연직한 방향의 가압력으로 가해지며, 편향부재(30)에 의해 교각(200)의 상면에 가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40)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편향부재(30)가 교각(200)의 상면에 분산시켜 작용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을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으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힘을 다시 편향부재(30)에 의해 교각(200)의 상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작용하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 상면에서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교각에 지압 파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교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이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으로 변환되므로, 지지체(10)와 밀착판(20)을 교각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결합하기 위한 앵커볼트(104)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켜 최소화하거나 또는 앵커볼트(104)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앵커볼트(104)를 교각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관입 설치함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교각(200)의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 및 앵커볼트(104)의 설치작업 축소에 따른 작업공정 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이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으로 변환되어 와이어(40)가 인상잭(400)의 반력을 부담하므로, 인상잭(400)을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1)을 이루는 부재의 단면력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브라켓(1)을 이루는 부재 즉, 지지체(10)와 밀착판(20)의 두께나 크기, 또는 재료 강성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경량화도 이룰 수 있게 되어 취급 등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은 도 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을 교각(200) 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앞서 살펴본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에서는, 하나의 편향부재(30)가 교각 상면의 교축방향 폭 전부를 덮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에서는 복수개의 편향부재(30)가 교축방향으로 교각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편향부재(30)를 이용하는 구성은, 교각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에는 교각(200)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편향부재(3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교각의 상면에 단차가 존재하더라도, 교각 상면 높이에 맞추어서 편향부재(30)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을 설치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과 효과를 동일하게 누릴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교각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편향부재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바라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편향부재(30)가 교각 상면의 모서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교각 상면의 모서리부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타 와이어(40)가 상기한 복수개의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는 구성, 지지체(10)와 밀착판(20)의 구성 등의 기타 다른 구성과 그에 따른 효과는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기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1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와이어(40)가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편향부재(30)의 상면에 오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31) 내에 와이어(4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편향부재(30)의 상면에 오목부(31)를 형성하는 경우, 와이어(40)가 당겨져서 편향부재(30)를 가압할 때, 와이어(40)가 편향부재(30)의 두께를 벗어나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편향부재(30)는 목재나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져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속이 채워진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프레임이 와이어(40)가 걸쳐지는 상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9에는 이와 같이 프레임에 의해 편향부재(30)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편향부재(30)는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에는 이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된 편향부재(30)에 대한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편향부재(30)는 와이어(40)가 걸쳐지는 상면을 가지는 다양한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편향부재(30)에 오목부(31)를 형성하는 구성 및 편향부재(30)를 프레임이나 중공형태로 제작하는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1: 브라켓
10: 지지체
20: 밀착판
30: 편향부재
40: 와이어
200: 교각
300: 교좌장치
400: 인상잭

Claims (3)

  1.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용 인상잭(400)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200)에 설치되는 브라켓(1)으로서,
    인상잭(400)이 배치되도록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10);
    지지체(10)와 결합되어 있으며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부착 설치되는 밀착판(20);
    교각(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앙 상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형의 상면을 가지고 있는 편향부재(30); 및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교각(200)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양단이 지지체(10)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은 와이어(40)에 대해 인장력으로 작용하고,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은 편향부재(30)의 표면에 연직한 방향의 가압력으로 가해져서 편향부재(30)에 의해 교각(200)의 상면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0)는 긴장된 상태로 양단이 지지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40)에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3. 인상잭(400)이 설치되도록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10) 및 이와 결합되어 있는 밀착판(20)이, 교각(200)의 교축방향 상부측면(201)에 각각 부착 설치되어 있으며;
    교각(200)의 상면에는, 중앙 상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원호형의 상면을 가지고 있는 편향부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40)가 편향부재(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교각(200)을 교축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40)의 양단이 지지체(10)에 결합되어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상잭(400)으로부터 작용하는 연직 하향의 반력은 긴장 와이어(40)에 대해 인장력으로 작용하고, 긴장 와이어(40)에 대한 인장력은 편향부재(30)의 표면에 연직한 방향의 가압력으로 가해져서 편향부재(30)에 의해 교각(200)의 상면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KR1020130021099A 2013-02-27 2013-02-27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KR10126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99A KR101265186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99A KR101265186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186B1 true KR101265186B1 (ko) 2013-05-24

Family

ID=4866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099A KR101265186B1 (ko) 2013-02-27 2013-02-27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31A (ko) * 2017-10-12 2019-04-22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22B1 (ko) 2006-06-15 2006-11-23 (주)신광건설 다기능 강제 브라켓을 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과 숭상을위한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45594B1 (ko) 2012-10-09 2013-03-25 주식회사 다인리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322B1 (ko) 2006-06-15 2006-11-23 (주)신광건설 다기능 강제 브라켓을 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과 숭상을위한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45594B1 (ko) 2012-10-09 2013-03-25 주식회사 다인리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31A (ko) * 2017-10-12 2019-04-22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2024665B1 (ko) * 2017-10-12 2019-09-24 (주) 아이씨엔지니어링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84B1 (ko) 정착브라켓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각 보강장치
KR20090126957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유닛의 프리 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부 구조물 유닛의 휨 변형 부가 방법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20110070126A (ko) 교량 빔의 내하력 보강을 위한 보강장치
JP2015098683A (ja) 仮設架台および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265186B1 (ko) 와이어 인장력과 편향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인상잭 지지용 브라켓, 및 그 설치구조
CN109537800A (zh) 超大跨度悬挑预应力弧形钢梁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09176B1 (ko) 인상잭 아치지지대를 이용한 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KR20110005527A (ko) 프리플렉션 및 강판보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강관
KR101522608B1 (ko) 응력분산 정착구와 외부강선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JP3646575B2 (ja) 仮設サポート工法および仮設サポート装置
CN212175846U (zh) 一种预制混凝土柱与预制基座连接结构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1586376B1 (ko) 인상잭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566317B1 (ko) 외부 긴장재 플랜지 통과형 거더
KR101414811B1 (ko) 보강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CN209585815U (zh) 一种室内活动围挡
JP3939237B2 (ja) 大梁間架構の構築方法
KR101480875B1 (ko)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KR100542046B1 (ko) 외부 강선의 연속긴장을 통한 콘크리트 빔의 보강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연결지지장치
KR20050033128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하여 교각의 코핑 상부 및교각 기초 지반상에 설치된 다단계 교량 상부 구조물승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승상방법
JP3021833B2 (ja) 斜張橋、特にその塔と斜張索との改良
KR100384772B1 (ko)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