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72B1 -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 Google Patents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72B1
KR100384772B1 KR10-2000-0040826A KR20000040826A KR100384772B1 KR 100384772 B1 KR100384772 B1 KR 100384772B1 KR 20000040826 A KR20000040826 A KR 20000040826A KR 100384772 B1 KR100384772 B1 KR 10038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fixing
outer steel
external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485A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우경건설 주식회사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건설 주식회사, 한만엽 filed Critical 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이 필요한 연속교에 적용할 수 있게 강선의 정착위치를 분산시켜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는,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보를 연결하는 제 1 외부강선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단부정착장치가 설치되는 단부 고정부재와, 각 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보의 중앙부를 들어올리고, 제 2 외부강선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새들과, 각 보와 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과 상기 제 2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보와 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지지되도록 정착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부강선과 제 2 외부강선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각 보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외부강선을 분산정착 시켜 보다 짧은 강선으로도 충분한 연속교의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External prestressing device for tension distribution of continuous bridge}
본 발명은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이 필요한 연속교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구조물(보)을 보강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나 이들을 종류별로 분류하면 다음 3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손상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결손된 보이거나 둘째, 내하력 등급을 높이기 위한 보이거나 셋째, 설계나 시공의 오류로 인하여 내하력에 문제가 발생된 보인 경우이다.
현재 이러한 보강을 위하여 상판을 재시공하는 공법과, 강판을 보강하는 공법 및 외부강선을 이용한 공법 등이 있다.
이들 공법중 외부강선을 이용한 기존 구조체의 보강공법은 구조체에 대한 적응성과 보강효율이 높아서 다양한 구조체의 보강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강선을 이용한 기존 구조체 보강공법은 각 보에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단지 단순보에만 적용되어 정착장치가 설치된 외부강선 및 보의 중간에 설치되는 새들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연속교의 경우에는 단부정착장치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속교의 외부 강선 보강의 경우 거더의 중앙 부분이나, 거더의 연결부에 같은 수의 강선을 배치하여, 실제로 많은 보강이 필요한 거더의 연결부의 보강량으로 강선을 긴장시켜 거더의 중앙부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과보강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보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외부강선을 분산 배치하여 연속교의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가 연속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 2c는 도 1의 단부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 3c 및 도 4a, 4b, 4c는 도 1의 제 1 새들 및 제 2 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5b, 5c는 도 1의 디비에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6b, 6c는 도 2의 단부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2경간 연속보의 외부강선보강시 강선의 정착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디비에이터에서 강선을 분산배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는,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보를 연결하는 제 1 외부강선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단부정착장치가 설치되는 단부 고정부재와; 각 보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보의 중앙부를 들어올리고, 제 2 외부강선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새들; 및 각 보와 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과 상기 제 2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보와 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지지되도록 정착장치가 설치되고, 이웃 보의 단부정착장치에 고정되는 강선의 다른 한 단부가 고정되는 두개의 디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새들은, 상기 보의 하면에 앵커볼트 또는 강봉으로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의 상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보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보의 좌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과 보의 우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외부강선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정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비에이터는, 상기 보의 일측에 앵커볼트 또는 강봉으로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의 하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부강선 또는 제 2 외부강선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정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단부 고정부재의 단부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디비에이터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이고, 상기 제 2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는, 단순보가 아니라 2개 이상의 보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이 가능한 단순교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2개의 보에 적용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단순교의 경우에는 외부강선을 긴장하기 전에 보와 보 사이를 몰타르나 콘크리트로 채워 넣어 교량을 먼저 연속화하게 되면 그 이후 공정은 연속교의 보강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는, 외부강선(10)과, 새들(20) 및 디비에이터(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외부강선(10)은, 양단부정착장치(12), 새들(20) 및 디비에이터(30)에 설치되어 긴장력 조절이 가능하고 적어도 두 개이상의 보(1)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강선은 개개의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강선을 외부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외부강선(10)은 일측 보의 제 1 새들(20)과 이웃 보의 제 1 새들(20)을 연결하거나 일측 보의 제 2 새들(20)과 이웃 보의 제 2 새들(2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 1 외부강선(10)과 제 2 외부강선(10)의 정착위치가 단부 고정부재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각 새들과 디비에이터로 분산정착되기 때문에 긴장력을 분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착장치(12)는, 기존의 단순교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정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도 2a, 2b,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1)의 일측 단부를 지지되는 전단지지형 정착장치를 도시하였다.
상기 정착장치(12)에 형성되는 정착대(18)는 반드시 상기 디비에이터(12)에 정착되는 강선(10)의 개수에 맞춰 설치하여 정착대(18) 위치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새들(20)은, 상기 외부강선(10)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외부강선(10)이 상기 각 보(1)의 중앙부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외부강선(1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형상인 몸체를 상기 보에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2)과, 지지판(24)과, 가이드판(26), 연결판(28) 및 정착대(2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새들(20)은, 상기 보의 모멘트도에 따라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설치되거나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근의 양옆에 대칭으로 제 1 새들(20a) 및 제 2 새들(20b)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2)은 상기 보의 일측에 앵커볼트(2) 또는 강봉으로 고정되는 판재이고, 상기 지지판(24)은, 상기 고정판(22)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10)의 상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10)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판재이며, 상기 가이드판(26)은 상기 지지판(24)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10)이 상기 지지판(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판재이다.
또한, 상기 정착대(29)는 상기 고정판(22)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새들(20)에 정착되는 상기 강선(10)의 정착을 위한 판재이며, 상기 연결판(28)은, 보(1)의 하단부를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둘러싸도록 보(1)의 좌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22)과 보(1)의 우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22)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도 4a, 4b, 4c에 도시된 새들은 도 3a, 3b, 3c에 도시된 새들(20a)에 이웃하는 새들(20b)로서, 서로 대칭되는 구조이고, 역시 상기 외부강선(10)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새들(20)은 1조의 외부강선에 각 보마다 반드시 2개가 아닌 1개일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1)의 모멘트도에 따라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설치되거나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근에 다수개가 대칭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비에이터(30)는, 도 5a, 5b,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강선(10)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외부강선(10)이 상기 보(1)와 보(1)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강선(1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2) 또는 강봉으로 상기 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32a), 바닥판의 밑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2b)과, 상기 고정판(32a)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10)의 하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10)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34) 및 상기 지지판(34)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10)이 상기 지지판(3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36) 및 상기 고정판(32a)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디비에이터(30)에 정착되는 상기 강선(10)의 정착을 위한 정착대(3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디비에이터(30)는 보(1)와 보(1)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서로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강선(10)을 지지, 정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디비에이터(30)에 형성되는 정착대(38)는 반드시 상기 디비에이터(30)에 정착되는 강선(10)의 개수에 맞춰 설치하여 정착대(38) 위치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이용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보로 이루어지는 보강이 필요한 기존의 연속교의 양단부에 상기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정착장치가 설치된 연속교에 상기 새들과 디비에이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착장치, 새들 및 디비에이터에 외부강선을 연결하고, 상기 외부강선이 상기 정착장치, 새들과 디비에이터에 설치하며, 상기 정착장치, 새들과 디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강선을 긴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는, 정착장치을 제작한 다음, 상기 앵커볼트로 상기 정착장치를 보에 설치하고, 접촉부위를 용접하며, 에폭시를 주입한다.
이어서, 강선의 쏠림이 없도록 상기 정착장치에 정착구를 설치하고, 외부강선을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새들과 디비에이터를 설치하는 단계는, 새들과 디비에이터의설치위치의 콘크리트에 새들과 디비에이터가 고정될 홈을 만들고, 앵커볼트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천공한 다음, 새들과 디비에이터를 위치시키고 앵커볼트로 고정한다.
이어서, 연결부위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에폭시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새들과 디비에이터는 강선의 인장시 끝부분의 마찰로 인한 외부강선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사각을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고, 앵커볼트의 설치시에 기존 빔 강선에 손상이 없도록 철근탐사를 철저히 하여 시공한다.
긴장작업이 끝난 후에는 정착장치의 쐐기 부근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보호마개를 설치하고, 그리스를 충진시킨 다음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보존한다.
도 6에 도시된 단부에서 사용가능한 정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정착장치의 설치위치는 보의 중립축이나 보의 하단등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정착장치에 가까운 상기 새들 사이의 모멘트에만 영향을 줄 뿐 보강이 필요한 보의 중앙부나 연결부에서의 모멘트에서 전혀 영향이 없다.
도 7에는 2경간 연속 외부 강선 보강시 각 강선의 정착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다양한 단부 고정부재(12)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7c는 각 제 1 외부강선(10)이 반드시 두 개의 보에 걸쳐있어야 한다. 강선의 길이가 너무 짧게 되면 정착장치의 활동에 의한 즉시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되고, 너무 길게 되면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강선의 릴렉세이션에 의한 손실이 많이 발생하므로 도 7에 표시된 각 강선의 정착 위치에 따라 설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도 7과 같이 2경간 연속 외부 강선 보강시 모든 강선이 모이게 되는 디비에이터에서 강선이 엉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선을 분산 배치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단부 고정부재의 단부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디비에이터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제 1강선, 제 2강선, 제 5강선, 제 6강선)이고, 상기 제 2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이고, 제 2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제 1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제 1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제 1 새들외부강선(제 3강선) 및 일측 보의 제 2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제 2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제 2 새들외부강선(제 4강선)인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에 의하면, 각 보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외부강선을 분산 배치하여 보다 짧은 강선으로도 충분한 연속교의 보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6)

  1.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보를 연결하도록 보의 일단부터 연결된 보의 타단까지 연장 설치되는 제 1 외부강선;
    상기 제 1 외부강선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단부정착장치가 설치되는 단부 고정부재;
    각 보와 보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 2 외부강선;
    각 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보의 중앙부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 2 외부강선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새들; 및
    각 보의 단부 즉, 각 보와 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외부강선과 상기 제 2 외부강선에 긴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보와 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지지되도록 정착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부강선과 제 2 외부강선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비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상기 보의 일측에 앵커볼트 또는 강봉으로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의 상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
    보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보의 좌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과 보의 우측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외부강선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정착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상기 보의 모멘트도에 따라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설치되거나 내하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근의 양옆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비에이터는,
    상기 보의 일측과 바닥판 또는 가로보에 앵커볼트 또는 강봉으로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의 하측면과 접촉지지하며, 상기 외부강선의 입사각에 따라 일측에 곡률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강선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고정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부강선 또는 제 2 외부강선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정착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단부 고정부재의 단부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디비에이터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이고, 상기 제 2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강선은 일측 보의 제 1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제 1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제 1 새들외부강선 및 일측 보의 제 2 새들의 정착장치에서부터 이웃 보의 제 2 새들의 정착장치까지 연결되는 제 2 새들외부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KR10-2000-0040826A 2000-07-15 2000-07-15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KR10038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26A KR100384772B1 (ko) 2000-07-15 2000-07-15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826A KR100384772B1 (ko) 2000-07-15 2000-07-15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363U Division KR200222329Y1 (ko) 2000-07-15 2000-07-15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485A KR20000063485A (ko) 2000-11-06
KR100384772B1 true KR100384772B1 (ko) 2003-05-27

Family

ID=1967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826A KR100384772B1 (ko) 2000-07-15 2000-07-15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11B1 (ko) * 2001-06-26 2004-04-08 (주)제이스코리아 교량의 외부 강선 보강을 위한 연결장치
KR100440622B1 (ko) * 2001-08-10 2004-07-21 박재만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341A (ko) * 1997-12-29 1999-07-15 한만엽 절곡형 외부 강선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 주형의 복합적 보수보강방법
KR19990068519A (ko) * 1999-05-29 1999-09-06 정희용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유거더합성교의연속화공법
KR19990084496A (ko) * 1998-05-07 1999-12-06 한만엽 외부프리스트레스 보강공법을 위한 개량된 지압지지방식의 정착방법 및 장치
KR200184684Y1 (ko) * 1999-12-29 2000-06-01 박재만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KR20010064553A (ko) * 1999-12-29 2001-07-09 박재만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341A (ko) * 1997-12-29 1999-07-15 한만엽 절곡형 외부 강선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 주형의 복합적 보수보강방법
KR19990084496A (ko) * 1998-05-07 1999-12-06 한만엽 외부프리스트레스 보강공법을 위한 개량된 지압지지방식의 정착방법 및 장치
KR19990068519A (ko) * 1999-05-29 1999-09-06 정희용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유거더합성교의연속화공법
KR200184684Y1 (ko) * 1999-12-29 2000-06-01 박재만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KR20010064553A (ko) * 1999-12-29 2001-07-09 박재만 교량 보수 보강장치 및 그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485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9154B1 (en) Method for anchoring parallel wire cables
JP4078367B2 (ja) 斜張ケーブルの定着構造
JP5415204B2 (ja) 橋梁の移動抑制装置および移動抑制方法
JP3867037B2 (ja) 既存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2038409B1 (ko) 지그재그 분산배치형 강선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RU2213187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ба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лой натяжения
KR100384772B1 (ko)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보강장치
KR100383565B1 (ko)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외부강선 보강방법
KR200222329Y1 (ko) 긴장력을 분산정착 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JPH11158819A (ja)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JPH1046663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KR101040817B1 (ko) 도르래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
JP2709279B2 (ja)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KR100554026B1 (ko) 외부로 노출된 교량용 강선 긴장시스템
KR101664100B1 (ko) 조립식 가교
CN115058969A (zh) 一种用于飘浮体系斜拉桥的索塔自复位集束锚
KR100499265B1 (ko) 홀딩 다운 디바이스
KR102151046B1 (ko) 확대접합면을 가지는 고강도 분절 거더 및 고강도 분절 거더의 시공방법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20060117646A (ko) 피시 빔
JPH0542553B2 (ko)
KR100542046B1 (ko) 외부 강선의 연속긴장을 통한 콘크리트 빔의 보강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연결지지장치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JP2003064621A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