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139B1 -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139B1
KR101265139B1 KR1020100124775A KR20100124775A KR101265139B1 KR 101265139 B1 KR101265139 B1 KR 101265139B1 KR 1020100124775 A KR1020100124775 A KR 1020100124775A KR 20100124775 A KR20100124775 A KR 20100124775A KR 101265139 B1 KR101265139 B1 KR 10126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bridge
fall
main towe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692A (ko
Inventor
오영현
Original Assignee
(주)영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우산업 filed Critical (주)영우산업
Priority to KR102010012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1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9/00Model railways
    • A63H19/34Bridges; Stations; Sign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제와 교량과 유사하게 체험장치를 건설하고, 교량의 상판부에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여건의 구조물을 안전하게 설치하여 현장감이 있으면서도 안전하게 교량사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축소된 형태를 갖는 교각 및 상판; 상기 상판의 일부분이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멍의 하부에는 추락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부가 구성된 추락체험부; 상기 추락체험부의 측부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위치하며, 격자형태로 엮어진 철근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Bridge safe experience apparatus in the construction field}
본 발명은 건설 공사 현장에서 교량 건설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교육을 작업자에게 실시할 때 이를 체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제 교량의 형태와 유사하게 건설하고, 추락 등의 안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구조물을 갖도록 한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있다. 예컨데 교량을 건설하는 현장에서는 교량의 높이에 따른 각종 추락사고, 부실공사에 따른 붕괴사고 등의 위험을 안고 있어 현장의 공사 작업자들에게 작업 전에 반드시 안전교육을 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공사 현장에서 공사 작업자들에게 이러한 위험 현상들에 대해 충분하게 설명을 하고 그 결과를 인지시키지만, 반복되는 공사 현장에서의 습관 때문에 그 위험의 결과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안전 행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가 교량의 공사 현장에서 실제 사고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실제 공사 현장에서 인위적으로 사고가 난 것과 같은 상태로 만들기에는 너무 위험할 뿐만 아니라 비용과 시간 등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공사 현장에서는 가설 건물을 지어 놓고 이 가설 건물에서 각종 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인위적으로 연출하여 공사 현장의 작업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하고 있지만, 실제 교량이 아닌 별도의 현장이므로 교량의 안전사고를 체험하기에는 현실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적절한 안전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제 교량과 유사하게 체험장치를 건설하고, 교량의 상판부에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여건의 구조물을 안전하게 설치하여 현장감이 있으면서도 안전하게 교량사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축소된 형태를 갖는 교각 및 상판;
상기 상판의 일부분이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멍의 하부에는 추락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부가 구성된 추락체험부;
상기 추락체험부의 측부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위치하며, 격자형태로 엮어진 철근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제의 교량과 유사한 형태의 안전 체험 교육장치에서 작업자가 안전하면서도 현장감 있게 교량사고를 체험할 수 있어서 교육의 현실성을 높여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상측에서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하측에서 보인 도.
도3은 주탑의 구성을 보인 도.
도4는 상판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5는 상판의 체험 구조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상측에서 보인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하측에서 보인 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주탑(110), 상판(140), 교각(120)이 실제 교량의 축소된 형태로서 구성된다.
주탑(110)의 그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고정되어 상측으로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기 주탑(110)의 중간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상판(140)이 설치되는데, 상판(140)의 중심부위에 주탑(110)이 관통되어 설치된 형태이다.
또한, 주탑(110)으로부터 상판(140)까지는 와이어(130)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판(140)이 상기 와이어(130)에 의해 주탑(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판(140)의 하측으로는 양쪽에 갱폼 형태인 교각(120)이 설치되어 지면과 상판(140) 사이를 지지하며, 상판(140)의 측부로는 상판(140)으로 체험자가 올라갈 수 있도록 계단(150)이 설치된다.
상기 계단(150)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이 쳐져 있으며, 주탑(110)의 하측에는 거푸집(200)과 거푸집 작업대(210)가 설치되어 주탑(110)의 거푸집 작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푸집 작업대(210)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체험자가 거푸집 작업대(210)를 타고 거푸집(200)이 형성된 상부 위치까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40)의 주변 둘레를 따라서는 안전난간(160)과 함께 낙하물이 측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낙하방지망(170)이 설치되며, 이러한 낙하방지망(170)은 체험자들에게 올바른 설치 작업을 교육시키기 위하여 모범적인 설치 상태와 불량설치 상태를 갖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탑(110)은 12~13m, 상판(140)은 4~5m 정도의 높이를 가지며, 상판(140)의 넓이는 길이가 11~13m, 폭이 5~6m정도 된다.
도3은 주탑(11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수직방향으로 H-빔(111)이 세워지며, 그 외측으로는 콘크리트(112)가 타설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된 주탑(110)은 그 바닥부에 'L'형 앙카(113)가 설치되어 지면에 주탑(110)이 앙카(11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130)는 콘크리트(112)를 관통하여 H-빔(111)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판(140)에 체결되어 주탑(110)에 상판(140)이 지지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도4는 상판(140)의 안전장치 구조물을 평면에서 보인 도로서, 상판(140)의 길이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강박스(181)가 격자로 구성되어 구멍(182)을 갖는 추락체험부(180)가 구성되는데, 상기 구멍(182)은 상판(1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구멍(182)의 하측에는 낙하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망으로 된 안전장치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험자가 추락체험부(180)를 통해 교량의 상판에서 추락할 수 있다는 점을 교육시킬 수 있다.
상기 추락체험부(180)의 일측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부(19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190)는 도5에서와 같이 데크(191)의 상부에 격자형태로 철근(192)이 엮어지고, 그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193)를 갖는 구조로서, 데크(191)의 일부분과 철근(192)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판(140)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의 작업방법을 교육함과 아울러 철근(192)에 체험자의 발이 걸리는 경우 측부의 추락체험부(180)의 구멍(182)으로 체험자나 장비 등의 낙하물이 빠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교육하게 된다.
추락체험부(180)의 타측부에는 작업통로(14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작업통로(141)는 데크의 상부에 일정간격마다 파이프(142)가 설치되고, 그 파이프(142)의 상부에 판체가 덮여진 상태로 되어 돌풍 등에 의해 판체가 추락하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불량통로의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판(140)의 데크부위와 판체가 파이프(142)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돌풍에 의해 판체가 날아가 추락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이프(142) 사이에 판체가 불량하게 놓여진 경우 이는 불량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추락의 위험성을 체험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110 : 주탑 111 : 빔
112 : 콘크리트 113 : 앙카
120 : 교각 130 : 와이어
140 : 상판 150 : 계단
160 : 안전난간 170 : 낙하방지망
180 : 추락체험부 181 : 강박스
182 : 구멍 183 : 안전장치부
190 : 콘트리트타설부 191 : 데트
192 : 철근 193 : 콘크리트
200 : 거푸집 210 : 거푸집작업대

Claims (6)

  1. 교량의 축소된 형태를 갖는 교각 및 상판;
    상기 상판의 일부분이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멍의 하부에는 추락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부가 구성된 추락체험부;
    상기 추락체험부의 측부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위치하며, 격자형태로 엮어진 철근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타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체험부의 타측부에 일정간격마다 파이프가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의 상부에 판체가 놓여진 작업통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안전난간과 낙하방지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주탑이 세워지며, 상기 주탑과 상판 사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은 빔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외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타설된 주탑의 하측은 앙카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6. 제4항에서 있어서, 상기 주탑의 하측에는 거푸집과 거푸집 작업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KR1020100124775A 2010-12-08 2010-12-08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KR10126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75A KR101265139B1 (ko) 2010-12-08 2010-12-08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775A KR101265139B1 (ko) 2010-12-08 2010-12-08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692A KR20120063692A (ko) 2012-06-18
KR101265139B1 true KR101265139B1 (ko) 2013-06-07

Family

ID=4668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775A KR101265139B1 (ko) 2010-12-08 2010-12-08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1706B2 (ja) * 2015-02-10 2019-11-06 中国電力株式会社 足場隙間体感研修装置
CN104715666B (zh) * 2015-04-01 2017-03-22 华中科技大学 一种高处坠落体验式安全教育培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35Y1 (ko) 2002-07-02 2003-02-14 이봉희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KR200411341Y1 (ko)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현수식 구름다리
KR100835263B1 (ko) 2008-02-20 2008-06-09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개구부 추락체험장치
KR100864952B1 (ko) 2008-02-20 2008-10-22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동바리 붕괴체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35Y1 (ko) 2002-07-02 2003-02-14 이봉희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KR200411341Y1 (ko)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현수식 구름다리
KR100835263B1 (ko) 2008-02-20 2008-06-09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개구부 추락체험장치
KR100864952B1 (ko) 2008-02-20 2008-10-22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동바리 붕괴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692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23330A5 (ko)
CN108755377B (zh) 一种深水无覆盖层钢栈桥的施工方法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CN203247506U (zh) 桥梁高墩施工爬模内模吊架
CN203361030U (zh) 箱梁或t梁的无粘结预应力与钢板-混凝土组合加固构造
KR101526279B1 (ko) 모험 시설용 발판
CN110685226A (zh) 一种液压整体自爬升施工平台
CN104894954A (zh) 城市桥梁墩柱钢筋整体安装施工方法
CN107245953A (zh) 一种多层桥梁结构的排架装置及交叉施工方法
KR101265139B1 (ko) 건설 공사 현장의 교량 안전 체험 장치
CN108979131A (zh) 一种高层建筑施工钢模板及操作架整体提升平台装置
CN209384110U (zh) 墩柱盖梁防护平台
CN203514209U (zh) 用于拱桥加固的钢丝绳吊架平台
KR102075442B1 (ko) 체험자의 안전을 위한 모험활동시설 플랫폼 발판 구조물
US5325557A (en) Portable, demountable bridge to ford rivers and the like
CN107366229A (zh) 一种既有线门式墩盖梁的施工方法
CN207829435U (zh) 一种吊顶安装平台
CN106368426B (zh) 一种超高层建筑爬升设备的辅助支撑系统
CN211815605U (zh) 一种用于桩柱式桥墩墩系梁和盖梁的施工装置
CN109750825A (zh) 基坑悬挂式马道的施工方法
CN106837163B (zh) 深基坑钩挂式逃生梯制作安装施工方法及逃生梯
RU2786464C1 (ru)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Работа на высоте"
GB2533691A (en) An overhead line crossing guard system, a method of assembling an overhead line crossing guard system and a method of disassembling an overhead line
CN111021699A (zh) 空中平台及其安装方法
CN209194547U (zh) 一种铁路桥梁用基坑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