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74B1 -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3674B1 KR101263674B1 KR1020110084869A KR20110084869A KR101263674B1 KR 101263674 B1 KR101263674 B1 KR 101263674B1 KR 1020110084869 A KR1020110084869 A KR 1020110084869A KR 20110084869 A KR20110084869 A KR 20110084869A KR 101263674 B1 KR101263674 B1 KR 101263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arm
- mounting
- mounting member
- sub
-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two lateral arms forming a parallelogr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는, 스프링 댐퍼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타입이며,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이 차체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마운팅포인트 중 차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의 마운팅포인트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노면으로부터 전가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더블 위시본 타입(Double wish bone type)의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조장치로서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를 서스펜션(현가장치)이라 일컫는다. 서스펜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Double wish bone type suspension)은 독립식 현가장치의 하나로서, 두 개의 위시본( wish bone, 조류(鳥類)의 Y자형 가슴뼈) 형상의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노면에 대해서 거의 수평으로 장착된 상하(어퍼 암, 로워 암) 두 개의 암이 업 라이트(차축 또는 허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강성 확보에 용이하며, 서스펜션이 범프(튐) 할 때 캠버(camber)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그립력)의 변화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은 로드 길이나 암의 설치 각도 등을 바꾸는 것을 통해 비교적 자유롭고 용이하게 기하학적인 변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종 특성 등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때문에 험로 주행이 많은 차량의 경우 위와 같은 다양한 구조적 장점을 갖는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단거리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소형 다목적 운반차량(Utility vehicle) 역시 작업 특성상 주로 험로를 주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목적 운반차량에도 일반적으로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이 적용된다. 하지만 단거리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상기 다목적 운반차량은 차체가 소형인 관계로, 구조상 서스펜션의 기하학적 변경에 제약이 따른다.
즉, 서스펜션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뼈대를 이루는 차체프레임 구조를 그에 맞게 바꾸어야 하지만, 차체가 작은 다목적 차량의 경우 구조적으로 차체프레임 구조변경이 쉽지 않아 서스펜션 구조를 바꾸는 데에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단거리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소형 다목적 운반차량의 경우, 암의 설치 각도 등을 바꾸는 것과 같은 기하학적 변경이 어려워 조종 특성 등을 임의로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차체프레임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암의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를 통해 조종 특성 등을 차량 주행조건 맞게 조정할 수 있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에 있어서, 스프링 댐퍼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타입이며,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이 차체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마운팅포인트 중 차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의 마운팅포인트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은 각각 상기 마운팅포인트 형성을 위한 좌, 우 두 개씩의 힌지결합단을 갖고, 허브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을 매개로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측방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어퍼 암과 로워 암 마운팅을 위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어느 한 메인 마운팅멤버 일 측면에는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 중 어느 한 암의 좌측 또는 우측의 힌지결합단이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에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힌지결합됨에 따라, 어퍼 암과 로워 암의 어느 한 쪽 마운팅포인트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우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이 서브 마운팅멤버에 로워 암의 일 측 힌지결합단이 힌지결합되어서, 어퍼 암의 우측 마운팅포인트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의 우측 마운팅포인트가 형성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마운팅멤버는 이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를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 우측의 마운팅포인트는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좌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이 서브 마운팅멤버에 로워 암의 일 측 힌지결합단이 힌지결합되어서, 어퍼 암의 좌측 마운팅포인트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의 좌측 마운팅포인트가 형성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는 이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지 않은 우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를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 좌측의 마운팅포인트는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허브 어셈블리에서 사선방향으로 상향 이격된 지점의 차체프레임에 상기 스프링 댐퍼의 한 쪽 끝이 지지되고, 이 스프링 댐퍼의 다른 한 쪽은 상기 허브 어셈블리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댐퍼는 허브 어셈블리 상향 이동 시 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은 각각 상기 마운팅포인트 형성을 위한 좌, 우 두 개씩의 힌지결합단을 갖고, 허브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을 매개로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측방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어퍼 암과 로워 암 마운팅을 위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이 결합하게 될 위치의 메인 마운팅멤버 좌, 우측으로 서브 마운팅멤버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 중 어느 한 암의 좌측 또는 우측의 힌지결합단이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마운팅멤버에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힌지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에 따르면, 서브 마운팅멤버 적용을 통해, 차체프레임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메인 마운팅멤버에 대한 서브 마운팅멤버 위치 변화만으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암의 설치 위치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큰 레이아웃 변화 없이도 조종 특성 등을 차량 주행조건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저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다른 여러 가지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저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다른 여러 가지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는, 스프링 댐퍼(7)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타입이며, 위, 아래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어퍼 암(4)과 로워 암(5)이 차체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마운팅포인트(P1, P2, P3, P4) 중 허브 어셈블리(6)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도면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어퍼 암(4)과 로워 암(5)의 마운팅포인트(P2, P4) 수직방향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구조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어퍼 암(4)과 로워 암(5)은 위시본(wish bone)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운팅포인트 형성을 위한 힌지결합단(40,42)(50,52)을 두 개씩 가진다. 어퍼 암(4)과 로워 암(5) 각각의 힌지결합단(40,42)(50,52)은 후술될 마운팅멤버에 힌지결합되어, 복수(총 4개의)의 마운팅포인트(P1, P2, P3, P4)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어퍼 암(4)과 로워 암(5)은 노면에 대해 대략 수평하면서 서로는 위, 아래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어퍼 암(4)과 로워 암(5)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된 측방에는 허브 어셈블리(6)가 상하 요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허브 어셈블리(6)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이 베어링에 차축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허브 어셈블리(6) 상부에는 스프링 댐퍼(7)가 한 쪽 끝이 연결되고, 이 스프링 댐퍼(7)의 다른 쪽 끝은 허브 어셈블리(6)에서 사선방향으로 상향 이격된 지점의 차체프레임(1)에 지지된다.
스프링 댐퍼(7)는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갖고 상기 허브 어셈블리(6)가 상향으로 이동한 경우 이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주행 중 노면 충격 등으로 차축과 함께 상기 허브 어셈블리(6)가 상향 이동하게 되는 경우, 스프링 댐퍼(7)가 신축하면서 그 충격력을 흡수 및 감쇄시킨다. 아울러 그 복원력에 의해 충격이 지나간 후 차축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어퍼 암(4)과 로워 암(5)의 마운팅을 위해 차체프레임(1)에는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 중 어느 한 메인 마운팅멤버(2b) 일 측면에는 서브 마운팅멤버(3)가 설치되며, 어퍼 암(4)과 로워 암(5)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40,42)(50,52) 중 허브 어셈블리(6)를 기준으로 어느 한 암의 좌측 또는 우측의 힌지결합단(42)(52)은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3)에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즉, 서브 마운팅멤버(3)에는 어퍼 암(4)과 로워 암(5)의 힌지결합단(40,42)(50,52) 중 어느 한 암의 일 측 힌지결합단이 힌지결합되며, 따라서 총 4개의 마운팅포인트 중 어느 한 쪽의 어퍼 암(4) 마운팅포인트(P1 또는 P2)와 로워 암(5) 마운팅포인트(P3 또는 P4)의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각 암의 마운팅포인트 수직위치가 달라지게 되면, 그에 맞게 암 역시 기하학적인 형상이 바뀌므로 조종 특성 또한 달라지게 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 중 허브 어셈블리(6)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2b)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3)가 설치되고, 그 서브 마운팅멤버(3)에 로워 암(5)의 일 측 힌지결합단(52)이 힌지결합된 구조를 예를 들고 있다. 즉, 어퍼 암(4)의 우측 마운팅포인트(P2)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5)의 우측 마운팅포인트(P4)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위와 같이 서브 마운팅멤버(3)를 우측의 메인 마운팅멤버(2b)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서브 마운팅멤버(3)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2a)를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어퍼 암(4)의 마운팅포인트(P2)와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5) 일 측의 마운팅포인트(P4)가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의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변형 예는,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 중 허브 어셈블리(6)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2a)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3)가 설치되고, 이 서브 마운팅멤버(3)에 로워 암(5)의 일측(좌측)의 힌지결합단(50)이 힌지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즉, 어퍼 암(4)의 좌측 마운팅포인트(P1)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5)의 좌측 마운팅포인트(P3)가 형성된 구조를 예를 들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브 마운팅멤버(3)를 좌측의 메인 마운팅멤버(2a)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서브 마운팅멤버(3)가 설치되지 않은 우측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2b)를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어퍼 암(4)의 마운팅포인트(P1)와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5) 일 측의 마운팅포인트(P3)가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앞서 설명한 구조 외에 다양한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6 내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서브 마운팅멤버(3)를 로워 암(5)이 설치될 위치의 메인 마운팅멤버(2a 또는 2b) 바깥 쪽을 향하게 설치하거나, 어퍼 암(4)이 설치될 위치의 메인 마운팅멤버(2a 또는 2b) 안쪽 또는 바깥 쪽을 향하게 설치함으로써, 로워 암(5)의 마운팅포인트와 어퍼 암(4)의 마운팅포인트의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여러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 서스펜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어퍼 암(4)과 로워 암(5)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이 결합하게 될 위치의 메인 마운팅멤버(2a, 2b) 좌, 우측으로 서브 마운팅멤버(3a~3h)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어느 한 서브 마운팅멤버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서스펜션 조립 단계에서 조정특성에 다양한 변화 줄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에 따르면, 서브 마운팅멤버 적용을 통해, 차체프레임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메인 마운팅멤버에 대한 서브 마운팅멤버 위치 변화만으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암의 설치 위치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큰 레이아웃 변화 없이도 조종 특성 등을 차량 주행조건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차체프레임
2a, 2b : 메인 마운팅멤버
3 : 서브 마운팅멤버
4 : 어퍼 암(Upper arm)
5 : 로워 암(lower arm)
6 : 허브 어셈블리(Hub assembly)
7 : 스프링 댐퍼(Spring damper)
40, 42 : 어퍼 암의 힌지결합단
50, 52 : 로워 암의 힌지결합단
P1, P2 : 어퍼 암의 마운팅포인트
P3, P4 : 로워 암의 마운팅포인트
2a, 2b : 메인 마운팅멤버
3 : 서브 마운팅멤버
4 : 어퍼 암(Upper arm)
5 : 로워 암(lower arm)
6 : 허브 어셈블리(Hub assembly)
7 : 스프링 댐퍼(Spring damper)
40, 42 : 어퍼 암의 힌지결합단
50, 52 : 로워 암의 힌지결합단
P1, P2 : 어퍼 암의 마운팅포인트
P3, P4 : 로워 암의 마운팅포인트
Claims (8)
- 스프링 댐퍼를 포함하는 더블 위시본 타입이며,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이 차체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마운팅포인트 중 차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어퍼 암과 로워 암의 마운팅포인트의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되,
어퍼 암과 로워 암은 각각 상기 마운팅포인트 형성을 위한 좌, 우 두 개씩의 힌지결합단을 갖고, 허브 어셈블리는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을 매개로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측방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어퍼 암과 로워 암 마운팅을 위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어느 한 메인 마운팅멤버 일 측면에는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 중 어느 한 암의 좌측 또는 우측의 힌지결합단이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에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힌지결합 됨에 따라, 어퍼 암과 로워 암의 어느 한 쪽 마운팅포인트 수직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우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에 로워 암의 우측 힌지결합단이 힌지결합되어,
어퍼 암의 우측 마운팅포인트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의 우측 마운팅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서브 마운팅멤버는 이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 우측의 마운팅포인트는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중 허브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좌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 하단에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에 로워 암의 좌측 힌지결합단이 힌지결합되어,
어퍼 암의 좌측 마운팅포인트와는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지점에 로워 암의 좌측 마운팅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서브 마운팅멤버는 이 서브 마운팅멤버가 설치되지 않은 우측(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메인 마운팅멤버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수직방향 위치가 다른 상기 로워 암 좌측의 마운팅포인트는 상기 두 개의 메인 마운팅멤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어셈블리에서 사선방향으로 상향 이격된 지점의 차체프레임에 상기 스프링 댐퍼의 한 쪽 끝이 지지되고, 이 스프링 댐퍼의 다른 한 쪽은 상기 허브 어셈블리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댐퍼는 허브 어셈블리 상향 이동 시 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이 결합하게 될 위치의 메인 마운팅멤버 좌, 우측으로 서브 마운팅멤버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어퍼 암과 로워 암 각 두 개의 힌지결합단 중 어느 한 암의 좌측 또는 우측의 힌지결합단이 상기 서브 마운팅멤버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마운팅멤버에 마운팅포인트를 형성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4869A KR101263674B1 (ko) | 2011-08-25 | 2011-08-25 |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US13/592,135 US8474844B2 (en) | 2011-08-25 | 2012-08-22 | Suspension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4869A KR101263674B1 (ko) | 2011-08-25 | 2011-08-25 |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106A KR20130022106A (ko) | 2013-03-06 |
KR101263674B1 true KR101263674B1 (ko) | 2013-05-22 |
Family
ID=4774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4869A KR101263674B1 (ko) | 2011-08-25 | 2011-08-25 |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474844B2 (ko) |
KR (1) | KR1012636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11212B1 (en) * | 2011-05-16 | 2015-11-25 | NSK Ltd.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CN105555558B (zh) | 2013-09-04 | 2018-09-14 | 北极星工业有限公司 | 并排式车辆 |
JP6014638B2 (ja) * | 2014-09-25 | 2016-10-2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揺動アーム |
CN106347051A (zh) * | 2016-11-04 | 2017-01-25 |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 独立悬架安装装置 |
CN106494169A (zh) * | 2016-11-04 | 2017-03-15 |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 独立悬架油气弹簧安装支架 |
US10279849B1 (en) * | 2017-12-04 | 2019-05-07 | Honda Motor Co., Ltd. | Skid plate |
US10562570B2 (en) | 2017-12-19 | 2020-02-18 | Honda Motor Co., Ltd. | Mounting pillars for a drive assembly |
US10794463B2 (en) | 2017-12-19 | 2020-10-06 | Honda Motor Co., Ltd. | Mounting bracket for a drive assembly |
DE102019203836A1 (de) * | 2019-03-20 | 2020-09-24 | Audi Ag | Radaufhängung für eine Fahrzeugachse |
US11472244B2 (en) | 2020-04-16 | 2022-10-18 | Honda Motor Co., Ltd. | Skid plate with recovery point |
US11376910B1 (en) * | 2021-03-12 | 2022-07-05 | Kawasaki Motors, Ltd. | Suspension structure of utility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630A (ja) | 1991-07-05 | 1993-01-26 | Toyota Motor Corp | ダブルウイシユボーン式サスペンシヨン |
US5496055A (en) * | 1992-04-28 | 1996-03-05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Suspension system for steered wheel |
WO1999030956A1 (en) * | 1997-12-12 | 1999-06-24 | Holland Neway International, Inc. | Independent front suspension |
KR20000013586U (ko) | 1998-12-28 | 2000-07-15 | 김덕중 |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
JP4031917B2 (ja) * | 2001-06-20 | 2008-01-0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サスペンション構造 |
JP4606290B2 (ja) * | 2005-09-26 | 2011-01-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
US7770907B2 (en) * | 2006-01-20 | 2010-08-10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All terrain vehicle |
JP4837531B2 (ja) * | 2006-01-31 | 2011-12-1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後輪懸架構造 |
-
2011
- 2011-08-25 KR KR1020110084869A patent/KR1012636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8-22 US US13/592,135 patent/US847484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106A (ko) | 2013-03-06 |
US20130049318A1 (en) | 2013-02-28 |
US8474844B2 (en) | 2013-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3674B1 (ko) | 다목적 운반차량의 서스펜션구조 | |
EP3248818B1 (en) | Independent suspension with multiple supporting points | |
RU2714013C2 (ru) | Опорная структура кабин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 |
US7500687B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s | |
JP6803234B2 (ja) | 車両サスペンション | |
RU2412067C2 (ru) | Подвеска колеса для передней оси автомобиля | |
US9925843B2 (en) | Rear suspension systems for laterally tiltable multitrack vehicles | |
CN107244206B (zh) | 全地形车及其摇臂结构 | |
CA2706051A1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ES2772255T3 (es) | Suspensión de eje en tándem neumática para un par de ejes traseros de un vehículo, en particular un vehículo de mercancías pesado | |
US20130147145A1 (en) | Structure of vehicle subframe | |
ES2844204T3 (es) | Suspensión de eje neumático para un eje posterior de un vehículo | |
CN102049986B (zh) | 一种车辆悬挂装置 | |
CN208263918U (zh) | 悬架系统及客车 | |
CN205113493U (zh) | 一种扭簧与弹簧组合减震的支重悬挂机构 | |
CN103863496A (zh) | 车辆的前轮支承构造 | |
CA2541040A1 (en) | Cushion mounting structure of saddle-ride vehicle | |
JPH0274408A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JP2694202B2 (ja) | 後輪懸架機構 | |
CN219650965U (zh) | 全地形车自适应姿态调整减震车架 | |
KR20120008877A (ko) |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 |
JP2004155243A (ja) | 緩衝装置付きフレーム | |
JP2009214743A (ja) | 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JP2018108785A (ja) |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CN204870429U (zh) | 一种汽车前横向稳定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7 |